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 썬더/지상 병기/미국 트리/중전차

덤프버전 : r20190312 (♥ 0)


파일:나무위키프로젝트.png
이 문서는 나무위키 워 썬더 프로젝트에서 다루는 문서입니다.
해당 프로젝트 문서를 방문하여 도움이 필요한 문서에 기여하여 주세요!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워 썬더/지상 병기/미국 트리/중전차 트리 문서의 r61 판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워 썬더/지상 병기/미국 트리 문서의 r1356 판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워 썬더의 지상 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파일:워 썬더 미국 국기.png 미국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중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대전차 자주포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독일 국기.png 독일자주포 · 경전차 | 중전차 · MBT | 중형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구축전차 · 대전차 차량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소련 국기.png 소련중형전차 · MBT | 중전차 · MBT | 경전차 | 자주포 · 대전차 차량 | 자주대공포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영국 국기.png 영국중형전차 · MBT | 중전차 · MBT | 자주포 · 대전차 차량 | 자주대공포 | 남아프리카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일본 국기.png 일본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구축전차 | 자주대공포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중국 국기.png 중국경전차 · MBT | 중형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자주포 · 대전차 차량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이탈리아 국기.png 이탈리아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구축전차 · 대전차 차량 | 헝가리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프랑스 국기.png 프랑스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중전차 | 대공전차 | 구축전차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스웨덴 국기.png 스웨덴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구축전차 · 대전차 차량 | 핀란드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이스라엘 국기.png 이스라엘미국제 | 유럽제 · 자국산 | 자주대공포 | 대전차 차량 | 프리미엄
* 지상 병기 전반에 대한 내용은 워 썬더/지상 병기를 참고.
* 새로운 기체 문서를 추가하실 때 템플릿:워 썬더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1. 개요
2. 1랭크
3. 2랭크
3.2. 중형전차 M4A3 (105) HVSS 셔먼
4. 3랭크
4.1. 중전차 M6A1
4.2. 강습전차 M4A3E2 점보
5. 4랭크
5.1. 강습전차 M4A3E2 (76) W 점보
5.2. 중전차 T26E1-1 슈퍼 퍼싱
5.3. 중전차 T34
6. 5랭크
6.1. T32 계열
6.1.1. 중전차 T32
6.1.2. 중전차 T32E1
6.2. 120 mm 포 전차 M103
7. 6랭크
7.1. 중형 전차 T95E1
7.2. XM/MBT-70 계열
7.2.1. 152 mm 건 런처 XM-803
7.2.2. 152 mm 건 런처 MBT-70
7.4. Tank, Combat, Full Tracked, 105-mm Gun IPM1
8. 7랭크
8.1. M1A1



1. 개요[편집]



더럽게 커서 자주 맞지만 잘 죽지도 않는 LVT와 유명한 점보 셔먼, 이상하게 옆동네나 워썬더에서나 그닥 취급이 좋지 못하다가 버프 받고 날아오른 슈퍼퍼싱, 옆동네에서 유명한 돌대가리 형제 T34와 머리만 단단한 T32, 미국 최후의 중전차 M103이 있다.

아직 조금 애매한 감이 있는 T32를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상당히 준수하다. 중형전차 트리와는 달리 상당히 강세를 보이는 트리로서 공통된 특징으로 부각이 좋고 M4 105mm부터 M103까지 이어지는 유구한 전통의 돌대가리가 있다.



2. 1랭크[편집]




2.1. LVT(A)(1)[편집]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us_lvt_a_1.png

  • 차량 성능
차종경전차랭크1BR1.0(예비)
중량15.6 톤최대속도44 km/h포탑회전 속도초당 14.3°
엔진 출력429 마력, 2,400 RPM등반각43°부앙각-12 / 20°
차체장갑정면 12측면 6후면 6최대 수리 코스트무료
포탑장갑정면 50측면 32후면 32무료 수리 시간없음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37mm M6 전차포×113.0 초AP, APC147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M74B1무료0.87 kg883m/s89mm69mm50mm
APCM51B1/B220.87 kg883m/s78mm69mm59mm

  • 부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7.62mm M1919A4 기관총×3기본3,00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기본기본무료9mm7mm4mm

1.59 Flamming Arrow 업데이트로 추가되었으며, 이에 따라 기존 중전차 라인 1랭크의 공백이 제거되었다.

상륙용주정인 LVT에 37mm 포탑을 장착한 모델이다. 거구에 비해 기동력이 생각보다 좋다. 또한 차체가 크고 승무원의 수가 많으며 간격 또한 넓어 쉽게 죽진 않는다.
다만 차체 장갑이 매우 얇은 편이라 전면장갑 조차 20mm 기관포는 물론이고 12.7mm조차도 관통되는 일이 많고 차체 전면에 트랜스미션이 있어 여길 맞으면 기동불능이 되기 쉬우니 함부로 들이대진 말자.
후방에 기총사수가 2명 있는데, 이들은 시점이 후방으로 향했을 때만 사격한다.
또한 수륙양용 전차답게 물에서도 둥둥 떠다니며 싸울수 있다.

리얼리스틱 전차전에서 높은 BR대에서도 몇몇 유저들이 종종 타고다니는 전차인데, 왜 끌고 나오는 지 모르겠다. 지상군 유저 입장에선 기분 나쁠 수 있으니, 안 그러는 게 좋다.[1]


2.2. 경전차 M22 로커스트[편집]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us_m22_locust.png

필요 RP9,200가격22,000

  • 차량 성능
차종경전차랭크2BR2.0 / 2.0 / 2.7
중량7.4 톤최대속도63 km/h포탑회전 속도초당 12.2°
엔진 출력298 마력, 2800 RPM등판각39°고저각-10 / 30°
차체장갑정면 25측면 12후면 12최대 수리 비용570
포탑장갑정면 25측면 25후면 25무료 수리 시간1시간 03분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37mm M6 전차포×13.7 초AP, HE, APC5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M74B1무료0.87 Kg883m/초89mm69mm50mm
HEM63무료0.73 Kg807m/초2mm2mm2mm
APCBCM51B1/B280.87 Kg883m/초78mm69mm59mm

  • 부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7.62mm M1919A4 기관총×1기본3,00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기본기본무료9mm7mm4mm

BR 5.0이하, 닥돌점령전용 경전차작은 전차가 맵다
M6 37mm 포를 장착한 공수전차. 오히려 스튜어트 보다 방향 전환을 예측하기가 더 힘들 정도이지만 1.67 업데이트 이후로 조금 사용하기 나아졌다. 하지만 직진이 불안한 건 여전한 수준.
너무나도 가볍기 때문에 달리다가 약간의 둔덕만 넘어도 이리저리 튕겨다니고, 엄한 곳을 잘못 밟았다간 바로 차가 뒤집혀버릴 수 있다. 드라이버 어시스트 모드를 쓰면 좀 나아지니 참고.

잘쓰는 사람이 잡으면 정찰은 정찰대로 수행하고 전고가 높고 부각이 좋지 못한 전차들의 바로 옆으로 뛰어들어 영거리에서 철갑탄을 꽂아버리며 사냥꾼으로 군림하지만 못쓰는 사람은 정말 더럽게 못 쓰는 전차다.그런데 보통 그런걸 구리다고 하지 않나? 잘 모는 사람은 뭐든 잘 몬다.
정면 차체 장갑의 두께 자체는 매우 얄팍한 12.7mm 두께지만, 약 65도 의 고각도 경사장갑이라 APCR 탄종은 웬만한건 다 도탄냈었다.
하지만 패치 이후로 실 장갑 두께보다 구경이 약 4배 이상 더 큰 포탄을 맞게되면 경사도 보정을 제대로 못받게 패치되어 버려서 슝슝 뚫려나간다.

전고가 매우 낮고 차체도 엄청나게 작기 때문에 티거같은 큰 전차들에게 초 근접해서 붙으면 티거가 쏘질 못한다. 한마디로 포신각이 M22가 있는 위치까지 안내려간다는 말씀 .KV-2:아나 얘좀 어케 해봐. 물론 포신각 안쪽으로 파고들겠다고, 파고들었다고 너무 신나게 들이박진 말자. 어쩌다 탄약고 맞고 터진 상대 전차의 유폭에 자신까지 휘말려 박살날 수 있다.(...)

카모플라쥬 패치 이후 풀떼기를 몸에 달고 뛰어난 기동성과 낮은 시인성을 이용하여 적 베이스로 빠르게 침투한 뒤 적의 구축전차들을 고문할 수 있다.독일 전차들을 상대할 경우 뒤를 잡으면 근접해서 쉽게 뚫을 수 있지만 쏘련 전차들은 대부분 경사장갑을 가지고 있어서 힘든 편이다. 쏘련 탱크를 상대할 때는 측면이나 포탑을 노리는게 더 효율적이다. 난타전이 잦은 동렙대의 방보다는 4~5티어 방에서 사신으로 플레이 할 수 있다. 5티어 방에서 성공하면 갓-모드!, 실패하면 트롤신

이 전차로 티거나 판터를 때려잡는거 말고도 킹타이거를 때려잡을수도 있다. 포탑 후면밑 포탑링을 쏘게 되면 포탑 인원을 때려잡을수 있지만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린다. 킹타이거:아니 X발 이 놈 뭐야 하지만 89mm의 관통력이 나오던 포탄이 너프되면서 판터나 티거 잡기가 매우 힘들어졌지만 킹타이거 잡기는 아직까지 가능하다. 하지만 지형의 굴곡으로 인해 장갑 유효방호력이 올라가 안 뚫리는 상황이 생길수 있다.


