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어 (r1판)

편집일시 :

1. 멧돼지, Boar
3. 문장의 구성 요소 補語, Complement
4. 보어물(vore)
5. 인명
6. 자동차 용어(Bore)


1. 멧돼지, Boar[편집]


게임 메이플스토리에 등장하는 와일드 보어나 파이어 보어가 이 뜻을 의미한다.


2. 민족[편집]


네덜란드에서 남아프리카로 이주유럽백인을 가리키는 말. 보어인 참조.


3. 문장의 구성 요소 補語, Complement[편집]


문장에서 주어, 서술어, 목적어를 보완하여 완전한 형태를 이룰 수 있게 해 주는 요소.

한국어 학교문법에서는 '되다'와 '아니다'의 앞에 출현한 '-이/가'만을 보어로 여기지만 이것은 각 언어마다 다르다. 영어에서는 제 2형식(S+V+C[1]) 문장과 제 5형식(S+V+O+C[2]) 문장에서[3] C에 해당하는 것이 보어. 고전 한문에선 주어 서술어 목적어 빼고 남은 구성요소를 전부 보어라고 쓸어담는다.

보어 역할을 하는 을 보어절, 혹은 보절(補節, complement clause)이라고 한다. 서구 문법론에서 절은 주로 관계절(relative clause)와 보절로 크게 나눈다.

보어의 존재 자체는 문법적 오류에 가깝다. 예를들어 영어의 주격보어를 생각해보자.

꽃이 아름답다.
주어 + 서술어

Flower is beautiful
주어 + 서술어(Be 동사) + 주격보어

BE 동사는 동사이지만 동사로서의 뜻이 없다. 하지만 굳이 동사를 쓰는 이유는,

1. 영어의 시제,격,인칭 변화는 동사가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문장에는 반드시 동사를 집어넣어야한다.
2. 영어에서 동사는 서술어야하며, 동시에 서술어는 동사만이 될 수 있다. 즉 동사 <=> 서술어다.
3. 그러므로 문법1를 맞추기 위해 넣은 뜻이 없는 Be동사가 서술어가 된다.
4. 그런데 주어를 설명해주고 있는건 Beautiful이므로 이 녀석이 실제 서술어라서 다른 문법성분을 줄 수가 없다.
5. 따라서 Beautiful 넌 보어

이같은 방식을 따라서 생기는 것이다. 따라서 보어의 정의가 매우 애매해진다. 솔직하게 말해 문법끼리 부딫히는 지점의 오류라고 말할 수도 없고, 뭔가를 보충해주는 말이라고 대충 얼머무린다.



국어 역시도 똑같은데, 되다, 를 생각해보자.

나는 선생님이 되었다.
주어 + 보어 + 서술어
I became a teacher
주어 + 서술어 + 보어

국어의 경우
1. 과거 시제를 말해주는 서술격 -었 조사가 붙는 단어가 서술어다.
2. 그런데 나에 대해 설명해주는 실제 서술어는 선생님이다.
3. 그러므로 선생님이가 보어가 되고, -었이 서술어가 된다.

영어의 경우
1. 영어의 경우 동사가 무조건 서술어이다.
2. became이 동사니까 서술어이다.
3. 그런데 나에 대해 설명해주는 실제 의미상의 서술어는 teacher이다.
4. 그러니까 teacher는 보어


즉 실제 문장성분상 의미상 주어를 설명해주고 있는 단어는 보어이다. 하지만 문법구조의 문제상 서술어를 서술어를 부르지 못할때 홍길동이 된 서술어는 보어라는 성분을 얻는다. 영어에서 보어가 난무하는 이유는 국어에서 "나는 잘생겼다."등 형용사를 서술어를 취하는 모든 문장이 모조리 다 보어처리되기 때문인데, 국어는 굴절어 특성상 되다. 아니다. 와 같은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면 보어처리 되는 경우가 매우 드물다. [4]

이걸 굳이 오류라고 부르는 이유는 해당 문법의 모국 화자는 이게 오류라는걸 깨닫기 어렵기 때문이다. 하이데거는 뜻이 없는 이 be동사를 문장의 핵심이니 뭐니하면서 존재 3인칭 단수 현재형을 가지고 현존재라는 등 난해한 철학적 개념을 만들었다. 다시말해, 영어권 화자는 be동사가 뜻이 있는 줄 안다. 한국어로도 국어화자는 되다. 아니다. 가 뭔가 심오한 뜻이 있는 것 처럼 느껴진다. 그게 당연한게 시제를 나타내는 의미 정도는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제 인칭등의 의미가 서술어의 탈을 쓰고 있는건 해당 언어의 문법체계를 벗어나면 아무 의미가 없어진다.

알고리즘 번역에서는 전부 무시한다. 모든 문법 성분을 기계어로 치환해버리면 단어의 의미가 사라진다. 따라서 국문학 교수나 영문학 교수들에게나 의미있는 문법적 오류라고 칭하는 것이다.

4. 보어물(vore)[편집]


한 캐릭터가 다른 캐릭터를 통째로 집어삼키는 내용을 다루는 장르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5. 인명[편집]



5.1. 닐스 보어[편집]


양자론의 기초를 다져주고 보어모형으로 유명한 물리학자 닐스 보어.


5.2. 저스틴 보어[편집]


LG 트윈스의 외국인 타자.


6. 자동차 용어(Bore)[편집]


반켈 엔진을 제외한 내연기관의 실린더의 직경. 내연기관의 배기량은 원주율 × (보어/2)^2 × 스트로크(행정) × 기통수 이다.
보어가 스트로크보다 큰 엔진은 고회전을 중시하는 설계, 반대는 저속토크 위주의 설계이며, 보어와 스트로크가 같은 엔진을 스퀘어 엔진이라고 한다.
엔진 실린더 내벽을 깎아내어 보어를 키우는 것을 보어 업이라고 한다.


[1] 다만 주격 보어.[2] 다만 목적격 보어.[3] 사역동사로 서술된 문장 모두. make와 have의 사역동사 용법이다.[4] 나무위키 문서에서 국어는 교착어이므로 굴절어가 절대 아니다. 라고 쓰여있지만 이 분야가 늘 그렇듯 학자마다 판단이 다르다. 교착어를 아예 굴절어의 하위분류로 취급하는 학자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