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하일 고르바초프

덤프버전 : (♥ 0)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bgcolor=#cd0000><width=15%> 초대 ||<width=35%>
인민위원장

블라디미르 레닌 ||<bgcolor=#cd0000><width=15%> 제2대 ||<width=35%>
이오시프 스탈린 ||
||<bgcolor=#cd0000><width=15%> 임시 ||
게오르기 말렌코프 ||<bgcolor=#cd0000><width=15%> 제3대 ||
니키타 흐루쇼프 ||
||<bgcolor=#cd0000><width=15%> 제4대 ||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bgcolor=#cd0000><width=15%> 제5대 ||
유리 안드로포프 ||
||<bgcolor=#cd0000><width=15%> 제6대 ||
콘스탄틴 체르넨코 ||<bgcolor=#cd0000><width=15%> 제7대 ||
미하일 고르바초프 ||



미하일 고르바초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FFE400,#ffe300 ||<-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631c1c> {{{#!wiki style="font-size: 1.1em;" {{{#ffe400,#ffe300 '''국가원수'''}}}}}} || ||<-2><rowbgcolor=#d40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0.7px" {{{#ffe400,#ffe300 {{{-2 소비에트대회 중앙집행위원회 주석}}}}}}}}} ||<-3><width=75%> {{{#!wiki style="margin: -5px -10px;" {{{#ffe400,#ffe300 {{{-2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 || ||<-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40000; font-size: .8em;" 초대}}}[br][[미하일 칼리닌]]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40000; font-size: .8em;" 초대}}}[br][[미하일 칼리닌]] ||<width=20%> {{{#!wiki style="margin: -0px -6.5px;"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40000; font-size: .8em;" 제2대}}}[br][[니콜라이 슈베르니크]]}}} ||<width=20%> {{{#!wiki style="margin: -0px -6.5px;"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40000; font-size: .8em;" 제3대}}}[br][[클리멘트 보로실로프]]}}} || ||<-5><rowbgcolor=#d40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ffe400,#ffe300 {{{-2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 || ||<width=20%> {{{#!wiki style="margin: -0px -6.5px;"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40000; font-size: .8em;" 제4대}}}[br][[레오니트 브레즈네프]]}}} ||<width=20%> {{{#!wiki style="margin: -0px -6.5px;"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40000; font-size: .8em;" 제5대}}}[br][[아나스타스 미코얀]]}}} || {{{#!wiki style="margin: -0px -6px;"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40000; font-size: .8em;" 제6대}}}[br][[니콜라이 포드고르니]]}}} || {{{#!wiki style="margin: -0px -6.5px;"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40000; font-size: .8em;" 제7대}}}[br][[레오니트 브레즈네프]]}}} || {{{#!wiki style="margin: -0px -6.5px;"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40000; font-size: .8em;" 제8대}}}[br][[유리 안드로포프]]}}} || ||<-3> || {{{#!wiki style="margin: -0px -6.5px; font-size: .8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66; letter-spacing: -0.5px" 서리}}} [[바실리 쿠즈네초프|{{{#666,#DDD 바실리 쿠즈네초프}}}]]}}} || {{{#!wiki style="margin: -0px -6.5px; font-size: .8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66; letter-spacing: -0.5px" 서리}}} [[바실리 쿠즈네초프|{{{#666,#DDD 바실리 쿠즈네초프}}}]]}}} || ||<-3><rowbgcolor=#d40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ffe400,#ffe300 {{{-2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 ||<-1> {{{#!wiki style="margin: -5px -10px;" {{{#ffe400,#ffe300 {{{-2 소련 최고회의 주석}}}}}}}}} ||<-1> {{{#!wiki style="margin: -5px -10px;" {{{#ffe400,#ffe300 {{{-2 소비에트 연방 대통령}}}}}}}}} || ||<rowbgcolor=#fff,#191919> {{{#!wiki style="margin: -0px -6.5px;"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40000; font-size: .8em;" 제9대}}}[br][[콘스탄틴 체르넨코]]}}} || {{{#!wiki style="margin: -0px -6px;"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40000; font-size: .8em;" 제10대}}}[br][[안드레이 그로미코]]}}}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40000; font-size: .8em;" 제11대}}}[br][[미하일 고르바초프]]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40000; font-size: .8em;" 초대}}}[br][[미하일 고르바초프]]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40000; font-size: .8em;" 초대}}}[br][[미하일 고르바초프]] || || {{{#!wiki style="margin: -0px -6.5px; font-size: .8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66; letter-spacing: -0.5px" 서리}}} [[바실리 쿠즈네초프|{{{#666,#DDD 바실리 쿠즈네초프}}}]]}}} ||<-4> || ---- ||<-4><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631c1c> {{{#!wiki style="font-size: 1.1em;" {{{#ffe400,#ffe300 '''정부수반'''}}}}}} || ||<-4><rowbgcolor=#d40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ffe400,#ffe300 {{{-2 소련 인민위원장}}}}}}}}} || ||<rowbgcolor=#fff,#191919><width=25%>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40000; font-size: .8em;" 초대}}}[br][[블라디미르 레닌]] ||<width=25%>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40000; font-size: .8em;" 제2대}}}[br][[알렉세이 리코프]] ||<width=25%>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40000; font-size: .8em;" 제3대}}}[br][[뱌체슬라프 몰로토프]] ||<width=25%>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40000; font-size: .8em;" 제4대}}}[br][[이오시프 스탈린]] || ||<-4><rowbgcolor=#d40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소련 장관회의|{{{#ffe400,#ffe300 {{{-2 소련 장관회의 주석}}}}}}]]}}}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40000; font-size: .8em;" 제4대}}}[br][[이오시프 스탈린]]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40000; font-size: .8em;" 제5대}}}[br][[게오르기 말렌코프]]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40000; font-size: .8em;" 제6대}}}[br][[니콜라이 불가닌]]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40000; font-size: .8em;" 제7대}}}[br][[니키타 