3. 2랭크[편집]




3.1. M8 스콧[편집]


파일:us_m8_scott.png

구축전차 판정을 받는다.
아케이드와 리얼리스틱 모두 빠른 기동력, 빠른 연사속도, 준수한 관통력을 가진 HEAT 탄을 가진 전차로 성능이 좋은 전차에 속하나 75mm 단포신을 탑재하여 탄의 낙차가 커 초보자들이 바로 쓰기엔 힘들어하는 전차다. 여담으로 포탑 돌리는 속도가 매우 느리다.


3.2. 중형전차 M4A3 (105) HVSS 셔먼[편집]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us_m4a3_105_sherman.png

필요 RP: 18,000
가격: 77,000

  • 차량 성능
차종중형전차랭크2BR3.3 / 3.0 / 3.0
중량32.8 톤최대속도41 km/h포탑회전 속도초당 5.1°
엔진 출력417 마력, 2,600 RPM등반각40°부앙각-10 / 35°
차체장갑정면 63측면 38후면 38최대 수리 코스트1,490
포탑장갑정면 76측면 50후면 50무료 수리 시간8시간 22분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105mm M4 곡사포×113.0 초HE, HEAT66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HEM1무료15 kg472m/s26mm26mm26mm
HEATM674013 kg381m/s130mm130mm130mm

  • 부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12.7mm M2HB 기관총×1기본60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기본기본무료25mm19mm12mm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7.62mm M1919A4 기관총×1기본3,00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기본기본무료9mm7mm4mm

M4A3(105) HVSS 또는 M4A3E8(105) 라고 불리는 차량. 중형전차지만 중전차 트리에 배정된 셔먼. 105mm 곡사포를 장착했다.

1.57패치때 전차량의 고폭탄이 칼너프당했다. 다른전차에 비하면 전에 너프를 당했으니 너프를 덜 당한편 이지만 고폭탄의 관통력이 2mm 떨어져 이젠 관통력이 26mm이다. 상부장갑이 10mm로 얇은 4호전차는 포탑에 쏴서 그 파편으로 상부장갑을 뚫어 엔진이나 운전수 운이 좋다면 탄약고까지도 무력화시킬 수 있다. 아님 차체 밑에 잘 맞춰서 쏴도 하부장갑을 파편이 휩쓸 수도 있다.

이 전차를 운용하겠다고 하면 가능한 한 빨리 HEAT탄을 뚫어주자. 대전차 고폭탄은 낙차가 매우 심하긴 해도 관통력이 판터 차체 정면 아랫부분을 뚫을 수 있을 정도로 매우 뛰어나고 파편도 괜찮게 발생하기 때문에 상당히 좋은 탄이다.

파워트레인이 이지에잇과 동일하기 때문에 기동성이 상당히 좋은 편이다. 아케이드에서는 날아다니는 수준. 하지만 포탑 회전은 수동식이라 매우 느리다. 긴 장전시간은 덤. 때문에 돌격보다는 후방에서 아군을 지원하는 데에 더 적합하다.
포탑 회전속도의 경우 후기 생산형 105mm 셔먼들[2]은 스태빌라이저와 유압식 포탑선회장치가 장착되어있기 때문에 바뀔 수도 있다.

2018년 4월 12일 패치로 현재 아케이드 모드 기준 3.0 BR, 리얼리스틱 모드 기준 2.7 BR로 배틀레이팅이 많이 내려가서 상당히 쓸만하다. 옆트리 3.3 BR짜리 M4A1의 주조식 장갑보다 훨씬 튼튼한 용접장갑이니 티타임으로 써먹으면 T-34 초기형은 물론이고 4호 F2형의 포탄도 튕길 수 있다. 전면장갑은 각 때문에 유효 방어력이 93mm로 KV-1보다 높다! 티타임을 주면 거의 금강불괴가 된다. 대신 KV-1처럼 측면도 단단하지는 않기 때문에 측면은 절대로 보여주면 안된다. 그러나 장전이 느리고 HEAT의 파편량이 생각보다 적은 편이니 신중하게 쏘자. 그리고 포탑도 상당히 단단하나 유압식 선회장치를 넣기 위해 장갑을 50mm 수준으로 깎은 약점 부위가 존재하기 때문에 너무 들이대서는 안된다.




4. 3랭크[편집]




4.1. 중전차 M6A1[편집]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us_m6a1.png

필요 RP: 46,000
가격: 230,000

  • 차량 성능
차종중전차랭크3BR4.7
중량56.8 톤최대속도41 km/h포탑회전 속도초당 15.3°
엔진 출력801 마력, 2,300 RPM등반각40°부앙각-10 / 30°
차체장갑정면 82측면 44후면 44최대 수리 코스트2,740
포탑장갑정면 101측면 82후면 82무료 수리 시간1일 21시간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76mm M7 전차포×17.6 초APCBC, HE, AP75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CBCM62무료7 kg792m/s125mm116mm106mm
HEM42A1무료5.8 kg800m/s7mm7mm7mm
APM79606.8 kg792m/s154mm131mm107mm

  • 부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37mm M3 대전차포×1AP, HE, APC202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M74B1무료0.87 kg883m/s89mm69mm50mm
HEM63무료0.73 kg807m/s5mm5mm5mm
APCM51B1/B2300.87 kg883m/s78mm69mm59mm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12.7mm M2HB 기관총×2기본6,90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기본기본무료25mm19mm12mm

미국의 중전차. 3인치(76mm) M7을 장착했고 특이하게 포탑에 부포로 37mm M3를 달고있다. 최고속도는 그닥이나 800마력의 상당한 출력으로 인해 덩치에 비해 기동성은 상당하다. 오르막길은 오히려 셔먼보다 빨리 올라간다.

과거 미국이 추가된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는 정말 최악의 진짜 워썬더 지상군 통틀어서 가장 쓰레기였던 전차 중 하나이다. 정면에서도 셔먼 75미리 주포에 차체 어깨 부분이 뚫리는 어이없는 방어력에 버프 이전 미국 76미리 주포의 조루 데미지, 그보다 더 어이없는 10초를 넘는 장전 속도를 가지고 있어서 티켓 버리기에나 딱 좋은 전차였다.

그런 쓰레기가 패치를 거듭하면서 상당히 좋아졌는데 가장 중요한 패치는 76미리 주포의 상향... 정신나간 76미리의 성능 덕에 화력 면으론 부족함이 없어졌다. 물론 리얼 기준 같은 BR의 피탄면적이 더 작고 기동성이 훨씬 좋은 M4A1 76W가 더 운용하기 쉽지만.


포르셰 티거마냥 어깨 부위가 약점으로 보이겠지만 이 부분도 패치 이후 82.5mm 상향으로 각을 안 준 상태에서는 전면 장갑보다 유효방어력이 높다.
1.53 패치 이후 차체에 M2 브라우닝 두정이 발사 가능하게 바뀌었다.[3] 그리고 기동성이 매우 좋아졌고 피봇턴이 추가되었다.[4]

탑방에 걸리는 경우 3.7 전차들이 많은 덕택에 하위 티어가 많은 방이 생각보다 잘 걸린다. 물론 3.7 전차들도 최악의 관통력을 자랑하는 KV-1이나 스톡들을 제외하면 근거리에서 M6A1의 82mm 차체정면을 쉽게 뚫을 수 있기 때문에 함부로 근접전을 하면 안된다. 그래도 포탑정면은 101mm이기때문에 미국 전차 운용의 기본인 헐다운을 하면 탑방에선 어느 정도 방호력을 기대할 수 있다.

패치로 960마력의 정신나간 출력이 800마력으로 너프됬다. 그래도 76mm 포를 가지고 있기에 여전히 쓸만하다. 탑방에 걸릴 시 장갑은 그럭저럭 방호력을 보장해주고, 76mm 포의 좋은 펀치력과 훌륭한 연사력으로 먹고살긴 쉽다. 그리고 아직도 상당히 재빠른 편이다.

참고로 오른쪽 어깨 부분 탄약고는 탄을 빼도 절대 없어지지 않는다. 왼쪽 어깨 탄약고는 76mm 51발을 넣으면 사라지고 운전수 아래 탄약고는 한발만 넣어야 사라진다.

서로가 엄폐물을 끼고 버티는 기묘한 상황일때 37mm 부포를 매우 유용하게 써먹을 수 있다. 일종의 낚시인데, 먼저 들이민 다음 부포를 쏘면 상대 대부분은 주포를 쐈다고 착각하게 된다. 이렇게 낚인 상대는 옮다구나하고 바로 튀어나오면서 주포 맞고 역관광(...) 다만 주포와 부포의 사격음이 달라서 안 속는 사람들이 더 많다. 그래도 활용하기 따라서 매우 요긴하게 쓰일 수 있다 포수가 기절했는데 부포를 쏴서 멀쩡한 척 한다던지..물장이면 진짜 37mm만 있어도 무섭지만

1.63 패치로 M26 퍼싱과 함께 대공용 중기관총이 추가되었다. 이제 대공트럭을 못잡아서 굴욕당하는 일은 없을 듯

점보 셔먼이 BR이 4.7로 되는 버프를 받으면서 이제 점보 코브라킹 M6A1 조합이 가능해졌다. 탑방에 걸리면 상당히 쏠쏠하다. 물론 리얼에선 M6 대신 헬캣을 쓰겠지만. 하지만 이는 옛말로, 점보셔먼이 5.0이 됨에따라 저 조합은 불가능하게 되었다.





