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항공사령관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육군항공사령부

대한민국 육군 >>{{{#!wiki style="margin: -3px 0px;"
항공사령관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width=50%><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
||<width=20%> 초대
김판규 ||<width=20%> 2대
김희중 ||<width=20%> 3대
오현구 ||<width=20%> 4대
||<bgcolor=#FFFACD,#003318><width=20%> 5대
최해필 ||
|| 6대
||<bgcolor=#FFFACD,#003318> 7대
곽상하 ||<bgcolor=#FFFACD,#003318> 8대
김호중 || 9대
이희원 ||<bgcolor=#FFFACD,#003318> 10대
최해필 ||
||<bgcolor=#FFFACD,#003318> 11대
백병기 || 12대
최용주 ||<bgcolor=#FFFACD,#003318> 13대
이태만 ||<bgcolor=#FFFACD,#003318> 14대
배명헌 ||<bgcolor=#FFFACD,#003318> 15대
이덕춘 ||
|| 16대
김학주 || 17대
이순진 || 18대
김영식 ||<bgcolor=#FFFACD,#003318> 19대
장광현 || 20대
장경석 ||
||<bgcolor=#FFFACD,#003318> 21대
허건영 || 22대
이정기 ||<bgcolor=#FFFACD,#003318> 23대
강선영 ||<bgcolor=#FFFACD,#003318> 24대
이보형 ||<bgcolor=#FFFACD,#003318> 직무대리
조재식
||
||<-10><bgcolor=#e3bf44> ※ 초대~23대: 육군항공작전사령관, 소장(항공병과)~중장(보병병과) ▸ 24대: 육군항공사령관, 소장 ||
||<-10><bgcolor=#e3bf44>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파일:2019080901050002320_육군항공작전사령부_마크1.jpg
육군항공사령관
陸軍航空司令官
Army Aviation Commander
파일:조재식 장군.jpg
현직준장 조재식
취임일’23년 11월 ~ 현재[1]
임관육사 47기
1. 개요
2. 상세
3. 역대 육군항공사령관
4. 관련문서

육군항공사령부령
제2조(사령관 등의 임명) ①육군항공사령부(이하 “사령부”라 한다)에 사령관ㆍ부사령관 및 참모장을 둔다.
② 사령관 및 부사령관은 육군의 장성급(將星級) 장교로 보하고, 참모장은 육군의 영관급 장교로 보한다.


1. 개요[편집]


육군항공사령부지휘관으로 소장이 보임된다.


2. 상세[편집]


지휘관의 계급은 제9대 사령관까지는 보병 병과에 작전직능 출신인[2] 중장이 보직되었으나 2005년 5월 취임한 10대 사령관[3]부터는 소장이 보임되어 오고 있다. 2013년 4월 취임한 제16대 사령관[4]은 다시 중장이다.

비전투부대의 장은 그렇다 쳐도 전투부대의 장, 그것도 실제 비행기를 몰아 보고 관련 전술을 직접 익혀야 하는 항공 부대의 장이 때때로 보병 출신, 그것도 보다 전문적인 항공 출신이 맡을 때는 소장인데 보병 출신은 중장이 맡는 건 너무한 거 아니냐는 말이 계속 나왔었다.[5] 심지어 이 논란은 육사 출신에게도 적용되어 병과 간 갈등을 되려 키우고 있기에 육사 항공 병과 출신에게도 여전히 앙금으로 남아 현재진행형이다.#

육군 내 항공 병과의 장군 보직은 최소 2군데이다. 이는 항공사 사령관 혹은 부사령관, 육군항공학교장이다.[6] 부사령관은 일반적으로 교육, 훈련, 화력 직능을 가진 보병 병과 준장이 보임된다. 과거 항공사령관을 비항공 병과 중장이 맡았을 때는 육군항공학교장과 항공사 참모장 중 더 기수가 높은 장성이 항공 병과장을 겸임했다.

현재 사단급으로 개편되면서 군단장급인 보병 중장 사령관이 역임하게 될 일은 줄어들거나 군 인사 중앙체계에 특정병과 인사만 편중되는 이상한 케이스가 아닌 한 경우의 수가 없어질 전망인데, 육사 항공병과 출신인 이보형 사령관이 강선영 장군의 뒤를 이어 임명되면서 소장급 사령관으로 고정될 것으로 보인다. 동시에 항공사 참모장은 대령으로 하향되었다.[7]

3. 역대 육군항공사령관[편집]


대한민국 육군 >>{{{#!wiki style="margin: -3px 0px;"
항공사령관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width=50%><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
||<width=20%> 초대
김판규 ||<width=20%> 2대
김희중 ||<width=20%> 3대
오현구 ||<width=20%> 4대
||<bgcolor=#FFFACD,#003318><width=20%> 5대
최해필 ||
|| 6대
||<bgcolor=#FFFACD,#003318> 7대
곽상하 ||<bgcolor=#FFFACD,#003318> 8대
김호중 || 9대
이희원 ||<bgcolor=#FFFACD,#003318> 10대
최해필 ||
||<bgcolor=#FFFACD,#003318> 11대
백병기 || 12대
최용주 ||<bgcolor=#FFFACD,#003318> 13대
이태만 ||<bgcolor=#FFFACD,#003318> 14대
배명헌 ||<bgcolor=#FFFACD,#003318> 15대
이덕춘 ||
|| 16대
김학주 || 17대
이순진 || 18대
김영식 ||<bgcolor=#FFFACD,#003318> 19대
장광현 || 20대
장경석 ||
||<bgcolor=#FFFACD,#003318> 21대
허건영 || 22대
이정기 ||<bgcolor=#FFFACD,#003318> 23대
강선영 ||<bgcolor=#FFFACD,#003318> 24대
이보형 ||<bgcolor=#FFFACD,#003318> 직무대리
조재식
||
||<-10><bgcolor=#e3bf44> ※ 초대~23대: 육군항공작전사령관, 소장(항공병과)~중장(보병병과) ▸ 24대: 육군항공사령관, 소장 ||
||<-10><bgcolor=#e3bf44>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볼드체대장 진급이 된 사령관.

