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33

최근 편집일시 :

분류

파일:수호이 로고.svg
[ 수호이 항공기 목록 ]

||<-2><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315288> 민항기 ||
||<colbgcolor=#c0c0c0,#3f3f3f> 곡예기 ||Su-26 Su-29 Su-31 ||
|| 여객기 ||수호이 슈퍼제트 100 ||
|| 수송기 ||Su-80 KR-860 ||
||<-2><bgcolor=#315288> 군용기 ||
|| 전투기 ||Su-27 Su-30 Su-33 Su-35 Su-37 Su-47 Su-57 Su-75 ||
|| 공격기 ||Su-6 Su-7 Su-17/20/22 Su-25 Su-39 ||
|| 전폭기 ||Su-2 Su-9 Su-10 Su-24 Su-32/34 T-4 ||
|| 요격기 ||Su-9 Su-15 ||
|| 훈련기 ||Su-54 ||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소련-러시아의 제트전투기
[ 펼치기 · 접기 ]
1940년대
미그MiG-9 파고 | MiG-15 파곳
수호이Su-9 (1946) | Su-15 (1949) | Su-17 (1949)
야코블레프Yak-15 페더 | Yak-17 페더 | Yak-19 | Yak-23 플로라 | Yak-25 (1947) | Yak-30 (1948) | Yak-50 (1949)
라보츠킨La-15 팬테일 | La-150 | La-152 | La-160 스트렐카 | La-168 | La-200
알렉세예프I-21 | I-212
1950년대
미그MiG-17 프레스코 | MiG-19 파머 | MiG-21 피쉬베드
수호이Su-7 피터-A | Su-9 피쉬포트
야코블레프Yak-25 플래시라이트-A | Yak-27 플래시라이트-C
일류신Il-40 브로니
라보츠킨La-250 "아나콘다"
1960년대
미그Ye-8 | Ye-150 시리즈
수호이Su-11 피쉬포트-C | Su-15 플래건 | Su-17 피터-C
야코블레프Yak-28 파이어바
투폴레프Tu-128 피들러
1970년대
미그MiG-23 플로거 | MiG-25 폭스배트 | MiG-27 플로거-D/J
수호이Su-24 펜서
야코블레프Yak-38 포저 | Yak-45
1980년대
미그MiG-31 폭스하운드| MiG-29 펄크럼
수호이Su-20 피터-C/D | Su-22 피터-K | Su-25 프로그풋 | Su-27 플랭커
일류신Il-102
1990년대
미그MiG-33 "이즈델리예 33" | MiG-1.44 플랫팩
수호이Su-30 플랭커-C | Su-33 플랭커-D | Su-34 풀백
야코블레프Yak-141 프리스타일
2000년대
미그MiG-29M 펄크럼-E / "슈퍼 펄크럼"
수호이Su-30M 플랭커-G | Su-35 플랭커-E | Su-37 "터미네이터" / 플랭커-F | Su-47 "베르쿠트" / 펄킨
야코블레프Yak-130 미튼
2010년대
미그MiG-29K 펄크럼-D | MiG-35 펄크럼-F
수호이Su-34M | Su-35S | Su-57 펠론 / PAK-FA
2020년대
미그MiG-41 PAK-DP | MiG-LMFS
수호이Su-75 "체크메이트"
취소선: 개발 취소 기종






Su-33
이미지:Су-27к Су-33.jpg
이미지:1674743141.jpg

1. 개요
2. 제원
3. 도입
3.1. 러시아 해군
3.2. 우크라이나
3.3. 중국 해군
4. 실전
5. 대중매체
6. 모형화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Su-33[1]은 소련에서 개발된 함재기이다.


2. 제원[편집]



3. 도입[편집]



3.1. 러시아 해군[편집]


2005년 훈련 중 촬영된 사고 영상
원래 72기를 인도받아야 했지만 실제로 인도받은 24기의 Su-33 중 전시용으로 돌려진 두 기와 사고로 손실한 세 기를 제외한 19기를 운용 중이다. 전에는 모두 쿠즈네초프 항공모함 소속이었으나, 현재는 육상기지에 있다. 항공전자장비가 엄청나게 구려서 그동안 운용에 난항을 겪다가 2016년에야 새로운 타게팅 시스템이 탑재되었지만, 업그레이드의 수혜를 본 것은 여섯 대뿐이다. 그마저도 MiG-29K에 가려져 슬슬 퇴역 얘기가 나오고 있다. 업그레이드와 추가도입이 지지부진한 이유는 러시아가 운용 중인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항공모함은 항모 주제에 '중방공순양함'이라 불릴정도로 온갖 대함미사일과 대공미사일을 탑재하고 있어 주 목적인 함재기 운용에 크게 불리한 편이라 F-22보다도 더 클 정도로 대형기인 Su-33은 운용에 큰 제약이 따른다. 이 때문에 비교적 중소형기인 MiG-29K가 러시아 해군 입장에선 큰 메리트로 여겨 업그레이드는 커녕 퇴역 얘기가 나오는 듯하다.