4.2. 강습전차 M4A3E2 점보[편집]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us_m4a3e2_sherman_jumbo.png

필요 RP: 75,000
가격: 250,000

  • 차량 성능
차종중전차랭크3BR5.0 / 5.0 / 5.0
중량37.8 톤최대속도35 km/h포탑회전 속도초당 20.4°
엔진 출력417 마력, 2,600 RPM등반각40°부앙각-10 / 25°
차체장갑정면 101측면 76후면 38최대 수리 코스트7,048
포탑장갑정면 177측면 152후면 152무료 수리 시간2일 15시간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75mm M3 전차포×16.5 초AP, HE, APCBC97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M72무료6.3 kg619m/s109mm92mm76mm
HEM48무료6.3 kg463m/s8mm8mm8mm
APCBCM61706.8 kg618m/s88mm81mm73mm
APCRT452003.8 kg868m/s137mm127mm106mm

  • 부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12.7mm M2HB 기관총×1기본60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기본기본무료25mm19mm12mm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7.62mm M1919A4 기관총×1기본3,00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기본기본무료9mm7mm4mm

4.7의 OP였던것

75mm의 애매한 화력과 떡장을 자랑하는 점보 셔먼이다. 35km/h의 최고 속도 제한만 빼면 체급에 맞지 않게 굉장히 날쌘 차량이다. 전면장갑은 차체와 포탑 둘다 티거 이상의 3티어 최고의 방어력을 자랑하기 때문에 상대하는 입장에서 대단히 까다롭다. 주포는 75mm M3이지만 관통력이 나쁘지 않고 APCR이 있어서 동BR대 차량을 격파하는데 큰 어려움은 없다.

차체전면장갑은 각을 주면 판터A,D와 IS-2의 주포도 튕겨낼수있을 정도이고 포방패도 무척 단단한 편이다. 다만 차체 기관총구라는 약점이 있기에 근거리 에서는 차체 장갑을 너무 맹신하면 안된다. 쉽지는 않지만, 같은 점보셔먼의 75mm 주포로도 이곳을 관통할 수 있다. 또한 판터 D형, 티거E, 4호 구축전차(L/70)에게는 각을 주지않으면 차체 장갑이 뚫리며 해치와 포방패 바로 윗부분이 약점인데 이 부분은 그냥 해치를 노리고 쏘다보면 다 맞게 된다. 포방패 바로 윗부분은 그나마 경사 장갑빨로 도탄될 확률이 있는데 해치 부분은 얄짤없다. 그냥 해치 부분 노리고 갈기다보면 둘 중에 하나는 꼭 뚫리게 되어있다.

점보가 장갑이 두껍다지만 최악의 약점이 있다. 궤도쪽 장갑은 추가장갑이 붙지 않은 38.1mm라서 극도의 칼각을 주지 않는 이상 여길 맞고 죽는다. 초보자들은 모르고 티타임을 줬다가 의문사를 당하기 십상이다. 어차피 탑방이면 각 안 줘도 못 뚫는 전차들 밖에 없으니 엄폐물 없으면 그냥 각을 주지 말던가 궤도 윗 장갑이 안 보이게 각을 주자. 물론 상대방이 나보다 고지대에서 사격해 경사장갑의 이점이 사라지는 상황이면 엄폐물부터 찾아야 된다. 또 궤도 바로 윗쪽에 있는 차체장갑이 9.5mm 밖에 안된다. 바로 위엔 탄약고가 위치하기 때문에 재수가 없어서 고폭탄을 잘못 두들겨 맞으면 굳이 대구경 고폭탄이 아니더라도 황천길을 갈 수가 있다. 이 수치는 M4A1 이나 M4 셔먼과 같다. 같은 차체인 M4A3E8 도 이 부분이 9.5mm 밖에 안된다.근대 칼각주면 4호전차의 75mm급 이상 아니면 절대 못뚫는다.

처음 몰아본다면 75mm 주포가 매우 못 미덥게 느껴지겠지만 약점사격을 한다면 보통의 적들은 상대하는데 무리가 전혀 없고 정 안되면 APCR을 쓰면 된다. 기존에는 도저히 뚫을 수 없던 IS-1도 1.49에서 관통력 버프를 통해 근거리 접전에서 포탑 양 볼을 시원하게 뚫어재낄 수 있다.[5] 판터의 경우 포탑을, 티거의 경우 근거리에서는 최대한 90도 각도를 맞춰 쏘면 뚫을 수 있게 되었다. 장거리에서는 해치를 노리자.

시뮬레이터 배틀에서는 두 번 스폰할 수 있다.

탑방에서 점보를 막을 수 있는 전차는 별로 없다. 탑방만 걸리면 그야말로 양민학살을 즐길 수 있다! 같은랭크 내에서 독보적인 관통력을 자랑하는 17파운더마저 정면관통을 보장하기 힘들고 독일+일본을 상대로 하는 데다가 4.7방에 가면 디커막스만이 막을 수 있는 데 타는 사람이 별로 없다. 게다가 독일은 4.3 ~ 5.7 까지가 간격이 커서 탑방도 자주 걸린다. 명실공히 4.7방 패왕으로, 승률이 60퍼를 넘어간다. 프리미엄 코브라킹까지 사서가면 점보가 2대... 여기다 예비장비까지 붙여주면 금상첨화. 소련의 76미리. 85미리는 버티지만 122mm나 152mm에는 뚫린다.

여담으로 전면 장갑을 덕지덕지 억지로 뭍혀놔서 변속기가 있는 부분의 장갑이 무한궤도 보다 약간 앞쪽으로 나와있는데 이 때문에 최고속력으로 달리다가도 약간의 턱이 있으면 쿵하고 바닥에 걸려버려서 속도가 확 죽어버린다

패치로 5.0으로 br값이 조정됐지만 3.7을 학살하지 못한다는 사실 외에는 변한게 없다. 특히나 관통 메커니즘 패치 이후 작약탄의 관통이 100미터 수직 기준 101mm로 버프를 받으면서 더 타기 편해졌다. 사실 이 녀석보다는 76mm 들고 7.0까지 끌려가게 생긴 다음 전차가 문제.


5. 4랭크[편집]




5.1. 강습전차 M4A3E2 (76) W 점보[편집]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us_m4a3e2_76w_sherman_jumbo.png

필요 RP: 89,000
가격: 300,000

  • 차량 성능
차종중전차랭크4BR5.7 / 6.0 / 6.0
중량37.8 톤최대속도35 km/h포탑회전 속도초당 20.4°
엔진 출력417 마력, 2,600 RPM등반각40°부앙각-10 / 25°
차체장갑정면 101측면 76후면 38최대 수리 코스트3,740
포탑장갑정면 177측면 152후면 152무료 수리 시간3일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76mm M1 전차포×17.6 초APCBC, HE, AP, APCR71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CBCM62무료7 kg792m/s125mm116mm105mm
HEM42A1무료5.8 kg800m/s7mm7mm7mm
APM79806.8 kg792m/s154mm131mm107mm
APCRM932304.3 kg1,036m/s215mm203mm181mm

  • 부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12.7mm M2HB 기관총×1기본60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기본기본무료25mm19mm12mm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7.62mm M1919A4 기관총×1기본3,00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기본기본무료9mm7mm4mm

M4A3E2의 차체에 76mm M1을 장착한 강습전차.

방어력은 점보 시절과 동일하지만 주포가 76mm로 업그레이드 되어서 예전보다는 티거1와 판터같은 전차를 쉽게 격파할 수 있다. IS-1등의 전차도 쉽게 상대할 수 있다.

점보의 방호력이 슬슬 무적으로 작용하지 못하는 BR 구간인데, 5.7의 주포들은 점보를 근거리에서 간단하게 관통할 수 있다. 그래도 중형전차의 은탄이나 주로 상대할 티거의 주포는 쉽게 도탄시킬 수 있다.

탄속이 빠르지는 않으나 장거리에서도 맞추기는 쉬운 편이다.

4.7 시절에도 가끔 작약탄에 뚫리면 포수가 죽는 광경을 연출하던 포방패 위의 마빡이 충분히 치명적인 약점으로 작용하는 BR대가 되어서 자신보다 BR이 낮은 전차에게도 방심하면 뚫리기 때문에 예전처럼 무대뽀로 돌격하는 람보 플레이가 불가능해졌다. 다른 전차도 마찬가지지만 이 녀석은 탑방에서 특히 좋은 전차라 자신보다 상위 BR의 방으로 끌려가면 답이 없어진다. 기동력과 방어력은 충분히 쓸만하지만 6.3을 넘어가면 거의 의미가 없어지고 방어력과 맞바꾼 빈약한 화력이 발목을 잡아 전면전을 힘들게 한다. 상위방에 걸리면 반드시 우회를 하자.

플레이스타일은 장갑이 튼튼해지고 조금 굼떠진 셔먼 76mm 개량형처럼 운영하는 것이 좋다. 장거리에서 탱킹을 하겠다면 각을 주고 탱킹하는동안 아군이 적을 잡는 식으로 운영하자. 원래부터 중형전차인지라 발차력 선회력 전부 티거보다도 우위이기 때문에 4.7 시절처럼 아케이드 여포는 불가능해도 충분히 좋은 전차다. 당장 T25, 잭슨, 76mm 점보로 덱을 맞추기 이전의 76 셔먼 지옥을 기억해보자. 확실히 좋아졌다는 체감이 들것이다.

공방이 아닌 토너먼트와 스쿼드론 배틀에서도 매우 좋은데 상위 전차가 전무하고 동급/아래 전차들로 한정된 매칭으로 인해 말그대로 여포짓을 할수있다.