역대 육군항공사령관
역대이름계급임관비고기타
육군항공작전사령관
초대곽상하예) 소장육사 20기사령관[8]
2대김철웅예) 소장육사 21기사령관[9]
3대김영식예) 소장갑종 180기사령관[10]
4대조희진예) 소장육사 21기사령관[11]
5대장배현예) 소장<임>학군사관 5기사령관[12]
6대김판규예) 대장육사 24기육군참모총장, 제1야전군사령관[13]
7대김희중예) 중장육사 25기사령관[14]
8대오현구예) 중장육사 26기사령관[15]
9대이희원예) 대장육사 27기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16]
10대최해필예) 소장<임>3사 4기사령관[17]
11대백병기예) 소장<임>육사 32기사령관[18]
12대최용주예) 중장3사 4기제3군단장[19]
13대이태만예) 소장3사 7기사령관[20]
14대배명헌예) 소장육사 34기사령관[21] [22]
15대이덕춘예) 소장3사 14기사령관[23]
16대김학주예) 중장육사 35기제6군단장[24]
17대이순진예)대장3사 14기합동참모의장, 제2작전사령관[25]
18대김영식예) 대장육사 37기제1야전군사령관[26]
19대장광현예) 소장육사 39기사령관[27]
20대장경석예) 중장육사 39기육군특수전사령관[28]
21대허건영예) 소장육사 44기합동참모본부 전력기획부장, 現 국방기술품질원장[29] [30]
22대이정기예) 중장육사 41기제7기동군단장[31]
23대강선영예) 소장여군 35기사령관[32] [33]
육군항공사령관
24대이보형소장육사 46기드론작전사령부 작전사령관[34]
직무대리조재식준장육사 47기前 육군항공사령부 부사령관, 前 육군항공학교장[35]
직무대리전병희준장육사 48기現 육군항공사령부 부사령관, 前 육군항공학교장[36]


4. 관련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2 12:06:03에 나무위키 육군항공사령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1월부 부사령관에서 사령관으로 보직변경[2] 항공작전이기 때문에 작전직능의 중장이 군단장을 끝내고 이 보직을 거쳤었다.[3] 3사 4기 출신의 최해필 소장. 항공작전사령부 참모장에서 내부승진한 인물로 항공 병과 출신이었다.[4] 육사 35기 출신의 김학주 중장, 6군단장을 끝내고 항공사령관으로 왔으며 보병 병과에 작전 직능이었다.[5] 군사보안 병과도 역시 기무담당이나 정보병과, 정보보안이나 하다못해 헌병 출신은커녕 예전부터 그와는 무관한 보병 출신이 독점해오고 있기에 대한민국 육군의 큰 문제점의 주축들이 되어온 병과는 언제나 항상 보병이었다.[6] 다만 몇몇 장성은 임기제 준장으로 방사청이나 KAI에 소속되어 헬기개발사업을 담당하기도 하였다.[7] 다만 부사령관은 집에 갈 날이 얼마 안 남은 장군들이 오는 자리인 만큼 주로 보병병과인 말년 준장이 와서 보임된다. 다만 육군항공학교장을 지낸 조재식 준장이 부사령관으로 부임했는데 그는 항공 병과이다. 이보형 사령관이 드론작전사령관으로 전보되면서 23년 하반기 인사에서 소장 진급 후 정식으로 사령관에 취임할 가능성이 제기된다.[8] 1989.07.01 ~ 199.06.30[9] 1990.07.01 ~ 1993.06.30[10] 1993.06.29 ~ 1995.04.21[11] 1995.04.21 ~ 1997.04.23[12] 직무대리 1997.04.23 ~ 1997.10.21, 임기제보직 1997.10.22 ~ 1999.04.22[13] 1999.04.20 ~ 2000.04.27[14] 2000.04.28 ~ 2002.10.31[15] 2002.10.28 ~ 2003.10.29[16] 2003.10.23 ~ 2005.03.31 [17] 부사령관 2004.06.05 ~ 2005.05.06, 임기제 진급 및 사령관 보직 2005.05.07 ~ 2006.06.29[18] 2006.06.31 ~ 2008.04.07 [19] 2008.04.03 ~ 2009.04.28 [20] 2009년 4월 23일 ~ 2010년 6월 27일[21] 2010년 6월 28일 ~ 2011년 [22] 사령부에서 운영하는 골프장 수익금을 횡령하다 기무사에 의해 적발되어 예편됨[23] 2011년 11월 23일 ~ 2013년 4월 28일[24] 2013년 4월 29일 ~ [25] ~ 2014년 10월 22일[26] 2014년 10월 23일~ [27] ~ 2016년 10월 27일[28] 2016년 10월 28일 ~ 2017년 9월 26일[29] 2017년 9월 26일 ~ 2019년 5월 ??일[30] 이임 후 바로 전역하지 않고 타 보직으로 영전[31] 2019년 5월 ??일 ~ 2019년 11월 21일[32] 2019년 11월 21일 ~ 2021년 11월 17일 [33] 707여군중대장, 항작사 참모장, 항공학교장 역임. 여군 최초 소장 진급자, 여군 최초 사령관 보직자[34] 2021년 12월 ~ 2023년 1월 [35] 2023년 1월 ~ 2023년 11월[36] 2023년 11월 ~ 현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