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기폭발 뱅브레이번 (r1판)

편집일시 :

용기폭발 뱅브레이번 (2024)
勇気爆発バーンブレイバーン[1]
Bang Brave Bang Bravern[2]

1. 개요
2. 공개 정보
2.1. PV
2.2. 키 비주얼
3. 줄거리
4. 등장인물
5. 설정
6. 주제가
6.1. OP
6.2. ED
7. 회차 목록
8. 회차별 WEB 예고편
9. 엔드 카드
10. 평가
10.1. 방영 전
10.2. 방영 후
11. 기타



1. 개요[편집]


일본오리지널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오오바리 마사미, 제작사는 CygamesPictures. Cygames의 첫 거대로봇물 미디어믹스중 하나이다. 방영 시기는 2024년 1월.


2. 공개 정보[편집]



2.1. PV[편집]


티저 PV디자이너 소개 영상 제1탄
MORUGA
[3]
디자이너 소개 영상 제2탄
사쿠라 미즈키
디자이너 소개 영상 제3탄
테라오카 켄지(寺岡賢司)

PV 제1탄

PV 제2탄

애니플러스 PV


2.2. 키 비주얼[편집]


파일:용기폭발뱅브레이번_애니티저비주얼.jpg
파일:용기폭발뱅브레이번_애니키비주얼1.jpg
티저 비주얼키 비주얼 1탄

1화가 공개되면서 결국 이 키 비주얼들은 치밀하게 계획된 낚시였음이 밝혀졌다.

3. 줄거리[편집]


두 사람은 이어주는 '용기'.

인간형 장갑기 '티타노 스트라이드', 통칭 TS가 발달한 시대.

각국의 군대는 하와이 오아후섬에 집결했다.

육상자위대 소속 이사미 아오와 미국 해병대 소속 루이스 스미스.

두 사람은 전투가 한창인 가운데 만나게 되었다.

갑자기 소속 불명인 기체들의 습격을 받아, 어찌해볼 도리도 없이 쓰러져가는 병사들.

자신의 긍지를 걸고 싸워라. 죽음과 이웃한 전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동료를 구하기 위해.

생명의 힘을 믿고, '용기'를 불태워라.

애니플러스



4. 등장인물[편집]


파일:bangbrayvern_chara_01.jpg
더블 주인공. 자위대 소속의 티타노 스트라이드 파일럿. 트레이닝이 취미라고 할 정도로 우직하고 침착한 성격이며 뛰어난 조종실력으로 타국의 병사들에게도 이름이 알려져 있다. 갑자기 나타난 외계세력과의 전투중 위기에 처하지만 갑자기 자기 이름을 부르며 나타난 로봇 브레이번에 탑승해 싸우게 된다. 계급은 삼등육위.[A]
상마초스러운 외모[4]와 '용기폭발'이란 제목과는 정반대로 과묵하고 겁이 상당히 많다. 림팩 훈련에서는 성과를 위해 위험을 무릅쓰고 돌진하며 쿨한 성격을 보였지만, 실전에선 태도가 180도 바뀌어 미군&자위대의 TS 파일럿들을 통틀어 가장 겁을 많이 먹었다.[5] 그래도 아군 기체가 전부 당해 도망쳐야 할 상황에서도 기체가 전복되어 탈출할 수 없는 리오를 구하려고 현장을 떠나지 않으며, 정의로운 모습은 잃지 않는다.

파일:bangbrayvern_chara_02.jpg
더블 주인공. 미군 소속의 티타노 스트라이드 파일럿. 히어로를 동경하는 로봇이나 영웅물 매니아. TS 파일럿이 된 이유도 꿈에 그리던 거대로봇이 진짜로 등장해서 그런 모양이다.
림팩 훈련에서는 이사미처럼 성과를 위해 위험을 무릅쓰고 돌진하는 성격이며[6], 실전에서도 이 성격은 변하지 않아 포탄이 안 먹히는 적 '졸다트 테러'를 상대로 육탄전이 어느 정도 유효한 걸 확인하자 목숨을 걸고 육탄전을 벌일 정도로 용감한 군인으로, 막상 실전이 되자 겁을 잔뜩 먹어버린 이사미와는 정 반대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계급은 소위.[7][8]

파일:bangbrayvern_chara_03.jpg
스미스와 관련이 있는 소녀. 일단 14~15세 정도로 보이며 자세한 것은 알려져 있지 않음.

