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크레딧

덤프버전 : (♥ 0)

UniCredit S.p.A.
파일:유니크레딧 로고.svg
본사 소재지이탈리아 밀라노
설립연도1998년
업종명상업은행, 투자은행
기업규모대기업
상장시장밀라노 증권거래소
프랑크푸르트 증권거래소
바르샤바 증권거래소
주식코드BIT : UCG
FWB : CRI
WSE : UCG
홈페이지

1. 개요
2. 역사
3. 여담
4. 둘러보기

파일:800px-UniTower,_Italy.png
밀라노에 위치한 글로벌 본사 유니크레딧 타워.


1. 개요[편집]


이탈리아 최대의 글로벌 금융서비스 그룹.
유니크레딧 금융그룹은 이탈리아 밀라노에 본사를 두고 유럽지역에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이탈리아 최대 은행이다. 소매금융, 기업금융 및 투자업무, 리스금융/보험 등의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며 전 세계적으로 1만개가 넘는 지점과 16만여 명의 직원을 거느린 글로벌 대형 은행이며 특히 이탈리아, 독일 외에도 동유럽을 관할하는 오스트리아 은행을 중심으로 동유럽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데, 동유럽 19개국에 진출했고 폴란드에서만 1030개의 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2. 역사[편집]


1998년 - '유니크레디토'와 '크레디토 이탈리아노'가 합병, 유니크레딧 설립
2005년 - 독일의 'HVB그룹' 인수
2007년 - '캐피탈리아'를 295억달러에 인수, 인수 당시 시가총액 기준 유럽 2위 은행이자 세계 5위 은행으로 등극[1]

이탈리아 국책은행이었던 크레디토이탈리아노가 1993년 민영화된 후 1998년 9개 이탈리아 은행들과 합병해 탄생한 유니크레딧은 이후 독일의 HVB그룹과 이탈리아 3대은행 중 하나였던 캐피탈리아그룹을 흡수하면서 세계적인 은행으로 거듭났다.

3. 여담[편집]


  • UEFA 챔피언스 리그 공식 후원사(~ 2017/18 시즌)
  • UEFA 유로파 리그 공식 후원사(2018/19 시즌 ~)
  • 아시아 지역에서는 일본, 중국, 홍콩, 싱가포르등에 지점이 있으며 한국에는 서울에 출장소가 소재하며 기업은행과 MOU를 맺는 등 기업금융 중심으로 유럽 기업들과의 여신거래를 담당한다.
  • 보유 자산 기준 세계 28위[2], 점유율 기준 이탈리아에서 인테사 산파올로에 이은 2위 은행이다.


4. 둘러보기[편집]



대한민국은행
[ 펼치기 · 접기 ]

