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의 동티모르 점령

덤프버전 :

인도네시아의 동티모르 점령
Pendudukan Indonesia di Provinsi Timor Timur
Indonesian occupation of East Timor

냉전의 일부
기간
1975년 12월 7일 ~ 1999년 10월 31일 (법령상 2002년 5월 20일)
장소
동티모르
교전국 및 교전세력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display: none; display: 인도네시아"
행정구
]]


지원국가:
[[일본|

일본
display: none; display: 일본"
행정구
]]

[[미국|

미국
display: none; display: 미국"
행정구
]]
(~1991, 1999년까지 무기 지원)
[[영국|

영국
display: none; display: 영국"
행정구
]]
(~1991, ~1999년까지 무기 지원)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display: none; display: 말레이시아"
행정구
]]
(~1991)
[[캐나다|

캐나다
display: none; display: 캐나다"
행정구
]]
(~1991)
[[호주|

호주
display: none; display: 호주"
행정구
]]
(~1991)
[[동티모르|

동티모르
display: none; display: 동티모르"
행정구
]]

* 파일:FRETILIN 당기.png 동티모르 독립혁명전선
* National Council of Maubere Resistance
* 티모르민주연합

지원단체 및 국가:
[[포르투갈|

포르투갈
display: none; display: 포르투갈"
행정구
]]

[[모잠비크|

모잠비크
display: none; display: 모잠비크"
행정구
]]

[[리비아|

리비아
display: none; display: 리비아"
행정구
]]

아체 해방 운동
[[소련|

소련
display: none; display: 소련"
행정구
]]
(~1991)
[[러시아|

러시아
display: none; display: 러시아"
행정구
]]
(1991~1999)
[[중국|

중국
display: none; display: 중국"
행정구
]]
(~1999)
[[호주|

호주
display: none; display: 호주"
행정구
]]
(1999)
[[캐나다|

캐나다
display: none; display: 캐나다"
행정구
]]
(1999)
[[대한민국|

대한민국
display: none; display: 대한민국"
행정구
]]
(1999)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display: none; display: 말레이시아"
행정구
]]
(1999)
[[미국|

미국
display: none; display: 미국"
행정구
]]
(1999)
[[영국|

영국
display: none; display: 영국"
행정구
]]
(1999)
(1999)
지휘관
수하르토
바하루딘 유숩 하비비
프란시스코 자비에르 도 아마랄 (항복)
니콜라우 도스 레이스 로바토
병력
군사 250,000명
27,000명 (1975년)
1,900명 (1999년)
피해
군인, 경찰: 2,277명 사망
티모르 군벌: 1,527명 사망
2,400명 부상
100,000 ~ 300,000명 사망 추정
결과
1999년 동티모르 위기
동티모르 분리독립 투표 후 동티모르의 독립
1. 개요
2. 배경
3. 상세



1. 개요[편집]


1975년 12월부터 1999년까지 인도네시아동티모르를 점령한 사건.


2. 배경[편집]


1974년, 포르투갈리스본에서 쿠데타가 발생했고 이에 대한 여파로 모잠비크, 앙골라 등 포르투갈 정부 소유의 식민지들이 차례차례 독립을 하게 된다. 동티모르 역시 이에 비슷한 이치로 탈식민화가 가속되었고 독립을 위한 정치적인 준비 과정을 거치게 된다.

티모르민주연합(UDT)이 1974년 5월 생겨났고 뒤이어 동티모르 독립혁명전선도 결성되었다.

포르투갈의 쿠데타 이후 어수선해진 상황에 인도네시아의 중앙정보부인 콥캄팁과 특수부대인 코파수스를 중심으로 동티모르를 합병할 기회로 삼으려고 했다.

1975년 1월, 티모르민주연합과 동티모르 독립혁명전선이 연합을 하면서 동티모르의 독립을 꾀했으나 5월에 가서는 서로의 견제가 심해져 연합이 깨지고 만다. 한편, 호주인도네시아군람풍에서 침공 준비 훈련을 진행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동티모르 내부에서는 서로가 서로의 단체를 이겨먹으려고 한다는 루머에 양당간의 갈등이 심해지고 있었다. 결국, 8월에 티모르민주연합에서 딜리에서 쿠데타를 시행했고 이는 소규모 전투로 이어졌다. 국제적십사에 따르면 2,000명에서 3,000명 가량이 해당 전투에서 사망했다고 전해진다. 티모르민주연합은 내전에서 패해 지도자들은 인도네시아령인 서티모르 지역으로 피신가 인도네시아와의 합병하는 문서에 서명했다. 곧이어 인도네시아는 동티모르에 군사를 보냈고 10월 8일부터 8일간 바투가데, 말리보, 말리아나를 차례대로 점령했다.

11월이 되자 인도네시아와 포르투갈의 외교부 장관들이 로마에 모여 해당 사태에 대한 회담을 했고 동티모르측은 초대는 못 받았으나 포르투갈과의 협력을 원한다는 서한을 보냈다. 회담의 결과 포르투갈과 동티모르와의 협상이 필요하다고 결론이 내려졌으나 이는 이뤄지지 않는다. 11월 28일 동티모르 독립혁명전선은 독단적으로 독립을 선언했고 중국, 소련, 모잠비크, 스웨덴, 쿠바로부터 인정을 받았다고 전했다. 그러나 바로 다음날 인도네시아는 UDT와 티모르인민민주협회 지도자들과 협의 끝에 동티모르를 인도네시아에 합병하겠다고 선언했다.


3. 상세[편집]


1975년 12월 7일, 인도네시아는 공식적으로 연희꽃 작전(Operasi Seroja)이라는 이름하에 동티모르를 침공한다. 공수부대가 딜리에 침공했고 이 과정에서 400명이 사망했다. 연말에 가서는 약 10,000명의 군인들이 딜리를 점령했고 추가적으로 20,000명이 동티모르 전역에 배치되었다. 숫자에서 밀린 동티모르 독립혁명전선 군인들은 산지로 들어가 게릴라전을 펼쳤다.

1976년에 가서 전투는 교착상태에 이르렀다. 인도네시아 해군네덜란드, 대만, 대한민국, 미국, 호주 등으로부터 미사일이 장착된 초계정을 구입했다. 1977년 2월 OV-10 브롱코 13기도 미국 정부로부터 지원을 받았다.

1991년 11월 12일, 인도네시아군에 의해 사망한 독립주의 청년의 추모식이 진행되던 중 시위자들이 동티모르 독립혁명전선 깃발을 흔들며 독립 구호를 외쳤다. 이에 인도네시아군 200명은 대중을 향해 발포했고 약 250명의 동티모르인학살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