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마산역 (r2판)

편집일시 :


龍馬山(龍馬瀑布公園) / Yongmasan(Yongma Falls Park)
용 마 산(용마폭포공원)
파일:Seoulmetro7_icon.svg


다국어 표기
영어Yongmasan
(Yongma Falls Park)
한자龍馬山(龍馬瀑布公園)
중국어龙马山
일본어ヨンマサン
주소
서울특별시 중랑구 용마산로 지하 227 (면목동 1316-5번지)
운영 기관
7호선파일:서울교통공사_Logo.svg
개업일
7호선1996년 10월 11일
역사 구조
지하 4층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발빠짐주의)

1. 개요
2. 역 정보
3. 역 주변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5. 승강장
6. 연계 교통



1. 개요[편집]


서울 지하철 7호선 723번. 서울특별시 중랑구 용마산로 지하 227 (면목동 1316-5번지) 소재.


2. 역 정보[편집]


파일:15 용마산.jpg
역 안내도.

행정동상 면목4동에 위치하고 있다. 역 이름은 인근에 있는 야산인 용마산에서 유래했다.

1998년 5월에 중랑천의 범람으로 당시 개통되었던 7호선 구간의 대부분이 침수되는 사고가 있었는데, 이 역이 침수의 확산을 막은 일등공신이었다. 지대가 높은 곳에 위치했기 때문에 물이 더 이상 흘러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었다. 이 역부터는 경사가 져 있기 때문이다.[1]

2013년 5월에 1번 출구 에스컬레이터 설치 공사를 시작했고 2014년 6~7월경 완공되었다. 공사를 하면서 1번 출구 위쪽의 통로도 같이 철거해서 시궁창이지만 엘리베이터는 1층 ↔ 지하 1층을 왕복할 수 있다. 2층은 엘리베이터도 못 타고 에스컬레이터도 없고 죽을 맛.

2016년 1월 23일부터 에스컬레이터 착공 시연과 함께 심야 주박역으로 전환되었다.

2019년 12월 25일 용마산(용마폭포공원)역으로 변경한다고 서울시가 밝혔다. 2020년 3월 중순 역사 내 역명판 변경, 2020년 5월 상순 안내방송 변경이 이루어졌으며, 2020년 7월 중순부터 차내 노선도에 5호선 하남 연장과 더불어 부역명이 새롭게 붙었던 낙성대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마곡나루역의 변경사항을 반영하였다.

7호선 계획당시 임시역명은 용마역이었다.


3. 역 주변 정보[편집]


용마폭포공원과 제일 가까운 역이기도 하며, 여름에는 인기가 상당하다. 특히 아차산, 용마산 등산객들이 많이 찾는다.

역 주변은 주거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높은 언덕에 위치해서 상권이 생기기 어려운 지형이다(실 상권은 여기가 아닌 아래쪽 면목로에 형성). 지형 때문에 이 역에서 나가려면 수많은 계단을 올라가야 한다.

인근의 중, 고등학교 현장학습 및 체육대회 때. 대표적 출발 장소로 활용된다.


4. 일평균 이용객[편집]


용마산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서울 지하철 7호선
[ 2000년~2009년 ]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11,802명13,924명14,520명15,518명15,131명14,922명14,606명14,348명14,148명13,831명
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
13,926명13,840명13,092명12,708명12,597명12,704명12,613명12,408명12,443명12,435명
2020년
9,837명

중랑구 전역에서 절대적인 교통의 축을 담당하는 7호선 역답지 않게 하루 평균 이용객이 12,000명 정도로 저조한 편이다. 그 이유는 용마산역 동쪽에 이름답게 용마산이 가로막고 있어 역세권이 매우 좁기 때문이다. 이곳의 역세권은 면목4동이 전부로서, 역세권 인구가 22,000명 정도로 주변 역들의 절반이 한참 안 되는 수준이다. 이를 보면 배후 인구에 비하면 수요가 상당히 나오는 편으로, 절대 7호선의 선호도가 낮아서 그런 게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역이 주변 지형에 비해 높은 언덕배기에 자리 잡고 있는 탓[2]에, 2003년 이후 2010, 2014년을 제외하고는 계속 이용객이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5. 승강장[편집]


파일:용마산역 승강장.jpg 승강장파일:용마산역명판.jpg 역명판

승강장은 2면 2선의 곡선 상대식으로, 7호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사가정
중곡



6. 연계 교통[편집]


다음 정류장승차위치운행 노선
면목동용마산역(07-209),(76-018)320, 2012, 2227, N62, 성남 70
용마폭포공원용마산역(07-208),(76-019)320, 2012, 2227, N62, 성남 70

[1] 만약 침수구간이 더 확산되어 군자역까지 침수되었다면...... 5호선까지 침수될 뻔했다! 하지만 5호선 승강장이 7호선 승강장보다 윗층에 있긴 하다.[2] 7호선 공사때에 여름에 중랑천이 넘쳐 그 물이 공사장으로 쏟아져 들어왔던 일이 있었는데, 하마터면 공사중인 전 구간이 침수될 위기를 막아준 것이 이 용마산역의 언덕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