파일:bangbrayvern_chara_04.jpg
자위대 소속의 티타노 스트라이드 파일럿. 계급은 삼등육위.[A] 아오와 같은 부대 동료로, 남 잘 돌보는 누나 기질이 있어 아오를 살피다 보니 그의 몇 안되는 친구가 되어주고 있다. 인싸 속성이라 다양한 곳에 친분이 있으며, 정비반의 미유나 관제 담당 호노카와도 교류가 있다. 전투 중 전함의 빔 공격을 당해 망가진 기체에 묶여 그녀를 구하려던 이사미와 함께 죽을 위기에 처하나, 브레이번의 등장으로 살아남는다.

파일:bangbrayvern_chara_05.jpg
자위대 정비소대 소속. 계급은 삼등해조.[9] 주로 아오의 기체를 정비하는 반 전담 메카닉으로, 티타노 스트라이드 뿐만 아니라 메카닉 전반에 애정이 넘친다. 한 번 설명에 들어가면 끝도 없을 정도.

  • 호노카 스즈나기(ホノカ・スズナギ, Honoka Suzunagi) - 성우: 마에다 카오리
파일:bangbrayvern_chara_06.jpg
항공자위대 소속. 요격관제관. 계급은 이등공위.[10] 아오의 주요 담당관으로서 상공에서 티타노 스트라이드 요격 관제를 맡고 있다. 우수한 아오의 담당이라는 것을 자랑스럽게 여기고 있지만, 사랑이 지나치다 못해 폭주하기도 한다.

파일:bangbrayvern_chara_07.jpg
미 공군 소속 요격관제관. 계급은 중위. 주로 루이스의 관제를 담당하고 있지만, 상황에 따라 항공부대의 대 지공격 관제를 맡기도 한다. 항시 여유를 놓치지 않는 성격으로, 같은 관제관인 호노카에게도 동경을 사고 있다.

  • 니나 코왈스키(ニーナ・コワルスキー, Nina Kowalski) - 성우: 모리 나나코
파일:bangbrayvern_chara_08.jpg
미 해병대 소속 군의. 계급은 중위. 착실하게 업무를 해내는 유능한 인물로, 전투시 의료반의 리더로서 현장을 직접 나선다. 1화부터 외계 침공으로 인한 부상자를 돌보던 중에 졸다트의 공격에 당할 뻔했으나, 루이스의 개입으로 무사할 수 있었다.

파일:bangbrayvern_chara_09.jpg
미해군 대장. 애드림팩의 연습사령관이다.

  • 토머스 J 플럼먼(トーマス・J・プラムマン, Thomas J. Plumman) - 성우: 시무라 토모유키
파일:bangbrayvern_chara_10.jpg
미 육군 소속 훈련교관. 지상 보행중인 졸다트 테러의 다리 사이를 험비로 통화 하며 대전차 미사일을 쏴 넣었지만 통하지는 않았다. 류지 사타케에 지금 남은 상급 지휘관은 당신 뿐이라며 알려줬다. 공식 번역에서는 주임원사로 번역했고 자위대 소속 인물들은 상급조장이라고 불렸다. 일본 창작물중 꽤 보기 힘든 나이 많은 부사관이다.

파일:GDJdJyGaoAEDtjR.jpg
자위대 소속이며 이사미가 소속된 1중대 리더. 계급은 이등육좌.[11] 훈련마다 돌발행동을 벌이는 이사미 소위 때문에 곤란해하는 모양.

파일:GC_J8i0aEAAyjfV.jpg
미군 소속이며 스미스와는 입대동기. 계급은 중위.

파일:GDETiPCagAAMLTu.jpg
미군 소속이며 스미스가 소속된 중대의 리더. 계급은 대위이지만 루이스와 사적으로 친한 사이. 기지의 남은 인원이 퇴각할 동안 다른 부대원들과 같이 적의 주의를 끄는 역할을 자처했지만, 적의 구조물에서 발사한 빔에 맞아 탑승하고 있던 M2와 함께 증발하여[12] 사망했다.


5. 설정[편집]



5.1. 등장 메카[편집]



6. 주제가[편집]



