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134

덤프버전 :

파일:로고 투폴레프.png
[ 투폴레프 항공기 목록 ]

||<-4><tablewidth=100%><bgcolor=#27387f> 민항기 ||
||<rowbgcolor=#ffffff,#191919>|| 터보제트 || 터보팬 || 터보프롭 ||
||<colbgcolor=#ffffff,#191919> 쌍발기 || Tu-104 || Tu-124Tu-134Tu-204Tu-334 || - ||
|| 3발기 || - || Tu-154 || - ||
|| 4발기 ||<-2> Tu-144Tu-244 || Tu-114 ||
||<-4><bgcolor=#27387f> 전투기 ||
|| 프로펠러기 ||<-3>I-15, I-15bis, I-153 ||
|| 제트기 ||<-3>Tu-128 ||
||<-4><bgcolor=#27387f> 폭격기 ||
|| 프로펠러기 ||<-3>TB-6SBTB-3Tu-2Pe-8Tu-4Tu-95 ||
|| 제트기 ||<-3>Tu-16 ||
|| 초음속기 ||<-3>Tu-22Tu-22MTu-160 ||
||<-4><bgcolor=#27387f> 대잠초계기 ||
|| 프로펠러기 ||<-3>Tu-142 ||
||<-4><bgcolor=#dedede,#202020>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현대 체코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체코 공화국군 (1993~현재)
Armáda České Republiky
회전익기 '''

다목적 헬기
'''
UH-1Y 베놈 | W-3A 소쿠우 | Mi-17 · Mi-171Sh | Mi-8PR
공격헬기AH-1Z 바이퍼 | Mi-24(D/V)R
'''[[전투기|

전투기
]]'''
'''[[3세대 전투기|

3세대
]]'''
MiG-21(MF/MFN)R | MiG-23(MF/ML)R
'''[[4세대 / 4.5세대 전투기|

4(.5)세대
]]'''
JAS 39(C/D) 그리펜L | MiG-29(A/UB)R
'''[[5세대 전투기|

5세대
]]'''
{F-35A 라이트닝 II}
공격기L-159A ALCA | Su-22M4R | Su-25KR | MiG-23BNR
'''[[정찰기|

정찰기
]]'''
전술L-410FG | An-30FGR
'''[[수송기|

수송기
]]'''
경량C-295(M/MW) | L-410UVP(-E) 터보레트 | An-26R | An-24(B/V)R
전술{C-390 밀레니엄} | An-12BPR
'''

지원기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E-3A 센트리NAEW&CF, {E-7}NAEW&CF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A330 MRTTMMF
'''[[무인기|

무인기
]]'''
'''

SUAV
'''
클래스 1 - 극소형
RQ-11B 레이븐
클래스 1 - 초소형
RQ-12 와스프 AE | 스카이라크 I-LEX | RQ-20(A/B) 푸마
클래스 1 - 소형
RQ-27 스캔이글 | 소이카 III/R
'''[[훈련기|

훈련기
]]'''
프롭Z 43 | Z 142C AF | EV-97 유로스타 | L-200 모라바R
제트{L-39NG} | L-159(T1/T1+/T2) | L-39(C/ZA) 알바트로스 | L-29 델핀R | MiG-23UMR | MiG-21UMR
헬기엔스톰 480B-G | Mi-2R
VIP 탑승기ACJ319-115X | 챌린저 CL601-3AR | Yak-40KR | Tu-154MR | Tu-134A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차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NAEW&CF: NAEW&C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MMF: NATO MM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파일:E37349C2-8172-4D96-BF7A-3BFE148C31AF.jpg
러시아 항공우주군, Tu-134AK, RF-90914
파일:09E95527-F738-40EB-B97A-3AD3461065C4.jpg
러시아 항공우주군, Tu-134Sh, RF-66036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1516608.jpg
Tu-134A-3의 크러스티 칵핏

1. 개요
2. 'Tu-134'의 각 형식
2.1. Tu-134
2.2. Tu-134A
2.2.1. Tu-134A-3
2.3. Tu-134B
2.3.1. Tu-134BV
2.4. Tu-134LK
2.5. Tu-134UBL
2.6. Tu-134SKh
3. 제원
4. 현재 보유 항공사
5. 관련 문서
6. 사건 사고
7. 둘러보기
8. 참고 링크



1. 개요[편집]


Tupolev Tu-134
Ту(Туполев)-134
투폴레프 Tu-134

소련의 투폴레프 설계국이 개발한 단거리 제트 여객기. 나토 코드명은 '크러스티(Crusty)'.

1960년, 프랑스를 방문한 니키타 흐루쇼프 서기장이 'SE210 카라벨' 여객기를 타보고 감명받아[1] "우왕ㅋ굳ㅋ 우리도 이런 거 함 만들어보자"어디서 공돌이 울부짖는 소리가... 라고 해서 Tu-124 베이스엔진을 동체 후방으로 이동시킨 모델.

1963년 7월 29일, 초도비행에 성공했다. 그러나 동년 10월 22일, 비슷한 기체구조를 가진 영국의 'BAC 1-11' 여객기가 이륙직후 실속에 빠지면서 추락[2], 탑승객 전원 사망한 사고가 일어났고 같은 날 'Tu-134 프로토타입'이 같은 원인으로 추락하면서 대단한 우연의 일치(...) 투폴레프는 후속기들의 꼬리날개 크기를 30% 더 키우는 것으로 문제를 해결했다.

