의정부 버스 8401, 8409

덤프버전 :

>
의정부시>
[ 펼치기 · 접기 ]
프리미엄>

경기순환>

직행좌석
1205
일반>
마을>

[[의정부 버스 206-5|

206-5A/B
]]

[[의정부 버스 의정부01|

의정부01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0%"



{{{#fff,#1f2023
[[틀:경기도의 공항버스|>

{{{#fff 공항
ㆍ[[틀:경기도의 시외버스|
시외
]]ㆍ[[틀:경기 프리미엄버스|
>
프리미엄
]]ㆍ[[틀:경기순환버스|

경기순환
]]ㆍ[[틀:경기도의 일반좌석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75C8; font-size: 14px"
좌석
]]


파일:8401_3315.png
파일:IMG_8409.jpg
8401번8409번

1. 노선 정보
1.1. 8401번
1.2. 8409번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시간표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1.1. 8401번[편집]


파일:의정부시 CI_White.svg 의정부시 경기순환버스 840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경기순환 8401 노선도.png
기점경기도 의정부시 낙양동(낙양동공영차고지)종점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매산로1가(수원역)
종점행첫차05:00기점행첫차07:10
막차17:10막차20:10
평일배차1일 6회주말배차1일 2회
운수사명경기고속인가대수-[1]

경유 정류장
의정부고속도로수원시
낙양동공영차고지불암산영업소(별내동)의왕톨게이트
송산주공1.9단지경기도인재개발원.경기연구원.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경기도여성가족재단
경기도청북부청사구리영업소경기일보.한일타운(상)
한일타운.경기일보.홈플러스(하)
극동동성아파트(상)
신성벽산아파트앞(하)
동성아울렛(상)
장안문.느림보타운(하)
신동초.신동아파밀리에아파트앞(상)
추동아파트(하)
가천대장안공원
장암주공5단지앞(상)
장암주공5단지.한국.풍림아파트(하)
병무청입구
의왕청계영업소수원역.노보텔수원(상)
수원역(하)


1.2. 8409번[편집]


파일:의정부시 CI_White.svg 의정부시 경기순환버스 8409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경기순환 8409 노선도.png
기점경기도 의정부시 낙양동(낙양동공영차고지)종점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매산로1가(수원역)
종점행첫차04:00기점행첫차06:10
막차21:00막차23:00
평일배차1일 20회
(30~60분)
주말배차토요일 21회 (30~60분)
일.공휴일 18회 (40~60분)
운수사명경기고속인가대수10대

경유 정류장
의정부고속도로·구리시수원시
낙양동공영차고지불암산영업소(별내동)의왕톨게이트
경기도청북부청사건영.성원아파트(상)
구리문화원.원일가대라곡아파트(하)
경기도인재개발원.경기연구원.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경기도여성가족재단
버스터미널.신도브래뉴아파트(상)
의정부버스터미널(하)
배탈고개.일신건영아파트
의정부역.동부광장(상)
의정부역.농협앞(하)
돌다리.구리전통시장경기일보.한일타운(상)
한일타운.경기일보.홈플러스(하)
망월사역3번출구(상)롯데백화점.구리역입구동성아울렛(상)
장안문.느림보타운(하)
회룡역구리영업소장안공원
장수원.신한대학교가천대병무청입구
장암역.석림사입구의왕청계영업소수원역.노보텔수원(상)
수원역(하)

2. 개요[편집]


경기고속에서 운행하는 경기순환버스 노선. 왕복운행거리는 169.7km(8409번)이다. 8401번 8409번


3. 역사[편집]


  • 2010년 8월 23일에 시범운행을 시작한 뒤 9월 13일에 정식으로 개통하였다. 당시에는 용남고속에서 운행했으며, 노선은 '고천 - 호계사거리 - 범계역 - 평촌먹자거리 - 청계요금소 - 구리요금소 - 장암주공5단지 - 의정부역 - 의정부터미널 - 경기도청북부청사'였다. 차고지가 이목동(수원북부공영차고지)에 있었는데 하행 한정으로 차고지에서 내려달라고 요청하면 내릴 수 있었고 차고지에서 다른 노선으로 환승할 수 있었다. 용남고속에서 운행하는 '수원터미널 - 구리역 - 의정부터미널' 시외버스와 노선이 유사하여 기존 노선의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해서 입찰받았다.