6.1. OP[편집]


OP / 1화 삽입곡, ED
ババーンと推参! バーンブレイバーン
바방 하고 등장! 뱅브레이번[13]
TV ver.
Full ver.
노래브레이번(CV: 스즈무라 켄이치)
작사후루야 신(古屋 真)
작곡카토 유스케(加藤裕介)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오오바리 마사미
연출
작화감독모토무라 코이치(本村晃一)
원화아메미야 아키라, 오오바리 마사미, 카바시마 요스케, 오다시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1]
번번 뱅 번 번
뱅뱅뱅 뱅브레이번
이 지구가 탄식하는 소리를 들어라
(브레이번 브레이번 뱅뱅 뱅브레이번)
평온을 지키는 방패가 되어라
(브레이번 브레이번 뱅뱅 뱅브레이번)
Go Dash 생명은 Melody
Wake Up 인연은 Harmony
전사의 눈빛으로 꿰뚫어라
사랑을 삶을 투지를
칼날에 외쳐라 (브레이브 참!!)
품은 가능성 잡아라
Just one 영혼
Blade Pride 휘몰아치는
하늘에 내걸고 (브레이브 즈베시!!)
용기 무한대 붉게
태워라 태워라 태워라
내일을 바라는 눈물
미소로 바뀔 때까지
번번 뱅 번 번
뱅뱅뱅 뱅브레이번
[1] 애니플러스 번역
주제가의 존재 자체가 1화에서 준비한 반전에 대한 스포일러가 될 여지가 충분하기 때문에[14][15]1화 방영 직전까지도 오프닝 주제가 정보가 공개되지 않았다.

6.2. ED[편집]


ED
双炎の肖像
쌍염의 초상
TV ver.
Full ver.
노래이사미 아오(CV: 스즈키 료타)
루이스 스미스(CV: 아자카미 요헤이)
작사후루야 신(古屋 真)
작곡이소자키 켄지(磯崎健史)
TSUKASA
편곡이소자키 켄지(磯崎健史)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
연출-
작화감독-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7. 회차 목록[편집]


파일:애니플러스 로고 white.svg 신작 시간표
[ LIVE 생중계 시간표 ]
[ TV 방송 시간표 ]



회차제목[16]각본콘티연출작화감독총작화감독방영일
제1화待たせたな、イサミ!
기다리게 했구나, 이사미!
코야나기 케이고
(小柳啓伍)
오오바리 마사미
시게하라 카츠야
시게하라 카츠야코모리 아츠시
(小森 篤)
코스게 카즈히사
(小菅和久)
모토무라 코이치
(本村晃一)
日: 2024.01.11.
韓: 2024.01.12.
제2화イサミィーーッ!
そろそろだよな、イサミィーーッ!!
미우라 타케히로
(みうらたけひろ)
시게하라 카츠야
미우라 타케히로우라 류타日: 2024.01.18.
韓: 2024.01.19.


8. 회차별 WEB 예고편[편집]


1화 ▼
2화 ▼


9. 엔드 카드[편집]




10. 평가[편집]



10.1. 방영 전[편집]


제작을 맡은 작품마다 좋은 작화로 반향을 일으켰던 CygamesPictures의 로봇물 신작이라는 점에서 적지 않는 주목을 받았다. 참여 제작진도 로봇물의 대가인 오오바리 마사미가 감독에 신예 연출가인 시게하라 카츠야가 부감독을 맡았으며, 로봇물에 자주 참여해온 베테랑과 우라 류타 등 실력 있는 인물들이 다수 참여했다. 아무리 못해도 영상미는 뛰어난 작품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오오바리를 아는 시청자들 사이에서는 우려하는 반응도 큰데, 오오바리는 로봇 액션씬은 잘 뽑아도 서사 전개에서 항상 비판을 받아왔던 데다가 이전 작품들인 초중신 그라비온, 수장기공 단쿠가 노바 등 일전 감독을 맡았던 작품들의 하자로 크게 좋은 평을 못 들었으며, 직전 작품인 경계전기 극강의 장귀건담 빌드 메타버스에서도 스토리에서 큰 문제를 보였다는 비판을 받았기 때문이다.

각본가 코야나기 케이고(小柳啓伍)가 밀덕 지식도 많은 인물이고 부감독 시게하라 카츠야도 있어서 이전의 오오바리 작품에 비하면 기대의 여지도 있다. 오오바리가 감독 권한을 크게 행사해 각본, 연출에 크게 개입한다면 말짱 도루묵이 되겠지만 말이다.

오오바리 마사미는 1화는 정말 자신있으며[17], VOD보다는 본방으로 봐줬으면 한다고 한다.[18]


10.2. 방영 후[편집]


1화에서 로봇 애니메이션 팬들이 좋아할 전개, 액션 연출, 음악으로 화제를 모으며 일본 트위터 트랜드 1위를 했으며, 주제가가 오리콘차트 1위에 등극하기까지 하는 기염을 토했다.