잊지 말자. 이 녀석은 BR 5.7이다. 주포가 평균 미만인 것만 제외하면 이 녀석은 단점이 없다고 볼 수준으로 좋은 전차다. 직접 비교는 어렵지만, 당장 0.3만 아래로 가도 장갑이 별로인 이지에잇이 이 포로 먹고 살고 있다. 좀만 생각해봐도 답이 나오는게 이 녀석은 티거 1과 동 BR인 주제에 덩치도 더 작고 기동력도 더 좋고 방어력도 더 좋은 전차다. 심지어 컨셉도 겹친다! 75밀 점보가 워낙 포스가 커서 그렇지 전체 방호력은 같은 5.7의 IS-2랑 비교해도 나쁘지 않다. 성능에 문제가 있는 건 이 녀석의 원본인 M4의 개량형인 이지에잇이지 이 녀석은 문제가 없다. 포의 관통력이 낮은 것으로 폄하하지 말자. 장갑이 더 뚫리기 쉬워졌을 뿐이지 관통력은 이미 전티어에서 충분히 익숙해지는 문제다. 애초에 점보가 4.7에서 그 정도 방호력이 나오는 것이 이상한거다!

패치 이후 6.0으로 너프 당했다.

6.0 전차가 많지 않아 탑방을 가는 경우가 좀처럼 없어서 실질적으로 6.3을 탑방으로 쳐야하는데 145mm 관통으로 6.3에서 전면을 뚫을만한 전차는 전무하다. 심지어 76mm 전차포로 7.0까지 끌려가며 그쯤 가면 장갑은 이미 효용성이 전무하다. 차라리 이지에잇 끌고 오는게 나을 수준으로 튼튼한 이지에잇에서 그냥 느린 이지에잇이 되어버렸다. 이거 탈바에 차라리 4랭크 방에 헬캣을 들고가자.

얘 자체는 나빠진 것이 전혀 없다. 오히려 작약탄 버프로 성능 자체는 더 좋아졌다. 하지만 BR 0.3 상승이라는 것 하나 때문에 화력 장갑 기동 뭐 하나 좋을 것이 없어졌다. 그나마 나은 기동성으로 우회라도 가능하지만 그것 뿐.

5.2. 중전차 T26E1-1 슈퍼 퍼싱[편집]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us_t26e4_superpershing.png

필요 RP: 220000
가격: 610000

  • 차량 성능
차종중전차랭크4BR6.3
중량49.9톤최대속도45/40 km/h포탑회전 속도초당 22°/14.3°
엔진 출력774/442마력, 2600RPM등반각22/25°부앙각-8 / 20°
차체장갑정면 101(+38.1x2)측면 76후면 51최대 수리 코스트4370/4550
포탑장갑정면 101(+80)측면 76후면 76무료 수리 시간4일 12시간/5일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90mm T15E1 대전차포×116.3 초AP, HE, APCBC, APCR5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T43무료11 Kg975 m/초216 mm202mm186mm
HET42무료11 Kg975 m/초13 mm13 mm13 mm
APCBCT4116011 Kg975 m/초202 mm196 mm181 mm
APCRT444807.6 Kg1143 m/초266 mm250 mm231 mm

  • 부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12.7mm M2HB 중기관총×1기본1000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기본기본무료25mm19mm12mm

  • 부무장2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7.62mm M1919A4 기관총×1기본4,00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기본기본무료9mm7mm4mm

1.57 패치로 등장한 셔먼과 T32의 사이를 채워줄 중전차

4랭크에선 T32 말고는 중전차가 없다시피했던 미국에 등장한 새로운 중전차 트리의 중형전차. M26 퍼싱에 포방패에는 판터의 전면 상부 장갑(80mm)을 더하고 차체에는 38.1mm 구조용강 두장을 더해 방호력 증대를 꾀한 전차이다. 덕분에 포방패 부분에는 114mm+80mm로 194mm라는 티거2(H) 못지않은 포탑장갑을 얻었으며 차체도 단순 두께로 계산하면 101mm+(38.1x2)[6]로 176mm의 경사장갑으로 상당히 두껍고 경사까지있어 티거2와 대등한 방호력을 보일 것으로 기대되었으나... 추가장갑이 구조용강이기 때문에 진짜 방호력은 그보다 훨씬 낮다.

구조용강 재질은 두께 대비 0.45x의 장갑 두께 페널티를 받는다. 즉 차체 추가장갑판 한장의 실질 방호력은 17.1mm 정도가 된다. 게다가 기본 차체마저 주조균질이라 0.95x의 패널티를 받아 실질적으로 96.5mm다. 심지어 전면부에 추가 장갑판들의 무게와 더 무거운 주포로 인해 전차가 앞으로 3도 기울어져 있다.고정식 유기압 현수장치 따라서 40도 96.5mm+47도 17.1mm+57도 17.1mm가 실질방호력이다. 동BR 중전차인 킹타 88mm은 꽤 잘막으며 IS-2의 122mm를 막는 일은운빨도탄이 아닌 이상 없다고 보는게 좋다. IS-2 막는 전차가 소수다 거기다 울퉁불퉁한 상부장갑때문에 전면에서 저티어의 주포에도 관통당할 확률이 존재하지만 헐다운을 하면 어느정도 보안된다

전면장갑에 티타임을 잘못 줄 경우 추가장갑이 두겹으로 방호하지 못하고 아예 무시하고 기본 퍼싱 차체만 타격 가능하거나 한겹만 방호에 쓰일 수 있으니 미국 전차의 특징을 활용해서 차체를 숨기도록 하는게 좋다

포탑은 분명히 114mm 주조장갑[7]의 포방패 + 80mm의 균질압연장갑으로 두께로 따지면 티거2 (H)급 이상의 방호력을 보장해준다. 80mm의 균질압연 장갑판이 포방패와는 완벽히 겹치기때문에 포탑의 방호력은 충분한 편이다.

다만 포탑에 약점이 좀 있는데, 80mm의 추가장갑판이 포탑전면을 완벽히 가려주진 못한다. 위에 썼듯 포방패와는 완벽히 겹치나, 포방패의 위아래 약간씩, 그리고 포방패 양옆의 조그마한 부분들이다. 저 부분은 연약한 퍼싱의 101mm 주조장갑이라 위험하지만 약점부분들이 초근접해야 노려볼만한 수준이란 것인데 장거리 저격전
위주인 미국 중전차는 노려질일 없고 포방패 양옆의 장갑들은 조금만 벗어나도 도탄을 내버리므로 크게 신경쓰이진 않을 것이다.

포방패 위아래의 약간의 공간은 주포를 올렸다 내렸다하는 것으로 순간적인 방호가 가능하니 근접상황에서도 운이 나쁘지 않으면 관통당할 일은 별로 없다.

그래도 어쩌다가 한두번씩은 관통당하는 부위이므로, 추가장갑판이 보호해주지 못하는 부분을 맞았다면 그냥 운이 나빴다고 생각하는게 낫다.

측면은 그대로지만 애초에 측면을 대주지 않는것이 좋은 플레이다

추가장갑들은 전부 공간장갑 같은 역할을 하므로 해당 부분에 대해서는 고폭탄이나 HESH엔 거의 면역이지만 아쉽게도 HEAT에는 별 효과가 없다. HESH는 퍼싱이 원판인 특성상 추가장갑판 없는 곳에 맞으면 죽는다고 생각하자.
안그래도 추중비가 안좋은 퍼싱인데 거기에 무게가 50톤 정도로 8~9톤 가량 늘어나 추중비가 더 안좋아졌다. 최대 속도는 비슷하지만 확실히 둔해진다.

포 또한 M26의 M3 90mm 주포와는 다른 T15E1 장포신 고속 주포를 사용한다. 포구초속이 증가한 만큼 관통력도 증가돼서 자주보는 같은 BR인 티거2(H)와의 정면 승부도 가능할 정도. 물론 가능만 할 뿐이지 되도록 피하는게 좋다. 이쪽은 어딜 맞아도 빈사or즉사지만 저쪽은 포방패 제외한 좁은 포탑 부분밖에 노릴 곳이 없다. 게다가 장전속도도 기본 16.3초(...)[8]로 매우 느리다. 독일 4티어대 최강 주포인 88mm KwK 43과 비교하자면 연사력도 관통력도 확실하게 밀린다. 그나마 비교될 법한건 소련의 122mm D-25T인데, 이 둘은 관통은 거의 비슷한고로 화력을 선택할 것이냐, 장전을 선택할 것이냐 정도의 차이. 그래도 파편량은 122mm보단 못한 정도지 관통시 적에게 치명타 주기에는 충분하다.

결론적으로 중전차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장갑이 동티어 전차들의 주포를 준수하게 막아내지만 강해진 퍼싱이라고 생각하고 몰자. 기존 퍼싱과 마찬가지로 맞지않고 빠른 후진과 부각을 이용한 치고 빠지기를 주로 하는 것이 좋다.


1.67 패치로 이녀석의 입지가 더욱 좁아졌다. 바로 T34가 6.7에 등장한 것. 경사장갑에 취약하지만 뚫었다 하면 미칠듯이 파편을 만들어내는 120mm 철갑탄을 노업기준 19.4초(분리장약임에도 3초밖에 차이나지 않는다! 물론 T34가 빠른게 아니라 슈퍼퍼싱이 비이상적으로 느린거지만...)마다 쏴대면서 방어력으로는 T29와 동일한 중전차가 등장했으니 더이상 슈퍼퍼싱을 모느니 차라리 다른 6.7 전차를 모는것이 정신건강상... 게다가 현질하라는 건지 미국의 6.7라인에는 공격력 하나만큼은 끝내주는 t29 t34 t114 트리오가 존재한다.

1.79 패치로 준비탄 탄약고 메커니즘이 추가되어서 이제 10발보다 많이 들고 다니면 포탑 탄약고가 항상 꽉 차있어서 뚫렸을 때 죽을 확률이 더 높아졌다.

