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Mid-Season Invitational/결승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2023 Mid-Season Invitational/브래킷 스테이지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2023 Mid-Season Invitational

}}} ||

[ 펼치기 · 접기 ]



}}} ||


1. 개요
2. 경기 전 정보
2.1. 관련 영상
3. 경기 전망
3.1. 시즌 데이터
3.2. 이모저모
3.3. 전문가 예상
4. 오프닝 세리머니
5. 경기 내용
5.1. 1세트
5.2. 2세트
5.3. 3세트
5.4. 4세트
6. 총평
7. 여담


1. 개요[편집]



파일:Mid-Season Invitational 로고.svg 중계진
캐스터
해설자
전용준
이현우
임주완

파일:Mid-Season Invitational 로고.svg 분석데스크
아나운서
분석가
윤수빈
강형우
고수진
신동진

2023년 5월 21일에 열리는 2023 Mid-Season Invitational의 결승전. 상위권 결승 승자 JDG Intel Esports Club하위권 결승 승자 Bilibili Gaming Pingan Bank가 대결을 펼친다.


2. 경기 전 정보[편집]


  • 하위권 브래킷에서 BLG에게 LCK 이 차례로 격파당하면서 사상 처음으로 LoL e스포츠 메이저 국제 대회의 결승이 LPL의 내전으로 치러진다. 또한 이것은 2019 월즈 이후로 4년만에 LCK 없는 LoL e스포츠 메이저 국제 대회의 결승이다.

  • 징동과 BLG는 2023 스프링에서 두 번, 그리고 결승전을 포함하여 MSI에서 두 번, 2023년에만 총 4번의 다전제를 치르게 되었다. 이전까지 전적은 징동이 3승 0패를 기록해 우위를 보이고 있으며, 스코어도 플레이오프 4라운드 3:2, 스프링 결승 3:1, MSI 승자조 2라운드 3:0으로 스코어 상으로는 징동이 BLG를 압도하고 있다는 점이 징동에게 웃어주는 점이다.

  • 그러나 직전 LCK 스프링 결승전에서도 매치 전적 3패의 젠지가 KT와의 최종 결승 진출전 끝에 각성하여 결승전에서 T1을 꺾은 것처럼, BLG도 이렇게 하지 못하리라는 법이 없다. BLG는 MSI 대회 초반에는 팀 전체가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다가 젠지-T1을 연이어 꺾으며 경기력에 제대로 물이 올랐다는 평을 받고 있기 때문에 기세를 타고서 징동에게까지도 업셋을 이루어 낼 수도 있다.

  • 전국 CGV 15개관에서 결승전 중계를 실시간으로 상영할 예정이었다. 아무래도 LCK 팀 중 하나는 결승에 가리라고 사전에 기대하고 편성한 일정이겠지만, LCK 없는 LPL 팀 간의 결승 경기를 한국에서 직관할 니즈는 극히 떨어지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일정이 변경될 가능성도 있었고 일단 LCK 측에 의하면 CGV 측에서 LCK 팀 진출여부와 관계없이 중계 상영은 예정대로 할 것이라고 단서 조항을 두긴 했지만, 결국 모든 상영관의 대관이 취소되었다.

2.1. 관련 영상[편집]


2023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 결승 티저




3. 경기 전망[편집]



3.1. 시즌 데이터[편집]


팀별 데이터[1]
JDG
파일:Mid-Season Invitational 로고.svg
BLG
매치 1승
세트 3승 0패

상대전적
매치 1패
세트 0승 3패
29:55
평균 경기 시간
34:15
1.82
K/D
1.18
+235
분당 골드 차이
+89
+746
15분 골드 차이
+850
72.7%
선취점 획득률
70.6%
54.5%
선취포탑 획득률
47.1%
0.73
첫 드래곤 획득
1.06
31.8%
협곡의 전령 획득률
52.9%
2.55
경기당 드래곤 처치
2.88
62.7%
드래곤 획득률
61.3%
81.5%
내셔남작 획득률
62.7%

