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헌자

덤프버전 :

진(晉)의 정경(正卿)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width=20%>
초대

극곡 ||
2대

선진 ||<width=20%>
3대

선저거 ||<width=20%>
4대

호야고 ||
||<width=20%>
5대

조선자 조돈 ||<width=20%>
6대

극성자 극결 ||<width=20%>
7대

중항환자 순림보 ||<width=20%>
8대

범무자 사회 ||
||<width=20%>
9대

극헌자 극극 ||<width=20%>
10대

난무자 난서 ||<width=20%>
11대

한헌자 한궐 ||<width=20%>
12대

지무자 순앵 ||
||<width=20%>
13대

중항헌자 순언 ||<width=20%>
14대

범선자 사개 ||<width=20%>
15대

조문자 조무 ||<width=20%>
16대

한선자 한기 ||
||<width=20%>
17대

위헌자 위서 ||<width=20%>
18대

범헌자 사앙 ||<width=20%>
19대

지문자 순력 ||<width=20%>
20대

조간자 조앙 ||
||<width=20%>
21대

지양자 순요 ||<width=20%>
22대

조양자 조무휼 ||



위(魏) 국군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4><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4682B4>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5px 7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CE5B6; font-size: .7em;"
{{{#4682B4,#1cd0ff '''삼진 분립 전'''}}}}}} ||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682B4; font-size: .7em;"
{{{#ece5b6 초대 종주}}}}}}[br][[필만|{{{#999,#666666 필만}}}]]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682B4; font-size: .7em;"
{{{#ece5b6 2대 종주}}}}}}[br][[망계|{{{#999,#666666 망계}}}]]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682B4; font-size: .7em;"
{{{#ece5b6 3대 종주}}}}}}[br][[위무자|{{{#000,#e5e5e5 무자}}}]]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682B4; font-size: .7em;"
{{{#ece5b6 4대 종주}}}}}}[br][[위도자|{{{#999,#666666 도자}}}]] ||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682B4; font-size: .7em;"
{{{#ece5b6 5대 종주}}}}}}[br][[위장자|{{{#000,#e5e5e5 장자}}}]]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682B4; font-size: .7em;"
{{{#ece5b6 6대 종주}}}}}}[br][[위헌자|{{{#000,#e5e5e5 헌자}}}]]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682B4; font-size: .7em;"
{{{#ece5b6 7대 종주}}}}}}[br][[위간자|{{{#000,#e5e5e5 간자}}}]]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682B4; font-size: .7em;"
{{{#ece5b6 8대 종주}}}}}}[br][[위양자|{{{#000,#e5e5e5 양자}}}]] ||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682B4; font-size: .7em;"
{{{#ece5b6 9대 종주}}}}}}[br][[위환자|{{{#999,#666666 환자}}}]] || ||
||<-4><bgcolor=#4682B4>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5px 7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CE5B6; font-size: .7em;"
{{{#4682B4,#1cd0ff '''삼진 분립 후'''}}}}}} ||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682B4; font-size: .7em;"
{{{#ece5b6 초대 국군}}}}}}[br][[위문후|{{{#000,#e5e5e5 문후}}}]]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682B4; font-size: .7em;"
{{{#ece5b6 2대 국군}}}}}}[br][[위무후|{{{#000,#e5e5e5 무후}}}]]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682B4; font-size: .7em;"
