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산집요

덤프버전 :

파일:태산집요.jpg

1. 개요
2. 내용
3. 외부 링크


1. 개요[편집]


胎産集要. 조선시대, 15세기 후반~16세기 전반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한국의 의학서. 대한민국 보물로 지정된 언해태산집요와는 다른 책으로, 현재 개인소장가에 소장되어 있다.


2. 내용[편집]


조선 초기 산과(産科) 전문 의학 교과서로, 조선왕조실록경국대전의 내용에 따르면 성종 3년인 1472년보다 이전에 간행되었으며, 이 당시 의과(醫科) 과목의 하나로 채택돼 이후 쭉 의관 교재로 쓰였다. 그러나 훗날 허준이 1608년에 펴낸 언해두창집요(諺解痘瘡集要)의 발문에서는 오랜 세월로 망실(亡失)된 의서로 기록되어 있어 그 사이에 사라진 것으로 추정되어 왔다.

그러다 2016년 11월에 학계에 의해 다시 발견되었다. 400여년만에 책이 다시 발견된 후 확인해본 결과 조선의 7대왕인 세조가 1455년에 만든 금속활자을해자로 찍었으며, 편제와 전체적인 내용이 세조 때 만들어진 의학서 의방유취 권228~229의 산난(産難)과 매우 흡사한 것으로 확인됐다.

의방유취란 과거 조선 세종이 우리나라의 자주적 의학 발전을 위하여 편찬코자 했던 책으로, 세종이 직접 신하들에게 명하여 동아시아 각국의 의학서를 모으게 했으나 그 양이 너무 방대하고 정리가 불가능해 탈고를 하지 못하여 내버려두고 있던 것을 훗날 아들 세조가 12년에 걸쳐 분류 및 편집을 다시 하여 완성토록 한 동양 최대의 의학서적이다.

이 책을 발견한 박훈평 교수는 일본에 소장된 경국대전주해를 통해 이 태산집요의 저자가 조선 전기를 대표하는 유의(儒醫)로 태산집요 외에도 창진집(瘡疹集)과 의방유취(醫方類聚) 등을 간행했던 임원준인 것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세조가 의방유취를 처음 탈고하게 한 후 16세기 전반 사이에 중앙정부 주도로 제작한 을해자본 의학서가 확실해졌다.

태산집요 같은 조선 전기 금속활자본 의학서는 워낙 적게 만들어진 데다 전란을 겪으면서 대부분이 소실돼 매우 희귀한 편이다.

이 책의 원형이라 할 수 있는 의방유취임진왜란 당시 전량 일본으로 유출되어 한국에서는 그 학맥이 끊긴 것으로 여겨져왔다. 이번에 발견된 이 책으로 인해 조선 세조~성종 시기 발전했던 한국의 의술이 파편적으로나마 미약하게 우리나라에서 그 맥을 이어왔음이 증명되었으므로 문화재적 가치가 높다.


3. 외부 링크[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2 07:48:04에 나무위키 태산집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