흐루쇼프]] || ||<-3><rowbgcolor=#d40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소련 장관회의|{{{#ffe400,#ffe300 {{{-2 소련 장관회의 주석}}}}}}]]}}} || {{{#!wiki style="margin: -5px -10px;" {{{#ffe400,#ffe300 {{{-2 소비에트 연방 국무총리}}}}}}}}} || ||<rowbgcolor=#fff,#191919>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40000; font-size: .8em;" 제8대}}}[br][[알렉세이 코시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40000; font-size: .8em;" 제9대}}}[br][[니콜라이 티호노프]]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40000; font-size: .8em;" 제10대}}}[br][[니콜라이 리즈코프]]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40000; font-size: .8em;" 제11대}}}[br][[발렌틴 파블로프]] || ---- ||<-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631c1c> {{{#!wiki style="font-size: 1.1em;" {{{#ffe400,#ffe300 '''서기장'''}}}}}} || ||<rowbgcolor=#d40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ffe400,#ffe300 {{{-2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기술서기}}}}}}}}} ||<-2> {{{#!wiki style="margin: -5px -10px;" {{{#ffe400,#ffe300 {{{-2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국 주석}}}}}}}}} ||<-2> {{{#!wiki style="margin: -5px -10px;" {{{#ffe400,#ffe300 {{{-2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책임서기}}}}}}}}} ||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40000; font-size: .8em;" 초대}}}[br][[옐레나 스타소바]] ||<width=20%> {{{#!wiki style="margin: -0px -7.2px;"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40000; font-size: .8em;" 제2대}}}[br][[야코프 스베르들로프]]}}}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40000; font-size: .8em;" 제3대}}}[br][[옐레나 스타소바]] ||<width=20%> {{{#!wiki style="margin: -0px -7.2px;"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40000; font-size: .8em;" 제4대}}}[br][[니콜라이 크레스틴스키]]}}}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40000; font-size: .8em;" 제5대}}}[br][[뱌체슬라프 몰로토프]] || ||<rowbgcolor=#d40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서기장|{{{#ffe400,#ffe300 {{{-2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장}}}}}}]]}}} ||<-2> {{{#!wiki style="margin: -5px -10px;" [[서기장|{{{#ffe400,#ffe300 {{{-2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1서기}}}}}}]]}}} ||<-2> {{{#!wiki style="margin: -5px -10px;" [[서기장|{{{#ffe400,#ffe300 {{{-2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장}}}}}}]]}}}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40000; font-size: .8em;" 제6대}}}[br][[이오시프 스탈린]]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40000; font-size: .8em;" 제7대}}}[br][[니키타 흐루쇼프]] ||<-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40000; font-size: .8em;" 제8대}}}[br][[레오니트 브레즈네프]]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40000; font-size: .8em;" 제9대}}}[br][[유리 안드로포프]] || ||<-2><bgcolor=#d40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서기장|{{{#ffe400,#ffe300 {{{-2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장}}}}}}]]}}}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40000; font-size: .8em;" 제10대}}}[br][[콘스탄틴 체르넨코]] || {{{#!wiki style="margin: -0px -6.5px;"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40000; font-size: .8em;" 제11대}}}[br][[미하일 고르바초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노벨평화상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555555,#aaaaaa ||<tablewidth=100%><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2> 1901 ||<-2> 1902 || ||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40]]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width=40]] ||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40]] ||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40]] || || [[앙리 뒤낭]] || 프레데리크 파시 || [[엘리 뒤코묑]] || [[샤를 알베르 고바]]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1903 || 1904 || 1905 || 1906 || || [[파일:영국 국기.svg|width=40]] || - ||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width=40]] || [[파일:미국 국기(1896-1908).svg|width=40]] || || 윌리엄 크리머 || 국제법학회 || [[베르타 폰 주트너]] || [[시어도어 루스벨트]]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2> 1907 ||<-2> 1908 || ||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width=40]]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width=40]]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40]] ||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40]] || || 에르네스토 모네타 || 루이 르노 || 클라스 아르놀드손 || 프레데리크 바예르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2> 1909 || 1910 || 1911 ||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width=40]] ||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40]] || - ||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width=40]] || || 데스투르넬 드 콩스탕 || 오귀스트 베르나르트 || 국제평화국 || 알프레트 프리트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1911 || 1912 || 1913 || 1917 ||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40]] ||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width=40]] ||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40]] || [[파일:적십자 기.svg|width=40]] || || 토비야스 아서르 || 일라이휴 루트 || 앙리 라퐁텐 || [[국제적십자위원회]]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1919 || 1920 ||<-2> 1921 || ||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width=40]]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width=40]]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40]]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40]] || || [[우드로 윌슨]] || 레옹 부르주아 || [[얄마르 브란팅]] || 크리스티안 랑에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1922 ||<-2> 1925 || 1926 ||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40]] || [[파일:영국 국기.svg|width=40]] ||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width=40]]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width=40]] || || [[프리드쇼프 난센]] || [[오스틴 체임벌린]] || [[찰스 G. 