파일:Mid-Season Invitational 로고.svg 2023 MSI 브래킷 스테이지 밴픽률
순위
챔피언 (가나다 순)
밴픽률 (횟수)
승률 (선택 횟수)
1
크산테
100% (47)
57.1% (21)
2
애니
95.7% (45)
52.9% (17)
3
마오카이 / 바이
93.6% (44)
57.1% (14) / 55.6% (9)
5
노틸러스 / 룰루
87.2% (41)
50% (16) / 56.5% (23)
7
아펠리오스
78.7% (37)
35.5% (31)
8
징크스
76.6% (36)
63.3% (30)
9
라칸 / 아리
74.5% (35)
58.8% (17) / 50% (16)


3.2. 이모저모[편집]


  • LoL e스포츠 메이저 국제대회 역사상 최초의 LPL 결승 내전이 성사되었다.
  • 징동과 BLG 두 팀 모두 국제 대회의 결승에 진출한 적이 없으며, 이번이 첫 결승이다.
  • BLG는 역대 MSI 플레이-인 스테이지 시작 팀 중 최초로 결승에 진출하였다.[2]
  • 우승 팀은 EDG, RNG에 이어 MSI를 우승한 LPL의 세 번째 팀이 된다.
  • 5월 19일, 하위권 3라운드 경기 종료 후 빈은 SNS를 통해 젠지를 3:0으로, T1을 3:1로, 그리고 징동을 3:2로 이기고 우승하겠다는 메세지를 남겼고 그 말대로 젠지를 3:0, T1을 3:1로 승리하였는데 과연 저 말대로 이루어질지 관심거리다.

아래는 각 팀별 우승 시 얻게 되는 기록들에 대한 서술이다.

JDG가 우승할 시
* 2017 MSI 이후 6년 만에 한국인이 소속된 팀이 우승하게 된다.
* 만일 징동이 3:0 승리에 성공할 경우, 대회 내 단 2패만 기록하고 우승하게 되어 역대 MSI 우승팀 중 최소 패배로 우승하게 되며 3:1로 승리 하면 이전의 기록과 타이를 이루게 된다.[3]
* '룰러' 박재혁, 데프트에 이은 MSI와 월즈 우승 경력이 있는 세 번째 바텀 라이너가 된다. 커리어 내에서 스프링-서머-MSI-월즈를 모두 우승해본 세 번째 원거리 딜러가 되는 것이기도 하다.
* '옴므' 윤성영 감독은 '켄주' 주카이 現 EDG 코치에 이어 두 개의 다른 팀에서 국제대회를 우승한 유이한 코칭스태프이자[4][프런트] 최병훈, 김정균, 주카이와 더불어 MSI와 월즈를 모두 우승한 경력이 있는 코칭스태프가 된다.
* 선수 전원 MSI 로얄로더가 된다.[5]

BLG가 우승할 시
* 역대 MSI 최초로 플레이-인 스테이지 시작 팀의 우승을 달성한다.[6]
* '빈' 천쩌빈은 2회 연속 MSI 우승에 소속팀을 바꿔가며 MSI를 우승한 경력[7][8]이 있는 최초의 선수가 된다.
* 마찬가지로 '타베' 웡박칸 감독 또한 '켄주' 주카이 現 EDG 코치에 이어 두 개의 다른 팀에서 국제대회를 우승한 유이한 코칭스태프이자[9][프런트] 유일한 MSI 3회 연속 우승 코칭스태프가 된다.[10] 단일 국제대회 3회 연속 우승자로 따지면 LoL e스포츠에서 유일하다.
* 빈을 제외한 선수 전원 MSI 로얄로더가 된다.


3.3. 전문가 예상[편집]


파일:Mid-Season Invitational 로고.svg 2023 MSI 결승전
전문가 승부 예측

이현우
정노철
임주완
고수진
강형우
신동진
허승훈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 심플 화이트.svg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 심플 화이트.svg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 심플 화이트.svg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 심플 화이트.svg
3:1
3:2
3:2
3:1
3:1
3:1
3:2
BLG가 LCK를 썰어버리고 온 기세에 어느 정도 가산점을 줬는지 4:3의 호각이지만 BLG의 승리를 예측하는 쪽이 많았다.