3.2. 우크라이나[편집]


소련 해체 이후, 우크라이나는 Su-33의 프로토타입인 T-10K-3을 보유하고 있었지만 쿠즈네초프 2번함 바랴그와 함께 중국에 수출하였다.


3.3. 중국 해군[편집]


파일:external/1.bp.blogspot.com/Chinese+J-15+Flying+Shark+and+Varyag+Aircraft+Carrier++takoff+operational+carrier+landing+missile+sd-10+pl-12+pl-10+asr+bvr+ramjet+pgm+ls-6+(1).jpg

소련 해체 직후, 중국은 항모 바랴그를 재생하기로 결정하였고, 함재기로는 Su-33을 라이센스 생산하려고 했다. 그러나 Su-27의 라이센스 사업인 J-11 사업에서 러시아 측은 중국이 계약을 어기고 몰래 부품을 뜯어 봤다고 주장하며 중국과 더 이상의 라이센스 계약을 하지 않기로 방침을 정했다. 그래서 중국은 함재기를 도입할 길이 막히지만 항모와 함재기를 포기할 수 없었던 중국은 우크라이나를 통해 Su-33 프로토타입인 T-10K-3을 손에 넣게 된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J-15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실전[편집]


2016년 쿠즈네초프 항모 전단과 함께 시리아 내전에서 데뷔전을 치렀지만, 태생이 공중우세기인데다 해당 실전 투입이 항모 재가동을 위한 워밍업의 성격이 커서 공중 초계 임무 위주로 투입되었고, 한 대를 손실하였다. 쿠즈네초프 항모가 기약 없이 현대화개수에 들어가며 현재 Su-33은 모두 지상 기지에 묶여 있으며,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도 투입되지 않았다.


5. 대중매체[편집]


  • 에이스 컴뱃 7 Skies Unknown - 플레이어블 기체로 등장한다. 카운트가 스페어 비행대 소속일때 운용하다 LRSSG에 배속된 이후로는 F-15C로 바뀐다. 이밖에 중국군 기체가 하나도 안 나오는 걸 대신하는 것인지, Su-33용 스킨으로 선양 J-15 기반 도색이 나온다. 또한 오시아 해군의 항공모함이 스키 점프대식이 아닌 캐터펄트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카운트나 플레이어가 조종하는 Su-33은 랜딩기어에 캐터펄트 연결장치를 달고 나온다.


6. 모형화[편집]


동구권 함재기 중 최고 성능을 자랑하는데다 특유의 해상 위장무늬가 특징적인 기체라 여러 회사에서 모형화하였다.

1:72
  • 하세가와: 충격적이게도 데뷔 금형은 아이마스 기체 버전이었다. 이후 러시아 해군 버전이 출시되었고, 한정판으로 중국 해군 버전과 에이스 컴뱃 버전, 무인기 버전, 현직 러시아 해군 사령관 티무르 아파키제가 현역 파일럿 시절 몰았던 네임드 기체도 출시되었다.
  • 트럼페터: 중국 해군 버전을 먼저 출시하였고 이후 러시아 해군 버전을 출시하였는데 기체만 들어 있는 버전과 쿠즈네초프 항모 갑판 베이스가 같이 들어 있는 버전, 극소수 배치된 복좌형이 있다.
  • 즈베즈다: 수호이 사 라이선스를 받은 정품이다. 적당한 조립성과 우수한 고증으로 현재 결정판으로 꼽힌다. 레벨과 아카데미과학에서도 재포장해서 출시하였다.

1:48
  • 키네틱: 2015년 러시아 해군 버전을 출시한 후 2017년 중국 해군 버전을 출시했다.
  • 에비에이션 아츠
  • 미니베이스: 엄청난 부품 수를 자랑하지만, 현재 결정판으로 꼽힌다. 러시아 해군 버전과 중국 해군 버전을 모두 출시하였다.
  • 하비보스: 출시 예정이다.


