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렌즈제품

덤프버전 :

분류

1. 개요
2. 역사
3. 종류
3.1. 클렌즈주스
3.2. 클렌즈가루
3.3. 클렌즈환
3.4. 클렌즈캡슐
4. 재료
5. 효과


1. 개요[편집]


과일 및 채소의 원물만을 이용하여 만든 제품으로 일정 기간 음용 및 섭취할 시 체내의 독성물질을 몸 밖으로 배출한다는 개념의 건강식품.


2. 역사[편집]


클렌즈 제품의 역사는 클렌즈주스로부터 시작된다.

2007년 메맷오즈 박사의 저서 <내몸사용설명서>에서 클렌즈주스라는 개념이 첫 등장한 이후, 국내에서도 해당 저서가 베스트셀러가 되며 클렌즈주스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다.

그 후 서재걸 박사가 소개한 해독주스[1] 와 개그맨 권미진의 영향[2]으로 해독주스가 크게 붐을 일으키면서 해독주스 = 클렌즈주스 로 정립되다시피 개념이 모호해졌다.
파일:서재걸.png 파일:권미진.png

2014년 올가니카에서 만든 저스트주스가 큰 히트를 친 이래로 많은 브랜드들이 생겨나 현재는 쉽게 마트나 카페 등지에서 접할 수 있게 되었으며, 현재는 아래 서술할 내용처럼 클렌즈환, 클렌즈가루 등 다양한 종류의 클렌즈 제품군이 등장하였다.

해외에서는 여러 헐리우드 스타들의 파파라치 컷에 클렌즈주스가 찍히면서 유명해지기 시작했으며, 2010년 초반부터 체내 독소제거와 다이어트에 효과적인 제품으로 소개되었다.

현재까지도 레딧 등의 해외 커뮤니티에서는 유저들끼리 자신만의 클렌즈주스 제작법 등을 공유하고 있다.


3. 종류[편집]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클렌즈 제품군을 나열 (22.04.19 최신).


3.1. 클렌즈주스[편집]


물을 포함한 어떠한 첨가물도 넣지 않고 100% 원재료를 열을 가하지 않고 차갑게 눌러 짠(cold-pressed) 주스로
2007년 메맷오즈 박사의 저서 <내몸사용설명서>에서 처음으로 등장한 개념의 다이어트 및 건강식품으로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는 클렌즈 제품군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해독주스와 클렌즈주스의 개념을 혼동하는데, ‘100% 원재료를 사용한다’는 개념은 같지만 이를 가공, 생산하는 방법에서 차이가 있다.

파일:주스 구별.png
해독주스는 야채, 과일 등을 삶은 뒤, 삶은 물과 함께 갈아 먹는 것[3]인데 반해,
클렌즈주스는 어떠한 열도 없이, 물을 포함한 어떠한 첨가물도 넣지 않고, 100% 원재료만으로 짠 주스를 뜻한다.


3.2. 클렌즈가루[편집]


클렌즈주스를 소비자가 직접 만들기 불편하다는 점을 착안하여 만들어진 분말형 타입의 제품.

가루약처럼 섭취하거나 물에다가 직접 가루를 타서 먹는 방식으로 소비자가 쉽고 안전하게 내 손으로 만들어 섭취한다는 장점이 있다.


3.3. 클렌즈환[편집]


독소 제거, 지방분해에 좋은 클렌즈 원재료에 각 제품마다 특별한 원료를 가미하여 환(丸)의 모양으로 만든 제품.

클렌즈환이라는 이름 때문인지 한의학적인 느낌이 나서 기피하는 후기들이 존재하지만,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대부분의 클렌즈환 계열은 엄연히 '의약품'이 아닌 '건강식품 내지 건강보조식품 군'이다.

가루 제형이 먹기 힘들다는 단점과 캡슐 및 알약 종류의 크기때문에 삼키기 힘들다는 두가지 단점을 보완한 제품이다.

당이 높은 클렌즈주스에 대해 거부감이 있는 사람들이나 특수한 목적(다이어트, 배변활동, 미용목적)[4]으로 클렌즈환 류를 구매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팜밀리[5]에서 제조한 클렌즈환 같은 경우에는 ABCD(사과, 비트, 당근, 비타민D)성분과 차전자피[6], 가르시니아[7] 등의 원료를 배합한 클렌즈환으로 체지방감소, 배변활동에 좋아 해당 목적을 가진 사람들에게 효과적.


3.4. 클렌즈캡슐[편집]


클렌즈 성분을 연질의 캡슐 안에 농축시켜 만든 제품으로 영양제처럼 가볍게 먹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상품은 클렌즈용으로 쓰이는 원물 이외의 성분을 추가한 것이 많으니 꼭 성분정보를 확인 후 구매할 것.


