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무림의 미친년은 나야/무대탐방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이 무림의 미친년은 나야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무림의 미친년은 나야|{{{#80bee2 '이 무림의 미친년은 나야']]


등장인물 (주인공 서문청작중 행적) | 설정 및 무대탐방


1. 개요
2. 시대배경
3. 지리
4. 음식



1. 개요[편집]


소설 《이 무림의 미친년은 나야》의 무대탐방에 대한 문서.


2. 시대배경[편집]


원시 고대 미개 중원'으로 통칭되며 구체적인 시대 상황은 언급되지 않았으나, 남녕행 에피소드에서 고구마 및 여진족을 상대하는 북부 대순군 대장 이자성의 등장을 통해 1600년대 초중반, 명청교체기가 배경임이 밝혀졌다.


3. 지리[편집]


중국의 도시와 관광지가 실감나게 등장하여 재미를 준다. 낙양(뤄양), 무한(우한), 성도(청두) 등의 대도시뿐만 아니라 여러 실존하는 중소도시가 배경으로 등장한다.

파일:서문청행적도-무림5년차.png
서문청 무림 5년차까지 행적도

또한 백마사, 동정호, 평산호대협곡, 도강언, 황학루 등 중국의 주요 문화관광지도 등장한다.

파일:중국 백마사 2.jpg
백마사, 낙양(뤄양)의 관광지. 팽대산과 놀러간 장소.

파일:중국 우한 황학정.jpg
무한(우한)의 황학루, 청이 당난아, 견포희와 함께 갔다가 제갈신재와 만난 곳.

파일:중국 카이펑 1.jpg
개봉(카이펑)의 대표적인 관광지인 철탑(철로 만든 탑은 아님). 청이 공손요예를 데리고 간 곳.

소설에 언급된 중국에 실존하는 지명의 사례는 아래와 같다.
  • 건평현 청이 빙의 직후 깨어난 곳 근처 도시.
  • 청하현 청하사협의 활동지
  • 낙양시(뤄양시) 화장실 앞에서 흑영회 영애 처치한 곳.
  • 신녀봉 신녀문 소재지
  • 자귀현 신녀문에서 가까운 도시. 설가상회 소재지
  • 안경시(안칭시) 검우 남궁신재 만난 곳.
  • 황천현 선녀공으로 예뻐진 후 팽대산 재회한 곳.
  • 신양시 대정문 소재지, 노파 아들 실종 사건 발생지.
  • 평산호대협곡 천마혼 소재지.
  • 성도시(청두시) 사천당가 소재지. 당난아 처음 만난 곳.
  • 도강언 오양즉 양식사건 발생지.
  • 무한시(우한시) TMI 제갈이현 다시 만난 곳.
  • 주마점시 반씨 노인 손자 납치 사건 발생지. 나면파 소재지.
  • 숙압호 주마점 근처의 흑시가 열린 곳.
  • 장원현 거지 노릇 한 곳.
  • 개봉시(카이펑시) 무림맹 소재지. 무림대회 열린 곳.
  • 부북촌 강간 미수 마부패거리 처치하고 묵은 곳
  • 감산 산적 처치한 감산채 소재지.
  • 낙녕현 수해 구휼 실시한 곳.
  • 장안시(시안시) 낙녕 수해를 일으킨 장흥상방 처리한 곳.
  • 용산현 물가 비싸다고 투덜거린 곳.
  • 천자산 녹림 박살낸 곳.
  • 통도현 관군이 변장한 가짜 산적 마주친 곳.
  • 무수강 자유, 연파를 수레에 싣고 탈출하다 빠진 강.
  • 남녕시 무림맹 임무 목적지인 계림검파 소재지.
  • 광주시(광저우시) 진설의 가문인 광주진가 소재지.
  • 태원시(타이위안시) 천유학 스승께 배우러 간 곳.
  • 청도진(칭다오시) 근처의 노산에 보물(흡성대법) 찾으러 감.


4. 음식[편집]


무대와 함께 음식이 많이 등장한다. 청이 식도락 성향을 가지고 있어서 더욱 서술이 많은 편. 중국 문화에 대한 작가의 지식이 여럿 보인다.

