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질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김훈·최질의 난


崔質
(? ~ 1015)

1. 개요
2. 생애
3. 대중매체



1. 개요[편집]


고려의 무신. 김훈·최질의 난의 주모자.


2. 생애[편집]


중랑장으로 있던 중 1010년에 제2차 여요전쟁에서 통주 전투로 고려군이 크게 패했을 당시 요나라에서 노전, 마수 등을 사신으로 보내 항복할 것을 권유했는데 이때 최질은 홍숙과 함께 노전, 마수를 역으로 붙잡아 요군에게 계속 항전할 것을 주장했다. 그렇게 항전론을 관철시킨 최질은 홍숙, 이원구, 최탁, 채온겸, 시거운과 함께 성문을 굳게 닫고 통주를 끝까지 지켜내는 공을 세우게된다.

이렇게 변방을 지킨 전공으로 여러 차례 무반 관직에 임명되었지만 정작 문관에는 임명되지 않아서 평소 이에대해 크게 원망하다가[1], 때마침 중추원의 일직인 황보유의와 중추원사 장연우[2]가 경군의 영업전으로 문관들의 녹봉을 충당하면서 영업전을 빼앗기게 되자 1014년 11월 25일에 김훈, 박성, 이협, 이상, 이섬, 석방현, 최가정, 공문, 임맹 등과 함께 반란을 일으켰고, 그대로 군사들을 이끌고 궁궐로 쳐들어간 다음 황보유의와 장연우를 결박하고 채찍으로 때려 거의 초주검으로 만든 뒤 이들을 귀양보내었고 그 이후 상참관 이상의 무관은 문관을 겸하게 해달라고 현종에게 협박성 요구를 해서 결국 이 또한 허락을 받아내게 된다.

하지만 1015년 4월 5일에 현종이자림[3]의 계책에 따라 장락궁에서 여러 신하들에게 잔치를 베풀 당시 그 자리에 참석했다가 최질은 김훈 등 18명과 함께 그대로 주살되었다.


3. 대중매체[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6 00:40:28에 나무위키 최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고려는 무관들이 조선처럼 종2품 이상으로 승품하는게 불가능했던 탓에 더 높게 승품을 할려면은 필수적으로 문관에 임명되어야만 했다. 참고로 고려와 달리 조선에서는 무관들도 종2품 이상으로 승품이 가능하여, 조선 초기 일부이긴 하지만 조영무최윤덕 같은 무관 출신 정승들도 있었을 정도였다.[2] 참고로 장연우는 거란의 2차 침공으로 개경이 함락되고 현종이 나주까지 도망을치고 있을때 왕을 호종하던 신하들이 대부분 도망치던 와중에도 몇안되게 현종의 곁을 끝까지 지킨 인물이었다.[3] 이때 계책을 세운 공으로 왕씨를 사성받아 왕가도로 개명했다. 참고로 이자림덕종의 2비 경목현비와 문종 때 일어난 쿠데타 모의 사건 때 처벌을 받은 사람 중 한 명인 왕무숭의 아버지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