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진군/정치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울진군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영주시·영양군·봉화군·울진군

[ 펼치기 · 접기 ]
파일:경산시 CI.svg
경산시
파일:경주시 CI.svg
경주시
파일:구미시 CI.svg
구미시
파일:김천시 CI.svg
김천시
파일:문경시 CI.svg
문경시
파일:상주시 CI.svg
상주시
파일:안동시 CI.svg
[[경상북도청|

도청
도청

{{{#fff
]] 안동시
파일:영주시 CI.svg
영주시
파일:영천시 CI.svg
영천시
파일:포항시 CI.svg
[[경상북도청|

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070BB 21%, #00B1EB 21%, #00a4da); font-size: 1em"
{{{#fff
]] 포항시






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울진군 CI.svg 경상북도 울진군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구분선거구명지역
국회의원영주시·영양군·봉화군·울진군울진군 전역 + 영주시, 영양군, 봉화군 전역
도의원울진군울진군 전역

1.1. 군의회[편집]


파일:울진군 CI.svg울진군의회⠀
원내 구성
[ 펼치기 · 접기 ]
제8대 의회
2018.7.1. ~ 2022.6.30.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svg

6석, 군수 소속 정당
무소속

1석
재적

7석
| 공석

1석



2. 지역 특징[편집]


역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울진은 경상북도와는 조금 다른 성향을 보였는데, 지역적 성향 탓도 있지만 김중권이라는 지역 유명 정치인 때문이다. 1981년부터 3선을 달리고 이후 20년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6번이나 연이어 낙선했으나 매우 높은 득표를 보였다. 민주정의당 - 민주자유당 - 공천탈락 - "무당파국민연합" - 김대중 정부의 초대 대통령비서실장 + 새천년민주당 대표 - 무소속의 길을 밟았으며, 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노무현 대통령보다도 먼저 "영남 대통령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었다. 2012년에는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를 지지하였다.

김중권 후보가 이런 테크를 타게 된데에는 3선 이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의 낙선이 크게 작용했는데, 당시 지역 발전을 위해 유치한 원전에 반발한 울진 지지층 상당수가 이탈했기 때문이라고. 주변 지역에 비해 상대적 번영을 누리는 현재를 생각하면 역설인 셈이다. 그래도 밑에서 보이듯 이탈한 표는 다시 돌아왔다. 하지만 탄핵 역풍이나 다른 지역의 새누리 지지로 끝내 당선은 늘 실패했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새천년민주당 깃발을 달고도 불과 19표(0.03%)차로 낙선하는 기염을 토했다. 물론 중요한 건 낙선했다는 거지만. 당시 김광원 후보도 같은 울진 출신이었을 뿐더러, 삼척시 산불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투표에 참여하지 못해 낙선하고 말았다는 이야기가 있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의 분열에 따라 당을 탈당, 서울특별시 마포구 을 출마를 포기하고 열린우리당 후보가 정해진 이 지역구로 다시 무소속 출마했다. 탄핵 역풍에도 열린우리당 후보(박영무, 24.02%)와 표를 나눠먹으며 26.9%로 낙선. 이때 탄핵 역풍을 타러 열린우리당에 입당했으면 당선될 수 있었지만 결국 그러진 않았고, 민주당 후보가 없던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38.9%를 얻으며 낙선.

울진은 봉화군, 영덕군, 영양군과 선거구가 같았는데 울진에서는 김중권 후보가 압도적인 지지를 받고 봉화는 비등한데 영덕에서 밀리는 식이다. 영양은 애초에 판세에 영향줄 만큼 인구가 많지 않다. 대표적으로 2012년에 있었던 19대 총선의 경우, 김중권 후보는 울진에선 51.63%를 득표해 40.21%를 득표한 새누리당 강석호 후보를 이겼으나 나머지 지역에서 모두 강석호 후보에게 밀렸다. 특히 영덕에서는 강석호 후보가 70.64%를 득표했다. (물론 이는 강석호 후보의 고향이 영덕인 까닭이다.) 격차는 55:36으로 19%나 났는데 민주통합당 후보가 4.5%, 녹색당이 3%를 득표했다. 김중권 후보의 울진 득표는 16대 이래 50.90 → 31.95%(범민주를 더하면 53.36%) → 55.69% → 51.63%으로 건재하나 아마도 이번이 마지막 출마가 될 것 같다. #

역대 지방선거에서 민주당계 정당딱 한 번 깃발을 꽃은 사례가 있었는데 1998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였다. 당시 새정치국민회의 신정 울진군수 후보가 그것도 낙선 없이 단 한 번만에 당선되는 기염을 토했다.[1][2] 결국 민주당이 마지막으로 승리한 역사로 남게 되었다.