도스]] || [[아리스티드 브리앙]]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1926 ||<-2> 1927 || 1929 || ||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width=40]]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width=40]] ||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width=40]] ||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width=40]] || || [[구스타프 슈트레제만]] || 페르뒤낭 뷔숑 || 루트비히 크비데 || [[프랭크 켈로그]]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1930 ||<-2> 1931 || 1933 ||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40]] ||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width=40]] ||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width=40]] || [[파일:영국 국기.svg|width=40]] || || 나탄 쇠데르블룸 || [[제인 애덤스]] || 니콜라스 버틀러 || 노먼 엔젤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1934 || 1935 || 1936 || 1937 || || [[파일:영국 국기.svg|width=40]] ||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width=40]]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40]] || [[파일:영국 국기.svg|width=40]] || || 아서 헨더슨 || [[카를 폰 오시에츠키]] || 카를로스 라마스 || 로버트 세실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1938 || 1944 || 1945 || 1946 || || [[파일:국제연맹 기.png|width=40]] || [[파일:적십자 기.svg|width=40]] ||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width=40]] || [[파일:미국 국기.svg|width=40]] || || 난센 국제난민 사무국 || [[국제적십자위원회]] || [[코델 헐]] || 에밀리 발치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1946 || 1947 || 1949 || 1950 || ||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width=40]] || [[파일:Quaker_star-T.svg|width=40]] || [[파일:영국 국기.svg|width=40]] ||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width=40]] || || [[존 모트]] || [[퀘이커(종교)|퀘이커 봉사협회]] || 보이드 오어 || 랠프 번치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1951 || 1952 || 1953 || 1954 ||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width=40]]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width=40]] ||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width=40]] || [[파일:UN기.svg|width=40]] || || 레옹 주오 || [[알베르트 슈바이처]] || [[조지 C. 마셜|조지 마셜]] || 난민고등판무관사무소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1957 || 1958 || 1959 || 1960 || ||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svg|width=40]] ||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40]] || [[파일:영국 국기.svg|width=40]] ||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width=40]] || || [[레스터 피어슨]] || 도미니크 피르 || 필립 베이커 || 앨버트 루툴리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1961 || 1962 || 1963 || 1964 ||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40]] || [[파일:미국 국기.svg|width=40]] || [[파일:적십자 기.svg|width=40]] || [[파일:미국 국기.svg|width=40]] || || [[다그 함마르셸드]] || [[라이너스 폴링]] || [[국제적십자위원회]] || [[마틴 루터 킹]]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1965 || 1968 || 1969 || 1970 || || [[파일:유니세프 로고.svg|width=40]]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width=40]] || [[파일:국제노동기구 로고.svg|width=40]] || [[파일:미국 국기.svg|width=40]] || || [[유니세프]] || 르네 카생 || [[국제 노동 기구]] || [[노먼 볼로그]]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1971 ||<-2> 1973 || 1974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40]] || [[파일:미국 국기.svg|width=40]] || [[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40]] ||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width=40]] || || [[빌리 브란트]] || [[헨리 키신저]] || 레득토 || [[사토 에이사쿠]]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1974 || 1975 ||<-2> 1976 ||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40]] ||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width=40]] || [[파일:영국 국기.svg|width=40]] || [[파일:영국 국기.svg|width=40]] || || 숀 맥브라이드 || [[안드레이 사하로프]] || [[베티 윌리엄스]] || [[메어리드 코리건]]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1977 ||<-2> 1978 || 1979 || || [[파일:국제앰네스티 로고.svg|width=40]] || [[파일:이집트 국기(1972-1984).svg|width=40]]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40]] || [[파일:인도 국기.svg|width=40]] || || [[국제사면위원회]] || [[안와르 사다트]] || [[메나헴 베긴]] || [[테레사 수녀]]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1980 || 1981 ||<-2> 1982 ||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40]] || [[파일:UN기.svg|width=40]]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40]]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40]] || || 아돌포 에스키벨 || 난민고등판무관사무소 || [[알바 뮈르달]] || 알폰소 가르시아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1983 || 1984 || 1985 || 1986 || ||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width=40]] ||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width=40]] ||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40]] || || [[레흐 바웬사]] || [[데즈먼드 투투]] || 핵전쟁방지국제의사회 || [[엘리 비젤]]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1987 || 1988 || 1989 || 1990 || ||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width=40]] || [[파일:UN기.svg|width=40]] || [[파일:티베트 국기.svg|width=40]] || [[파일:소련 국기.svg|width=40]] || || [[오스카르 