4. 오프닝 세리머니[편집]






5. 경기 내용[편집]



파일:Mid-Season_Invitational_2023.png
2023 Mid-Season Invitational 결승
2023년 05월 21일 일요일 20:00(KST)

코퍼 박스 아레나
(영국, 런던)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3
1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svg
JDG Intel Esports Club
Bilibili Gaming Pingan Bank

×


-
×

×
×
-
우승
결과
준우승

파일:MSI_2023_FINAL.jpg


파일:원플러스 로고 블랙.svg MVP

파일:MSI_2023_OnePlus_MVP.png

줘딩
(knight)


파일:Mid-Season Invitational 로고.svg 결승전 Player of the Game
1세트
2세트
3세트
4세트
서진혁
(Kanavi)

러원쥔
(ON)

서진혁
(Kanavi)

[×]






5.1. 1세트[편집]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JDG Intel Esports Club, redteam=Bilibili Gaming Pingan Bank
, d_blueban1=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2=바이(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3=그웬(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4=피오라(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5=나르(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ban1=lucian, p_blueban2=vi, p_blueban3=gwen, p_blueban4=fiora, p_blueban5=gnar
, d_redban1=크산테, d_redban2=애니(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3=아리(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4=사일러스, d_redban5=세주아니
, p_redban1=ksante, p_redban2=annie, p_redban3=ahri, p_redban4=sylas, p_redban5=sejuani
, d_bluepic1=그라가스, d_bluepic2=노틸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3=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4=징크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5=라칸(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gragas, p_bluepic2=nautilus, p_bluepic3=jayce, p_bluepic4=jinx, p_bluepic5=rakan
, d_redpic1=잭스(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2=마오카이, d_redpic3=신드라, d_redpic4=아펠리오스, d_redpic5=룰루(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jax, p_redpic2=maokai, p_redpic3=syndra, p_redpic4=aphelios, p_redpic5=lulu)]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인게임
, bteam=JDG, bresult=WIN, rteam=BLG, rresult=LOSS, time=25:55
, bkill=13, bdeath=4, bassist=25, rkill=4, rdeath=13, rassist=8
, bgold=49.9, bturret=7, bherald=1, bbaron=0, belder=0
, rgold=40.7, rturret=1, rherald=1, rbaron=0, relder=0)]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
, bluedragon1=Cloud, bluedragon2=Cloud
, bluedragon3=, bluesoul=
, reddragon1=Chemtech, reddragon2=Mountain
, reddragon3=, redsoul=)]





파일:20230521_JDG 1 : 0 BLG.png

징동이 제이스-그라가스-노틸러스로 스왑 심리전을 걸었고, 이에 BLG는 야가오의 신드라에 이어 빈의 잭스로 강력한 조합을 구성한다. 그러자 징동이 탑 그라가스-미드 제이스-정글 노틸러스로 돌리며 게임의 매운 맛을 예고한다.

징동이 BLG 상대로 25분 만에 압도적으로 관광을 보내버리면서 1세트를 선취했다. 특히 BLG의 승리 공식중 하나였던 빈의 잭스가 369의 그라가스에게 완전히 묶여버리는 바람에 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제대로 썩어버렸고, 나머지 캐리 라인인 엘크도 룰러 상대로 챔피언 상성을 감안해도 제대로 닦여서 무력하게 쓸려나가기에 바빴다. 그리고 LCK 팀들과의 연전에서는 대놓고 드러나진 않았지만 야가오의 좋지 않은 폼이 나이트 상대로 제대로 터져버리는 바람에 메이킹 챔피언인 신드라를 들고도 제이스 상대로 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밀려버렸다.

징동이 전 라인 차이로 압승하긴 했지만, 정글 노틸러스라는 조커픽을 완벽히 다룬 카나비와 미드 제이스의 위력을 제대로 보여준 나이트의 슈퍼캐리가 특히 빛났던 판. 물론 기세가 오를 대로 오른 엘크를 냉혹하게 서열정리해버리는 룰러의 퍼포먼스도 인상적이었다.


