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항공/보유 기종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일본항공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일본항공/이전 보유 기종


1. 에어버스
1.1. A350 XWB
2. 보잉
2.1. Next-Generation 737
2.2. 767
2.3. 777
2.4. 787 드림라이너


파일:일본항공 로고.svg
보유 기종
기종대수
A350-90016
A350-1000(+15)
737-8(+21)
737-80042
767-300ER27
777-300ER13
787-824
787-922
총합144(+36)


1. 에어버스[편집]



1.1. A350 XWB[편집]


Airbus A350 XWB, JA08XJ

  • Airbus A350-900 - 16대
등록번호기종제작번호인도일자엔진좌석 수비고
퍼스트비즈니스이코노미
JA01XJA350-9413212019년 6월 11일RR Trent XWB-751294263기체 후미에 빨강색으로 A350이 적혀있음
JA02XJ3332019년 8월 28일기체 후미에 회색으로 A350이 적혀있음
JA03XJ3432019년 9월 19일기체 후미에 초록색으로 A350이 적혀있음
JA04XJ3522019년 10월 24일[1]
JA05XJ3702019년 12월 10일
JA06XJ4052020년 3월 20일2020 도쿄 올림픽 특별도장
JA07XJ4512020년 11월 30일
JA08XJ4762020년 12월 21일
JA09XJ4972021년 6월 14일
JA10XJ5312021년 8월 19일
JA11XJ5352021년 9월 11일
JA12XJ5362021년 9월 5일
JA13XJ5382021년 10월 9일
JA14XJ5412021년 12월 16일
JA15XJ5432022년 2월 14일원월드 도장
JA16XJ5522022년 8월 21일

전 기체가 모두 국내선 투입용이기 때문에 MTOW를 줄인 Regional이다. 추후에는 구형 B777들을 모두 A350으로 교체할 예정이며, 차후 국제선에도 투입시킬 예정. 현재는 하네다-후쿠오카, 하네다-신치토세, 하네다-나하, 하네다-이타미 등 고수요 국내선에 투입시키고 있다. 이전에 운용하던 B747, B777 등 대형 광동체기의 뒤를 잇는 기종이기도 하다.

이 기재는 일본항공이 사상 최초로 자체 도입하는 에어버스 기종이란 측면에서도 의의가 큰데[2], 그동안 일본항공은 에어버스에는 눈길도 주지 않고 보잉 기종만 도입해왔기 때문이다.

A330 대신 B767을, A320 대신 B737을 도입 운용해왔고 대형기인 A380에도 무관심했던 항공사인데 A350을 국내선 목적으로 최초로 도입하게 된 것. 옆집인 전일본공수A320, 320neo 계열도 굴리고 A380도 호놀룰루 투입 목적으로 운용중인걸 생각하면 A350 도입은 특기할 만한 일. 일본항공 쪽에서도 꽤나 만족하는 모양인지 SNS나 각종 홍보 매체에서 자주 써먹고 있다.

2023년 12월 현재까진 총 17대 내외가 도입됐으며(A350-900 16대, A350-1000 1대), 최종적으로는 31대가 도입, 운용될 예정이다. 구형 777을 대신하여, 장거리 국제선 투입도 점쳐지는 중. 일단 일본항공은 -900형 말고도 -1000형 또한 도입하기로 결정했으며, 2024년 상반기부터 국제선에 -1000형을 투입할 예정이다.

  • Airbus A350-1000 - 도입 예정
등록번호기종제작번호인도일자엔진좌석 수비고
퍼스트비즈니스프리미엄 이코노미이코노미
JA01WJA350-1041610-RR Trent XWB-9765424155
JA02WJ628-
JA03WJ635-

2024년 상반기에 2023-2024 동계스케줄부터 A350-1000의 국제선 투입이 확정됐으며 도쿄 하네다-뉴욕 JFK 노선을 시작으로 국제선 영업을 시작한다. 2023년 중 A350-1000 2대의 도입을 시작으로 2028년까지 총 15대의 A350-1000이 도입되며, 점차적으로 구형 보잉 777-300ER 계열기를 대체하며 일본항공의 주력 국제선 기재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 #

2023년 12월 13일에 기내를 공개하면서 좌석 배치도도 함께 공개되었는데, 전체 공간의 절반 이상을 퍼스트, 비즈니스 클래스가 차지하는 호화 좌석배치로 구성되어있다. 그래서 총 좌석수 239석으로 타사의 A350-1000 대비 좌석수가 적은 것이 특징이다.#

2. 보잉[편집]



