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설헌배 전국여자바둑대회

덤프버전 :




난설헌배 전국여자바둑대회
蘭雪軒盃 全國女子围棋大會
주최, 주관한국기원, 한국여성바둑연맹
후원강원도, 강릉시
강릉시의회, 강릉시체육회, (사)교산·난설헌선양회
상금우승 2천만원, 준우승 8백만원[1]
대회방식프로부 - 본선 12강 토너먼트 단판 승부[2]
아마 단체전 - 5인 1조 8팀으로 구성, 스위스리그 방식
대국규정제한시간 각자 20분, 40초 초읽기 5회.
계가한국룰 덤 6.5집

1. 개요
2. 역대 대회
2.1. 제1회 대회 (2021년)
2.2. 제2회 대회 (2022년)
2.3. 제3회 대회(2023년)
3. 프로부 역대 우승자



1. 개요[편집]


허난설헌의 고향인 강원도 강릉시에서 개최하는 여자 바둑 대회. 2021년 새롭게 창설되었다. 허난설헌은 생전에 여러 바둑과 관련된 시를 남기기도 했는데 이를 기리는 차원에서 여자 바둑 대회를 개최하게 됐다. 한국기원 소속 여자 프로 기사들이 참가하는 프로부와 여성바둑연맹 소속 아마 선수들이 팀을 편성해 진행하는 단체전 대회로 나뉘어 열린다. 여담으로 대회 분위기에 맞게 참가하는 선수들 모두 한복을 곱게 차려입고 대국에 임하는 것이 특징이다.

3회 대회부터는 아마 부문에 남녀 구분 없이 강릉시에 거주하는 아마추어 선수들이 출전한 강릉시민부가 생겼다.[3]


2. 역대 대회[편집]


여기서는 프로부 대회 결과를 서술한다.


2.1. 제1회 대회 (2021년)[편집]


2021 난설헌배 전국여자바둑대회 프로부 대진표
8강준결승결승
정유진정유진정유진

준우승
오유진
김채영김채영
김경은
박소율박지연조승아

우승
박지연
조승아조승아
이민진
[ 전체 대국 결과 (펼치기 • 접기) ]
일정대국
흑번
백번
결과
2021년 12월 18일8강정유진오유진219수 흑 불계승
이민진조승아269수 백 10집반승
김채영김경은209수 흑 불계승
박지연박소율205수 흑 불계승
4강박지연조승아236수 백 불계승
정유진오유진219수 흑 불계승
2021년 12월 19일결승정유진조승아144수 백 불계승
우승조승아 四단 (초대 우승, 五단 승단)

1회 대회 프로부는 11월 25일과 26일 예선을 통해 6명의 선수를 선발했고 후원사 시드로 조승아, 랭킹 시드로 오유진이 출전했다. 정유진은 여자 랭킹 2위 오유진과 여자 랭킹 3위 김채영을 꺾으며 결승에 진출했고 조승아는 이민진과 박지연을 꺾고 결승에 올랐다. 결승에서는 조승아가 완승을 거두며 입단 후 첫 우승에 성공했다.


2.2. 제2회 대회 (2022년)[편집]


  • 예선(11월 10일~11일) - 1회전 : 10일 11시 / 2회전(조별 준결) : 10일 15시 / 조별 결승 : 11일 11시
5인 1조
1조2조3조
김미리이나경오유진이영주김희수김은지이정원권주리강다정차주혜장은빈이민진김경은오정아유주현
이나경김은지이민진
오유진이영주김은지강다정김경은오정아
오유진김은지김경은

6인 1조
4조5조6조
김상인이슬주이유진김효영김채영김은선박지영허서현고윤서김민서김민정김다영김선빈고미소김윤영박소율권효진김수진
이슬주김채영허서현김민서김선빈박소율
이유진김은선허서현김민서김윤영박소율
이유진김민서김윤영