5.2. 2세트[편집]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Bilibili Gaming Pingan Bank, redteam=JDG Intel Esports Club
, d_blueban1=크산테, d_blueban2=그라가스, d_blueban3=아리(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4=아펠리오스, d_blueban5=제리(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ban1=ksante, p_blueban2=gragas, p_blueban3=ahri, p_blueban4=aphelios, p_blueban5=zeri
, d_redban1=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2=바이(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3=케넨, d_redban4=카직스, d_redban5=노틸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ban1=lucian, p_redban2=vi, p_redban3=kennen, p_redban4=khazix, p_redban5=nautilus
, d_bluepic1=그웬(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2=마오카이, d_bluepic3=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4=징크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5=라칸(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gwen, p_bluepic2=maokai, p_bluepic3=jayce, p_bluepic4=jinx, p_bluepic5=rakan
, d_redpic1=사이온, d_redpic2=오공(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3=애니(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4=자야(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5=룰루(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sion, p_redpic2=wukong, p_redpic3=annie, p_redpic4=xayah, p_redpic5=lulu)]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인게임
, bteam=BLG, bresult=WIN, rteam=JDG, rresult=LOSS, time=31:12
, bkill=16, bdeath=11, bassist=41, rkill=11, rdeath=16, rassist=22
, bgold=63.6, bturret=10, bherald=1, bbaron=1, belder=0
, rgold=54.0, rturret=1, rherald=1, rbaron=0, relder=0)]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
, bluedragon1=Ocean, bluedragon2=Infernal
, bluedragon3=Infernal, bluesoul=Infernal
, reddragon1=Chemtech, reddragon2=
, reddragon3=, redsoul=)]





파일:20230521_JDG 1 : 1 BLG.png

마오카이, 애니 등이 모조리 풀려있음에도 BLG는 젠지와 T1을 때려잡았던 징크스를 선픽으로 가져가며 징크스의 높은 티어를 증명했다. 징동은 자연스럽게 애니를 픽하고, 애니에 힘을 싣기 위함인지 마오카이 대신 오공을 택한다. 징동은 3픽에서 룰루를 먼저 뽑았고 BLG가 룰루를 의식해 아펠리오스와 제리를 밴하자 징동은 자야를 선택해 좀처럼 보기 힘들었던 자야+룰루 조합을 완성한다. 그리고 야가오도 미드 제이스를 픽하며 제이스가 메타챔임을 보여준다.

야가오가 나이트를 상대로 제대로 미드 차이를 내며 머리 위 티버로 징크스를 위협하는 전략을 틀어막았고, 완전 망한 줄 알았던 빈이 한 차례 다이브를 흘려내더니 4용 한타에서 진영이 갈린 것을 틈타 룰러를 암살하는 슈퍼플레이를 선보이며 한타를 압승했다. 최종적으로 팀 딜량 1위를 기록하며 그웬 선픽의 이유를 입증한 셈.

징동은 징크스를 내준 대신 마오카이까지 거르고 원딜을 물어죽이기 좋은 애니 + 오공 조합을 완성했으나, 애니가 라인전에서 망하며 1차적으로 어그러졌고, BLG가 바론을 먹은 직후 5:4 다이브에서 징크스의 화력에 두 명이 희생당하며 징동과 룰러조차 징크스를 막을 수 없다는 사실만 보여주고 말았다.

5.3. 3세트[편집]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JDG Intel Esports Club, redteam=Bilibili Gaming Pingan Bank
, d_blueban1=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2=바이(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3=그웬(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4=킨드레드, d_blueban5=아펠리오스
, p_blueban1=lucian, p_blueban2=vi, p_blueban3=gwen, p_blueban4=kindred, p_blueban5=aphelios
, d_redban1=크산테, d_redban2=오공(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3=징크스(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4=그라가스, d_redban5=마오카이
, p_redban1=ksante, p_redban2=wukong, p_redban3=jinx, p_redban4=gragas, p_redban5=maokai
, d_bluepic1=사이온, d_bluepic2=세주아니, d_bluepic3=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4=제리(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5=라칸(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sion, p_bluepic2=sejuani, p_bluepic3=jayce, p_bluepic4=zeri, p_bluepic5=rakan
, d_redpic1=케넨, d_redpic2=카직스, d_redpic3=애니(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4=베인(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5=룰루(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kennen, p_redpic2=khazix, p_redpic3=annie, p_redpic4=vayne, p_redpic5=lulu)]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인게임
, bteam=JDG, bresult=WIN, rteam=BLG, rresult=LOSS, time=23:52
, bkill=12, bdeath=3, bassist=23, rkill=3, rdeath=12, rassist=4
, bgold=50.8, bturret=10, bherald=2, bbaron=1, belder=0
, rgold=37.0, rturret=0, rherald=0, rbaron=0, relder=0)]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
, bluedragon1=Hextech, bluedragon2=Cloud
, bluedragon3=Mountain, bluesoul=
, reddragon1=, reddragon2=
, reddragon3=, redsoul=)]





