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분당선 D000호대 전동차 (r2판)

편집일시 :

파일:나무위키+하위문서.png   하위 문서: 신분당선 D000호대 전동차/현황

파일:Shinbundang Railroad_CI_Horizontal.png 파일:네오트랜스 로고.svg 파일:Ggrail_logo.png 파일:새서울철도 로고.svg
신분당선 D000호대 전동차>
DX Line series D000 Car
파일:Shinbundang_Line_D104.jpg
D04편성
파일:attachment/6_13.jpg
D01편성[1]
파일:신분당선_D000호대_전동차_내부.png
열차 내부[2]
파일:d003.jpg
열차 선두칸 내부[3]
차량 정보
열차 형식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구동방식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편성량수6량 1개 편성
생산량수138량
운행 노선파일:SinbundangLine_icon.svg 신분당선
도입년도2010~2011년, 2014~2015년, 2020년
제작사파일:현대로템 CI.svg
소유기관파일:Shinbundang Railroad_CI_Horizontal.png[4]
파일:Ggrail_logo.png[5]
파일:새서울철도 로고.svg[6]
운영기관파일:네오트랜스 로고.svg
차량배속광교차량사업소
차량 제원
[ 펼치기 · 접기 ]
전장19,500㎜
전폭3,120㎜
전고3,600㎜
궤간1,435㎜
대차에어스프링 DT-50형 대차
재질스테인리스 스틸
급전방식교류 25,000V 60㎐
팬터그래프유진기공 EC-YP165G
차상신호장치Thales Seltrac RF-CBTC Moving Block
US&S[1] ATC[2]
제어방식현대로템 VVVF-IGBT[3][4]
동력장치3상 교류 유도전동기
제동방식공기제동, 회생제동
최고속도영업90㎞/h
설계120㎞/h
가속도3.0㎞/h/s
감속도상용3.5㎞/h/s
비상4.5㎞/h/s
MT 비3M 3T
[1] #, #, #, #[2] 분당선 연결선 이용시 사용(분당선 연결선 이용시에는 자동운전을 하지 않고, 기관사 1인이 수동운전한다.)[3] 미쓰비시 소자 기반이며,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121, 125, 130, 131, 133, 134, 139, 142, 145편성, 146 ~ 151편성 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공항철도주식회사 1000호대 전동차, 공항철도주식회사 2000호대 전동차, 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 등과 구동음이 비슷하다 .[4] 단 부산1호선 차량과는 조금 차이가 있다
1. 개요
2. 편성
3. 상세
3.1. 1차분 (2010~2011)
3.2. 2차분 (2014~2015)
3.3. 3차분 (2020)
5. 미디어 출연



1. 개요[편집]


신분당선에서 운행하는 전동차. 2013년까지만 해도 분당차량기지에 12개 편성이 재적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광교차량기지에 모든 신분당선 열차 23개 편성이 재적되어 있다. 분당기지 시절은 분당선 미금역연결선로를 통해 입출고했으며 지금도 이 노선에서 뛸 신차는 그 곳을 통해 끌고 들어온다.

전국의 모든 무인운전 전동차들 중 유일한 중전철 차량이다.


2. 편성[편집]


신사
D1##Tc1(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D2##M1(팬터그래프, 주변환장치)
D3##M2(팬터그래프, 주변환장치)
D4##T(무동력객차)
D7##M2(팬터그래프, 주변환장치)
D0##Tc2(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광교
  • 일부 편성은 앞과 뒤가 바뀐 경우도 있다.


3. 상세[편집]


대한민국 수도권 지역에서 최초로 운행한 무인 자동운전 전동차[7]이다. 6량 1편성으로, 8량으로의 증결이 가능하긴 하지만 신분당선 정자역 이남 구간과 강남역 이북 구간이 6량 대응 승강장으로 건설되어 있고, 그 사이 구간도 스크린도어가 6량 기준으로 건설되어 8량 증결을 할 계획은 현재까지는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 통근형 전동차 최초로 싱글암 팬터그래프를 적용하였고, 향상된 TCMS, 플러그인 도어[8]를 탑재한 등 AUTS의 신기술 중 일부를 시범적으로 채택한 차량이라고 한다. 많은 기술적인 부분에서 한국형 표준 전동차에서 AUTS로 넘어가는 과도기를 상징한 차량이다.

1차분인 D01~D12편성까지는 백열 전조등을, 2차분인 D13편성부터는 LED 전조등을 채택하였으며, 1차분 차량도 중검수 후 모두 LED 전조등으로 교체되었다. 3차분의 경우 처음부터 LED 전조등을 채택하였다.

D07, D13편성은 선로 검측 장비가 설치되어 있다.

차체는 스테인리스 재질이며, 차량 간 문이 없어서 개방감이 높다.

운전실이 없는 무인운전이기 때문에 앞부분에서 터널 조망이 가능하다. 특이한 점은 영업 시 후미 차량도 전조등을 켜고 다닌단 점인데, 무인운전 방식인 덕에 앞이 훤히 보이는 터널 내 조망을 위해 그런 것으로 추정된다.

3차분 차량은 CEM 장치를 장착하고 출고되었다. 이로 인해 전면부 디자인이 아주 약간 변경되었다.
파일:신분당선1차분신사연장노선도.jpg파일:신분당선신사2차분.jpg
1차분 차량의 차내 LED 노선도2차분 이후 차량의 차내 LCD 노선도

열차 내 노선도는 공항철도주식회사 2000호대 전동차의 LED 방식을 여기서도 적용하고 있다. 게다가 안내 화면은 현재 질주하는 열차의 속도와 다음 역까지의 남은 거리가 표시되어 나온다.