중앙은행
파일:한국은행 행표 및 CI.svg[[파일:한국은행 행표 및 CI (로고 흰색).svg
국내은행
국책은행{-3 [[파일:한국산업은행 CI.svg[[파일:한국산업은행 CI 화이트.svg | {-3 [[파일:중소기업은행 로고.svg[[파일:중소기업은행 로고 화이트.svg | {-3 [[파일:한국수출입은행 로고.svg[[파일:한국수출입은행 로고 화이트.svg
특수은행{-3 [[파일:수협은행 로고.svg}}} | {-3 [[파일:NH농협은행 로고.svg}}}
시중은행{-3 [[파일:KB국민은행 로고.svg[[파일:KB국민은행 로고 화이트.svg | {-3 [[파일:우리은행 CI.svg[[파일:우리은행 CI 화이트.svg | {-3 [[파일:SC제일은행 로고.svg[[파일:SC제일은행 로고 화이트.svg | {-3 [[파일:씨티은행 로고.svg[[파일:씨티은행 로고 화이트.svg | {-3 [[파일:iM뱅크 CI.png[[파일:iM뱅크 CI 화이트.png | {-3 [[파일:하나은행 로고.svg[[파일:하나은행 로고 화이트.svg | {-3 [[파일:신한은행 베이직 로고.svg[[파일:신한은행 베이직 로고 (흰색).svg
지방은행{-3 [[파일:BNK부산은행 로고.svg[[파일:BNK부산은행 로고 화이트.svg | {-3 [[파일:광주은행 로고.svg[[파일:광주은행 로고 화이트.svg | {-3 [[파일:제주은행 베이직 로고.svg[[파일:제주은행 베이직 로고 (흰색).svg | {-3 [[파일:전북은행 로고.svg[[파일:전북은행 로고 화이트.svg | {-3 [[파일:BNK경남은행 로고.svg[[파일:BNK경남은행 로고 화이트.svg
인터넷전문은행{-3 [[파일:케이뱅크 로고.svg[[파일:케이뱅크 로고 화이트.svg | {-3 [[파일:카카오뱅크 로고.svg[[파일:카카오뱅크 로고 화이트.svg | {-3 [[파일:토스뱅크 로고.svg[[파일:토스 뱅크 정식 로고 (흰색 글자, 2022).svg
외국은행의 국내지점
ta-hash-start=w-5f8a5b5376c3e4cab0937530d2ad8c32[[파일:모건 스탠리 로고.svg | ta-hash-start=w-6cd29f23de85b1309128ff736c7efbf6[[파일:HSBC 로고.svg | ta-hash-start=w-e2d1a6e73522ced82377206f4ac503de[[파일:도이체방크 로고(1973-2009).svg | ta-hash-start=w-4d9ecb9a78d3008fe4691c3335557603[[파일:체이스 뱅크 로고.svg | ta-hash-start=w-d92871c9c3bdac4f3a6fb4458ca07c9a[[파일:미즈호 은행 로고.svg | ta-hash-start=w-0108c35749d6c8cdae8dde56d5f3640c[[파일:미쓰비시 UFJ 은행 로고.svg | ta-hash-start=w-dd071771d8f3b83410c2088e0ca9cabc[[파일:미쓰이스미토모은행 로고.svg | ta-hash-start=w-440f6c8cff231324ef7b29d63926de7e[[파일:뱅크 오브 아메리카 로고.svg | ta-hash-start=w-0c958f74bcd824f4a60d82201a845fa6[[파일:BNP 파리바 로고.svg
ta-hash-start=w-4e6934f77e86b8c41a52f986de47181f[[파일:유니크레딧 로고.svg | ta-hash-start=w-068e0e8e4c66e57d8403b2205b75ca60[[파일:중국공상은행 로고.svg | ta-hash-start=w-be8f254ef25c5a40ac8b395ed4fc6033[[파일:중국은행 로고.svg | ta-hash-start=w-c155f384ff0dfcc033e57d8e208473f3[[파일:중국광대은행 로고.svg | ta-hash-start=w-3c11b06a39962827e21ddff5932f5262[[파일:대화은행 로고.svg | ta-hash-start=w-dede50edb8b93861a5e628dc10f1bade[[파일:교통은행 로고.svg | ta-hash-start=w-2d48dc37435b338396739948524ccee8[[파일:중국농업은행 로고.svg | ta-hash-start=w-262a594f6dabd24d027fce7061969122[[파일:중국건설은행 로고.svg | ta-hash-start=w-0c9aecd2692cfe28067bb0eba9ae409a[[파일:BNI 로고.svg | ta-hash-start=w-e626afbcdb83368b3491c0c473da19f1[[파일:스테이트 뱅크 오브 인디아 로고.svg
ta-hash-start=w-ac19bbda7b948461cea06823e706ffb9[[파일:ING(기업) 로고.svg
⊛ : 소매금융 미취급 은행
(지로코드순 정렬)
같이 보기: 대한민국의 비은행예금취급기관 | 대한민국의 증권사 | 대한민국의 사라진 은행 | 각 은행의 코드 보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18:38:00에 나무위키 유니크레딧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