다만 다른 성향을 보인다는 것도 경북 내에서는 그렇다는 것이지 우리가 생각하는 그런 수준을 생각하면 안 된다. 단적인 예로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가 79.99%를 득표했다. 다만 이게 경상북도의 군 지역에서는 가장 낮은 득표율이다. 옆동네엔 영덕에서는 박근혜 후보가 87.11%를 득표했다. 읍면별로 뜯어보면 득표율 격차가 군치고는 꽤 나는 편인데 남쪽 끝인 후포면에서는 박근혜 후보가 90.93%라는 어마어마한 득표율을 기록한 반면 강원도랑 인접해 있으며 원전이 있는 북면에서는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가 30.68%를 득표하였다. 이건 강원도의 영향이 아니라, 원전으로 인해 젊은 층이 많아서이다. 그 이외 지역들은 울진읍을 제외하고는 박근혜 후보가 전 지역에서 가뿐히 8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하였다. 그나마 울진읍도 76% 이상 득표하였다.

이와 반대로,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와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보수세가 완전히 강화되었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이후에 실시된 19대 대선에서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가 52.14%를 득표하여 과반을 넘겼고, 20대 대선에서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는 76.24%를 얻어 정권교체에 일조한 수준으로 압승했다.

대선 이후로 시행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재선에 나선 국민의힘 이철우 경북도지사 후보가 무려 80.80%라는 매우 압도적인 득표율을 얻어 완벽한 보수세를 증명했다. 군수 역시 국민의힘 손병복 후보가 59.94%를 얻어 무난히 당선되었다. 이밖에도 인구 감소로 인해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3]부터 줄곧 2석을 뽑았던 도의원이 인구 감소로 인해 1석으로 축소되었다.

울진군 정치권에 대해서 보도한 매일신문 기사[4]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울진군 CI.svg 울진군 국회의원 선거 결과
울진군
13대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김중권3선
14대
[[통일국민당|
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
이학원초선
영양군·봉화군·울진군
15대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김광원초선
봉화군·울진군
16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김광원재선
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
17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광원3선
18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강석호초선
19대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재선
20대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3선
영주시·영양군·봉화군·울진군
21대
[[미래통합당|
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
박형수초선

파일:울진군 CI.svg 역대 울진군수 선거 결과
19951998200220062010
민주자유당새정치국민회의한나라당한나라당무소속
전광순신정김용수임광원
201420182022
새누리당무소속국민의힘
임광원전찬걸손병복
주요 후보 득표율
구분주요 후보 득표율
1995년1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전광순 35.92%

2위:
[[무소속|
무소속
]]
장학중 21.54%
3위:
[[무소속|
무소속
]]
이상화 21.43%
4위: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박상인 15.91%
1998년1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신정 48.28%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전광순 34.54%
3위:
[[무소속|
무소속
]]
정일영 17.16%
2002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김용수 50.38%

2위:
[[무소속|
무소속
]]
김정규 49.61%
2006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용수 44.70%

2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신정 31.98%
3위:
[[무소속|
무소속
]]
임광원 19.14%
2010년1위:
[[무소속|
무소속
]]
임광원 54.69%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용수 45.30%
2014년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임광원 53.84%

2위:
[[무소속|
무소속
]]
전찬걸 38.13%
2018년1위:
[[무소속|
무소속
]]
전찬걸 37.88%

2위:
[[무소속|
무소속
]]
임광원 27.57%
3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손병복 26.67%
2022년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손병복 59.94%

2위: 황이주 40.05%
[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당 소속으로 포항시장에 당선된 박기환 전 시장에 이어 두 번째이다. 그리고 민주당은 오랜 암흑기를 겪다가 20년 만에 보수의 심장인 구미시에서 당선되는 쾌거를 이뤄냈다.[2] 여담으로 2018년 7회 지선에서도 민주당계 당적으로 구미시장에 당선된 더불어민주당 장세용 후보도 낙선없이 보수성향 무소속 후보들과의 표 분산 덕분에 단 한 번만에 당선되었다.[3]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당시에는 도의원이 3석.[4] 다만 이 기사가 예상했던 것과는 달리 현재 영주시·영양군·봉화군·울진군 지역구 국회의원은 울진군 출신인 박형수 의원이다.


