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스/기보 표기법/FEN 표기법

덤프버전 :

1. 개요
2. 표기하는 방법
2.1. 기물의 위치와 차례
2.2. 캐슬링 여부
2.3. 앙파상 가능 여부
2.4. 둔 횟수
3. 예시
4. 장점
5. 단점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Forsyth-Edwards Notation

FEN 표기법(포사이스-에드워드 표기법)은 어떤 정지한[1] 상황에서의 체스 기물 배치도를 한눈에 알려주는 표기법이다.

2. 표기하는 방법[편집]



2.1. 기물의 위치와 차례[편집]


FEN 표기법에서 체스 기물대수 기보법과 같은 글자로 표기된다. 또한 흑의 기물은 소문자로, 백의 기물은 대문자로 표기한다. 아래의 표를 보자.
기물



k
K

q
Q

r
R
나이트
n[2]
N

p
P
FEN 표기법은 체스판을 1줄씩 끊어서 기물의 위치를 알려준다. 첫 줄을 적고 /로 줄을 구분하고 다음 줄을 쓰고... 이런 식이다. 빈 칸의 경우 연속된 빈칸 수 만큼 숫자로 표현한다.
파일:FEN 기보 표기법.png
이 상황에서, 첫 번째 줄에는 차례로 흑 룩(r), 빈 1칸(1),흑 비숍(b), 빈 1칸(1), 흑 킹(k), 빈 1칸(1), 흑 나이트(n)와 흑 룩(r)이 있으므로
r1b1k1nr
, 두번째 줄에는 흑 폰(p), 빈 2칸(2), 흑 폰(p), 빈 1칸(1), 흑 폰(p), 백 나이트(N), 흑 폰(p)이 있으므로
p2p1pNp
, 이렇게 한 것을 모아보면
r1b1k1nr/p2p1pNp/n2B4/1p1NP2P/6P1/3P1Q2/P1P1K3/q5b1
가 된다. 백의 차례인지 흑의 차례인지는 각각 w, b로 표현하며 기물 배치를 설명한 뒤 붙여준다.

이에 따라 체스의 처음 시작 포지션은
rnbqkbnr/pppppppp/8/8/8/8/PPPPPPPP/RNBQKBNR w
가 된다.
[include(틀:체스게임, info=,
a8=Rb, b8=Nb, c8=Bb, d8=Qb, e8=Kb, f8=Bb, g8=Nb, h8=Rb,
a7=Pb, b7=Pb, c7=Pb, d7=Pb, e7=Pb, f7=Pb, g7=Pb, h7=Pb,
a2=Pw, b2=Pw, c2=Pw, d2=Pw, e2=Pw, f2=Pw, g2=Pw, h2=Pw,
a1=Rw, b1=Nw, c1=Bw, d1=Qw, e1=Kw, f1=Bw, g1=Nw, h1=Rw,
caption=rnbqkbnr/pppppppp/8/8/8/8/PPPPPPPP/RNBQKBNR w)]

2.2. 캐슬링 여부[편집]


체스 기물의 배치를 알려주고 난 뒤에는 캐슬링을 할 수 있는 지 여부를 알려준다. 킹사이드[3]로 가능할 땐 K(흑이 가능할 때는 마찬가지로 소문자 k를 쓴다), 퀸 사이드[4]로 가능할땐 Q(흑이 될 땐 소문자 q)를 기물 배치를 설명 한 뒤에 적어준다. 양 쪽 모두가 캐슬링을 할 수 없는 상태이면 -(하이픈)을 적는다.
[include(틀:체스게임, info=,
a8=Rb, e8=Kb,
a1=Rw, e1=Kw, h1=Rw,
caption=r3k3/8/8/8/8/8/8/R3K2R w Kq)]
체스판 밑의 FEN 표기법에 따르면 캐슬링 여부를 알려주는 칸이 Kq로 되어있으니 여기에서 흑은 퀸사이드, 백은 킹사이드에서[5] 캐슬링을 할 수 있다.

2.3. 앙파상 가능 여부[편집]


폰 관련 특수 규칙인 앙파상의 가능 여부도 표시할 수 있다. 앙파상으로 잡힐 수 있는 폰의 아랫 칸, 다시 말해 앙파상으로 잡을 때 잡는 폰이 움직일 칸을 캐슬링 여부를 적는 칸 옆에 작성한다. 마찬가지로 앙파상을 할 수 없으면 -를 적는다. 다만, 앙파상으로 잡을 수 없어도 만약 적절한 자리에 폰이 있으면 앙파상이 가능할 때에는 적는다.
[include(틀:체스게임, info=,
b4=Pb, c4=Pw, h4=Pw, g4=,
caption=8/8/8/8/1pP4P/8/8/8 b - h3)]
체스판 밑 FEN 표기법에 따르면 앙파산 여부를 적는 칸에 h3라고 되어있으므로, 이번에 흑은 gxh3 e.p.[6]가 가능할 것이었고[7], bxc3 e.p[8]는 안 된다.