아리아스]] || [[유엔 평화유지군]] || [[달라이 라마 14세]] || [[미하일 고르바초프]]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1991 || 1992 ||<-2> 1993 || || [[파일:미얀마 국기(1974-2010).svg|width=40]] || [[파일:과테말라 국기.svg|width=40]] ||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width=40]] ||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width=40]] || || [[아웅산 수치]] || [[리고베르타 멘추]] || [[넬슨 만델라]] || [[프레데리크 빌럼 데 클레르크]]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3> 1994 || 1995 ||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40]]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40]] ||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width=40]] ||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40]] || || [[이츠하크 라빈]] || [[시몬 페레스]] || [[야세르 아라파트]] || 조지프 로트블랫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1995 ||<-2> 1996 || 1997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40]]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40]]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40]] || [[파일:미국 국기.svg|width=40]] || || 퍼그워시 회의 || 카를로스 벨로 || [[조제 하무스오르타]] || [[조디 윌리엄스]]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1997 ||<-2> 1998 || 1999 || || -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40]] || [[파일:영국 국기.svg|width=40]] || [[파일:국경없는의사회의 로고.svg|width=40]] || || 지뢰금지국제운동 || [[존 흄]] || [[데이비드 트림블]] || [[국경없는의사회]]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2000 ||<-2> 2001 || 2002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40]] || [[파일:UN기.svg|width=40]] || [[파일:가나 국기.svg|width=40]] || [[파일:미국 국기.svg|width=40]] || || [[김대중]] || [[유엔]] || [[코피 아난]] || [[지미 카터]]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2003 || 2004 ||<-2> 2005 || || [[파일:이란 국기.svg|width=40]] || [[파일:케냐 국기.svg|width=40]] || [[파일:국제원자력기구 깃발.svg|width=40]] || [[파일:이집트 국기.svg|width=40]] || || [[시린 에바디]] || [[왕가리 마타이]] || [[국제원자력기구]] || [[무함마드 엘바라데이]]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2> 2006 ||<-2> 2007 ||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width=40]]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width=40]] || [[파일:미국 국기.svg|width=40]] || - || || [[무함마드 유누스]] || [[그라민 은행]] || [[앨 고어]] ||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 패널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2008 || 2009 || 2010 || 2011 || ||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40]] || [[파일:미국 국기.svg|width=40]] || [[파일:중국 국기.svg|width=40]] ||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width=40]] || || [[마르티 아티사리]] || [[버락 오바마]] || [[류샤오보]] || [[엘런 존슨 설리프]]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2> 2011 || 2012 || 2013 || ||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width=40]] || [[파일:예멘 국기.svg|width=40]] ||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width=40]] || [[파일:화학무기금지기구 로고.svg|width=35]] || || [[리마 보위]] || [[타우왁쿨 카르만]] || [[유럽연합]] || [[화학무기금지기구]]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2> 2014 || 2015 || 2016 || || [[파일:파키스탄 국기.svg|width=40]] || [[파일:인도 국기.svg|width=40]] || [[파일:튀니지 국기.svg|width=40]] || [[파일:콜롬비아 국기.svg|width=40]] || || [[말랄라 유사프자이]] || [[카일라시 사티아르티]] || [[튀니지 국민4자대화기구]] || [[후안 마누엘 산토스]]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2017 ||<-2> 2018 || 2019 || || -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width=40]] || [[파일:이라크 국기.svg|width=40]] ||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width=40]] || || [[핵무기 폐기 국제 운동]] || [[드니 무퀘게]] || [[나디아 무라드]] || [[아비 아머드]]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2020 ||<-2> 2021 || 2022 || || [[파일:UN기.svg|width=40]] ||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40]]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40]]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40]] || || [[세계식량계획]] || [[마리아 레사]] || [[드미트리 무라토프]] || [[안드레이 사하로프|메모리알]]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2> 2022 || 2023 || ||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40]] || [[파일:벨라루스 국기.svg|width=40]] || [[파일:이란 국기.svg|width=40]] || || || [[시민자유센터]] || [[알레스 발랴츠키]] || [[나르게스 모하마디]] || ||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초대 대통령
미하일 세르게예비치 고르바초프
Михаи́л Серге́евич Горбачёв
Mikhail Sergeyevich Gorbachev
파일:gorvachev.jpg
출생1931년 3월 2일
소련 러시아 SFSR 북캅카스 지방 메드베젠스키구 프리볼노예
(現 러시아 북캅카스 연방관구 스타브로폴 지방 크라스노바그데이르스키군 프리볼노예)
사망2022년 8월 30일 (향년 91세)
러시아 모스크바 연방시 서부 행정구 쿤체보구 모스크바 중앙임상병원
묘소러시아 모스크바 노보데비치 묘지
재임기간제6대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장
1985년 3월 11일 ~ 1991년 8월 24일
제11대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
1988년 10월 1일 ~ 1989년 5월 25일
초대 소련 최고회의 주석
1989년 5월 25일 ~ 1990년 3월 15일
초대 대통령
1990년 3월 15일 ~ 1991년 12월 25일
서명파일:미하일 고르바초프 서명.svg
[ 펼치기 · 접기 ]
부모아버지 세르게이 안드레예비치 고르바초프
어머니 마리야 판텔레예브나 고르바초바[1]
배우자라이사 막시모브나 고르바초바 (1953–1999, 사별)[2]
자녀딸 이리나 미하일로브나 비르간스카야
외손녀 아나스타샤 비르간스카야
학력모스크바 국립대학교 (법학 / 학사)
종교무종교 (사실상 러시아 정교회)[3]
신체175cm
주요 서훈노벨평화상
10월 혁명 훈장
노력적기훈장
레닌훈장 (3회)
사도 성 안드레이 훈장
[1] 혼전성은 곱칼로(Гопкало).[2] 1932년 1월 5일생. 혼전성은 티타렌코(Титаренко).[3] 실제로 러시아 정교회에서 세례를 받은 적이 있으며, 아시시의 프란치스코의 묘지에서 무릎을 꿇는 등 자신이 기독교인임을 증명하는 여러 증거가 있지만 아직 본인은 무신론자라며 부정하고 있다. 하지만 자신의 대변인을 통해 기독교 신자가 되는 여정 가운데 있다고 했다.
1. 개요
4. 여담
5. 대중매체에서
5.1. 영화
5.2. 게임
5.3. 기타
6. 소속 정당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초대 소련 대통령 취임 선서

