뜸부기(해조류)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조류(새)에 속하는 뜸부기에 대한 내용은 뜸부기 문서
뜸부기번 문단을
뜸부기#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뜸부기[1]
파일:뜸부기해초.jpg
학명 Silvetia siliquosa
Tseng & C. F. Chang, 1953
분류
계통군SAR 상군(SAR supergroup)
대롱편모조식물문(Ochrophyta)
갈조강(Phaeophyceae)
뜸부기목(Fucales)
뜸부기과(Fucaceae)
뜸부기속(Silvetia)
뜸부기(S. siliquosa)
1. 개요
2. 상세



1. 개요[편집]


SAR 상군 갈조강에 속한 해조류로, 한국에서는 진도, 신안 등 전라도 해안가에서 자생한다.

완도에서는 듬북이라고 부른다.

2. 상세[편집]


나물로 만들어 먹어도 좋고, 된장국에 끓여 넣어도 좋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22:43:17에 나무위키 뜸부기(해조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영명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