2.4. 둔 횟수[편집]


FEN 표기법으로 이때까지 몇 수를 두었는지도 표시할 수 있다. 앙파상 여부를 적는 칸 뒤에 half move[9]와 full move[10]를 적어준다.
[include(틀:체스게임, info=,
a8=Kb,
g1=Rw, h1=Kw,
caption=k7/8/8/8/8/8/8/6RK b - - 99 49)]
체스판 밑의 FEN 표기법에 따르면 49수까지 두었고, 백의 50수는 두었고 현재 흑의 50수 차례이다.(대수 기보법으로 50... 의 차례이다)

3. 예시[편집]


r3k2n/8/8/1N6/6pP/8/3P4/R3K2R b KQq h3 37 18

정답
[include(틀:체스게임, info=,
a8=Rb, e8=Kb, h8=Nb,
b5=Nw,
g4=Pb, h4=Pw,
d2=Pw,
a1=Rw, e1=Kw, h1=Rw,
caption=백은 킹과 퀸사이드 흑은 퀸사이드로 캐슬링 가능하고 g4폰이 h4폰을 앙파상으로 잡을 수 있고 흑의 19... 차례이다.)]


r2qkb1r/pp3ppp/2n1pn2/2pp1b2/3P2B2/2P1PN2/PP1N1PPP/R2QKB1R w KQkq - 12 6

정답
[include(틀:체스게임, info=런던 시스템 - 슈타이니츠 카운터갬빗,
a8=Rb, b8=, c8=, d8=Qb, e8=Kb, f8=Bb, g8=, h8=Rb,
a7=Pb, b7=Pb, c7=, d7=, e7=, f7=Pb, g7=Pb, h7=Pb,
a6=, b6=, c6=Nb, d6=, e6=Pb, f6=Nb, g6=, h6=,
a5=, b5=, c5=Pb, d5=Pb, e5=, f5=Bb, g5=, h5=,
a4=, b4=, c4=, d4=Pw, e4=, f4=Bw, g4=, h4=,
a3=, b3=, c3=Pw, d3=, e3=Pw, f3=Nw, g3=, h3=,
a2=Pw, b2=Pw, c2=, d2=Nw, e2=, f2=Pw, g2=Pw, h2=Pw,
a1=Rw, b1=, c1=, d1=Qw, e1=Kw, f1=Bw, g1=, h1=Rw,
caption=백과 흑 모두 양쪽 캐슬링 가능하고 앙파상은 불가하고 백의 7. 차례이다.)]


4. 장점[편집]


FEN 표기법은 대수 기보법과 다르게 한 줄로 전 체스판의 상황을 요약할 수 있다. 그래서 퍼즐 등을 설명할 때에 자주 쓰인다. 한 줄임에도 불구하고 캐슬링 여부, 앙파상 여부 및 둔 횟수까지 정확하게 알 수 있다.

5. 단점[편집]


FEN 표기법은 "이 상황에서 이렇다"는 표현이 쉽지만, "이 상황으로 흘러갔다"는 표현이 어렵다. 대수 기보법으로는 1. e4 e5으로 해도 FEN 기보법으로는 온 체스판을 다 적어야 한다. 그래서 대국 을 설명할 때에는 FEN 기보법은 딱히 쓰이지 않는다. 그리고 이 FEN 표기법은 모르는 사람이 많다. 대중화가 덜 되어있어 나는 한 줄로 정리해 보여줘도 상대방은 무엇인지 잘 모를 수 있다.

6.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7 17:24:21에 나무위키 체스/기보 표기법/FEN 표기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한 수 한 수의 움직임을 나타낼 때에는 대수 기보법을 쓰는 것이 낫다.[2] 나이트(knight)의 첫 글자는 k지만 과 겹치기도 하고 어차피 k는 묵음이라 n으로 표기한다.[3] 퀸이 없는 쪽(킹과 룩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쪽)[4] 퀸이 있는 쪽(킹과 룩 사이의 거리가 먼 쪽)[5] 퀸사이드 캐슬링이 가능했다면 KQq로 작성되어 있었을 것이다.[6] g폰이 h4폰을 앙파상으로 잡음, 실제로 폰은 없지만 만약 g4에 폰이 있었다면 잡을 수 있음[7] 다만 실제로 폰이 있지 않으므로 앙파상이 나오진 않는다.[8] b폰이 c4폰을 앙파상으로 잡음[9] 직역하면 '반 수'로, 백 또는 흑이 움직일 때마다 1씩 오른다.[10] 번역하면 '한 수'로, 흑이 움직였을 때 1씩 오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