2.1. Next-Generation 737[편집]


파일:jalb737.jpg
Boeing 737-846, JA317J

  • Boeing 737-800 - 42대
등록번호기종제작번호인도일자엔진좌석 수비고
퍼스트비즈니스이코노미
JA301J737-846353302014년 10월 1일CFMI CFM56-7B24020145일본항공 익스프레스의 폐업으로 반환됨
JA302J35331
JA303J353322007년 4월 11일
JA304J353332007년 5월 7일
JA305J353342007년 6월 18일
JA306J353352014년 10월 1일일본항공 익스프레스의 폐업으로 반환됨
JA307J35336
JA308J35337
JA309J35338
JA310J353392008년 2월 11일
JA311J353402014년 10월 1일일본항공 익스프레스의 폐업으로 반환됨
JA312J353412008년 5월 1일
JA314J353432014년 10월 1일일본항공 익스프레스의 폐업으로 반환됨
JA315J353442008년 10월 16일
JA316J353452014년 10월 1일일본항공 익스프레스의 폐업으로 반환됨
JA317J353462008년 3월 4일
JA318J353472014년 10월 1일일본항공 익스프레스의 폐업으로 반환됨
JA319J35348
JA320J353492009년 7월 25일
JA321J353502009년 7월 29일
JA322J303512014년 10월 1일일본항공 익스프레스의 폐업으로 반환됨
JA323J35352
JA324J35353
JA325J35354
JA326J35355
JA327J35356
JA328J35357
JA329J35358
JA330J35359
JA331J40346
JA332J40347
JA333J40348
JA334J40349
JA335J40350
JA336J40351
JA337J40352
JA338J40355
JA339J40354
JA340J39190
JA341J40356
JA342J39191
JA343J39192
JA344J39193
JA345J40947
JA346J40948
JA347J39194CFMI CFM56-7B74E
JA348J40353
JA349J40950

산하 항공사들로 넘긴 기종 이외에 전량 보잉 737-800을 운용중이다. 이후 2023년 3월 23일, 점차 노후화되는 737-800을 대체할 목적으로 보잉 737 MAX 8을 주문했으며 2026년부터 21대를 도입 확정했다.# 다만 보면 알듯, 일본항공이 보유한 737은 48대에 달하는데 이를 대체할 주문량은 절반에 불과하다.

일본 내에서 나오는 이야기론 일본항공이 나머지 대체분은 에어버스 A320neo 계열로 대체하려 한다고 하며, 경쟁사인 전일본공수가 A320 계열기를 굴리는 것, 그리고 일본항공 자기들도 A350을 운용하면서 나름 에어버스기에 만족한 점 등이 이런 선택의 배경이 된 것으로 보인다. 일본항공은 중대형 민항기 시장이 보잉-에어버스로 재편된 뒤 줄곧 보잉 계열만 도입해 왔던 점을 생각해보면 특기할만한 일이다.


2.2. 767[편집]


파일:jalb763.jpg
Boeing 767-346ER, JA620J

등록번호기종제작번호인도일자엔진좌석 수비고
퍼스트비즈니스이코노미
JA601J767-346ER328862002년 5월 19일GE CF6-80C2B7F542205
JA602J328872002년 6월 6일
JA603J328882002년 6월 17일
JA606J334952003년 8월 14일024175
JA607J334962003년 10월 6일
JA608J334972004년 3월 2일
JA610J338462004년 9월 21일030207
JA611J338472004년 11월 15일
JA612J338482005년 3월 7일542205
JA613J338492005년 8월 23일
JA614J338512005년 12월 21일
JA615J338502006년 5월 15일
JA616J358132007년 4월 19일024175
JA617J358142007년 7월 23일
JA618J358152008년 2월 14일
JA619J375502008년 6월 30일
JA620J375472009년 2월 9일
JA621J375482009년 3월 16일
JA622J375492009년 5월 6일542205판타지아 80주년 미키마우스 특별도장
JA623J361312009년 5월 28일
JA651J403632010년 9월 30일030197
JA652J403642010년 10월 21일
JA653J403652010년 12월 14일
JA654J403662011년 2월 3일
JA655J403672011년 7월 28일042219
JA656J403682011년 8월 22일일본 문화 엑스포 특별도장
JA657J403692011년 10월 20일
JA658J403702011년 11월 17일
JA659J403712011년 12월 14일

국제선은 787에게 넘겨주고 대부분의 기체가 국내선에서 운용된다. 다만 그렇다고 해서 아시아나 항공의 HL7528처럼 극단적인 노후화가 이루어진 것은 아닌데 왜냐하면 2000년대 초반까지 신조기를 도입해왔기 때문. 737과 777처럼 아직 대체 계획은 없다.