3.1. 지선[편집]



3.1.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1.1. 경북도지사[편집]

울진군
울진군 일원
정당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무소속|
무소속
]]
후보이의근박준홍이판석
득표수18,7177,31812,007
득표율49.20%19.23%31.56%
순위1위3위2위
선거인 수50,026
투표 수39,533
무효표 수1,491
투표율79.02%

3.1.1.2. 울진군수[편집]

{+1 [[파일:울진군 CI_White.svg}}} 울진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전광순(田光舜)13,6741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35.92%당선
2박상인(朴相寅)6,0594위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15.91%낙선
3이상화(李相和)8,1593위

[[무소속|
무소속
]]
21.43%낙선
4장학중(張學重)8,2022위

[[무소속|
무소속
]]
21.54%낙선
5정후영(鄭厚榮)1,9705위
5.17%낙선
선거인 수50,026투표율
79.02%
투표 수39,530
무효표 수1,466

3.1.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2.1. 경북도지사[편집]

울진군
울진군 일원
정당
후보이의근이판석
득표수25,26810,723
득표율70.20%29.79%
순위1위2위
선거인 수50,185
투표 수37,379
무효표 수1,388
투표율74.48%

3.1.2.2. 울진군수[편집]

{+1 [[파일:울진군 CI_White.svg}}} 울진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전광순(田光舜)12,5882위
34.54%낙선
2신정(申丁)17,5931위
48.28%당선
4정일영(鄭一永)6,2553위
17.16%낙선
선거인 수50,185투표율
74.48%
투표 수37,380
무효표 수944

3.1.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3.1. 경북도지사[편집]

울진군
울진군 일원
정당
후보이의근조영건
득표수29,1456,033
득표율82.85%17.14%
순위1위2위
선거인 수49,245
투표 수36,368
무효표 수1,190
투표율73.90%

3.1.3.2. 울진군수[편집]

{+1 [[파일:울진군 CI_White.svg}}} 울진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용수(金容守)17,8521위
50.38%당선
3김정규(金丁奎)17,5782위
49.61%낙선
선거인 수49,245투표율
73.90%
투표 수36,375
무효표 수945

3.1.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4.1. 경북도지사[편집]

울진군
울진군 일원
정당
후보박명재김관용
득표수8,85422,985
득표율27.80%72.19%
순위2위1위
선거인 수44,690
투표 수32,972
무효표 수1,133
투표율73.45%

3.1.4.2. 울진군수[편집]

{+1 [[파일:울진군 CI_White.svg}}} 울진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신정(申丁)10,3062위
31.98%낙선
2김용수(金容守)14,4051위
44.70%당선
6임광원(林光元)6,1683위
19.14%낙선
7장정윤(張正潤)7144위
2.21%낙선
8주승환(朱昇煥)6285위
1.94%낙선
선거인 수44,690투표율
73.46%
투표 수32,992
무효표 수771

3.1.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5.1. 경북도지사[편집]

울진군
울진군 일원
정당
후보김관용홍의락윤병태유성찬
득표수22,4864,1021,3802,086
득표율74.81%13.64%4.59%6.94%
순위1위2위4위3위
선거인 수42,741
투표 수31,972
무효표 수1,918
투표율74.79%

3.1.5.2. 울진군수[편집]

{+1 [[파일:울진군 CI_White.svg}}} 울진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용수(金容守)14,1482위
45.30%낙선
7임광원(林光元)17,0791위
54.69%당선
선거인 수42,741투표율
74.80%
투표 수31,978
무효표 수751

3.1.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6.1. 경북도지사[편집]

울진군
울진군 일원
정당
후보김관용오중기윤병태박창호
득표수24,3504,0978181,353
득표율79.52%13.38%2.67%4.41%
순위1위2위4위3위
선거인 수43,627
투표 수32,316
무효표 수1,698
투표율74.07%

3.1.6.2. 울진군수[편집]