  • 자어향탕수계(煮魚香糖水鷄) - 청이 1년차를 기념해서 먹은 닭튀김. 자어향은 주로 물고기에 쓰이는 사천의 매운 소스를 의미한다.
  • 만두(饅頭)
파일:external/s.iimg.me/interest.php?url=http%3A%2F%2Fi7.meishichina.com%2FHealth%2FUploadFiles%2F201203%2F2012031411362186.jpg
중국 만두 중 만터우라고 불리는 종류. 우리가 흔히 아는 소가 들어간 만두가 아니라 그냥 밀가루 빵이다. 반점에서 주로 파는 물건으로 하나에 한 문. 세 개 사면 탕국을 줘서 청이 2년차가 되기 전에 자주 먹은 음식이다.
파일:중국식 동파육.jpg
그 유명한 동파육. 뒤에 붙은 장육은 장에 졸인 고기란 의미다. 청이 팽대산과 해어져 진장명과 만난 객잔에서 먹은 요리.
  • 서유산생 - 회와 튀긴 가지, 야채를 깃들인 음식.
  • 초기탕어 - 큰 민물고기를 통째로 찐 음식.
  • 유조(油條)- 밀가루 반죽을 튀긴 과자로 꽈배기와 같은 맛이 난다고 한다. 중국어로는 유탸오라고 한다.
  • 고(糕) - 작중에서는 식혀서 굳힌 과자의 통칭. 다과로 많이 쓰이며 녹두고가 대표적이다. 다만 糕는 그냥 떡의 의미로도 쓰인다. 청이 용궁루에서 보열과 육보를 마실 때 같이 나온 금귤양갱에 가까운 다과도 금귤을 졸여서 만든 고에 속한다.
  • 디름라마(딤라마)
파일:dimlama-scaled.jpg
청이 마교에 끌려가며 먹었던 음식. 우즈베키스탄의 전통음식으로 고기와 야채를 푹 끓인 스튜의 일종.
  • 방납장건어 - 청이 마교에 있을 무렵 환희궁의 아침으로 나온 음식. 코다리무침과 비슷한, 졸여서 만든 진한 소스로 버무린 말린 생선 요리라고 한다. 청은 먹는 것을 포기했다.
  • 가지장국 - 청이 마교에 있을 무렵 환희궁의 아침으로 나온 음식. 청은 먹는
  • 마라탕
파일:마리탕 2.jpg
사천에서 먹으려고 했지만 실패한 백창자의 마라궁극탕. 일반적으로 마라탕은 서민음식으로 요리보다는 그냥 끼니에 가까웠다고 한다.
  • 유황오리 - 사천에서 먹은 오리 요리. 일반적으로 유황은 사람이 먹기 힘들지만 유황오리를 먹으면 먹을 수 있다고 팽초려가 부연한다.
  • 가지튀김 - 가지탕수라고도 부르는 튀김 요리. 청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 중 하나. 황후의 언급에 따르면 연술공주 소할도 가지튀김을 좋아했다고 한다.
  • 벌레꼬치
흑시에서 팔리는 길거리 음식. 누에 번데기처럼 먹을만한 것도 있지만, 지네, 전갈, 거미같이 먹기 힘든 것도 많다.
  • 밀반 - 밥에 꿀이나 끓인 과일을 탄 것. 한국의 약식이 밀반이라고도 불리는데, 중국에서는 이를 고려반이라고 부르기에 같은 것인지는 불명확.
  • 닭대가리 - 개봉에서 있던 중화의 대표적인 길거리 간식. f(x)의 빅토리아가 언급한 닭뇌를 먹는 요리로 보인다.
  • 오리목 - 개봉에서 먹은 중화의 대표적인 길거리 간식.
  • 관탕소롱포자(灌汤小籠包子)
파일:소롱포.jpg
개봉의 명물이라는 교자. 뜨거운 국물을 넣은 만두. 중국어로 샤오룽바오.
  • 과첩(鍋貼) - 교자를 구울 때 전병 반죽을 부어 바삭하게 만든 군만두.
  • 주먹밥 - 댓잎으로 찰밥을 싸서 찐 삼각형 주먹밥. 흔한 음식이지만 속에 든 고명이 팥, 양고기, 산양고기, 닭고기, 오리알로 좀 특이한 것들이 섞였다.
  • 소채(蘇菜)
파일:thco.jpg