티저 포스터와 예고편부터 리얼로봇물의 향수가 가득 풍기는 분위기를 띄고 있었던 가운데 과연 제목에서의 느낌과 같은 분위기에 어떻게 조화를 이룰건지 상당한 불안으로 가득하였으나, 1화 후반부부터 갑작스럽게 용자 시리즈 느낌의 메카와 음악이 깔리면서 분위기를 완전히 반전시켰으며 본방송을 보았던 팬들한테 엄청난 충격을 주었다. 방영 직전에 예고했던 오오바리 마사미 감독의 메시지가 거짓말이 아니었음을 증명하게 되었으며, 감독 특유의 슈퍼로봇식 전투 연출과 메카 설정, CygamesPictures가 투자하여 이루어낸 화려한 비주얼이 더해져 상당한 호평을 받았다.

전반적으로 어른을 위해 부활한 용자 시리즈라는 평이 중론이며[19][20] 2024년 1분기 액션 및 메카 장르에서 의외의 다크호스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감독의 역량 문제가 남아있어[21] 스토리에 대해서는 아직 더 지켜봐야 한다는 반응도 꽤 있다.


11. 기타[편집]


  • 용자 시리즈엘드란 시리즈가 연상되는, 즉 슈퍼로봇이 나올법한 타이틀[22]과 그런 장르를 자주 맡은 오오바리 마사미 감독이라는 환경과 상반되는 리얼로봇에 가까운 디자인이 특이하다는 평이 많다. 결국 1화에서 바로 슈퍼로봇이 등장하면서 낚시임이 밝혀졌다. 작중 분위기를 보면 리얼로봇물에 난입한 용자물로 인한 괴리[23] or 어른의 시점으로 보는 용자 시리즈[24]를 주제로 한 것으로 보인다.

  • 오프닝 영상의 연출로 보아 리얼로봇에 가까운 TS(티타노 스트라이더)계열의 기체 또한 완전히 버려지는 게 아니라 브레이번을 위시한 슈퍼로봇 기체의 서포트 역할을 맡아 계속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 화제성을 노린 것인지 방영 직전까지 주역 로봇의 이름과 디자인을 공개하지 않았다. 게다가 사전 공개된 밀리터리틱한 로봇들의 디자인과 마치 과거 용자 시리즈엘드란 시리즈를 방불케 하는 타이틀 로고의 디자인의 갭이 너무 크다는 점도 있었기에, 사전 공개된 로봇들은 페이크고 사실 '뱅브레이번'이라는 슈퍼로봇이 나오는 애니메이션 아니냐는 추측도 있었다. 그리고 1화에서 진짜 주인공 메카인 슈퍼로봇 브레이번이 등장하면서 이 추측이 현실이 되었다(...). 공식 사이트도 어두운 색조의 밀리터리풍 디자인에서 적백톤의 밝은 슈퍼로봇풍 디자인으로 개편되었다.

  • 주술회전 2의 방영 시간대를 그대로 이어받았지만, 이번에는 MBS가 아니라 TBS가 기획을 주관한다.

  • 선행상영회가 끝난뒤 특별게스트로 참여한 스즈무라 켄이치가 '모두 공범이 됩시다!'라고 부탁하여 1화 방영 전까지 슈퍼로봇 애니라는 사실은 유출되지 않았다. 스즈무라 켄이치는 자신의 라디오에서 이 사연을 공개하여, 내용을 누설하지 않은 팬들에게 감사하였다. 하지만 공식에서 그림자 모양으로 브레이번의 형태를 미리 공개했었고, # 제목에서 부터 슈퍼로봇이라 예측한 사람이 많았을 것이다.


