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슬리 손더스

덤프버전 :


주요 상훈 이력 및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템플턴상 로고_01.png
템플턴상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 20세기 수상자 ]
[ 21세기 수상자 ]
2001200220032004200520062007
제29회
제30회
제31회
제32회
제33회
제34회
제35회
아서 피콕존 폴킹혼홈즈 롤스턴 3세조지 엘리스찰스 하드
타운스
존 배로우찰스 테일러
2008200920102011201220132014
제36회
제37회
제38회
제39회
제40회
제41회
제42회
미하우 헬레르베르나르
데스파냐
프란시스코
아얄라
마틴 리스텐진 갸초데즈먼드 투투마시 할리크
2015201620172018201920202021
제43회
제44회
제45회
제46회
제47회
제48회
제49회
장 바니에조너선 색스알빈 플란팅가압둘라 2세마르셀로
글레이서
프랜시스
콜린스
제인 구달
20222023
제50회
제51회
프랭크 윌첵에드나 아단
이스마일



시슬리 손더스
Dame Cicely Saunders
OM DBE FRCS[1] FRCP[2] FRCN[3]
파일:시슬리 손더스 여사.jpg
성명시슬리 메리 스트로드 손더스
Cicely Mary Strode Saunders
국적
파일:영국 국기.svg

출생1918년 6월 22일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하트퍼드셔 바넷[4]
사망2005년 7월 14일 (향년 87세)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런던 브롬리
직업간호사, 사회복지사, 의사, 작가
업적호스피스 케어의 중요성과 목적성 확립
전체통증(Total Pain) 개념 소개 및 도입
세계 최초의 호스피스 건립[5]
링크파일:시슬리 손더스 인터네셔널 로고.png Cicely Saunders International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학력[1]옥스퍼드 대학교, 세인트 앤 컬리지
(PPE / BA) (1938년 – 1940년 | 1944년 – 1945년)
킹스 칼리지 런던 나이팅게일 간호대학[2]
(간호학 / BSc) (1940년 – 1944년)
킹스 칼리지 런던 GKT 의과대학[3]
(의학 / MBBS) (1957년)
상훈대영제국 훈장 4등급 (OBE) (1965년)
성 그레고리오 대제 훈장[4] (1977년)
대영제국 훈장 여성 2등급 (DBE)[5] (1979년)
템플턴상 (1981년)
메리트 훈장 (OM)[6] (1989년)
콘래드 니콜스 힐튼 인도주의상 (2001년)
종교성공회
배우자Marian Bohusz-Szyszko[7] (1980년 결혼 | 1995년 사별)
[1] KCL - Dame Cicely Saunders
Dame Cicely Saunders Biography 참고
[2] 졸업. 간호사 자격 취득.[3] 졸업. 의사 자격 취득.[4] Dame of the Order of St Gregory the Great
교황이 직접 수여하는 훈장
[5] 영국에서 2등급 이상의 수훈자에게는 기사 칭호가 붙기 때문에 공식적으로 이름 앞에 'Dame'이 붙는다.[6] Order of Merit[7] 폴란드 출신 화가

1. 개요
2. 생애
3. 여담
4. 관련 영상



1. 개요[편집]


영국의 의사, 간호사사회복지사. 말기 환자용 병원 건립 운동을 통해 오늘날의(근대적 의미의) 호스피스라는 개념을 1967년 세계 최초 확립한 인물로 영국 의료윤리학(Medical Ethics)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하나다.[6]

"사람은 혼자 살 수 없으며, 소중한 이가 죽어가는 모습은 계속 살아가야 하는 남은 자들의 기억 속에 영원히 남아있게 된다"라는 신념을 바탕으로 근대 호스피스 케어의 중요성과 그 목적성을 역설했다. 또한 통증은 신체적인 요인뿐 아니라 정서적, 사회적, 경제적, 영적 요인들의 영향을 받는다는 전체통증(Total Pain)이란 개념을 처음으로 소개 및 도입한 인물이기도 하다.[7]


2. 생애[편집]


1918년 영국에서 태어났다. 1938년 옥스퍼드 대학교에 입학하여 PPE를 전공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 간호사가 되어야 겠다고 다짐한다. 그 후 現 킹스 칼리지 런던플로렌스 나이팅게일 간호대학에서 1940년부터 1944년까지 수학했다. 1944년 정식 간호사 자격을 취득 후 다시 옥스퍼드 대학교로 돌아와 1945년 학업을 마친다. 사회복지사 겸 간호사로 일하다 세인트 토머스 병원 의과대학[8]에서 의학을 전공, 1957년 졸업하며 의사가 되었다.

1967년 런던의 교외에 성 크리스토퍼 호스피스[9]를 설립하였다. 이는 세계 최초의 말기 환자들을 위한 특수 의료 기관이었다. 그녀의 이러한 헌신으로 인해 말기 환자 간병 및 고통 완화 처치법(Palliative Care)이 전문적인 간호용어로써 학문적 의미와 중요성을 띄게 되었다.

자신이 건립한 세인트 크리스토퍼스 호스피스에서 2005년에 유방암으로 별세했다. 향년 87세.


3. 여담[편집]




  • 안락사에 굉장히 부정적이었다. 크게 두가지 이유였는데, 첫째는 그녀의 종교적 신념 때문이기도 했고, 둘째는 자신이 일평생 역설하고 도입한 호스피스 케어 시스템에 대한 자신감이기도 했다.

  • 지난 2018년 6월 22일, 생존했으면 100번째 생일을 맞았을 그녀를 위해 구글에서 구글 두들을 만들어 추모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시슬리 손더스_구글 두들.jpg}}} ||


4. 관련 영상[편집]


<white,#1f2023>

<white,#1f2023>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5 10:42:04에 나무위키 시슬리 손더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Fellow of the Royal College of Surgeons
영국 왕립외과의협회 회원.
[2] Fellow of th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영국 왕립내과의협회 회원.
[3] Fellow of the Royal College of Nursing
영국 왕립간호사협회 회원.
[4] 현재는 런던 바넷[5] 성 크리스토퍼 호스피스(영문명: St Christopher's Hospice)[6] Forbes 기사 참고[7] 참고[8]킹스 칼리지 런던의 GKT 의과대학(GKT School of Medial Education)[9] 공식 홈페이지 - St Christopher's Hosp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