{{{#ece5b6 초대 왕}}}}}}[br][[위혜왕|{{{#000,#e5e5e5 혜왕}}}]]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682B4; font-size: .7em;"
{{{#ece5b6 2대 왕}}}}}}[br][[위양왕|{{{#000,#e5e5e5 양왕}}}]] ||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682B4; font-size: .7em;"
{{{#ece5b6 3대 왕}}}}}}[br][[위소왕|{{{#000,#e5e5e5 소왕}}}]]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682B4; font-size: .7em;"
{{{#ece5b6 4대 왕}}}}}}[br][[위안희왕|{{{#000,#e5e5e5 안희왕}}}]]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682B4; font-size: .7em;"
{{{#ece5b6 5대 왕}}}}}}[br][[위경민왕|{{{#000,#e5e5e5 경민왕}}}]]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682B4; font-size: .7em;"
{{{#ece5b6 말대 왕}}}}}}[br][[위왕가|{{{#000,#e5e5e5 위왕 가}}}]] ||
||<-4><bgcolor=#ece5b6,#49421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5px 7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682B4; font-size: .7em;"
{{{#ece5b6 '''초한쟁패기'''}}}}}} ||
||<-4> [[위왕 위구|{{{#999,#666666 위왕 위구}}}]] | [[위표|{{{#000,#e5e5e5 서위왕 위표}}}]] ||
||<-4><bgcolor=#fff,#191919>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 solid 2px #fff; padding: 0px 15px; font-size: 0.8em; width: 50%; height: 10px; text-align: left;"
{{{#000,#e5e5e5 [[틀:역대 진(희성) 군주|{{{#000080 '''← 진(晉) 국군'''}}}]]}}}}}}{{{#!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 solid 2px #fff; padding: 0px 15px; font-size: 0.8em; width: 50%; height: 10px; text-align: right;"
{{{#000,#e5e5e5 [[틀:역대 진(영성) 군주|{{{#000,#e5e5e5 '''진 황제 →'''}}}]]}}}}}} ||
||<-4><bgcolor=#4682B4> {{{#ece5b6 {{{-2 [[틀:삼황오제|{{{#ece5b6 삼황오제}}}]] · [[틀:역대 하 국왕|{{{#ece5b6 하}}}]] · [[틀:역대 상 국왕|{{{#ece5b6 상}}}]] · [[틀:역대 주 국왕|{{{#ece5b6 주}}}]] · [[틀:춘추시대 왕조|{{{#ece5b6 춘추시대}}}]] · [[틀:전국시대 왕조|{{{#ece5b6 전국시대}}}]] · [[틀:역대 진(영성) 군주|{{{#ece5b6 진(秦)}}}]] · [[틀:역대 한 황제|{{{#ece5b6 한}}}]][br][[틀:역대 중국 삼국시대 황제|{{{#ece5b6 삼국시대}}}]] · [[틀:역대 사마진 황제|{{{#ece5b6 진(晉)}}}]] · [[틀:오호십육국 왕조|{{{#ece5b6 오호십육국}}}]] · [[틀:역대 북조 황제|{{{#ece5b6 북조}}}]] · [[틀:역대 남조 황제|{{{#ece5b6 남조}}}]] · [[틀:역대 수 황제|{{{#ece5b6 수}}}]] · [[틀:역대 당 황제|{{{#ece5b6 당}}}]][br][[틀:오대십국 왕조|{{{#ece5b6 오대십국}}}]] · [[틀:역대 송 황제|{{{#ece5b6 송}}}]] · [[틀:역대 서하 황제|{{{#ece5b6 서하}}}]] · [[틀:역대 요 황제|{{{#ece5b6 요}}}]] · [[틀:역대 금 황제|{{{#ece5b6 금}}}]] · [[틀:역대 원 황제|{{{#ece5b6 원}}}]] · [[틀:역대 명 황제|{{{#ece5b6 명}}}]] · [[틀:역대 청 황제|{{{#ece5b6 청}}}]][br][[틀:역대 중화민국 국가원수|{{{#ece5b6 중화민국 국가원수}}}]] · [[틀:역대 대만 총통|{{{#ece5b6 중화민국 총통}}}]] · [[틀:역대 중화인민공화국 주석|{{{#ece5b6 중화인민공화국}}}]]}}}}}} ||



위(魏)씨 가문 6대 종주
헌자
獻子


희(姬)

위(魏)

서(舒)
아버지
위장자(魏莊子) 위강(魏絳)[1] 또는 위영(魏嬴)[2]
생몰 기간
음력
기원전 565년 ~ 기원전 509년
재임 기간
음력
기원전 ???년 ~ 기원전 509년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춘추시대 위씨 6대 종주이자 진(晉)나라의 경(卿). 위장자 위강의 아들이고 위양자 위만다의 조부이다.