소련러시아의 정치인.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6대 서기장,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과 최고회의 주석[1]을 거쳐 소련의 최초이자 마지막 대통령으로 재임했다.

1985년부터 1991년까지 소련의 최고 권력자로 재임하면서 소련 내 개혁 정책인 글라스노스트(개방)와 페레스트로이카(개혁)을 추진했다. 동시에 20세기 후반을 대표하던 미국과 소련 간 냉전을 종식시킨 인물이자 소련 해체를 야기한 정치인으로 평가받는다.


2. 생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미하일 고르바초프/생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평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미하일 고르바초프/평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여담[편집]


  • 고르바초프는 역대 소련 지도자 중 유일하게 소련 시절에 태어난 사람이다. 나머지는 모두 러시아 제국 시절에 태어났다. 또한 유일하게 소련에서 독립한 러시아인으로 죽은 지도자이기도 하다.

  • 김일성이 혹으로 유명하듯 이 사람도 머리에 있는 점인지 흉터인지 화상 자국인지 정체 모를 모반(birthmark)이 그의 대표적인 트레이드 마크라 할 수 있다. 영문판 위키백과에 따르면 'port-wine stain(화염상 모반 또는 포도주색 모반)'이라는 양성종양이라고 한다. 본인의 말에 의하면 처음부터 있었던 것은 아니고 탈모가 온 이후에 생긴 거라고. 고르바초프의 어린 시절이나 젊은 시절 사진에는 이 모반이 없는 것으로 봐서 선천적인 것은 아닌 듯하다. 만화 같은 그림에서 이 사람을 묘사하면 십중팔구로 저 흉터 자국을 반드시 그려넣는다. 러시아 시사 만화에선 '반점이'라고 나오면서 그의 정책을 비판하는 묘사도 있었다.
90년대에 어린 시절을 보낸 사람들이라면 몇몇은 알 수도 있는데 머리에 초콜릿이 흘러내린 것 같다고 해서 한국에서의 별명이 "고르바초코"였다.칸쵸 그러나 서기장 취임 이전 사진에서는 필름에 인위적으로 수정을 가해 반점을 지웠기 때문에 없다. 자세히 보면 모양이 한반도와 만주 쪽 지도를 닮은데다 희미하게 휴전선도 보이는 것 같기도 하다.# 한국의 젊은 사람들도 고르바초프가 정확히 뭘 한 사람인지는 몰라도 '머리에 지도가 그려져있는 사람'이라고 말할만큼 모반이 상당히 임팩트가 크다.