1.79의 마이너 패치로 모든 전차전에서 전투력 지수(BR)가 6.7에서 6.3으로 변경됐다.

6.7치곤 성능이 별로이긴 했는지 6.3으로 버프되었고 버프이후 고랭크의 전차들을 만나는 일들이 줄어들었고 나름 중전차의 모습을 갖추게되면서 6.7시절보단 날아올랐다는 평가

1.79의 BR버프에 이어 1.81패치로 전차가 앞으로 기울어졌던게 고쳐지면서 더욱 좋아졌다. 판터와 티거 상대로는 거의 무적이나 다름 없어졌고 88 71을 간간히 막아낼 수 있게 되면서 킹타 에게도 상당히 무서운 상대가 되었다.

1.85 패치 이후 모든 퍼싱류의 포탑 내부에 88.9mm 구조물이 추가되는 고증 패치가 이루어짐으로서 포탑 한정으로는 킹타의 88/71 탄을 폐쇄기가 흡수(완전 비관통은 아니다)하는 기염을 토하고 있다. BR 패치와 전차 기울임 패치에 이어 구조물 고증 패치도 이루어짐으로서 6.3에서 매우 쓸만한 중전차로 자리 잡았다. 12월 25일 1.85.0.59 마이너 패치로 다시 25.4mm로 롤백 되었다. 정말 최고의 크리스마스 선물이야

5.3. 중전차 T34[편집]


파일:us_t34.png

필요 RP:
가격:

  • 차량 성능
차종중전차랭크4BR7.0/6.7/6.7
중량65.8 톤최대속도35 km/h포탑회전 속도초당 14.2 °
엔진 출력739 마력, 2800 RPM등반각41 °부앙각- 10/ 15 °
차체장갑정면 102측면 76후면 51최대 수리 코스트10,713
포탑장갑정면 203측면 158후면 203무료 수리 시간13일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T53 대전차포18.1 초AP, APCR, HE34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CBCT14E3무료23 Kg944 m/초246 mm233 mm218 mm
APCRT17E147013 Kg1264 m/초319 mm293 mm258 mm
HEM73무료23 Kg944 m/초28 mm28 mm28 mm

  • 부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M2*3기본340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기본무료25 mm19 mm12 mm

120mm 철갑 깡패
프리미엄에 있는 T29에 장갑좀 더 칠하고 주포를 120mm로 바꾼 녀석
고증상 작약탄이 없어 실제 데브섭에서 무작약 쌩철갑으로 나와 충격을 주었다 심지어 파편량도 형편없는 수준이였는데...

정규서버 업데이트때 APCR이 추가된것과 더불어 쌩철갑이 흉악한 수준의 위력으로 버프받았다! 판터를 정면에서 아작낼수 있을만큼의 위력. 그 티거 2 마저도 차체 하부를 관통시 한번에 격파가능할 정도의 펀치력을 자랑한다. 탄이 단순 AP탄이므로 경사장갑에 약하지 않을까? 걱정이 들 수도 있지만 압도적인 구경과 관통력으로 단순 AP탄이라는 패널티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봐도 무방하다. 동BR 티거 2의 차체 상부를 근거리에서 관통가능할 정도다. 다만 차체 상부를 관통해도 줄 수 있는 피해는 별로 없으므로 차체를 노릴 수 있는 상황이라면 차체 하부를 노려 격파를 노리는 것이 낫다. 다만 구식 AP의 한계는 어쩔수 없어서 바이탈 파트가 파편을 모조리 흡수하는 경우가 꽤 많다. 워썬더 특유의 문제로 변속기가 전방에 있는 전차는 변속기가 파편을 모조리 흡수한 뒤 역관광당하는 일이 많다.

차체는 판터2와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102mm 55도인 차체 상부는 주조에 기관총구가 있어 판터2에 비해 조금 약하다고 볼 수도 있지만 예비궤도도 있으니 거의 동일한 방호력을 보이지만 미국전차는 차체를 가리는 플레이가 정석이라 맞을 일은 없고 맞더라도 안전하다 70.25mm 26도~59도인 차체 하부의 경우는 모양이 중앙으로 갈수록 경사도가 높아지는 특이한 구조덕에 방호력이 위치마다 급격히 달라지지만 어쨌든 판터2 하부와 비슷한 방호력이 나온다고 보면 된다. 판터2 차체 방호력이 괜찮은 것을 생각하면 BR 6.7 중전차치곤 좀 아쉽지만 미국치곤 나쁘진 않다. 최소한 슈퍼퍼싱처럼 정면에서 차체상부조차 산재한 약점때문에 85mm나 75mm(판터외에 43,48구경장도 가능하다)에도 어이없게 관통당할 일은 없다 다만 전체적으론 슈퍼퍼싱보다 차체 전면 방호력이 떨어진 만큼 근접전이나 시가전은 힘들다. 근접전이나 시가전은 최대한 지양하는게 좋다.

포탑은 매우 강력하다. T29와 거의 동일하나 203mm 포방패 안쪽에 20mm의 주조균질장갑판이 존재하며, 포방패 바로 위쪽의 약간의 수직포탑장갑 부분이 T29의 178mm가 아닌 158.7mm 라는 점, 포탑 후방에 101mm 주조균질장갑판이 달려 최대 203mm의 포탑 후방 방호력을 가진 것이 차이점이다. 간단히 말해서 정면은 더 강해졌다. 포방패 위쪽의 수직장갑 부분이나 포방패의 옵틱 부분이 존재하기에 약점이 없는건 아니지만 포방패의 대부분이 T29의 203mm를 넘어 203mm+20mm가 되었으니까. 88/71에도 엄청난 방호력을 보여주며 BR-471D(122mm용 신형포탄)이 아닌 122mm 사격은 약점만 아니면 그냥 맞아도 상관이 없는 수준이다. 저 매우 우수한 포탑 장갑이 미국 특유의 우수한 부앙각과 합쳐져 헐다운을 한다면 BR 6.7에서 격파가 매우 어려운 괴물이 탄생한다.

피탄시 생존성도 매우 좋은 편으로 T29처럼 포탑을 관통당해도 워낙 차체와 포탑 내부 공간이 넓다보니 원턴킬 당하는 일이 별로 일어나지 않는다. 차체를 관통당하면 차체 하부의 탄약고로 인해 유폭당해 원턴킬 당할 확률이 높지만 차체는 헐다운을 이용하면 피격을 최소화 할 수 있으니 치명적인 단점은 아니다. 포탑에 탄약고가 있기에 포탑 관통시 유폭당할 걱정이 든다면 탄약을 23발만 가져가자. 포탑의 탄약고가 전부 비워진다.

중전차지만 기동은 괜찮은 편이다. 선회력이 약간 느리긴 하나 매우 나쁜건 아니며 T29보다 엔진 마력이 증가(한 만큼 속도도 초기 가속력이 좋아 무난하다. 오히려 슈퍼 퍼싱에 비해 더 부드러운 기동이 가능한 정도다. 그리고 피봇턴이 된다. 다만 차체가 길고 무거운 만큼 둔하다는 것은 항상 인지하고 있어야한다.

주의할 점은 포방패에 있는 그놈의 크고아름다운 옵틱 37미리 포에도 운이 나쁘면 관통당하고 심지어 구경 122mm짜리도 들어온다. 돌머리라고 나대면서 근접전을 펼치다가 여기맞고 한방에 어이없게 골로 갈 수 있다. 왜냐하면 아예 장갑이 없기때문이다. 기관총에도 옵틱쪽 포탑 내부 인원이 사상당할 수 있다.근데 거기 못맞추는 사람들이 더 많다

미국 중전차의 기본인 헐다운을 제대로 수행한다면 티거2를 쉽게 상대한다. 주요 약점들이 커버해주기 때문

결론적으로 T34는 미국 지상군 BR 6.7의 OP전차 매우 우수한 포탑 장갑, 적절한 기동성, 동 BR 최강급인 주포, 근접전만 조심한다면 괜찮은 차체 장갑. 차체의 피격을 최소화하며 천천히 전선을 밀자. 정말 만족스러운 전차가 될 것이다. 미국 중전차는 근접전이 아닌 장거리전 특화임을 명심해야 한다.

1.79 패치로 M103과 동일한 표기만 AP인 APBC 였던 포탄이 고증화 되어서 APCBC로 바꼈다. APBC가 APCBC보다 경사장갑에 더 효과적이란걸 생각해보면 너프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60도 관통력은 샹향을 받았기 때문에 무작정 너프라고 할 수도 없다. 물론 탄속과 수직 관통력은 아직도 비고증이다. 고증상 탄속은 960m/s이고 영거리 수직 관통력은 286mm이다.

패치로 T29와 함께 아케이드 모드 BR이 7.0으로 너프되었다.


6. 5랭크[편집]




6.1. T32 계열[편집]


1.83 패치로 T32E1이 추가되면서 계열로 정리됐다.