  • 2011년 1월 14일에 저조한 수요로 인해 대량으로 감차하고 장암역에 정차하도록 변경되었다.

  • 2011년 2월 21일에 용남고속이 적자를 이유로 노선을 반납하였고 경기고속이 새로운 사업자로 선정되었다. 동시에 '의정부 - 구리 - 청계TG - 의왕TG - 수원'으로 노선이 변경된다. 8409번이 경유하지 않게 된 '의정부~의왕' 구간을 이용하는 승객들을 위해서 8906번의왕시로 종점을 연장하게 된다. 비슷한 시기에 의정부 - 수원 시외버스가 폐선되었다.

  • 8409번이 구리시를 경유하기 때문에 의정부에서 수원으로 가는 승객들이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민원을 제기한다. 경기도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리를 거치지 않고 의정부와 수원을 직통으로 잇는 노선을 기획하기로 한다. 관련 기사 1 관련 기사 2



  • 2013년 8월 1일에 8402번이 신설되었다. 수원 방향은 8401번처럼, 의정부 방향은 8409번처럼 운행하는 노선이었다. BIS에서만 8402번으로 조회되고 실제로는 8409번 차량을 차출하여 운행하였다.

  • 2014년 11월 11일에 8401번이 1일 2회로 감회되었다.


  • 2015년 4월 26일에 8409B번이 폐선되었다.

  • 2015년 12월 29일부터 가천대역에 추가로 정차한다.

  • 2016년 11월 5일에 성남TG 내 정류장이 폐지되면서 정차하지 않는다.

  • 2018년 9월 13일부터 1일 16회로 감회되었다.

  • 2019년 11월에 경기도 공공버스 중 비수익 반납 및 폐선 유형 검토 대상에 포함되어 시범 노선으로 선정되었다.


  • 2020년 3월 5일에 8401번의 의정부행 막차가 폐지되고 8409번으로 대체되었다.

  • 2020년 3월 11일에 코로나19의 여파로 8401번의 운행횟수가 감회되었다.

  • 2020년 10월 13일부터 경기도 공공버스로 전환됨과 동시에 8409번은 1일 20회, 8401번은 1일 6회로 증회되었다. 관련 게시물

  • 2021년 6월 9일부터 8401번 노선이 기존 '송산주공1.9단지'에서 '낙양동공영차고지'로 연장되어 기점 첫차가 5시로 앞당겨졌고, 종점 막차가 20시 10분으로 늦춰졌다.

  • 일자 미상으로 8401번 노선의 한일타운 정류장(의정부방면)이 누락되어 공공버스 전환 이후로부터 정차하지 않았는데, 이후 정류장 누락이 반영되어 현재는 경기일보,한일타운 정류장에 양방향 모두 정차한다.

  • 2022년 12월 31일부터 8409번이 토요일에 3회 증회되어 21회 운행한다. 관련 게시물



4. 특징[편집]



  • 출퇴근 시간에 입석 승객이 발생할 정도로 수요가 많다. 원래 시외버스로 운행되던 구간이라 고정 수요가 있었는데 요금이 인하되자 더욱 승객이 몰린 것이다. 하지만 긴 거리와 통행료 때문에 2013년에 8억 5,000만원의 적자를 기록하였다. 시간이 더 지나고 고정 수요가 더 증가하면서 적자 액수는 더 줄었지만 운행거리 문제와 통행료 문제가 해소되지 않았고, 기사들이 운행을 기피하는데다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으로 기사 부족 문제와 코로나19 여파까지 겹치면서 배차간격은 줄어들지 못하고 오히려 더 늘어나게 되었다.

  • 8401번이 1일 2회로 감회된 이유에서 알 수 있듯 다수의 승객들은 '의정부~수원' 구간을 이용하는 비율이 적고 '의정부~구리', '구리~수원' 구간을 이용하는 비율이 높다. 또한 가천대역이나 청계TG를 비롯한 환승 시설과도 연계되어서 경기 북부와 남부 지역을 오가기 편리하다.