청자검으로 수련하면서 먹은 식사로 중국식 채소 요리의 총칭.
  • 고로소병(高爐燒餠)
쌓아올린 화덕에 붙여 굽는 게 특징인 하남성 개봉의 음식. 호떡처럼 납작하고 바삭하게 구워낸 빵이다. 청이 수련한답시고 청자검으로 먹다가 혀를 베였다.
  • 완탕면- 배곯은 빙설화가 노려보던 음식. 완탕은 만둣국과 유사한, 얇은 밀가루 피에 여러 가지 소를 넣어 싼 후 육수에 끓여먹는 음식이고 완탕면은 거기에 면만 추가한 것.
  • 불도장(佛跳墻)
파일:external/www.absolutechinatours.com.au/buddha-jumps-over-wall1.jpg
청이 소림사 근방에서 설이리와 같이 먹은 음식. 수련을 쌓은 불자도 담장을 넘어서 몰래 먹는다는 진미. 해삼, 전복, 화퇴, 피단 등 각종 음식을 사용해 만든 술찜 요리.
  • 병자병(餠子餠)
청이 소림사 근방에서 먹은 음식, 파전, 또는 빈대떡과 비슷한 음식이다.
  • 초육죽
청이 감기 걸린 설이리와 먹은 음식. 보통 초육(炒肉)은 돼지고기 볶음을 의미한다.
  • 오사갱(五蛇羹)
장안에서 설이리가 먹은 음식. 광동의 고급 요리로, 다섯 종류의 뱀을 푹 고아서 만든 탕요리. 보양식의 일종이며 전분을 풀어 걸쭉하다.
  • 호병
장흥상방의 일이 끝나고 먹고 싶어 했던 음식. 기름에 튀겨 속이 빈 전병으로, 공갈빵과 비슷하다고 한다.[1]
  • 호전병(당밀전병)
장흥상방의 일이 끝나고 먹고 싶어 했던 음식. 호떡과 비슷한 음식이라고 한다.[2]
  • 소유저(燒乳豬)
파일:燒乳豬.jpg
광동의 대표요리. 애저구이, 즉 새끼 돼지를 손질해서 숯불에 통째로 구운 음식이다. 광동에서 대표적인 미식으로 손꼽히는 요리이며 저륵, 즉 갈비뼈가 가장 맛있다고 한다.
  • 홍소유합(紅燒乳鴿)
파일:紅燒乳鴿.jpg
어린 비둘기를 통째로 튀겨서 먹기 좋게 손질한 요리. 본래 비둘기 고기는 가난한 서민 음식이지만, 광동의 홍소유합은 식용으로 따로 품종관리하고 기른 비둘기라 고급으로 친다.
  • 광주소아(廣州燒鵝)
파일:燒鵝1.jpg
광동의 거위 구이. 다른 지방에서도 거위는 먹지만, 광동에서 거위는 특히 즐겨먹는 음식이라 한다.
파일:attachment/c0026408_4c07208f07fc3_1.jpg
여덟 가지 진귀한 재료로 만든 요리라는 뜻으로, 해삼, 새우, 오징어 등의 해물과 죽순 등의 야채에 소량의 기름을 사용하여 강한 불에 재빨리 볶은 요리다. 물류가 부족한 시대라 신선한 해물은 고급 중에서도 최고급으로 꼽힌다고 한다.
  • 객가만두(客家饅頭)
파일:客家蒸釀豆腐.jpg
객가증양두부라고도 한다. 이름대로 객가인들이 개발한 만두로, 두부 안을 동그랗게 파고 안에 만두소를 집어넣어 기름에 지진 요리. 간장과 비슷한 소스를 곁들여서 먹는다. 원래 밀과 만두를 주로 먹어오던 지역에서 온 객가인들이 광둥에선 밀을 구하기 힘들어 만두피를 두부로 대체해서 만들어낸 요리이다.
  • 우파(牛巴)
소고기 육포. 작중에서는 송아지 둔부 살을 반건조 시켜서 나왔다.
  • 파마흑두부(巴馬黑豆腐)
광서성 파마(巴馬) 지역의 명물. 작중 광동지방 사람들도 인정하는 두부라고 묘사된다. 흑두부는 대게 서리태 같은 검은 콩으로 만든 두부를 일컫는다.
  • 압장보(鴨掌煲)
오리발을 솥에 쪄낸 요리. 광서에서는 우렁이와 함께 쪄내는 요리인 듯하다.
  • 원소
중원의 정월대보름에 해당하는 원소절에 먹는 떡으로, 찹쌀로 빚은 경단 모양의 꿀떡. 생김새는 좀 다르지만 우리나라의 송편과 비슷하게 소로 콩, 깨, 설탕 등을 사용한다. 작중에서는 이를 고깃국에 넣어먹기도 한다.