{+1 [[파일:울진군 CI_White.svg}}} 울진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임광원(林光元)16,9391위
53.84%당선
4임원식(任元植)1,3133위
4.17%낙선
5임영득(林永得)1,2094위
3.84%낙선
6전찬걸(田燦傑)11,9952위
38.13%낙선
선거인 수43,627투표율
74.07%
투표 수32,316
무효표 수860

3.1.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7.1. 경북도지사[편집]

울진군
울진군 일원
정당
후보오중기이철우권오을박창호
득표수9,13217,2773,1071,476
득표율29.46%55.74%10.02%4.76%
순위2위1위3위4위
선거인 수43,356
투표 수33,184
무효표 수2,192
투표율76.54%

7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경북 울진군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오중기이철우권오을박창호(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9,132
(29.46%)
17,277
(55.74%)
3,107
(10.02%)
1,476
(4.76%)
-8,145
(▼26.28)
76.54%
울진읍33.07%52.97%10.02%3.92%▼19.9075.75
평해읍21.21%64.49%8.69%5.59%▼43.2877.01
북면[A]37.58%46.02%11.36%5.02%▼8.4472.18
금강송면19.48%69.42%7.31%3.77%▼49.9472.85
근남면24.04%60.33%10.82%4.79%▼36.2975.12
매화면19.27%66.53%8.16%6.05%▼47.2678.68
기성면19.89%65.53%9.44%5.12%▼45.6475.27
온정면14.76%71.88%9.63%3.71%▼57.1279.53
죽변면25.93%57.15%10.04%6.86%▼31.2167.97
후포면25.35%60.91%9.51%4.21%▼35.5674.37
후보오중기이철우권오을박창호격차
거소·선상투표17.35%66.99%12.71%2.93▼49.64
관외사전투표45.21%39.17%11.01%4.59%△6.04
국회의원 선거구오중기이철우 권오을박창호격차투표율
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5][6]26.78%57.83%11.12%4.25%▼40.8175.67%

3.1.7.2. 울진군수[편집]

{+1 [[파일:울진군 CI_White.svg}}} 울진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강진철(姜鎭澈)2,5204위
7.87%낙선
2손병복(孫炳福)8,5423위
26.67%낙선
6임광원(林光元)8,8282위
27.57%낙선
7전찬걸(田燦傑)12,1291위
37.88%당선
선거인 수43,356투표율
76.54%
투표 수33,183
무효표 수1,164

3.1.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8.1. 경북도지사[편집]

울진군
울진군 일원
정당
후보임미애이철우
득표수5,17021,763
득표율19.19%80.80%
순위2위1위
선거인 수42,063
투표 수28,314
무효표 수1,381
투표율67.31%

8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경북 울진군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임미애이철우(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170
(19.19%)
21,763
(80.80%)
-16,593
(▼61.61)
67.31%
울진읍22.01%77.98%▼55.9764.19
평해읍14.96%85.03%▼70.0771.84
북면[A]25.28%74.71%▼49.4360.52
금강송면17.66%82.33%▼64.6767.52
근남면16.04%83.95%▼67.9166.83
매화면16.03%83.96%▼67.9368.95
기성면13.72%86.27%▼72.5467.68
온정면10.74%89.25%78.5176.17
죽변면16.37%83.62%▼67.2458.07
후포면14.67%85.32%▼70.6567.63
후보임미애이철우격차
거소투표12.88%87.11%▼74.23
관외사전투표27.97%72.02%▼44.04
국회의원
선거구
임미애이철우격차투표율
21.03%78.96%▼57.9363.44

3.1.8.2. 울진군수[편집]

{+1 [[파일:울진군 CI_White.svg}}} 울진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손병복(孫炳福)16,3261위
59.94%당선
4황이주(黃利珠)10,9082위
40.05%낙선
선거인 수42,063투표율
67.32%
투표 수28,317
무효표 수1,083

8회 지선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경북 울진군 개표 결과
정당무소속격차투표율
후보손병복황이주(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6,326
(59.94%)
10,908
(40.05%)
+ 5,418
(△19.89)
28,317
(67.32%)
울진읍65.96%34.03%△31.9364.24
평해읍[7]45.88%54.11%▼8.2271.84
죽변면61.73%38.26%△23.4658.07
후포면46.79%53.20%▼6.4067.68
북면[A]64.38%35.61%△28.7760.53
금강송면68.63%31.36%△37.2767.52
근남면65.36%34.63%△30.7266.83
매화면58.36%41.63%△16.7268.89
기성면51.59%48.40%△3.1867.73
온정면[8]64.44%35.55%△28.8975.96
후보손병복황이주격차
거소투표63.71%36.28%△27.43
관외사전투표64.48%35.51%△28.96