신분당선 1차분의 LED는 용산 연장을 적용한[9] LED 방식으로 전환되었고, 신분당선 2차분(D013호대 이후 전동차)에선 LED 전자노선도 대신 LCD 노선도를 채용하였다. 서울 지하철 9호선에 적용된 LCD 방식과 똑같다고 보면 될 듯하다. 아마도 노선 연장의 영향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구동음공항철도주식회사 1000호대 전동차2000호대 전동차와 비슷하다.[10]

경전철을 제외하고 국내 최초로 숫자가 아닌 문자로 편성 번호를 매긴 전동차이자 플러그인 도어를 채택한 몇 안 된 전동차이기도 하다.


3.1. 1차분 (2010~2011)[편집]


신분당선주식회사 소유이며, 1차 구간인 강남역~정자역 개통에 따라 도입된 차량이다.

2010년 4월 11일부터 2011년 1월 22일까지 반입되었는데, 신창원역을 출발해 영등포역에서 정차 후 안산역까지 갑종회송되었다. 이후, 충무로역 연결선로를 통해 수서역까지 이동 후 수서차량사업소의 연결선로[11]를 통해 당시 임시 차량기지인 분당차량사업소까지 이송했다.


3.2. 2차분 (2014~2015)[편집]


경기철도주식회사 소유이며, 2차 구간인 정자역~광교역 개통에 대비하여 도입된 차량이다.

2014년 9월 22일부터 2015년 5월 7일까지 반입되었다. 1차분과는 다른 방식으로 반입되었는데, D13~D14편성은 도입 당시 광교역까지 공사가 완료되지 않아 연결선로 이용이 불가능하여 신창원역에서 의왕역까지 갑종회송되어 트레일러로 운송하여 광교기지로 입고[12]하였고, D15~D20편성은 신창원역을 출발해 왕십리역까지 갑종회송되어 정자역 연결선로를 통해 광교기지까지 이송했다.


3.3. 3차분 (2020)[편집]


새서울철도주식회사 소유이며, 3차 구간인 강남역~신사역 개통에 도입된 차량이다.

신분당선 열차 최초로 CEM 공법을 적용한 전동차이며, 전두부 이외의 사양은 2차분과 거의 동일하다.

2022년 5월 23일, D22편성이 운행을 개시하면서 3차분의 영업운행이 시작되었다.

2017년 이후 서울교통공사 등의 타 기관에서 발주한 전동차들이 7인석에서 6인석으로 변경된 것과 다르게 기존의 사양인 7인석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 편성은 LCD 디자인이 일부 변경되었고, LCD에서 커다랗게 이번역을 보여주는 화면이 추가되었으나, 아직 디자인이 매끄럽진 않다. LCD의 폰트가 변경되었는지 상당히 밋밋해 보인다.

파일:신분당선_이번역_D23_R.jpg

편성대불선 시운전 목적의 이동광교기지 반입운행개시일
D212020년 7월 20일2020년 11월 17일2022년 5월 24일
D222020년 9월 9일2020년 12월 1일2022년 5월 23일
D23미진행2020년 11월 22일2022년 5월 25일

4. 현황[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신분당선 D000호대 전동차/현황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미디어 출연[편집]


신비아파트: 고스트볼Z 귀도퇴마사 22화에 나오는 별빛마을 지하철의 사용 차량으로 나오며 해당 에피소드에서 나온 귀신인 철륜귀의 모델이 된 차량이다. 단 실내나 출입문 형태 등에서는 실제 차량과 차이가 있으며, 철륜귀의 창문 부분은 일본 205계 전동차와 유사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1-11 13:06:33에 나무위키 신분당선 D000호대 전동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도입 초창기 모습이라 현재와 모습이 다소 다르다. 전두부 옆면에서 위로 이어지는 빨간 띠가 없을 시절에 찍은 사진으로, 이 색상은 추후 추가되었다. 그리고 차량 번호가 S101로 표기되어 있지만 현재는 D101로 개번되었다.[2] 도입 초창기 모습이며, 현재 객실 중앙의 봉들은 사라졌다.[3] 좌측에 비상운전대가 숨어 있기 때문에 이 자리는 주로 승무원들이 서 있는 장소이기도 하다.[4] D01~D12편성[5] D13~D20편성[6] D21~D23편성[7] 전국 최초는 부산 도시철도 4호선부산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이지만 중전철 중에선 신분당선이 최초다. 그 외에 무인전동차는 인천지하철 2호선인천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대구 도시철도 3호선대구도시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다.[8] 이것 역시 통근형 전동차 중 최초다.(이보다 먼저 플러그인 도어를 탑재한 공항철도주식회사 1000호대 전동차는 직통열차용으로 여객열차방식의 좌석이 채택되어 통근형 전동차라고 보기는 어렵다. 물론 경춘선 한국철도공사 368000호대 전동차도 플러그인 도어방식을 적용하고 있다.)[9] 위 LED 전자노선도 사진에서 연장구간 부분을 자세히 보면 알 수 있다.[10] 고속주행음 등의 몇몇 부분에서는 차이가 있다.[11] 지금은 SRT 수서역 신축으로 인해 철거했다.[12] 동군포IC에서 영동고속도로로 이동 후 동수원IC에서 광교기지까지 트레일러로 을종회송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