1963년 11월 20일, 공식적으로 'Tu-134'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3]

1967년 9월 민간 항공사에 공개되어 1984년까지 총 852대가 생산되었고 그중 1/4은 하늘을 누비고 있었다. 루스에어 9605편 추락 사고로 인해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전 러시아 대통령이 러시아에서 2012년까지 전량 퇴역을 요구하였으나 한동안 계속 운용되다가 결국 2019년 5월 22일을 기점으로 러시아에서는 모든 여객서비스를 종료하였다. 그러나 아직 쓰고 있는 곳이 있으니 바로 북한[4]

험하게 굴리는 데는 제격인 기체이다. 엔진이 동체 후방에 높게 위치해 'FOD[5]'가 일어날 확률이 상대적으로 적고 저압 타이어의 채택으로 비포장 활주로에서도 무리없이 굴릴 수 있다.[6]


2. 'Tu-134'의 각 형식[편집]



2.1. Tu-134[편집]


파일:CCCP-65616.png
아에로플로트, CCCP-65616
초도양산형, 64인승 기체로 후기형은 72인승으로 늘어난다.


2.2. Tu-134A[편집]


파일:OK-CFC.png
체코슬로바키아 항공, OK-CFC
개량형, 엔진과 에비오닉스를 개량하고 84인승으로 늘어난다. 기수의 항법창과 하단 턱 부분에 레이더를 장착하고 있다.


2.2.1. Tu-134A-3[편집]


엔진을 개량한 모델.


2.3. Tu-134B[편집]


파일:CCCP-65698.png
아에로플로트, CCCP-65698[7]
기수 하단의 레이더를 기수 노즈콘으로 이동시키고 항법석을 제거한 모델. 80인승 기체로 일부는 기체하부에 추가 연료탱크를 증설하여 항속거리를 늘렸다.


2.3.1. Tu-134BV[편집]


우주왕복선 훈련기.


2.4. Tu-134LK[편집]


파일:RF-65151.png
스타 시티, RF-65151
우주조종사 조종 훈련기.


2.5. Tu-134UBL[편집]


폭격기 조종 훈련기.


2.6. Tu-134SKh[편집]


파일:CCCP-65917.png
아에로플로트, CCCP-65917
지상 측량용 기체.


3. 제원[편집]


(Tu-134A 기준)
운항 승무원3~4명
탑승객72~84명
페이로드8,200kg (18,075파운드)
전장37.10m (121피트 8인치)
전폭29m (95피트 1인치)
높이9.02m (29피트 6인치)
익면적127.3제곱미터 (1,370.24제곱피트)
공허중량27,960kg (61,640파운드)
최대 이륙중량47,600kg (104,940파운드)
엔진2x 솔로비예프 D-30-II 터보팬, 기당 추력 14,990파운드 (66.68kN)
동체 지름2.9m (9피트 6인치)
연료 탑재량13,200리터 (2,900겔런, 3,500 US겔런)
최대속도950km/h (485노트, 559mph)
순항속도850~900km/h (405노트, 466mph)
항속거리3,200km (1,890nmi, 2,175마일)
실용 상승한도12,100m (39,040피트)


4. 현재 보유 항공사[편집]


  • 시리아 항공 : Tu-134B-3 1대 보유[8]

5. 관련 문서[편집]




6. 사건 사고[편집]





7. 둘러보기[편집]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현대 타지키스탄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타지키스탄 항공 및 반항공군 (1994~현재)
Қувваҳои ҳавоӣ ва мудофиаи Тоҷикистон
회전익기다목적 헬기Mi-8
공격헬기Mi-24
수송기An-26, Tu-134
훈련기L-39
※ 윗첨자R: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취소선: 개발 취소/도입 취소 기종






✈️ 항공병기 둘러보기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틀:현대전/유고슬라비아 항공병기|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틀:현대전/바그너 그룹 항공병기|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제트전투기의 계보 ]⠀




8. 참고 링크[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4 16:08:52에 나무위키 Tu-134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카라벨은 당시 유례없는 동체 후방에 엔진을 배치한 구조의 여객기이다. 덕분에 동급 기체들과 비교시 소음이 상당히 적은 편이다.[2] 원인은 깊은 실속(Deep-stall)이었다. 주날개 뒷전에서 박리된 기류에 꼬리날개가 갇혀 거의 무용지물이 되는 현상으로 수평꼬리날개가 높은 위치에 있거나 T자인 항공기들의 숙명이다. 날개 밑에 보틸론을 장치함으로 해결이 가능하다.[3] 그 이전에는 'Tu-124A'라고 명칭.[4] 시리아 항공도 1대를 쓰기는 하나 정부에서 VIP 전세기로 운영하고 있다.[5] Foreign Object Damage, 지상 표면의 이물질이 흡입되어 엔진이 손상되는 사고.[6] 괜히 소형기에 탠덤식 기어를 채택한 게 아니다.[7] 스크랩 처리 이후 라트비아 리가 국제공항에 기수만 남아 있는 상태이다.[8] 정부 전세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