  • 1997년에는 피자헛 광고에 출연했다. 고르바초프가 피자헛에 등장하자 한 중년 남성이 "저 인간 때문에 정치, 경제적으로 위기에 빠졌어!"라고 외친다. 그러나 아들과 어머니가 각각 "그래도 우리는 기회를 얻었어요." / "피자헛 같은 곳에 올 수 있게 되었잖아요."라면서 고르바초프를 편들며, 결국 그 중년 남성을 포함한 식당에 있던 모든 이들이 고르바초프에게 감사를 표한다는 훈훈한 내용. 실제로 구 소련권에 최초의 피자헛 매장이 들어선 연도는 재임 중인 1990년이었다.
당시 초인플레이션으로 소련 서기장 연금이 2달러 수준으로 떨어지고 옐친의 견제까지 받으면서 재단 활동이 좌절되자 기금 마련을 위해 광고에 출연했다.
훗날 해당 광고를 기획했던 톰 다비샤이어(Tom Darbyshire)에 따르면 당시 고르바초프는 피자 광고 제안에 내켜하지 않았다. 우선 광고 촬영은 러시아에서 하고, 각본은 고르바초프가 동의해야만 했으며 먹는 모습을 보여줘서는 안됐다. 제작진은 광고 촬영을 위해 붉은 광장을 통째로 비워서 촬영을 하고, 배우들도 세대 갈등을 통해 당시 러시아인들의 혼란을 최대한 표현하려 했다. 다비샤이어는 고르바초프가 촬영 당일 약속시간보다 늦게 도착했지만, 그럼에도 미국에서 온 촬영진들에게 추수감사절에 고생한다면서 직접 피자를 나눠주는 등 인간적인 면모를 보여주었다고 회고했다.(출처) 워싱턴 포스트
피자헛 광고는 촬영 당시나 오늘날까지도 자주 화제에 오르거나 풍자의 대상이 되지만 고르바초프 본인은 나중에 인터뷰에서 맘에 든다고 인정했다. TV 방영 버전 고화질 풀버전 어찌보면 소련 지도자 시절 고르바초프의 행보를 요약한 광고라 할 수 있지만, 얄궂게도 그가 세상을 떠나기 전인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터지자 서방의 반발로 인해 피자헛도 러시아에서 철수하면서 그는 러시아 피자헛의 시작과 끝을 지켜봐야 했다.



  • 이오시프 스탈린화성인과 싸운다는 정신나간 게임. <스탈린 VS 마샨>의 OST 중에는 러시아에 자유를 가져온 그를 찬양하는 헤비메탈 곡이 삽입되어 있다.[2]

  • 고르바초프의 이름을 딴 보드카도 있다. 사실 정치인 고르바초프와는 관계없이 레온토비치 고르바초프(Leontowitsch Gorbatschow)라는 러시아의 귀족이 러시아 혁명을 피해 외국으로 망명을 가서 1921년부터 생산하기 시작한 것. 러시아산일 것 같지만 실제로는 베를린, 독일산 보드카이다. 베를린에서는 마트나 24시간 매점 등에서 9유로 정도에 700ml 풀 보틀과 미니어처를 흔하 사먹을 수 있다. 홈페이지를 들어가면 마치 러시아에서 생산할 것 같은 분위기지만 실상은 독일산.

  • 24세 때의 고르바초프의 사진. 흔히 아는 이미지와 달리 젊은 시절에는 뚜렷한 이목구비와 각도 있는 얼굴을 가진 미남이었다. 게다가 비만을 매우 싫어하여 항상 다이어트를 하여 균형잡힌 몸을 가졌다.


  • 최근에는 릭 왜고너와 초상이 합성되어 밈으로 사용되는 듯 하다.


5. 대중매체에서[편집]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5.1. 영화[편집]


  • 록키 4 - 데이빗 로이드 오스틴이 분했다. 록키 4가 1985년에 나왔으니 사실상 소련 바깥의 매체에서 묘사된 첫번째 고르바초프. 실존인물과 상당히 싱크로율이 높다.

  • 총알탄 사나이(코미디 영화, 1988) - 1편 극초반부에 등장. 카다피, 이디 아민, 호메이니, 아라파트 등 여러 독재자들과 함께 미국을 엿 먹일 계획을 짜고 있었다. 하지만 차 나르는 하인으로 변장해있던 주인공 드레빈 형사에게 신나는 음악과 함께(1분 55초부터) 머리의 모반(북베트남 모양이다.)이 지워지고(드레빈 왈, "이럴 줄 알았어!") 벽에 처박혀 친구들과 함께 사이좋게 리타이어. 정신나간 코미디 영화 도입부다운 등장과 퇴장이었다.

  • 굿바이 레닌에서 자료화면으로 자주 등장하며, 크리스티안네가 사회주의 애국공로자 자격으로 고르바초프를 만날 수 있었지만 높은 사람들 사이에 있는게 부담스럽다고 리셉션 장소에 불참해서 약간 아쉬워하는 대사가 있다.