7. 둘러보기[편집]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냉전기 소련 공군 항공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소련 공군 (1946~1991)
Вое́нно-возду́шные си́лы СССР, ВВС СССР
제공 전투기1세대Yak-17, Yak-23, MiG-9, MiG-15, MiG-17, La-15, La-200
2세대MiG-19, MiG-21, Su-7, Su-9, Su-11
3세대MiG-21, MiG-23, MiG-25, Su-15, Su-17, Tu-128, Yak-38
4세대MiG-29, MiG-31, Su-27/30, T-10K, Yak-141
4.5세대T-10M, Su-37, Su-47, MiG-1.44
공격기Su-7, MiG-27, Su-17, Il-40, Il-102, Su-24, Su-25, Su-27IB, Su-39, Yak-28, Yak-130
폭격기전술 폭격기Il-28, Tu-2, Tu-14, Yak-26
전략 폭격기Tu-4, Tu-95, Tu-16, Tu-22, Tu-22M, Tu-160, M-4
수송기An-12해·공, An-22, An-24해·공, An-26B, An-32, An-72, An-124, Il-18D/V, Il-62M, Il-76M/MD/TD, Il-476, Il-114
회전익기정찰·연락용 헬리콥터Mi-1, Mi-2
다목적 중형헬리콥터Mi-4, Mi-8, Ka-32
대형수송헬리콥터Mi-6, Mi-26
공격헬리콥터Mi-24, Mi-28, Ka-50/52
대잠헬리콥터Mi-14, Ka-27
지원기조기경보기A-50, Il-18D(-36)/V, Il-22M-11, Tu-142MR, Tu-126, An-71
정찰기An-30, M-17/M-55, MiG-21R, MiG-25R, Su-17R, Su-24MR, Il-20, Il-24, Il-28R, Tu-16R, Tu-22R, Yak-25R, Yak-27R, Yak-28R
전자전기An-12B-PP/BK-IS/-PP/-PPS, An-26M/RM/RTR/RR, Su-24MP, Il-20RT, MiG-25RB, Tu-16Ye/P/SPS, Tu-22P, Tu-95RT
해상초계기An-72P, Be-6, Be-10, Be-12, Tu-16PL/R/RM/SP, Tu-95MR, Tu-142, Il-38, 3M/3MD, A-40 알바트로스
공중지휘기Il-22
공중급유기Il-78M, Tu-16D/N/Z, M-4-2, 3MS-2/3MN-2
훈련기프롭Yak-11, Yak-18, Yak-52
제트Il-28U L-29, L-39, MiG-15UTI, MiG-21U, Su-7U, Su-9U, Su-11U, Yak-17UTI, Yak-28U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현대 러시아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러시아 연방군 (1992~현재)
Вооружённые Сил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회전익기다목적 헬기Mi-2R, Mi-6R, Mi-8(MT/MTV/PP), Ka-27/29/32, {Ka-60}
수송헬기Mi-26, Mi-38
공격헬기Mi-24, Mi-24(D/K/P/R/VP), Mi-35, Mi-28N, Ka-50/52, 카잔 ANSAT
대잠헬기Mi-14(BT/PL)
전투기
레시프롭기I-15bisR, DITR
4세대 / 4.5세대MiG-29(A/C/S/UB/M/M2/SMT/K)/MiG-35, MiG-31(M/BM), Su-27(SM/UB)해·공, Su-30(M2/SM)해·공, Su-33, Su-35S, Su-47, MiG-MFI
5세대Su-57/{Su-57K}, MiG-LMFS?, {Su-75}
6세대{MiG-41}
공격기Su-24(M/MP/MR)해·공, Su-25(SM/SM3/UB해·공), Su-32FN, Su-34
폭격기전략폭격기3MSN-1R, Tu-16R, Tu-95MS/MSM, Tu-22M3/MR, Tu-160, {PAK-DA}
수송기An-12해·공, An-12BP, An-22, An-24해·공, An-26, An-26B, An-32, An-72, An-124, Il-18(D/V), Il-62M, Il-76(M/MD/TD), Il-476, Il-114, {PAK-TA}
지원기조기경보기A-50, {A-100}
해상초계기Be-12, Tu-142, Il-38. A-40 알바트로스
정찰기Su-24MR, Il-20, Il-24, Tu-214(R/ON)
공중지휘기Il-22, Tu-214(PU/SR)
통신중계기Tu-214SUS
공중급유기Il-78M
인명구조 및 소방용 항공기Be-200ES
무인기UAV오리온, Grusha, 옐레론-3, 그라나트-4, 오를란-2, 오를란-10, 포르포스트, S-100, 란쳇-1, 란쳇-3, GSV-37 Breeze, Korsar, Fazan, BPV-500 VTOL, Ka-137, 게란-1, 게란-2, 샤헤드-129, 샤헤드-191
UCAV미코얀 스카트, {오를란-E}, {S-70 아호트니크}
훈련기프롭Yak-152
제트L-39, Yak-130
※ 윗첨자R: 퇴역 및 의장용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취소선: 개발 또는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도입여부가 불확실한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항공우주군