6.1.1. 중전차 T32[편집]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us_t32.png

필요 RP: 120,000
가격: 690,000

  • 차량 성능
차종중전차랭크5BR7.0 / 7.0 / 7.0
중량54.0 톤최대속도35 km/h포탑회전 속도초당 20.4°
엔진 출력642 마력, 2,800 RPM등반각40°부앙각-10 / 20°
차체장갑정면 127측면 76후면 50최대 수리 코스트4,340
포탑장갑정면 298측면 152후면 152무료 수리 시간4일 21시간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90mm T15E2 대전차포×118.8 초AP, APCBC, APCR, HE54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T43무료11 kg975m/s216mm202mm186mm
HET42무료11 kg975m/s17mm17mm17mm
APCBCT4119011 kg975m/s202mm196mm181mm
APCRT445607.6 kg1,143m/s307mm283mm250mm

  • 부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7.62mm M1919A4 기관총×1기본4,00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기본기본무료9mm7mm4mm

포탑 포방패장갑 298mm의 미친 수치를 보여주며 높은 부앙각으로 헐다운 전투시 무적이 된다. 원래는 가이진이 귀찮아서 포방패 두께 298만 고증하고 298/198/152 장갑을 통 152로 깎아 놔서 포탑의 포탑 좌우 볼 부분이 생각 외로 취약했다. 88/71의 조준사격에 중거리 이하 방호가 힘든 수준었으나 1.47 패치로 포탑 장갑이 포방패와 포탑장갑이 298mm 두께를 자랑한다. 허나 역시 차체는 두말할 필요없이 미국 전차 종특스럽게 취약하긴 하다. 뭐 취약하다고 하나 일단 상부 부분은 경사도 자체는 꽤 좋아서 도탄 확률이 높긴 하다. 그러나 차체 상부의 기관총구와 하부는 생각보다 경사도가 그리 좋은 편은 아니고 탄약고까지 있는지라 맞고 관통 되면 살아남는다는 것이 기적일 정도이다.

분리장약이라 재장전속도가 M26 퍼싱 주포의 1.5배며 기본탄이 생 철갑탄이라 관통후 피해가 매우 미미하다. 기본탄인 T43 APCBC의 관통력은 수직장갑 기준 500m 202mm로 나쁘지는 않아보이나 이 전차가 BR 7.0 인 시점에서 굉장히 구려진다. 이 녀석이 주로 마주치는 녀석들은 IS-3 가 기본이고 심심하면 마우스, IS-4M 이나 T-54 시리즈들을 만나는데, 이놈들을 만나게 되면 정말 정면에서는 어딜 치더라도 주포 말고는 때릴곳이 없는데다가 소련처럼 구경이 커서 고폭탄 화력이 강한것도 아니기 때문에 고폭탄도 쓸 수 없다. 특히 패치전엔 탄종이 기본탄인 T43과 고폭탄 뿐이라서 상당히 암울한 전차였었다.

500m 거리에서 수직 장갑 기준으로 관통력이 250mm 정도가 나오는 T44 HVAP 탄종이 있긴 있으나 이 녀석이 주로 마주치는 급격한 경사장갑을 가진 소련 전차들 상대로는 상당히 무용지물이다. 반면에 정직한 수직 장갑을 많이 채용한 독일 전차들 상대로는 웬만한 상대는 다 뚫을 수 있다.
그리고 M82 포탄 또한 새로 추가 되어서 사용할 수 있는데, 포가 더 긴 90mm 포이다 보니 원래 M26 퍼싱이 쏠때는 약 500m 에서 150mm 정도의 관통력이 나오던 포탄을 이 녀석은 500m 거리 196mm의 관통력으로 쏜다. 예전부터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적 전차 내부 파편 타격력이 해결됨과 동시에 관통력까지 증가하여 특히나 장갑이 상대적으로 부실한 중형전차들 상대로는 사신으로 군림하는 것이 가능할 정도.

가이진이 너무 좋다고 생각 했는지 1.57 패치로 아케이드 모드, 리얼리스틱 모드 둘다 BR이 7.3으로 대너프를 먹었다. 4랭크 전차가 BR 7.3이 되는 위업을 달성 했다. 사실상 5랭크 IS-3와 같은 BR인데 T32의 주포로는 IS-3를 정면에서는 사실상 격파 하기가 불가능에 가까운걸 감안하면 참 억울한 조치.물론 IS-3도 정면에서 헐다운 하고 있는 T32를 뚫을 방도가 없지만 IS-3는 고폭탄으로 포탑을 치면 T32의 차체 상판을 뚫어서 격파 할 수는 있다. T32는 고폭탄의 위력이 약해 불가능.

1.59 패치로 아예 랭크 5가 되어 버렸다... 포탑이 두꺼운것만 빼면 차체는 그리 튼튼하지도 못한데다 90mm 주포가 아예 이빨도 안먹히는 BR인데 무슨 생각으로 이렇게 한건지 이해불능.

마침내 BR이 7.0로 상향되었다! 8.0 이상 깡패전차들을 만날 일이 조금 줄었고 IT-1을 안만난다!

1.79패치로 리모델링 되면서 포방패 장갑이 세분화 됐고 하단 또한 경사가 더 좋아져서 하단 정 중앙 부분은 71구경장 88mm에 면역이 되었다.


6.1.2. 중전차 T32E1[편집]


  • 차량 성능
차종중전차랭크5BR7.3 / 7.3 / 7.3
중량54.0 톤최대속도35 km/h포탑회전 속도초당 20.4°
엔진 출력642 마력, 2,800 RPM등반각40°부앙각-10 / 20°
차체장갑정면 127측면 76후면 50최대 수리 코스트4,340
포탑장갑정면 298측면 152후면 152무료 수리 시간4일 21시간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90mm T15E2 대전차포×118.8 초AP, APCBC, APCR, HE54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T43무료11 kg975m/s216mm202mm186mm
HET42무료11 kg975m/s17mm17mm17mm
APCBCT4119011 kg975m/s202mm196mm181mm
APCRT445607.6 kg1,143m/s307mm283mm250mm

  • 부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7.62mm M1919A4 기관총×1기본4,00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기본기본무료9mm7mm4mm
T32의 차체 전면장갑이 주조장갑에서 압연장갑으로 바뀌었고 경사도가 높아졌고 전면 기관총구가 삭제되어 방호력이 늘어났다.
차체 전면장갑을 제외한 다른 성능은 T32와 같다.

6.2. 120 mm 포 전차 M103[편집]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us_m103.png

필요 RP: 380,000
가격: 990,000

  • 차량 성능
차종중전차랭크5BR7.7
중량56.7 톤최대속도33 km/h포탑회전 속도초당 15.3°
엔진 출력676 마력, 2,800 RPM등반각40°부앙각-8 / 15°
차체장갑정면 127측면 51후면 38최대 수리 코스트5,240
포탑장갑정면 127측면 127후면 51무료 수리 시간6일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120mm M58 대전차포×119.4 초AP, HE, HEATFS33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M358무료23 kg1,607m/s302mm286mm267mm
HEM346무료23 kg762m/s35mm35mm35mm
HEATFSM4691,40024 kg1,143m/s380mm380mm380mm

  • 부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12.7mm M2HB 기관총×1기본1,00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기본기본무료25mm19mm12mm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7.62mm M1919A4 기관총×2기본8,00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기본기본무료9mm7mm4mm

미국 중전차 트리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전차[9]

기본탄인 AP탄은 구경빨 덕에 쌩철갑탄치곤 파편이 괜찮게 비산되며 야크트티거 전투실을 뚫을 수 있을 만큼의 수직장갑 관통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가이진의 미까질[10]로 실제보다 성능이 낮게 나왔고 이로 인해 1.67 이전에는 M103의 기본탄으로 게임하기 힘들었지만, 1.67 패치로 T34가 추가되면서 경사 관통과 파편량이 버프를 받아 펀치력과 경사 관통 모두 어느 정도 만족스러워진 편이다.

HEAT-FS탄까지 언락했다면 시원한 죽창을 맛볼 수 있다. 수직 장갑 관통력이 기본적으로 380mm 씩이나 나오고 살상력도 꽤 출중한 편. 물론 발당 1400 라이언이라는 상당한 가격을 자랑하기 때문에 아무렇게나 빵빵 쏴대면 흥하고도 적자에 시달릴 것이다. 적의 약점을 잘 알아두고 그 곳을 노릴 필요가 있다. 어차피 M103은 재장전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승무원을 저격하는거보단 탄약고을 노리는것이 훨씬 효율이 좋다.

차체 상단은 구식 작약탄에 완전 면역 수준이지만, 하단은 독일의 88/71 주포에게도 관통 당할 수 있을 정도로 부실한 편이다. T-34/85한테도 하단이 뚫리는 컨커러보단 낫다 게다가 운전수 옆에 탄약고가 있기 때문에 여기가 뚫리면 높은 확률로 터진다. 때문에 탑방에 걸린다고 해도 하단을 드러내지 않는게 좋다. 차체의 측후면은 대공전차한테도 관통 당할 정도로 얇으니 주의. 어차피 휠과 궤도가 측면 대부분을 감싸주는 만큼 크게 작용하는 단점은 아니지만 대공 전차가 우회하면 측면을 뚫어댈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 특히 ZSU-57M103이 추가된 초기에는 포탑 방호력도 실망스러운 수준이었으나, 지속적인 버프를 받아 현재는 포탑 정면은 300~400mm 수준의 놀라운 실방호력을 보여준다. 포탑 측면은 정말 크고 아름다운 대두에 비해 장갑은 없다시피 한 수준이므로 전면전 외에는 거의 포탄을 흡수하다시피 한다. 노리던 전차 옆의 놈을 바라보면 노리던 놈이 포탑 측면을 뚫어버릴 정도니... 큐폴라는 옆동네 게임과 달리 방어력이 그럭저럭 좋은편이며 포탑 최후미에 위치하기 때문에 작약탄이 뚫고 들어와서 터져도 한방에 전투불능이 되는 일은 적다.

참고로 주포 좌측에 장약이 비치되어있는데 24발만 넣으면 뺄 수 있다. 장약은 유폭 확률이 매우 높기때문에 이 탄약고를 빼지않으면 포탑 뚫렸을때 무조건 골로 간다. 포탑을 피격당하지 않을 자신이 있는게 아니라면 24발만 넣고 다니자. 어차피 장전속도가 느려서 24발 이상 쏠 일이 없다

기동력은 타국 5티어 중전차와 비교 했을때 가속은 빠르지만 최대속력은 느린 편이다, 후진 속도는 8Kph로 10kph은 간단히 넘었던 이전 중전차들에 비하면 아쉬운 수준이다. 덤으로 피봇턴이 가능하다.