3.2. 대선[편집]



3.2.1. 제13대 대통령 선거[편집]


울진군
울진군 일원
정당
후보노태우김영삼김대중김종필
득표수32,43611,4161,4151,088
득표율69.76%24.55%3.04%2.33%
순위1위2위3위4위
선거인 수54,413
투표 수47,666
무효표 수1,170
투표율87.56%

3.2.2. 제14대 대통령 선거[편집]


울진군
울진군 일원
정당
후보김영삼김대중정주영박찬종
득표수25,3913,0195,8441,778
득표율69.20%8.22%15.92%4.84%
순위1위3위2위4위
선거인 수47,576
투표 수37,394
무효표 수706
투표율78.63%

3.2.3. 제15대 대통령 선거[편집]


울진군
울진군 일원
정당
후보이회창김대중이인제
득표수20,2475,94610,295
득표율53.14%15.60%27.02%
순위1위3위2위
선거인 수50,369
투표 수39,339
무효표 수1,242
투표율78.16%

3.2.4. 제16대 대통령 선거[편집]


울진군
울진군 일원
정당
후보이회창노무현권영길
득표수23,3219,7811,002
득표율67.89%28.47%2.91%
순위1위2위3위
선거인 수48,595
투표 수35,249
무효표 수898
투표율72.48%

3.2.5. 제17대 대통령 선거[편집]


울진군
울진군 일원
정당
후보정동영이명박권영길문국현이회창
득표수2,69121,8046079293,294
득표율9.05%73.39%2.04%3.12%11.08%
순위3위1위5위4위2위
선거인 수43,430
투표 수30,078
무효표 수372
투표율69.25%

3.2.6. 제18대 대통령 선거[편집]


울진군
울진군 일원
정당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26,3876,341
득표율79.99%19.22%
순위1위2위
선거인 수42,919
투표 수33,221
무효표 수236
투표율77.36%

3.2.7.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울진군
울진군 일원
정당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6,97216,8674,4762,2751,434
득표율21.55%52.14%13.83%7.03%4.43%
순위2위1위3위4위5위
선거인 수43,754
투표 수32,568
무효표 수223
투표율74.34%

19대 대선 경북 울진군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6,972
(21.55%)
16,867
(52.14%)
4,476
(13.83%)
2,275
(7.03%)
1,434
(4.43%)
-9,895
(▼30.59)
74.34%
울진읍24.65%47.62%13.57%8.26%5.24%▼22.9775.40
평해읍12.98%68.81%10.84%4.51%1.82%▼55.8371.53
북면[A]28.69%41.31%15.65%7.56%5.62%▼12.6276.30
금강송면16.43%65.94%9.97%4.27%1.86%▼49.5176.16
근남면17.62%58.38%13.20%6.43%2.66%▼40.7673.69
매화면14.60%63.71%12.90%3.33%3.19%▼49.1173.41
기성면13.24%65.43%14.49%3.70%1.76%▼52.1969.16
온정면10.52%72.99%9.78%3.15%1.82%▼62.4774.43
죽변면19.76%54.24%14.72%5.93%4.56%▼34.4866.45
후포면14.02%64.88%12.48%5.45%2.57%▼50.8667.77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26.11%41.40%24.84%1.27%2.55%▼15.29
관외사전투표34.89%24.68%16.68%14.14%8.97%△10.21
재외투표55.56%5.98%23.93%3.42%11.11%△31.63
국회의원 선거구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투표율
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9][10]16.72%59.73%13.29%5.65%3.33%▼43.0173.48%

3.2.8.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울진군
울진군 일원
정당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6,88825,287
득표율20.76%76.24%
순위2위1위
선거인 수42,282
투표 수33,544
무효표 수380
투표율79.33%