2. 생애[편집]


좌전에서 위서의 첫 등장은 노양공 23년(기원전 550년) 난영의 반란 때이다. 난영은 난서의 손자이자 난염의 아들로 진나라 공족 난(欒)씨의 마지막 종주이다. 난영은 범(范)씨와 악연이 있어 진나라에서 쫓겨나 제나라로 망명가게 된다. 난영이 몰래 곡옥으로 들어와 거사를 꾸몄고 4월에 곡옥의 갑병을 이끌고 위헌자의 도움을 받아 강(絳)[3]에 들어온다. 과거에 난영이 하군(下軍)에서 위장자를 보좌했기 때문에 그의 아들인 위헌자와 친밀했던 것이다. 난씨는 진나라의 다른 세경가인 조씨, 중항씨와 사이가 좋지 않았고 한씨는 조씨와, 범씨는 중항씨와 사이가 좋았다. 또 지씨는 종주가 어려서 중항씨와 함께했다. 결국 난씨에 동조하는 세력은 위씨 뿐이었다. 난씨가 도읍에 들어왔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범앙이 위서의 집에 갔다. 도착하니 위서가 이미 병사를 정렬하고 난씨를 도울 준비를 마친 상황이었다. 범앙은 위서가 타고 있는 병거에 올라타 한손으로 칼을 잡고 다른 한손으로는 위서의 허리띠를 잡은 상태로 마부한테 궁으로 가라고 명령한다. 궁에 도착하자 범선자가 위서에게 곡옥을 줄 것을 약속한다. 결국 난영의 반란은 실패하고 난영은 곡옥으로 달아난다. 얼마 후 곡옥이 함락되고 난씨와 난씨를 따르는 무리들은 주살당한다.

노양공 29년(기원전 544년), 오나라의 계찰이 노, 제, 정, 위 등을 빙문하여 새 군주의 즉위를 알리고 진(晉)에 가서 조문자, 한선자, 위헌자와 만나 얘기를 나누고 진나라의 정권이 이 세 가문으로 모일 것이라고 말한다.

노소공 원년(기원전 541년), 중항목자가 태원에서 적(狄)의 무리를 무찌른다. 전투가 시작하기 전에 위서가 적군은 보병이고 아군은 전차인데 지형이 험하므로 전차에서 내려 모두 보병으로 만들기를 요청한다. 이후 전투에서 대승을 거둔다.

노소공 28년(기원전 514년) 가을, 한선자가 죽고 위헌자가 집정이 된다. 육경이 기씨와 양설씨를 멸하고 기씨와 양설씨의 땅을 각각 7개, 3개 현으로 나누어 대부를 임명한다.

같은 해 겨울, 위헌자가 소송을 맡았다. 소송의 당사자가 뇌물을 바치려 하자 위헌자는 받으려 했다. 부하 2명이 간언하자 뇌물을 사양했다.

노소공 32년(기원전 510년), 주경왕이 진나라로 사람을 보내 성주(成周)에 성을 쌓아달라고 요청한다. 같은해 11월 위헌자와 한간자가 제후의 대부들과 적천에서 회합하고 성주의 축성을 명령한다. 이때 위헌자가 남면하여 자리했는데 이를 보고 위나라의 표혜가 위헌자가 큰 화를 입을 것이라고 말한다.

노정공 원년(기원전 509년), 위헌자가 한간자에게 공사를 맡기고 대륙으로 수렵을 떠나 불을 놓아 사냥을 한 후 돌아오는 길에 죽었다. 위취가 위씨종주가 되고 범헌자가 진나라의 집정이 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14:19:29에 나무위키 위헌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좌전>.[2] <사기>. 위강의 아들이다.[3] 진(晉)의 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