2017년 6월, M46 패튼의 힛탄 고증화 패치 때 같이 버프를 받아 기본탄이 100m 기준으로 수직 302mm, 60도 경사 124mm 관통으로 버프받았다. 기본탄으로 게임하기 더욱 수월해졌다.

7. 6랭크[편집]




7.1. 중형 전차 T95E1[편집]


파일:us_t95e1.png
필요 RP: 380,000
가격: 990,000

  • 차량 성능
차종중형전차랭크VIBR8.0 / 8.0 / 7.7
중량38.5 톤최대속도56 km/h포탑회전 속도초당 21.4°
엔진 출력495마력, 2,800 RPM등반각31°부앙각-10 / 20°
차체장갑정면 127측면 51후면 19최대 수리 코스트4,340
포탑장갑정면 178측면 76후면 51무료 수리 시간4일 21시간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90mm T208E9 Cannon x 111.1 초APDS-FS, HE, Smoke5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DS-FST320무료3.6 kg1570 m/s297 mm279 mm260 mm
HET42무료8.2 kg1143 m/s14 mm14 mm14 mm
SmokeT339E142108.2 kg1143m/s0 mm0 mm0 mm

  • 부무장1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12.7mm M2HB 기관총×1기본1,70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기본기본무료25 mm19 mm12 mm

  • 부무장2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7.62mm M73 기관총×1기본475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기본기본무료9mm7mm4mm

1.69 패치로 추가됐다.

피탄경사각이 좋아 탄을 곧잘 튕겨내지만 그렇다고 아주 단단하다고 할만한 방어력은 아니다. APFSDS를 사용하기 때문에 화력은 발군이지만 그 대신 장전속도와 기동성이 상당히 안좋다는 점이 단점. 적당한 방어력, 강력한 화력, 느린 속도로 요약할 수 있다. 분명히 추중비는 톤당 12마력인 퍼싱보다 좋은 톤당 14.7 마력(560마력, 38.5톤)인데 가속이 더 안좋다. T25같이 미스터리한 기동성을 가졌다. 그나마 피봇턴과 포탑선회가 빠르기 때문에 궤도가 끊기거나 트랜스미션 혹은 엔진 혹은 둘 다 파괴된다거나 조종수가 죽는다거나 하지 않는 이상 경전차의 뺑뺑이에 대한 내성이 매우 좋다.

7.2. XM/MBT-70 계열[편집]


1.79 패치로 XM-803이 추가되면서 계열로 정리됐다.


7.2.1. 152 mm 건 런처 XM-803[편집]


파일:us_xm_803.png
  • 필요 RP 및 가격
필요 RP390,000 RP가격(라이언)1,010,000 Lions

  • 차량 성능
차종MBT(주력전차)랭크VIBR9.0
중량51.7 톤최대속도64km/h포탑회전 속도초당 30.6°
엔진 출력1250마력, 2600RPM등판각41°고저각-10 /20 °
차체장갑정면 물리탄 200mm
화약탄 170mm
측면 23mm후면 25.4mm최대 수리 비용아케이드 2600
리얼리스틱 5300
포탑장갑정면 물리탄 320mm
화약탄 280mm
측면
물리탄 35mm
화약탄 40mm
후면 물리탄 35mm
화약탄 40mm
무료 수리 시간12일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152 mm XM150E5 Gun/Launcher10,0초APFSDS,HEAT,ATGM,SMOKE53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90°/100m)관통력 (60°/100m)관통력 (30°/100m)
APFSDS(날탄)XM578E16403.7 Kg1500m/초370mm286mm173mm
HEAT(화약탄)M409A1019Kg754m/초354mm306mm176mm
ATGM(미사일)MGM-51C028Kg323m/초431mm373mm215mm
SMOKE(연막탄)XM410E164019Kg754m/초?mm?mm?mm

  • 부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12.7mm M85 Machine Gun추가바람API-T(철갑예광탄) AP(철갑탄)1000발
관통력 (90°/100m)관통력 (60°/100m)관통력 (30°/100m)
25mm19mm9mm

  • 추가부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7,62mm M73 Machine Gun추가바람AP(철갑탄) T(예광탄)6000발
관통력 (90°/100m)관통력 (60°/100m)관통력 (30°/100m)
9mm6mm3mm

1.79 패치로 추가됐다. MBT-70을 기반으로 더 저렴하게 만든 시제형 중 하나다. 포탑의 20mm Rh202 기관포가 12.7mm M85 기관총으로 바뀌었고 외형 또한 달라졌다. 장갑과 내부 배치도 살짝 변경됐는데 차체 전면 전부를 커버하는 연료탱크라던가 포수 조준경 뒤 장갑이 177.8mm로 더 두꺼운 등 생존성 자체는 MBT-70보다야 나아졌지만 어차피 MBT-70의 계열형에 불과하다. 원판과 마찬가지로 비좁은 포탑 안에 많지도 않은 승무원 셋을 전부 몰아넣는 바람에 한방 맞으면 차고로 직행하기 일쑤다.

1.79의 마이너 패치로 모든 전차전에서 전투력 지수(BR)가 8.7에서 9.0으로 변경됐다.


7.2.2. 152 mm 건 런처 MBT-70[편집]


파일:us_mbt_70.png

  • 필요 RP 및 가격
필요 RP390,000 RP가격(라이언)1,010,000 Lions

  • 차량 성능
차종MBT(주력전차)랭크VIBR9.0
중량51.7 톤최대속도64km/h포탑회전 속도초당 30.6°
엔진 출력1475마력, 2800RPM등판각41°고저각-10 /20 °
차체장갑정면 물리탄 200mm
화약탄 170mm
측면 23mm후면 25.4mm최대 수리 비용아케이드 5,265
리얼리스틱 10,586
포탑장갑정면 물리탄 320mm
화약탄 280mm
측면
물리탄 35mm
화약탄 40mm
후면 물리탄 35mm
화약탄 40mm
무료 수리 시간13일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152 mm XM150E5 Gun/Launcher10,0초APFSDS,HEAT,ATGM,SMOKE48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90°/100m)관통력 (60°/100m)관통력 (30°/100m)
APFSDS(날탄)XM578E16403.7 Kg1500m/초370mm286mm173mm
HEAT(화약탄)M409A1019Kg754m/초354mm306mm176mm
ATGM(미사일)MGM-51C028Kg323m/초431mm373mm215mm
SMOKE(연막탄)XM410E164019Kg754m/초?mm?mm?mm

  • 부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20mm Rh202 Cannon추가바람AP-I(철갑탄) HEFI-T(예광탄)750발
관통력 (90°/100m)관통력 (60°/100m)관통력 (30°/100m)
42mm32mm15mm

  • 추가부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7,62mm M73 Machine Gun추가바람AP(철갑탄) T(예광탄)6000발
관통력 (90°/100m)관통력 (60°/100m)관통력 (30°/100m)
9mm6mm3mm쓸모없는건 지웠습니다

워 썬더 1.71패치로 추가됐다. MBT라는 특성인지 중전차 라인에 배치됐지만 중형전차라는 분류에 포격지원 부품까지 연구 가능하다.

데브서버 8.3 본서버 출시 8.7로 유지될것 같았으나,1.71.1.143 긴급패치로 인해 9.0으로 올라갔다.

주무장은 152mm 건런쳐로 미사일,날탄,힛탄,연막탄 4종류를 쓸수있고 기본탄은 힛탄,미사일이다.힛탄의 경우 6랭크 전차들의 화학탄방어가 높기도 하고 낙차가 커서 썩 좋지는 않다. 미사일의 경우 M551가 쓰던 시레일러와 같은미사일로 관통력은 431mm을 자랑한다. 하지만 역시화학탄 치고는 그렇게 높은 수준이 아니다. 날탄의 경우 영거리 380mm 관통력으로 효과적으로 적을 관통한다. 주로 날탄을 주력탄으로 사용한다.[11] 재장전 시간은 6초였는데, 당시 기동력 면에서도 다른 전차들을 앞서는데 장전속도 까지도 높아서 1.73패치 이후로 10초로 너프되었다.

보조무장에 20mm 기관포가 있는데,이게 매우 효과적이라서 다양한부분 [12]에서 쓸수있다.

기동력은 압도적으로 빠르다. 1400마력이 넘는 출력으로 언덕을 밥먹듯이 넘으며 최고속도 또한 월등히 높다. 1.77 패치 전에는 이 전차의 기동력을 따라올만한 전차가 없었으나 이후 추가된 M1 Abrams 나 Leopard 2K 도 비슷한 정도로 뛰어난 기동력을 가지고 나왔다.

포정렬속도가 매우 빠르고 포탑선회능력도 매우 뛰어나다. 또한 Type74, STB-1에도 있는 유기압식 현수장치가 탑재되어 있어 세밀한 차체높이의 조절이 가능하다.

방호력은 높은 편은 아니다. 공간장갑이 구현되어 있어 화학탄에 대한 방호력을 일부 갖추고 있어 비교적 낮은 BR의 전차들이 사용하는 화학탄을 일부 방어해 낼 수 있지만 물리탄에 대한 방호력은 영 좋지 못하다. 또, 자동장전장치를 탑재했기에 승무원이 3명이고 모두 포탑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피탄 시 생존률이 낮은 편이다. 또 측면장갑이 영 좋지 못한 편이기에 입사각이 직각에 가까울 경우 KPz-70, Leopard 2K, AMX-30이 사용하는 20mm 기관포에게 관통당한다.