  • 타인의 삶에서 라즐로 작전 종료 직후 그루비츠가 비즐러에게 이제 끝장이라고 통보하기 직전 그루비츠가 읽고 있던 신문 1면에 고르바초프가 소련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장에 선출되었다는 기사를 싣고 있다. 하지만 왓챠판 자막에서는 1985년엔 있지도 않은 소련 대통령에 고르바초프가 당선됐다고 엉망으로 번역했다.


  • 테트리스(영화)(2023) - 매튜 마시가 분했다. 비중이 크진 않지만 초반부터 악역으로 나오는 로버트 맥스웰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언급되다가, 영화 최후반부에서 주인공을 간접적으로 돕는 역할로 나온다. 고르바초프 사후 처음으로 고르바초프가 등장하는 영화이다. 다만 영화 촬영 시기는 고르바초프가 생존해 있던 시기였다.

5.2. 게임[편집]


  • '고르비의 파이프라인 대작전' - 뿌요뿌요 시리즈로 유명했던 컴파일의 게임. 니이타니 마사미츠에 의하면 파이프라인을 잇는 게임 컨셉을 보고 일본이 소련과 파이프로 이어지면 재밌겠다고 생각해 그런 제목을 붙여줬다고 한다. 당시 페레스트로이카로 주목을 받고있던 고르비를 주인공으로 일본에서 모스크바까지 파이프라인을 연결한다는 스토리의 낙하물 퍼즐 게임. MSX와 패미콤(도쿠마 쇼텐 발매), FM-Towns로 발매되었다. MSX2판 영상 패미컴판의 경우 누군가가 고르바초프만 김정일로 바꾼 해킹롬도 만들어놓았다. 아마 중화권 업자의 불법복제보단 일본쪽 해커가 풍자목적으로 만든것으로 보인다. 후일 온라인 레트로 콘솔게임 서비스 등지에서 재발매될때 민감할수도 있는지 고르바초프에 대한 언급을 전부 삭제한 그냥 '파이프라인 대작전'이라는 제목으로 재판매되는 모양이다.


  • 크레믈린의 위기(게임) - 고르바초프를 주인공으로 소련을 이끌어 갈 수 있다. 1992년 원작에서는 산전수전 다 겪으면서도 높은 지지율로 2017년 최종 엔딩까지 장기 집권이 가능하지만 2017년 리메이크작에서는 급격히 개혁했다가는 지지율이 떨어지고 정치적 안정성이 깎여나가 바닥을 기면서 쿠데타로 쫓겨나거나, 의회에서 다수를 차지하더라도 정책에 불만을 가지는 보수주의자 혹은 자유주의자들의 대대적인 시위로 쫓겨나거나, 선거에서 패배해 사임하면서 게임 오버되기 십상이다.

  •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콜드 워 - 이 게임의 캠페인에서 단역으로 등장한다. 서기장이 되기 이전인 1981년이 배경이라 그냥 정치국원으로서 KGB 본부에서 회의를 열고 있는 모습이 나온다. 다만 한국어판에선 서기장으로 오역되었다. 아이러니한 것은 나중에 냉전을 종식시키고 동유럽에 대한 소련의 내정 간섭을 끝내는 그가 소련과 러시아의 패권을 위해서 온갖 대형사고를 치는 인물을 플레이어에게 소개한다.

  • 하츠 오브 아이언 4 - 이 게임의 모드인 The New Order: Last Days of Europe에서는 모스코비엔 국가판무관부의 외무장관으로 등장했었다. 지금은 모스코비엔 붕괴 이후 생겨나는 러시아 민주주의 위원회로 등장한다. 냉전모드(cold war)에서는 1985년중에 지도자로 등장한다.


5.3. 기타[편집]





  • 하우스 오브 사담 2화에서 걸프전쟁 직전 사담 후세인이 소련이 이라크를 지원할 것이라는 정신승리를 시전하면서 타리크 아지즈에게 고르바초프의 지지를 받아오라고 쪼아댄다. 하지만 역사대로 자기 코가 석자인 소련은 개입하지 못하고 이라크는 신명나게 미군에게 털린다.

  • 체르노빌(드라마) - 실화바탕. 서기장으로 등장한다. 배우는 스웨덴계 배우인 다비드 덴시크(David Dencik). 레가소프 교수의 경고에 제법 귀를 기울이는 몇 안 되는 인물이지만, 마냥 긍정적으로 나오지만은 않는다. 초면에 격앙된 어조로 말을 내뱉는 레가소프나 그런 레가소프를 얕잡아보는 셰르비나를 직위와 위엄으로 누르는 장면, 48시간에서 72시간 내로 러시아와 유럽 대륙의 절반이 파괴될 거란 보고를 듣고 충격 받는 모습, 레가소프가 빈정거리자 전화를 끊어버리는 모습 등이 나온다. 에필로그에선 실제 고르바초프가 2006년에 체르노빌 사건에 대해 남긴 글이 나온다.