  • 수순중계대국
1회전 : 4조 김효영-김채영
2회전 : 2조 김은지-권주리
조별결승 : 5조 허서현-김민서

  • 지연 및 사전
1회전 : 6조 김선빈-고미소(당일 10시/사전)
2회전 : 1조 이나경-오유진, 3조 오정아-유주현(각각 11일 11시/지연)

  • 본선(프로부)[4]
  • 대회 기간 : 2022년 12월 3일 ~ 12월 4일
  • 장소 : 강릉 아이스 아레나
  • 프로부 중계 : 바둑TV(캐스터 - 김여원 / 해설 - 백성호 九단)
2022 난설헌배 전국여자바둑대회 프로부 대진표
8강준결승결승
김은지김은지김은지

우승
이유진
김경은오유진
오유진
김윤영김윤영김윤영

준우승
정유진S
조승아S김민서
김민서
[ 전체 대국 결과 (펼치기 • 접기) ]
일정대국
흑번
백번
결과
2022년 12월 3일
8강 13시 개시
4강 16시 개시
8강김은지이유진259수 흑 불계승
김경은오유진214수 백 불계승
김윤영정유진137수 흑 불계승
조승아김민서250수 백 불계승
4강김은지오유진307수 흑 불계승
김윤영김민서313수 흑 5집반승
2022년 12월 4일결승김은지김윤영181수 흑 불계승
우승김은지 四단 (五단 승단)


2.3. 제3회 대회(2023년)[편집]


  • 이번 대회부터 프로부 대회가 본선 12강으로 확대되어 진행된다. 또한 상금도 증액되어 우승 2천만원, 준우승 8백만원이 주어진다.
  • 예선은 9월 12일 부터 13일까지 이틀간 진행한다.예선 대진표(모바일웹)
  • 시드 배정자 : 김은지(전기 우승), 김채영, 오유진(이상 랭킹 시드), 김경은(후원사 시드[5])


2023 난설헌배 전국여자바둑대회 프로부 대진표
12강8강준결승결승
김경은박소율김경은조승아김은지

우승
(부전승)조승아
김혜민김다영김혜민김은지
(부전승)김은지
김채영강다정김채영김채영김채영

준우승
(부전승)이나경
허서현오유진오유진오유진
(부전승)김신영
[ 전체 대국 결과 (펼치기 • 접기) ]
일정대국
흑번
백번
결과
2023년
11월 11일
13:0012강김혜민김다영197수 흑 불계승
강다정김채영226수 백 불계승
허서현오유진140수 백 불계승
빅소율김경은130수 백 불계승
16:008강김채영이나경308수 흑 반집승
김혜민김은지210수 백 불계승
김신영오유진208수 백 불계승
조승아김경은255수 흑 불계승
2023년
11월 12일
10:004강조승아김은지172수 백 불계승
김채영오유진263수 흑 불계승
14:00결승김채영김은지231수 백 반집승
우승김은지 七단 (난설헌배 2연패, 八단 승단)


3. 프로부 역대 우승자[편집]


년도우승준우승비고
2021조승아정유진초대 대회, 조승아 대회 우승으로 五단 승단
2022김은지김윤영김은지, 대회 우승으로 五단 승단
2023김은지김채영김은지, 대회 2연패 및 八단 승단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8 15:39:06에 나무위키 난설헌배 전국여자바둑대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회 대회까지는 우승 1,500만원, 준우승 700만원이었다.[2] 2회까지는 본선 8강 토너먼트로 진행했다.[3] 여담으로 남자 선수들은 '난설헌배'가 새겨진 파란 점퍼를 입고 대국했다.[4] 선수명 윗첨자 S표기는 전기 시드.[5] 원래는 전기 준우승자인 김윤영이 받아야 하나 김윤영 선수가 건강상 문제로 불참했다. 이로 인한 대체 멤버격으로 김경은이 후원사 시드를 부여하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