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피지 관계

최근 편집일시 :



[ 펼치기 · 접기 ]
6자회담 당사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아시아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파일:중국 원형.png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파일:중국 원형.png
파일:티베트 국기.svg
티베트 망명 정부
파일:중국 원형.png
파일:내몽골 자치구 기.svg
내몽골
파일:중국 원형.png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위구르
파일:중국 원형.png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유럽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터키 국기.svg
터키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아메리카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아프리카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아프리카 연합 기.png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

파일:팔라우 국기.svg
팔라우

파일:키리바시 국기.svg
키리바시

파일:나우루 국기.svg
나우루

파일:투발루 국기.svg
투발루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다자관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대만 국기 대각선 병합.pn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몽골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중국-대만 국기 대각선 병합.png [[파일:내몽골 자치구 기.svg
과거의 대외관계
가야-후한 관계
백제-수나라 관계
나당관계
여요관계
고려-금나라 관계
조명관계
중소관계
송나라 · 청나라





1. 개요
2. 역사적 관계
2.1. 21세기
3. 대사관
4. 여담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중국피지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피지는 2010년대 부터 중국의 영향력이 늘어나고 있지만 시티베니 람부카 재집권이후 중국과의 관계에 거리를 두기 시작했다.


2. 역사적 관계[편집]



2.1. 21세기[편집]


중국과 피지는 냉전 시절에 수교했지만, 양국의 교류와 협력은 2000년대부터 늘어나기 시작했다. 2006년 1월 24일에 원자바오 전 총리가 2월에 피지를 방문한다고 현지 언론이 보도했다.#

2013년에 중국측은 피지에 군사지원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피지는 호주, 뉴질랜드와 갈등을 빚으면서 친러 정책, 친중 정책을 확대하기 시작했다.

2016년에 피지를 관광하고 중국으로 귀국한 중국인 관광객들이 지카 바이러스에 감염된 적이 있었다.# 그리고 피지에서 중상을 입은 중국인 2명이 주 피지 중국 대사관측이 한국 대사관에 요청하자 긴급후송된 적이 있었다.#

피지는 중국과의 교류, 협력이 확대되고 중국인들이 피지로 이주 및 정착했다. 그리고 피지 정부는 일대일로에도 참가했다. 하지만 피지는 중국의 영향력이 커지며 피지 자원을 독점하고 있다는 우려가 나오기 시작했다.# 그리고 피지에서 중국인 사기단 77명이 체포돼 중국으로 송환됐다.#

2020년에 피지에서 중국 외교관이 대만 외교관을 폭행한 사건이 발생했다.#1#2 2021년에 중국측이 피지를 포함한 남태평양 국가들에게 코로나19 백신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2022년 전직 총리였던 시티베니 람부카가 재집권에 성공하자 그는 중국보다 미국, 호주관계를 우선시하기 시작했고 마찬가지로 대만과의 관계에 대해 중요도를 높여 2023년 3월 수바 주재 타이베이 대표부를 중화민국 상무처로 격상시키다가 중국의 반발이 심해 동년 6월 타이베이 대표부로 도로 돌린 일이 있었다. 그 외에 대만과 민간 농업교류가 좀 더 활성회되어 대만과의 관계가 강화되었지만 동년 여름에 중국과의 항구건설을 시사하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

2024년 3월에 중국 경찰들을 철수하였다.#

3. 대사관[편집]


수바시에 주 피지 중국 대사관[1]이 존재한다.


4. 여담[편집]


2022년 8월 8일 피지 준비은행이 뜬금없이 도교 재복신이 들어간 88센트 액면의 기념권을 발행했는데, 발행날짜와 액면 단위를 보면 대놓고 중국을 타겟으로 발행한 것이 확실한 듯하다.

추가로 1년 후인 2023년 8월 8일에는 음력 용의 해를 기념하는 100센트 기념권을 내놓았다.


5.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14:45:05에 나무위키 중국-피지 관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대만 단독 수교국인 투발루를 겸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