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시(선거구)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구미시/정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폐지된 국회선거구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구미시>
{{{-1 {{{#fff 구미시 일원
龜尾市
Gumi City
선거인 수221,134명 (2000)
상위 행정구역경상북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구미시 전역
도량동, 지산동, 선산읍, 무을면, 옥성면, 도개면, 해평면, 산동면, 장천면, 고아면, 원평1동, 원평2동, 원평3동, 지산동, 도량동, 선주동, 원남동 ,송정동, 형곡1동, 형곡2동, 신평1동, 신평2동, 비산동, 공단1동, 공단2동, 광평동, 사곡동, 상모동, 임오동, 인동동, 진미동, 양포동
신설년도2000년(재신설)
이전 선거구구미시 갑, 구미시 을
이후 선거구구미시 갑, 구미시 을
국회의원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성조

1. 개요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1. 개요[편집]


1988년 소선거구제 신설 당시 신설된 선거구로, 1995년 구미시와 선산군이 합쳐짐에 따라 갑/을로 나누어져 폐지된 선거구였으나 2000년 16대 총선 당시 잠깐 부활했다 2004년 4년만에 다시 폐지된 선거구이다.

이 문서에서는 분구 이전인 13대, 14대 총선과 잠시 통합된 16대 총선 결과 만을 서술한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편집]


총선당선자당적임기비고
제13대박재홍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제14대박세직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구미시(재신설)[1]
제16대김성조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2.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구미시
구미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재홍(朴在鴻)31,4811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45.28%당선
2박도태(朴道泰)8,8313위

[[통일민주당|
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12.70%낙선
3박준홍(朴埈弘)29,1982위

[[신민주공화당|
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
42.00%낙선
선거인 수89,850투표율
91.79%
투표 수70,244
무효표 수734

군위군·선산군
군위군, 선산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윤환(金潤煥)50,6921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76.16%당선
2윤창한(尹昌漢)7,6893위

[[통일민주당|
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11.55%낙선
3구문장(具文藏)8,1712위

[[무소속|
무소속
]]
12.27%낙선
선거인 수73,492투표율
91.78%
투표 수67,452
무효표 수900


2.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구미시
구미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세직(朴世直)59,0981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72.89%당선
2윤상규(尹相圭)21,9742위

파일:민중당 1990년 글자.svg
27.10%낙선
선거인 수119,784투표율
68.65%
투표 수82,234
무효표 수1,162

군위군·선산군
군위군, 선산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윤환(金潤煥)36,6071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61.49%당선
2권천문(權天文)1,4844위

[[통일국민당|
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
2.49%낙선
3구문장(具文藏)1,9683위

[[무소속|
무소속
]]
3.39%낙선
4최종두(崔鍾斗)19,4662위

[[무소속|
무소속
]]
32.70%낙선
선거인 수73,492투표율
90.20%
투표 수67,452
무효표 수900


2.3.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구미시
구미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성조(金晟祚)50,957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41.69%당선
2경광수(慶光秀)5,0065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4.09%낙선
3최종두(崔鍾斗)13,9273위
11.39%낙선
4김윤환(金潤煥)39,2072위
32.07%낙선
5김진섭(金鎭燮)4,5846위
3.75%낙선
6김철호(金哲浩)2,8227위
2.30%낙선
7이강웅(李康雄)5,7194위
4.67%낙선
선거인 수221,134투표율
55.90%
투표 수123,557
무효표 수1,335

경북도의회 출신 정치신인 김성조가 TK의 거물 중 거물인 김윤환을 꺾고 당선되었다. 민주국민당은 내부적으로 김윤환은 당연히 당선될 것이라 생각했지만, 공천 탈락한 중진들의 모임이라는 프레임을 벗어나지 못하고 이곳을 포함해서 전국적으로 참패하게 된다.

[1] 16대 총선 선거구 획정 재조정에 따라 갑/을 분구 선거구가 다시 하나로 재통합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