4. 재료[편집]


시중에 나와 있는 대다수의 클렌즈제품들에는 ABC가 붙어있는데, 이는 사과(Apple), 비트(Beet), 당근(Carrot)을 뜻한다.
이를 포함하여 시중에서 찾아볼 수 있는 클렌즈제품의 원재료와 그 효과는 다음과 같다.
과채명
효능
레몬
다이어트(미네랄, 구연산 / 공복감완화(펙틴), 변비해소(펙틴), 피부 미백(비타민C),입 냄새 예방(구연산), 면역력(비타민C)
로즈힙
심혈관 질환 예방(콜레스테롤 감소), 빈혈 예방(철분), 항암효과(유방암), 전립선(리코펜), 항산화(폴리페놀), 눈건강(비타민 A)
가르시니아
체지방 감소(HCA), 기초대사량 및 신진대사 증가(HCA), 식욕 억제 효과 등 다이어트 도움
당근
눈 건강(베타카로틴), 피부 건강, 노화방지(베타카로틴), 산화 방지(카로티노이드, 베타카로틴)
도라지
호흡기 건강(루테올린, 아스파라긴산, 사포닌), 항산화, 숙취해소 및 피로회복(아스파라긴산, 아미노산)

호흡기 건강(루테올린), 고혈압 예방(칼륨), 빈혈 예방(철분), 골다공증 예방(미네랄)
호박
냉증 완화(비타민, 식이섬유), 산후조리, 붓기제거, 이뇨작용
샐러리
부기 제거(프탈라이드), 수분 충전, 열량 소모, 섬유질 함유
사과
피부건강(비타민C, E) , 심혈관 질환 예방(히스티딘), 근육 강화(칼륨)
비트
빈혈 예방(철분), 혈압 조절(질산염), 다이어트(섬유질), 항산화
토마토
다이어트, 암 예방(전립선, 유방암), 피부 개선, 우울증(세로토닌), 콜레스테롤 감소
밀싹
항산화, 콜레스테롤 감소, 암세포 억제, 혈당 조절
깔라만시
다이어트(비타민C 레몬30배), 피부건강, 콜레스테롤 감소, 피로 회복
블루베리
시력저하 예방(안토시아닌), 노화 예방, 기억력 증진
파슬리
심혈관 질환 예방, 구취 제거, 노화 예방

각각의 효능을 위해 특정 재료만 오랫동안 과량으로 먹을 경우에는 아무리 좋은 재료라도 부작용은 존재한다. 때문에 아래 ‘효과’ 란에도 서술되어 있다시피 여러가지 재료와 영양소를 균형 있게 섭취할 것을 권장한다.


5. 효과[편집]


현재 클렌즈제품의 효과에 대해서는 갑론을박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다양한 제품들이 내세우고 있는 효과로는 혈행개선, 독소배출촉진, 소화증진, 지방분해, 항산화, 정신 및 신체 건강 등이 있다.

특히나, 채소와 과일을 덜 먹는 한국인들에게는 간단하게 채소와 과일의 영양을 즐길 수 있는 제품군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실제적으로 녹색 채소에 치우쳐 있는 한국인[8]에게 각종 과채의 색에 의한 파이토케미컬 영양소를 챙길 수 있다고 평가받고 있다.

또한, 과채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다이어트 이외에 변비를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여기까지 다 유사과학 개소리 쌉소리인거 아시죠?

다만 어디까지나 클렌즈제품 섭취를 통한 다이어트는 식사량 줄이기와 같은 전통적인 '칼로리 제한'일 뿐 특별한 다이어트 법은 아니며, 단백질이 결핍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균형 잡힌 식단과 운동을 병행하는 방법이 정석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1 15:54:52에 나무위키 클렌즈제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12년 2월 3일 SBS 좋은아침 금요스페셜에서 노래하는 의사 서재걸의 건강비법으로 해독주스를 소개, 국내에 해독주스 붐을 일으켰으며 서재걸 의사는 지금까지도 각종 방송매체에 출연하며 해독주스를 소개하고 있다.[2] 2013년 권미진이 해독주스와 운동으로 51kg을 감량했다고 KBS 비타민을 통해 밝힌 후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3] 실제로 해독주스들을 보면 과일과 야채를 갈아 만들었기 때문에 걸쭉한 제형이다.[4] 사실 이 목적이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한다.[5] https://farmily1987.kr/[6] 질경이의 씨앗의 껍질[7]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가르시니아의 부작용에 대해서는 아직도 갑론을박중인데, 실제로 가르시니아 성분 자체가 간손상 등의 부작용을 일으킨다고 공식적으로 증명된 사례는 없다. 다른 보조제 및 영양제와 상호 작용에서 드물게 일어났다던지, 단기다이어트를 목표로 식약처가 제시한 일일 기준치 이상의 용량을 섭취했을 경우로 밝혀졌다.[8] 실제로 한국인의 녹색 채소 섭취 비율은 흰색, 빨간색, 노란색, 보라색 채소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의 건강한 식습관 파악을 위한 태도 조사 (한국암웨이&한국갤럽, 2017) 참조.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