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가면 언제 오나

덤프버전 :

1. 개요
2. 특징
3. 들어보기
4. 매체
5. 기타



1. 개요[편집]


Korean Requiem/Funeral Song/Rite Song/Sangyeosori (Folk Song)

한국에서 전통적으로 장례식상여를 메고 장지에 가며 불렀던 노래. 장송곡의 한 종류라고 할 수 있다. 상여소리(喪輿소리, Sangyeosori)가 정식 명칭.

지역에 따라 가사나 장단이 조금씩 다르다.


2. 특징[편집]


현대에는 상여를 메고 가는 사람들은 거의 없고 영구차를 이용하기 때문에 일상생활에선 들을 경우가 많이 없다. 사실 상여는 무겁기 때문에 상당한 숫자[1]의 상여꾼들이 메고 가야 한다. 그래서 과거엔 마을 사람들끼리 상두계라고 해서 서로서로 들어주기로 약속을 해놓고 주위에 누가 돌아가시거나 하면 동네사람들이 동원되어 상여꾼을 했는데, 물론 상주가 수고에 대한 감사의 의미로 일당조로 용돈을 후하게 쥐어주거나[2] 상이 다 끝나면 동네에 음식을 두둑하게 돌려주는 것이 예의였다. 기사

이를 직접 참여하거나 목격한 경험이 있는 중장년층 어른들은 동네에서 상여 구경했던 추억들이 꽤 있는 편이다.

그나마 전통 장례문화가 많이 남아있던 시골에서는 간혹 하기도 하지만 현대에는 상여를 맬 만한 청년들이 없어서 영구차를 쓸 수밖에 없는 상황. 영구차로 운구하기 때문에 듣기가 힘들지만 그래도 유명한 노래이다. 다만 선산이 길이 좁아 영구차로 가기 애매하다거나 아니면 일부러 무덤과 일정거리를 두고 영구차를 세워 짧게나마 상여소리를 하기도 한다. 또는 아예 차량 스피커로 녹음된 상여소리를 틀며 가기도 한다.

노래는 간단해서 "이제 가면 언제 오나~"라고 앞에서 을 치는 사람이 선창하면 상여꾼들이 "어어야~ 이이제~"라고 부른다.

장송곡이다보니 "XX는 죽었다"는 식으로 장례식 컨셉 등의 시위에서 이 곡을 틀기도 한다. 전라북도 임실군에서 육군 제35보병사단 이전을 반대하는 주민들이 군부대 근처에서 밤낮을 가리지않고 상여소리를 틀어 상해죄로 처벌된 사례가 있었다. 장병들은 환청까지 들린다 할 정도로 고통을 호소했는데, 시위를 주도한 4명이 재판에 넘겨졌다.[3]


3. 들어보기[편집]



대구, 경상북도


전라남도(목포)


충청남도(청양)

지역마다 곡조나 음절이 다르다.


4. 매체[편집]




5. 기타[편집]


  • 군대에 가는 사람들이 반쯤 우스갯소리로 인제[4]로 자대배치가 되면 상여소리의 일부 구절을 바꿔 "인제 가면 언제 오나 원통해서(에서) 못 살겠네. 그래도 양구보다는 나으리"라고 노래를 부르며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거나, 주위에서(주로 친구나 예비역 형들) 그런 사람들을 놀리기도 했다. 그래도 요즘은 전방부대가 후방보다 더 시설이 좋고 부조리 역시 사라졌으니 가뜩이나 속이 복잡한 사람 너무 놀리지는 말자. 잘못하면 진짜 상여 나간다.
  • 전라남도의 유명한 민요 중 '거문도 뱃노래'가 있는데 가락과 장단이 이 노래와 비슷하다.
  • 두시탈출 컬투쇼사연진품명품에서는 칭얼대는 아기를 재우다가 그만 자장가에 상여소리의 가사를 입혀(!) 부른 사연이 올라온 적이 있다. 물론 아기 엄마가 고의로 그런 것은 아니고 중간에 가사를 잊어버렸거나, 상여소리와 헷갈려서 가사가 꼬였던 모양. 자장자장자장자장 이제 가면 언제 오나~ 영상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10:10:50에 나무위키 이제 가면 언제 오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8명 이상[2] 소위 노잣돈이라 해서 상여 곳곳에 만원권 지폐를 새끼줄에 묶어 둘러놓곤 했다. 당연히 상여꾼들에 대한 일종의 팁.[3] 여담으로 이후에는 오히려 35사단 장병들의 소비 활동이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되면서, 임실군 차원에서 상권 활성화를 위해 장병들에게 (해당 군 내에서만 쓸 수 있는) 지역상품권 지급, 군인 할인, 무료 교통수단 제공 등의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며 군인들과 주민들간 사이가 좋아졌다. 기사. 그래서인지 민간과 군의 상생모델을 말하라면 임실군의 사례가 항상 가장 먼저 거론될 정도.[4] 제12보병사단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