보유 기종중 일부를 화물기로 개조할 예정이다.## 이는 일본에서 택배근로자 노동시간 관련 법의 개정으로 2024년부터 택배근로자가 부족해짐에 따른 항공화물 수요 증가 예상, 코로나19 이후 국제 화물 운송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일본항공으로서는 13년만의 화물전용기 도입이 된다.[3]

2.3. 777[편집]


파일:jalb77w.jpg
Boeing 777-346ER, JA738J

등록번호기종제작번호인도일자엔진좌석 수비고
퍼스트비즈니스프리미엄 이코노미이코노미
JA731J777-346ER324312004년 6월 15일GE GE90-115B84940147
JA732J324302004년 7월 1일원월드 동맹도장, 777-300ER 프로토타입
JA733J324322005년 6월 20일
JA734J324332005년 7월 26일스카이 에코 특별도장
JA735J324342006년 7월 19일
JA736J324352006년 8월 21일
JA737J361262007년 10월 4일
JA738J324362008년 6월 23일
JA739J324372008년 7월 31일
JA740J361272008년 8월 28일
JA741J361282009년 9월 15일
JA742J361292009년 9월 30일
JA743J361302009년 10월 27일


2023년 11월 현재 777-200, 777-200ER, 777-300 시리즈들은 전량 퇴역하였으며, 나머지 777-300ER들은 A350-1000이 들어오는 대로 퇴역할 예정이다.

2.4. 787 드림라이너[편집]


Boeing 787-8 Dreamliner, JA830J
파일:jalb789.jpg
Boeing 787-9 Dreamliner, JA876J

등록번호기종제작번호인도일자엔진좌석 수비고
퍼스트비즈니스프리미엄 이코노미이코노미
JA821J787-8348312013년 11월 4일GE GEnx-1B0300176
JA823J348332013년 8월 28일
JA824J348342012년 9월 24일
JA826J348362012년 4월 25일
JA827J34837
JA828J348382012년 9월 3일
JA829J348392012년 12월 20일
JA830J348402013년 5월 29일
JA831J348472014년 3월 17일
JA832J348442013년 7월 23일
JA833J348462013년 12월 16일
JA834J348422013년 6월 12일
JA835J348502014년 3월 30일
JA836J381352014년 12월 18일0383588
JA837J348602014년 11월 24일
JA838J348492014년 12월 9일
JA839J348532015년 1월 19일
JA840J348562015년 2월 26일
JA841J348552015년 6월 28일
JA842J348542015년 5월 21일
JA843J348592016년 1월 28일
JA844J381362016년 5월 25일
JA845J348572016년 6월 29일
JA846J354352019년 10월 7일6580227
JA847J354362019년 11월 26일
JA848J354382019년 12월 4일
JA849J354372020년 3월 18일
JA861J787-9354222015년 6월 9일05235116
JA862J348412015년 10월 29일
JA863J381372016년 2월 21일
JA864J348582016년 5월 31일
JA865J381382016년 8월 17일
JA866J354232016년 12월 1일
JA867J348432017년 2월 1일
JA868J348452017년 3월 23일
JA869J354242017년 7월 17일
JA870J354252017년 9월 21일
JA871J348482017년 11월 15일
JA872J354282018년 5월 16일
JA873J348522018년 6월 19일02821188
JA874J354292018년 7월 23일02821190
JA875J381342019년 12월 3일
JA876J354302019년 1월 23일
JA877J354312019년 2월 7일
JA878J348512019년 12월 11일
JA879J354272020년 1월 30일
JA880J354262020년 2월 6일
JA881J665142021년 4월 21일????
JA882J665152021년 4월 23일02821188

현재 일본항공의 주력기종이다. 787-8일 경우 국내선과 중거리까지 담당하는 한편 787-9는 소량의 777-300ER을 보강하는 방식으로 장거리까지 운용되고 있다.
또한 전 세계에서 787을 2번째로 많이 보유한 항공사이다. 1위는 전일본공수.

다른 항공사와 달리 이코노미클래스 좌석 배치가 2-4-2로 배치되어 1열당 좌석수가 다른 항공사의 787 대비 한자리 적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02:55:58에 나무위키 일본항공/보유 기종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일본 아이돌 그룹인 아라시 데뷔 20주년 특별도장이 되어 운영된적이 있었다.[2] 일본에어시스템을 인수하면서 JAS가 보유하던 에어버스 A300 기종을 도입해 운용한 적은 있으나, 이마저도 금방 매각했다.[3] 이미 자회사인 스프링재팬에서는 야마토 운수와 손잡고 A321ceo P2F 화물기를 도입하여 취항을 준비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