20대 대선 경북 울진군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이재명윤석열(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6,888
(20.76%)
25,287
(76.24%)
-18,399
(▼55.48)
79.33%
울진읍23.04%73.97%▼50.9377.79
평해읍15.41%81.84%▼66.4377.97
북면[A]23.06%74.06%▼51.0078.63
금강송면17.71%75.72%▼58.0176.39
근남면21.51%75.80%▼54.2980.99
매화면18.49%78.71%▼60.2277.82
기성면17.10%79.94%▼62.8477.88
온정면13.77%83.51%69.7481.13
죽변면17.93%79.95%▼62.0173.38
후포면17.16%80.39%▼63.2376.27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
거소선상투표20.80%73.15%▼52.35
관외사전투표28.24%67.53%▼39.29
재외투표40.47%53.57%▼13.10
국회의원
선거구
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영주시·영양군·봉화군·울진군[B][영주·영양·봉화·울진]23.03%74.07%▼51.0478.13

3.3. 총선[편집]



3.3.1. 울진군[편집]



3.3.2. 영양군·봉화군·울진군[편집]



3.3.3. 봉화군·울진군[편집]



3.3.4. 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편집]



3.3.5. 영주시·영양군·봉화군·울진군[편집]


21대 총선 울진군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영주시·영양군·봉화군·울진군)
정당무소속격차투표율
후보황재선박형수장윤석(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209
(17.85%)
20,817
(71.34%)
2,772
(9.50%)
- 15,608
(▼53.50)
29,937
(69.48%)
[ 펼치기 · 접기 ]
울진읍19.37%68.59%11.01%▼49.2167.29
평해읍[1]9.79%82.41%6.60%▼72.6271.76
북면[A]24.64%60.62%13.66%▼35.9868.26
금강송면16.60%75.78%5.24%▼59.1872.54
근남면15.97%74.83%7.95%▼58.8671.58
매화면15.68%73.01%9.80%▼57.3370.60
기성면13.44%74.96%9.18%▼61.5270.73
온정면9.36%80.10%8.56%▼70.7474.15
죽변면15.22%75.68%7.90%▼60.4659.63
후포면13.55%77.24%7.90%▼63.6967.88
후보황재선박형수장윤석격차
거소·선상투표8.38%79.64%9.28%▼70.36
관외사전투표32.38%58.15%8.37%▼25.77
재외투표57.14%35.71%0.00%△21.43
[1] 박형수 후보의 고향[A] 울진 원자력 발전소 및 사택이 있는 동네

비례대표 선거
정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16,759
(59.59%)
3,867
(13.75%)
1,578
(5.61%)
1,316
(4.67%)
863
(3.06%)
+ 12,892
(△45.84)
29,941
(69.44%)
[ 펼치기 · 접기 ]
울진읍57.58%15.60%6.83%4.97%3.44%△41.9867.31
평해읍63.91%9.55%4.48%4.42%2.18%△54.3671.80
북면[A]53.86%15.79%7.47%7.68%4.52%△38.0768.26
금강송면62.94%13.67%3.98%2.52%3.58%△49.2772.54
근남면59.86%10.75%5.62%3.35%3.66%△49.1171.58
매화면58.13%11.46%3.98%3.49%2.52%△46.6770.71
기성면60.62%12.19%4.18%3.41%1.95%△48.4370.73
온정면69.90%7.28%2.13%3.20%1.65%△62.6274.15
죽변면65.41%11.96%4.71%3.56%2.71%△53.4559.63
후포면65.41%12.04%4.09%3.30%2.22%△53.3767.91
정당
[[미래한국당|
파일:미래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더불어시민당|
파일:더불어시민당 흰색 로고.svg
]]

[[정의당|
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

[[국민의당|
파일:국민의당(2020년) 흰색 로고타입.svg
]]

[[열린민주당|
파일:열린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격차
거소·선상투표72.67%7.80%2.70%3.00%1.80%△64.86
관외사전투표43.87%22.69%8.11%7.31%3.32%△21.18
재외투표40.00%15.00%15.00%10.00%15.00%△25.00
[A] 울진 원자력 발전소 및 사택이 있는 동네


[A] A B C D E 울진 원자력 발전소 및 사택이 있는 동네[5] 지역구 국회의원 : 자유한국당 강석호[6] 영양군 일원, 영덕군 일원, 봉화군 일원, 울진군 일원[7] 황이주 후보의 출생지[8] 손병복 후보의 출생지[9] 지역구 국회의원 : 자유한국당 강석호[10] 영양군 일원, 영덕군 일원, 봉화군 일원, 울진군 일원[B] 영주시 일원, 영양군 일원, 봉화군 일원, 울진군 일원[영주·영양·봉화·울진] 지역구 국회의원: 박형수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초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