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현대 우크라이나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우크라이나 국군 (1991~현재)
Збройні Cили України
회전익기 '''[[무장헬기|

경헬기
]]'''
Mi-2MSB(-1/-V)육/M | Bo 105육/D | Ka-226 | AS550 C3 패넥근위 | H145근위
'''

다목적 헬기
'''
Mi-8(MSB-V/PS/T/MT) | Mi-9 | Mi-8AMTSh육/C | Mi-17(-1V)육/D | Ka-32A11BC육/D | 시킹 HU.5해/D | H225근위 | Ka-29TB해/R | UH-60정보
수송헬기Mi-26TR | Mi-6AR
공격헬기Mi-24(PU1/V/VP/P/K/RCh) | Mi-24W · Mi-25육/D | Mi-24(A/D)육/R
대잠헬기Mi-14(BT/PL/PS) | Ka-27(PL/PS)해/R | Ka-25PL해/R
'''[[전투기|

전투기
]]'''
'''[[2세대 전투기|

2세대
]]'''
Su-15TMR | MiG-21(PF/PFM)R
'''[[3세대 전투기|

3세대
]]'''
MiG-25PDR | MiG-23(ML/MLD)R | MiG-21MR
'''[[4세대 / 4.5세대 전투기|

4(.5)세대
]]'''
{F-16(AM/BM) Block 20 MLU}D | Su-27(S1M/P1M/UB1M) | MiG-29(A/S/UB · MU1/UBM1M · AS/UBSD) | T-10K-3R
공격기Su-24M | Su-25(K/UB→M1/UB1M) | MiG-27R | MiG-23BNR | Yak-28R | Yak-38M해/R | Su-25UTG해/R
폭격기Tu-160R | Tu-22(M/M2/M3)해/R | Tu-22KD해/R | Tu-16해/R
'''[[정찰기|

정찰기
]]'''
전술Su-24MR | An-30B | MiG-25(RB/RBS)R
'''[[수송기|

수송기
]]'''
경량An-26(B/KPA) | An-26B-100 | An-2T | An-72PR | An-24BR
전술An-70 | An-12(BK/BP)R
전략Il-76MD
'''

지원기
'''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Il-78R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Be-12(PL/PS) 차이카 | Il-38해/R | Tu-142MZ해/R | Be-12해/R
'''

의무후송기
'''
An-26 '비타'R
'''[[무인기|

무인기
]]'''
'''

SUAV
'''
클래스 1 - MAV
DJI 미니 · 매빅 · 팬텀 | PD-100 블랙 호넷 나노육/D | RQ-11B 레이븐육/D
클래스 1 - 초소형
ITEC 스키프 | 스펙테이터-M1 | 렐레카-100 | 퍼니셔 | A1-CM 퓨리아 | ASU-1 발키리야 | BpAK-MP-1 | RQ-35 헤이드룬육/D | RQ-20 퓨마육/D | WB 플라이아이육/D | 바이락타르 미니육/D | 퀀텀 벡터육/D | 퀀텀 스콜피온육/D | 팽귄 C육/D | 샤크 | 브라모르육/D
클래스 1 - 소형
PD-1 | PD-2 | UJ-22 에어본 | RQ-27 스캔이글육/D | 프리모코 원-150육/D | 루나-NG육/D
'''

UAV
'''
클래스 2 - 전술형
An-BK-1 | 맬로이 T150D | Tu-141 | Tu-143
'''

UCAV
'''
클래스 2 - 전술형
바이락타르 TB2해·공
'''[[훈련기|

훈련기
]]'''
프롭KhAZ-30 | Yak-52R
제트L-39(M/C) 알바트로스 | L-29 델핀R | Su-17UM3R | MiG-21UMR
VIP 탑승기ACJ319-115X | An-148-100B | An-74TK-300D | Yak-40M | Tu-154B-2R | Tu-134A-3R | Il-62M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M: 개조 기종
※ 윗첨자C: 노획 기종
※ 윗첨자D: 공여받은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및 국방정보국 운용





✈️ 항공병기 둘러보기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틀:현대전/유고슬라비아 항공병기|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틀:현대전/바그너 그룹 항공병기|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제트전투기의 계보 ]⠀


[1] 나토 코드명: Flanker-D, 중국산 복제품은 Flanker-X2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Su-27 문서의 r60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Su-27 문서의 r60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07-03 13:33:31에 나무위키 Su-33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3 22:31:55에 나무위키 Su-33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