포탄의 경우 포탑 뒤쪽의 공간에 24발이 탑재되고, 이후 24발은 차체에 탑재된다. 즉 25발을 싣고 나가면 한발이 장전된 상태로 포탑에만 탄약이 남게되어 차체를 피격당했을 때 유폭날 일이 없어진다.

1.79의 마이너 패치로 모든 전차전에서 전투력 지수(BR)가 9.0에서 9.3으로 변경됐다.

7.3. Tank, Combat, Full Tracked, 105-mm Gun M1[편집]


파일:Us_m1_abrams.png

필요 RP: 380,000
가격: 990,000

  • 차량 성능
차종MBT랭크6BR10.0
중량54.4 톤최대속도72 km/h포탑회전 속도초당 23.8°
엔진 출력1500 마력, 3000 RPM등반각40°부앙각-10 / 20°
차체장갑정면 145측면 62후면 31최대 수리 코스트9300
포탑장갑정면 145측면 145후면 12무료 수리 시간15일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105mm M68A1 전차포[13]×15 초APFSDS, HESH, HEATFS, APFSDS, Smoke55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FSDSM735무료3.4 Kg1,501 m/초350 mm340 mm320mm
HESHM39340015 Kg730 m/초127 mm127 mm127 mm
HEATFSM456A2무료11 Kg1,173 m/초400 mm400 mm400 mm
APFSDSM7749003.4 Kg1,508 m/초357 mm347mm338 mm
SmokeM41620011 Kg730m /초0 mm0 mm0 mm

  • 부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12.7mm M2HB 기관총×1기본1,00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기본기본무료25mm19mm12mm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7.62mm M240 기관총×1기본11,40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기본기본무료9mm7mm4mm


1.77패치로 등장. 데브 서버에서 실제 고증보다 방호력과 기동력이 너프먹은 채로 등장했었지만 본섭에서는 다시 고증대로 KE: 400, CE: 650[14]으로 변경되었고 포탑측면은 CE: 300에서 400으로 변경되었다. 다만 M833 APFSDS 포탄을 받지 못해 최종 포탄은 M774만 가지고 있다. 물론, 1,500마력 가스터빈 엔진으로 얻은 빠른 전후진 가속력과 피봇턴으로 기동성이 민첩하다. 수동 장전임에도 불구하고 버슬탄약고와 높은 승무원 숙련도로 5초만에 화력투사가 가능하고, 실제 에이브람스에게 적용된 블로우 오프 패널도 제대로 구현돼 버슬형 탄약고가 피격당해 유폭날 경우 바로 끔살인 다른 전차들과 달리 화재만 나고 격파 판정이 나지 않는다.

1.77의 마이너 패치로 모든 전차전에서 전투력 지수(BR)가 9.3에서 9.7로 변경됐다.

1.79의 마이너 패치로 모든 전차전에서 전투력 지수(BR)가 9.7에서 10.0으로 변경됐다.

1.83 패치로 차체 전면이 355mm로 고증화 되었다.

22019년 2월 관통 메커니즘 패치에서 날탄들에 대한 Lanz-Odermatt 공식 적용으로 M774 탄의 수직 관통력이 감소했다. 긴 관통자 데미지 모델의 적용으로 관통 후 생성되는 파편의 양이 감소했다. 그에 비해 기본탄 M735는 복합소재의 탄이라 Lanz-Odermatt 공식을 적용시킬 수 없어 기존의 관통이 유지된 상태다.


7.4. Tank, Combat, Full Tracked, 105-mm Gun IPM1[편집]



  • 차량 성능
차종MBT랭크6BR10.0
중량55.3 톤최대속도72 km/h포탑회전 속도초당 23.8°
엔진 출력1500 마력, 3000 RPM등반각40°부앙각-10 / 20°
차체장갑정면 145측면 62후면 31최대 수리 코스트9300
포탑장갑정면 145측면 145후면 12무료 수리 시간15일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105mm M68A1 전차포[15]×15 초APFSDS, HESH, HEATFS, APFSDS, Smoke55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FSDSM735무료3.4 Kg1,501 m/초350mm345 mm330 mm
HESHM39340015 Kg730 m/초127 mm127 mm127 mm
HEATFSM456A2무료11 Kg1,173 m/초400 mm400 mm400 mm
APFSDSM7749003.4 Kg1,508 m/초357 mm347 mm338 mm
SmokeM41620011 Kg730m /초0 mm0 mm0 mm

  • 부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12.7mm M2HB 기관총×1기본1,00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기본기본무료25mm19mm12mm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7.62mm M240 기관총×1기본11,40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기본기본무료9mm7mm4mm

워썬더 최고의 생존성

생존성이 매우 뛰어난데 차체 전면 방호력이 제일 좋아서 하위 BR 전차들의 날탄에 쉽게 뚫리지 않고, 빠른 후진 속도와 더불어 엔진 연막 시스템이 추가로 있어서 후퇴 할 때 다른 전차보다 더 유리하다. 방호력은 상위급으로 화학탄 방호력은 왼쪽 포탑 정면 기준[16] 1000mm 정도로 포탑 정면 한정으로 워썬더의 모든 대전차 미사일 및 성향작약탄을 방호할수있다. 운동에너지탄 방호력도 바닐라 에이브람스에 비해 10~15mm 정도 늘어나서 레오파르트 2A4와 동등한 수준의 방호력을 보여준다. 기동성 또한 매우 좋은 편이다.

1.83 패치로 차체 전면이 355mm로 버프되었다.

2019년 2월 관통 메커니즘 패치에서 날탄들에 대한 Lanz-Odermatt 공식 적용으로 M774 탄의 수직 관통력이 감소했다. 긴 관통자 데미지 모델의 적용으로 관통 후 생성되는 파편의 양이 감소했다. 그에 비해 기본탄 M735는 복합소재의 탄이라 Lanz-Odermatt 공식을 적용시킬 수 없어 기존의 관통이 유지된 상태다.

하지만 M735탄으로도 10.0 전차들의 약점은 충분히 관통하고도 남기때문에 여전히 10.0중 상위급 전차이다. 여태까지 승률 65%대를 유지하며 승승장구하던 에이브람스인지라 좀 더 지켜봐야한다.

8. 7랭크[편집]



8.1. M1A1[편집]


[1] 빠르게 거점을 점령하고 항공기 스폰을 해서 지원하려는 유저들이긴 한데, 가는 길에 죽으면 도루묵이니 당연히 지상군 유저 입장에선 기분 나쁠 수 있다.[2] 전쟁 막바지에 생산돼서 유럽 전선에 도착하고 나니 전쟁이 끝나있었다고 한다.[3] 하지만 가이진의 실수인지 상하각만 조절할 수 있게 되었는데 고증상 좌우로 15도 회전이 가능하다.[4] 이것도 고증오류인데 전기구동 장치를 채택한 T1E1은 피봇턴이 가능했지만 M6A1은 해당사항이 없다.[5] IS-1의 왼쪽, 점보가 바라보는 오른쪽 뺨을 뚫으면 포수, 장전수가 다 죽는다.[6] 60도 경사의 38.1mm 구조용강+50도의 38.1mm 구조용강+43도의 101mm 주조 차체장갑[7] 실질적으로 108mm[8] T29의 105mm 분리장약과 같다!![9] 역사적으로 미국의 중전차 개발은 M103에서 끝났기때문에 M103 뒤로 올 전차는 없을 듯하다. 다만 M103의 디젤형인 A2가 나올 가능성은 있다. 결국 M103이지만[10] 기본탄이 M358 APBC에서 도탄 잘되고 경사장갑 관통력이 높지 않은 그냥 AP탄이 되어 버렸다. 가이진은 미국의 샤프노즈 APBC가 소련이 쓰던 블런트 노즈 APBC과 다르게 생겼으니 일반 AP탄이랑 다를 것이 없다고 주장하는데 당연히 개소리이며 M358은 소련의 APBC랑 다르게 생겼을 뿐이지 당연히 APBC이며 오히려 샤프노즈식 APBC가 소련이 쓰던 블런트 노즈식 APBC보다 고경사에 더 효과적이였다. 즉 가이진의 편애가 매우 두드러지는 부분. 유저들이 고증자료를 가져와 여러번 건의를 넣었지만 매번 씹고 있다. 이 정도면 아예 알고도 개무시하는게 아닐까 싶은 수준. 아래 써있듯이 17년 6월 패치로 버프를 받고 표기만 AP인 APBC로 변경됨과 동시에 경사 관통력과 파편량이 엄청난 버프를 받고 게임 내 풀 칼리버 무작약 철갑탄중에 가장 강력한 포탄이 되었다.[11] 고증 상으로는 짧은 포신길이때문에 관통력은 330mm~340mm이였으나 워 썬더에선 조금 더 높게 설정되어있다.[12] 대공능력이 뛰어나고, 경장갑차랑을 파괴시킬수있고, 입사각이 직각에 가깝다면 MBT의 후면이나 측면도 관통가능하다.[13] 아직까지 정확한 한글 번역명이 나오지 않았다. cannon을 전차포로 번역하기에 기제한다.[14] KE: Kinetic Energy CE: Chemical Energy. KE는 APFSDS 같은 운동 에너지탄을 말하고, CE는 HEATFS 같은 화학 에너지탄을 말한다.[15] 아직까지 정확한 한글 번역명이 나오지 않았다. cannon을 전차포로 번역하기에 기제한다.[16] 경사도의 차이때문에 포탑 전면 오른쪽의 경우 980mm정도로 포탑 전면 왼쪽보다 방호력이 낮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