파일:20230521_JDG 2 : 1 BLG.png

징동이 다시 블루로 돌아가면서 그웬을 밴하고 제이스 선픽을 박았으며, BLG에서는 슈퍼 OP인 징크스를 밴하고 애니를 택한다. 룰러의 제리가 나오자 엘크는 무려 막픽 베인으로 응수한다.

인베이드 단계에서 BLG의 엘크와 JDG의 미씽이 서로 Team WE 인장을 주고 받는 모습을 보여준다.[11]

라인전부터 룰러의 제리가 킬을 먹고 크기 시작하며 라인 클리어 능력이 답이 없는 베인의 단점만 부각되었고, 베인이 수도 없이 공격을 해도 아무도 죽지 않는 안타까운 장면만 연출되었다. 또한 제이스를 집은 나이트가 카나비와 함께 게임을 또 박살내버리며 매우 강력한 픽임이 밝혀졌다. 결과적으로 1세트보다도 빠른 23분 만에 게임을 끝내버렸다.

여담으로 오늘 제이스는 미드로만 3번 나와서 전승을 기록했으며, 이전까지 자주 나오던 애니는 제이스와의 맞대결에서 2전 2패로 완전히 박살나버렸다.

5.4. 4세트[편집]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Bilibili Gaming Pingan Bank, redteam=JDG Intel Esports Club
, d_blueban1=크산테, d_blueban2=오공(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3=제리(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4=탐 켄치, d_blueban5=그라가스
, p_blueban1=ksante, p_blueban2=wukong, p_blueban3=zeri, p_blueban4=tahmKench, p_blueban5=gragas
, d_redban1=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2=그웬(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3=징크스(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4=아리(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5=케넨
, p_redban1=lucian, p_redban2=gwen, p_redban3=jinx, p_redban4=ahri, p_redban5=kennen
, d_bluepic1=나르(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2=바이(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3=사일러스, d_bluepic4=자야(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5=라칸(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gnar, p_bluepic2=vi, p_bluepic3=sylas, p_bluepic4=xayah, p_bluepic5=rakan
, d_redpic1=사이온, d_redpic2=마오카이, d_redpic3=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4=아펠리오스, d_redpic5=쓰레쉬
, p_redpic1=sion, p_redpic2=maokai, p_redpic3=jayce, p_redpic4=aphelios, p_redpic5=thresh)]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인게임
, bteam=BLG, bresult=LOSS, rteam=JDG, rresult=WIN, time=22:32
, bkill=1, bdeath=11, bassist=1, rkill=11, rdeath=1, rassist=21
, bgold=37.1, bturret=2, bherald=1, bbaron=0, belder=0
, rgold=46.1, rturret=8, rherald=1, rbaron=1, relder=0)]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
, bluedragon1=Mountain, bluedragon2=
, bluedragon3=, bluesoul=
, reddragon1=Chemtech, reddragon2=Cloud
, reddragon3=, redsoul=)]



전용준: 파일럿이, 파일럿이 문젭니다!

이현우: 롤은 언제나 파일럿이 더 중요한 게임이거든요!