  • 대백충
요족의 특산물로 우나람이 청에게 권한 음식. 검지만한 애벌레를 생으로 먹는 건데, 의외로 고소한 소젖 맛에 사과향이 난다고 한다.
  • 양매화
각다귀가 남녕에서 사파와 일전을 벌이기 전에 준비한 설탕에 절인 양매화. 양매화는 아마 소귀나무의 열매인 양매(楊梅)로 추정된다.
    • 용정차 - 중국 서호지방 용정산에서 나는 녹차로 작중에서 흔하게 제공되는 차. 청은 이걸 빙공으로 차갑게 마시는 걸 좋아하지만,[3] 다른 사람들은 세상 끔찍한 광경을 본 듯 경기를 일으킨다.[4][5] 그나마 검 외에는 관심 없는 남궁신재만 먹든가 말든가 하는 정도.
    • 반한차 - 황천 지역의 차. 씁쓸한 맛을 가진 차로 대정문에서 대접한 차다.
    • 유자꿀차 - 유자를 넣은 냉과일차. 당난아가 유자청과 석청, 얼음에 설사약과 재채기 약을 섞어서 대접했다. 청의 묘사로는 달고 시고 차가운데, 살짝 맵고 화한 맛이 더해져 아주 맛있었다는 듯.
    • 육보차 - 광서성의 특산물로 천하의 명차 중 하나로 손꼽힌다고 한다. 개중 찻잎을 먹은 애벌레의 변으로 만든 것을 충시라고 해서 최고급으로 친다. 육보충시는 만들어지는 양이 적기 때문에 가격도 비싸다고 한다. 삼향이 나는 것이 특징.
    • 노청차 - 호북성의 특산물이며 대표 차. 후발효차인 흑차에 속한다.
    • 죽엽청 - 무협지에서 흔하게 보이는 술. 약주이며 도수가 높고 단 맛이 난다고 한다.
    • 비홍주: 청이 무림 1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마신 비가에서 만든 홍주. 그다지 가치있는 술은 아니었다. 홍주는 과실주로 포도를 주로 사용해서 만든다고 한다.
    • 오량액 - 사천성 이빈시의 향토 고량주. 자유가 마라탕을 먹기 위해 걸어둔 술.
    • 두강주 - 청과 모용주희가 술 대결을 할 때 마신 술. 서협의 물로 빚은 서정두강주로 마셨다.
    • 계잡주 - 광서성 특산품으로 장족의 전통주. 닭의 간과 심장, 창자를 푹 삶고 다져서 술과 섞어 마신다. 하급 술을 먹을 때 좋으며, 안주와 술을 동시에 먹는 느낌이며 의외로 고소하니 먹을만하다고 한다.
    • 저간주 - 광서성 특산품으로 장족의 전통주. 계잡주에서 재료를 돼지로만 바꾼 술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4-02 20:00:26에 나무위키 이 무림의 미친년은 나야/무대탐방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일반적인 공갈빵은 당고화소(糖鼓火燒)나 공심병(空心餠)라고 검색해야 하며, 호병을 검색할 시에는 공갈빵을 납작하게 누른 듯한 빵이 나온다.[2] 다만 현대 중국어로 검색할 시 호떡은 당소병(糖燒餠),유전당병(油煎糖餠), 봉밀당병(蜂蜜糖餠) 등으로 검색되며 호전병은 파전, 당밀전병은 당밀을 쓴 펜케이크가 검색된다.[3] 아이스 아메리카노처럼 생각하고 먹는 듯[4] 중국인들은 차를 무조건 뜨겁게 해서 먹기 때문, 콜라를 뜨겁게 먹는 격이라 비유된다.[5] 창빈, 최리옹, 설이리, 진자강이 그랬는데, 창빈과 설이리는 그냥 끔찍하다는 정도의 반응이었지만, 최리옹과 진자강은 청을 사뭇 세상에서 가장 불쌍한 사람 보듯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