  • 풀 메탈 패닉! - 고르바초프가 죽으면서 소련의 탈공산화가 실패하여 소련이 남아있게 된다는 냉전 지속 시나리오가 기본 설정으로써 나온다. 상당히 가능한 이야기다.

  • The World of Difference (해리 터틀도브의 대체역사소설) - 태양계의 4행성이 상당히 커서 대기가 있으며, 푸른 별이라고 해서 미네르바라 불리는 화성에는 생명체가 문명을 이루고 산다는 설정인데, 여기서는 고르바초프가 취임 후 9개월 만에 뇌졸중으로 사망해서 스탈린주의화 된 소련이 나온다. 극중 소련 우주비행사들의 대사로 봐서는 고르바초프의 사망은 함부로 말하면 안 된다는 설정.


6.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소련 공산당|
]]
195? - 1991입당
정계 입문

[[무소속|
무소속
]]
1991 - 2022해산[3]
사망


7. 둘러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상징국기 · 국장 · 국호 · 노동자 마르세예즈 · 인터내셔널가 · 소련 찬가 · 낫과 망치 · 붉은 별
정치정치 전반 · 소련 공산당 · 소련 공산당대회 · 크렘린 · 레닌 영묘 · 최고회의 · 소련 장관회의 · 헌법
블라디미르 레닌 · 이오시프 스탈린 · 니키타 흐루쇼프 ·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 유리 안드로포프 · 콘스탄틴 체르넨코 · 미하일 고르바초프
최고지도자(서기장) · 국가수반 · 대통령
군사소련군(장비 · 소련 육군 · 소련 해군 · 소련 공군 · 소련 방공군 · 소련 전략로켓군) · 스타프카 · 소련 국방장관 · 스페츠나츠 · 정치장교 · 바르샤바 조약기구 · 열병식
소련의 핵개발(RDS-1 · 차르 봄바 · 세미팔라틴스크) · 소련군 vs 미군 · 소련군 vs 자위대 · 대외전쟁
치안소련경찰(Милиция) · 소련 내무군 · 비밀경찰(체카(펠릭스 제르진스키) · NKVD · KGB
경제경제 · 경제사 · 소련 루블 ·
인문민족 · 언어 · 종교
역사역사 · 러시아 혁명 · 러시아 내전 · 신경제정책 · 대숙청 · 독소 폴란드 점령(카틴 학살) · 대조국전쟁 · 냉전(6.25 전쟁 · 스푸트니크 쇼크 · 쿠바 미사일 위기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 1980 모스크바 올림픽 ·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 소련 존속 여부 국민투표 · 8월 쿠데타 · 소련 붕괴
외교외교 · 미소관계 · 소련-유고슬라비아 관계(티토-스탈린 결별) · 중소관계(중국-소련 국경분쟁 · 중소결렬) · 독소관계(독소 불가침조약) · 독러관계 · 북소관계 · 한소관계 · 소련-대만 관계 · 친소 · 소비에트 제국 · 브레즈네프 독트린
문화문화 · 사회주의 리얼리즘 · 사미즈다트
막심 고리키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미하일 숄로호프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스트루가츠키 형제
블라디미르 비소츠키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 드미트리 카발레프스키 · 아람 하차투리안 · DDT(밴드) · 키노
소련 요리
우주콘스탄틴 치올코프스키 · 세르게이 코롤료프 · 블라디미르 첼로메이 · 유리 가가린 · 발렌티나 테레시코바 · 알렉세이 레오노프
스푸트니크 · 소유즈 우주선 · 보스토크 계획 · 보스호드 계획 · 살류트 프로그램 · 미르 우주정거장
바이코누르 우주기지 · 소유즈-아폴로 테스트 프로젝트



}}}
[ 펼치기 · 접기 ]
생애생애
가족아버지 세르게이 안드레예비치 고르바초프 · 어머니 마리야 판텔레예브나 고르바초바 · 아내 라이사 막시모브나 고르바초바 · 딸 이리나 미하일로브나 비르간스카야
관련 인물블라디미르 레닌 · 보리스 옐친
평가평가
사건 · 사고마티아스 루스트 사건 · 8월 쿠데타 · 소련 붕괴
관련 전쟁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1979~1989),
정책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기타전략무기감축협정 · 주권국가연맹
파일:빨간색 깃발.svg 사회주의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1 21:25:36에 나무위키 미하일 고르바초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989년 최고회의 상무회(Президиум) 주석에서 최고회의 주석으로 전환되었다.[2] 뮤직비디오 맨 마지막에 하늘에서 코카콜라와 함께 떨어지는 노란색 덩어리는 트윙키라 불리는 일종의 크림빵인데 굉장히 달고 기름진 걸로 유명하다. 한 번 단종된 적이 있었으나, 인수합병을 거쳐 다시 생산되기 시작했다.[3] 소련 해체와 함께 정당 해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