징동이 오늘의 4번째 미드 제이스를 선택하고, 야가오는 T1전 2세트에서 페이커가 한 것과 동일하게 사일러스로 대응한다. 그리고 이는 어마어마한 스노우볼로 굴러가 시작부터 숨도 못쉬고 사일러스가 맞고 다니는 가운데 정글에서도 카나비가 슌을 또 망가뜨려버렸고 결국 압도적 미드-정글 차이로 징동이 BLG를 압살, 22분 만에 킬스코어 11:1로 우주관광을 보내버린다.

6. 총평[편집]



파일:2023 Mid-Season Invitational CHAMPIONS.png

세 번째 이변은 없었다. LCK 팀들을 상대로 압도적인 경기력을 보여주며 결승까지 올라온 BLG는 담당일진 징동을 만나자마자 거짓말같이 순한 양이 되었고, 반대로 징동은 한껏 기세를 타던 슌과 엘크-온을 상대로 카나비와 룰러-미씽이 철저하게 서열정리를 하고 나이트도 제이스를 내준 2세트를 제외하면 시종일관 야가오를 찍어누르며 몇 수는 앞선 듯한 기량으로 BLG를 압살하고 팀 창단 첫 MSI 우승을 거머쥐었다. BLG에서는 언제나처럼 빈만이 그나마 빛났지만 369가 작정하고 탑을 틀어막고 절대 쓰러지지 않으면서 그 활약에 큰 제약이 걸리고 말았다.

6.1. 우승 | JDG Intel Esports Club[편집]



파일:MSI_2023_CHAMPION_JDG.png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3 Mid-Season Invitational/결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LPL의 슈퍼팀 징동이 세간의 예상대로 한 번의 다전제 패배 없이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작년 징동도 롤드컵 4강까지 올라설 정도로 강력한 팀이었고, 약점으로 꼽히던 미드, 원딜에 나이트와 룰러라는 슈퍼 크랙이 합류하자 어마어마한 파괴력을 보여주며 스프링을 석권하고 MSI를 제패했다.

6.2. 준우승 | Bilibili Gaming Pingan Bank[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3 Mid-Season Invitational/결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LCK 팀을 모두 무너뜨리고 호가롭게 올라온 BLG의 여정을 단순 체급차이로 징동에게 완패하며 준우승으로 마무리되었으나, 앞선 패자전에서 드러났듯 파괴적인 변수창출 능력은 2세트에서 징동을 무너뜨릴 정도로 엄청났다.

7. 여담[편집]


  • 이번 결승전의 전승 픽은 제이스였는데, BLG 감독인 타베는 패배 후 "제이스가 중요하다는 걸 시리즈를 거의 지고서야 알았다"고 언급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22:49:38에 나무위키 2023 Mid-Season Invitational/결승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브래킷 스테이지 기준[2] 다만 올해부터 바뀐 대회 방식의 영향은 감안해야 한다.[3] 이전 최소 패배는 2015년 EDG의 3패[4] 2014 삼성 갤럭시 화이트, 2023 JDG Intel[프런트] A B 로스터에 포함되지 않는 프런트로 범위를 넓히면 T1과 DRX에서 월즈를 우승한 최병훈 現 DRX 단장이 포함될 수 있지만 통상 프런트 인원은 로스터에 포함되지 않고 우승자로 기록되지도 않는다.[5] 미싱을 제외한 나머지 선수들은 2020 MSC에 출전한 바가 있으나, MSC는 MSI를 대체하는 대회였을 뿐 그 성격과 위상이 다르게 취급되고 있기에 로얄로더로 보는 게 맞다.[6] 월즈에서는 2022년에 DRX가 달성한 바 있다.[7] 2022년에 RNG 소속으로 MSI를 우승한 경력이 있다.[8] 월즈에서는 2020 월즈(DWG)와 2022 월즈(DRX)를 다른 팀에서 우승한 베릴과 2016 월즈(SKT)와 2018 월즈(IG)를 우승한 듀크가 있다.[9] 2021, 2022 Royal Never Give Up, 2023 Bilibili Gaming[10] 2022 시즌은 감독이 아닌 코치로 참여하였으며 마찬가지로 MSI 2회 우승이 있는 김정균 前 감독 또한 코치로서 우승했다.[×] 미선정[11] 둘은 2021시즌 Team WE에서 봇듀오로 함께 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