[1] 가타카나 표기를 한글로 옮기면 '반-브레이반-'인데 '반-'을 2번 반복하도록 의도적으로 이름을 지었다는 것이 엿보인다. バーン은 burn이라는 뜻도 가질 수 있도록 노린 것 같다. 즉 브레이번의 이름 유래는 brave+(bang+burn)[2] '용기'가 Brave '폭발'이 'Bang'과 대응되기에 뱅브레이번이라는 제목 역시 용기폭발이라는 뜻에서 지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음속 소닉' 같은 제목.[3] 헥사기어의 메인 메카닉 디자인 담당.[A] A B 육상 자위대 계급으로 타 국가들의 계급에 견주면 소위에 해당한다.[4] 굳이 척도를 잰다면 잘생긴 편이긴 하지만 여타 거대로봇 애니메이션의 주인공들과 비교하면 조연 중에서도 비중이 낮은 인물이나 엑스트라 파일럿 A라고 여겨질 정도로 외모에 개성이 없다. 바꿔 말하면 오히려 거대로봇물 주인공 중에서 이런 몰개성한 외모와 겁 많은 성격이 모두 겹친 사례를 찾아보기 힘들다는 점이 기존에 없는 개성적 사례에 해당한다.[5] 그런데 사실 겁을 먹었을 뿐, 싸움을 못한 건 아니다. 겁을 먹은 나머지 초반에 반응이 느리고 대답을 더듬긴 했지만, 막상 전투 상황에 들어가자 이전처럼 자신있게 들이대지 않을 뿐 멀쩡히 총도 잘 쏘고 작전지휘대로 움직인다. 보통 타 작품에선 겁을 먹은 주인공이 발포도 제대로 못해서 위기를 자처하는 트롤링을 벌이는데, 이사미는 그러지 않고 반사적으로나마 잘 대처한다. 그럼에도 위기가 온 것은 안 그래도 기체 스펙이 밀리는 와중에 적측에서 고화력 빔포를 2문이나 달고 있는 거대 공중전함까지 끌고 나왔기 때문(...)[6] 이사미와 다르게 포탄을 맞고 리타이어했으나, 이사미가 나중에 자신이 맞지 않은 건 운이 좋아서였을 뿐이라고 스미스의 실력을 실드 친다.[7] 오프닝 연출이나 포스터등을 보면 중요한 떡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현재 세컨드 로봇의 파일럿이 된다, 실은 브레이번의 정체가 루이스다 등등 다양한 설이 나오고 있다.[8] 오바리 감독 작품인 초중신 그라비온의 서브 주인공인 시구레 에이지가 가졌던 포지션과 대부분 흡사하다.[9] 육상 자위대 계급으로 타군의 하사다[10] 항공 자위대 계급으로 타군의 중위다[11] 육상 자위대 계급으로 타군의 중령[12] 적 세력의 거대 공중전함급 기체의 주포를 정통으로 맞아 정말 문자 그대로 먼지 하나 안 남기고 증발했다.[13] '등장'을 뜻하는 일본어는 여러가지 있는데, 見参(켄잔), 推参(스이산), 参上(산죠)는 뜻이 미묘하게 다르다. 켄잔은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찾아가 '대면'하는 것, 스이산은 '자신이 스스로' 상대를 찾아가는 것, 산죠는 '윗사람을 찾아간다'라는 뜻이고, 이것을 등장시에 상투표현처럼 사용하는 것.[14] 더군다나 담당 가수가 캐스팅 표에도 없는 브레이번 역의 스즈무라 켄이치이기에.[15] 가수가 스즈무라란 것만으로도 스포일러인데 오프닝 영상을 보면 1화엔 등장도 하지 않은 이사미의 전용 파일럿 슈트나 스미스의 세컨드 기체, 파일럿 슈트 일부, 앞으로 나올 적 기체들의 실루엣, 1화엔 복선조차 없는 스미스 관련 히로인 루루가 엄청난 비중으로 등장하는 등 도저히 1화 시작에는 내보낼 수 없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16]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17] 사실 오오바리 감독은 1화 연출력이 높은 애니메이션 감독 중 한 명이다. 이어지는 전개를 말아먹어서 문제지.[18] 그래서 뭔가 충격적인 반전이 있는 거 아닌가 하는 이야기가 있다.[19] 용자 시리즈의 정통 후속작 용자우주 소그레이더도 있으나 웹코믹이라는 매체의 한계와 느린 연재 속도로 팬들의 관심이 사그라드는 시점에서 애니메이션으로 등장한 뱅브레이번은 용자 팬들의 많은 기대를 받고 있다. 게다가 어린 시절 용자 시리즈를 실시간으로 시청한 세대는 현 20대 후반~40대 초반으로 구매력 있는 성인 세대가 되었으며, 이에 향후 합금 피규어 및 프라모델로의 전개도 예상되고 있다.[20] 물론 본작은 어디까지나 용자 시리즈의 정신적 계승작일뿐 공식적으로는 용자 시리즈가 아니다.[21] 위 각주서도 언급 되었듯이 스토리는 정말 못짜는 것으로 유명하다.[22] 아마 원기폭발 간바루가의 오마주인 것으로 보인다.[23] 로봇뿐만 아니라, 적대 세력까지 리얼로봇물의 규모를 벗어났기에 현실적인 관점에서 보면 코스믹 호러나 다름없다. 그리고 리얼로봇물 답게 실제 민간인 피해와 진지한 사상자 묘사를 하다가 갑자기 자기 오프닝곡과 등장한 슈퍼로봇이라는 모습이 잘 보여준다.[24] 용자 시리즈는 대개 어린이~청소년 대의 주인공이 슈퍼로봇과 유대를 쌓는 내용을 다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