  • 의정부~수원 구간을 오갈경우 수도권 전철 1호선 급행을 타고 가는게 낫다. 주행시간으로는 8409번이 조금 더 빠르나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성남-구리 구간이 정체가 심하고 배차가 길어서 오히려 전철이 더 빠르다. 다만 한 번에 가는 계통이 없기 때문에[2] 구로역-청량리역 구간에서 동두천 급행으로 갈아타야 한다. 단, 평일 오전~낮 시간대에 6회만 운행하기 때문에 그 외 시간대와 주말, 공휴일에는 일반열차를 이용해야 한다.




  • 의정부 방향은 BIS에 표기된 동부광장(08121)이 아닌 농협(08109)에 정차한다.[3] 수원행 차량은 동부광장(08-117)에 정차한다.



  • 서울과 인접한 지역에 위치한 경기도 소재 대학교인 신한대학교 의정부캠퍼스와 가천대학교 글로벌캠퍼스를 이어주는 유일한 버스이다.

  • 8401번은 의정부버스터미널을 직접 경유하지 않지만 수원 방향은 신동초등학교, 의정부 방향은 추동아파트에서 하차한 후 걸어가면 터미널에 도착한다.

  • 8401번은 과거에 고정 차량으로 운행하였으나, 수요 저조로 고정 배차가 폐지되고 1일 2회로 감회된 후 8409번 차량의 LED를 8401번으로 변경하는 방식으로 운행한다.

  • 공공버스 재개통부터 교통카드 단말기 옆에 코로나 확산 방지를 위한 카메라형 체온계가 장착되어있다.[4] 얼굴을 인식해 알아서 고열여부를 체크한다. 공공버스 초기에는 기사가 일일이 확인했지만, 현재는 인식이 제대로 되든 안되든 그냥 승객을 받는다.

  • 저녁시간대에 8401번에서 맨 끝에서 두번째 자리에 앉아 의자를 끝까지 젖히고 뒤에 승객이 깨우면 난리를 치는 빌런이 있다는 목격담이 종종 올라온다.##### 건장한 체격의 남자이니 최대한 피하고 어쩔 수 없으면 여기 여러승객이 탑승하는 버스이니 자고 싶으면 처음부터 맨 뒤에 앉으라고 말하자.

4.1. 시간표[편집]


2022년 12월 31일 기준.
파일:8409.jpg
출처


5. 연계 철도역[편집]


  •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의정부역[8409], 회룡역[8409], 망월사역[8409], 수원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 서울 지하철 7호선: 장암역[8409]
  • 파일:SB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가천대역, 수원역
  •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구리역[8409]
  • 파일:ULine_icon.svg 의정부 경전철: 곤제역, 경기도청북부청사역, 동오역[8409], 회룡역[8409]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일반 철도역: 수원역(KTX, ITX-새마을, 새마을호, 무궁화호)


6. 둘러보기[편집]


파일:의정부시 CI.svg 금오지구 연계 버스
[ 펼치기 · 접기 ]
민락2지구 방면11206206-3
G6000G6100
고산지구 방면G6100
의정부 시내[1] 방면1-11-311
2123-172
72-3205-1206
84098906
장암동·회룡역 방면7272-172-3
202-1203206-1
310084018409
가능동·녹양동 방면1121
23-1205-18906
신곡동·송산동 방면206-3
도봉산역 방면7272-3
노원역 방면72-13100
광나루역·강변역 방면1-11-3
잠실역 방면G6000G6100
강남역·양재역 방면3100
양주시 방면8906
포천시 방면7272-33100
구리시·남양주시 방면1-11-321
8401[2]8409[3]
부천시·안양시 방면8906
수원시 방면84018409
[각주 보기]
[각주]
[1] 의정부역, 제일시장, 부대찌개거리를 지칭[2] 불암산영업소, 구리영업소 경유[3] 불암산영업소 경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3 00:20:47에 나무위키 의정부 버스 840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8409번 차량으로 운행한다.[2] 평일 의정부→수원 방향에 한해 의정부역에서 06:46, 07:07 출발하는 서동탄행이 있긴 하다.[3] 현재는 '의정부역.농협앞'정류장에 정식으로 정차하는것이 반영되었다.[4] 의정부 KD에서 공공버스 입찰을 따내기 위해 기획한 내용이다. 같이 입찰을 진행한 G6100번3800번에도 장착되어있다.[8409] A B C D E F G 8409번 한정 경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