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 썬더/지상 병기/미국 트리/구축전차 · 대공전차

덤프버전 : r20190312 (♥ 0)



파일:나무위키프로젝트.png
이 문서는 나무위키 워 썬더 프로젝트에서 다루는 문서입니다.
해당 프로젝트 문서를 방문하여 도움이 필요한 문서에 기여하여 주세요!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워 썬더/지상 병기/미국 트리/자주포 트리 문서의 r22 판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워 썬더/지상 병기/미국 트리/자주대공포 트리 문서의 r20 판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워 썬더/지상 병기/미국 트리 문서의 r1356 판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워 썬더의 지상 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파일:워 썬더 미국 국기.png 미국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중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대전차 자주포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독일 국기.png 독일자주포 · 경전차 | 중전차 · MBT | 중형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구축전차 · 대전차 차량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소련 국기.png 소련중형전차 · MBT | 중전차 · MBT | 경전차 | 자주포 · 대전차 차량 | 자주대공포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영국 국기.png 영국중형전차 · MBT | 중전차 · MBT | 자주포 · 대전차 차량 | 자주대공포 | 남아프리카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일본 국기.png 일본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구축전차 | 자주대공포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중국 국기.png 중국경전차 · MBT | 중형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자주포 · 대전차 차량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이탈리아 국기.png 이탈리아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구축전차 · 대전차 차량 | 헝가리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프랑스 국기.png 프랑스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중전차 | 대공전차 | 구축전차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스웨덴 국기.png 스웨덴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구축전차 · 대전차 차량 | 핀란드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이스라엘 국기.png 이스라엘미국제 | 유럽제 · 자국산 | 자주대공포 | 대전차 차량 | 프리미엄
* 지상 병기 전반에 대한 내용은 워 썬더/지상 병기를 참고.
* 새로운 기체 문서를 추가하실 때 템플릿:워 썬더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1. 구축전차 라인
1.1. 1랭크
1.1.1. 경전차 M2A2
1.1.2. 75 mm 자주포 M3
1.2. 2랭크
1.2.1. 3인치 자주포 M10
1.3. 3랭크
1.3.1. M18 자주포
1.4. 4랭크
1.4.1. 90 mm 자주포 M36
1.5. 5랭크
1.5.1. 105 mm 자주포 T95
1.6. 6랭크
1.6.1. 152 mm 포 전차 M60A2
2. 대공전차 라인
2.1. 1랭크
2.1.1. 다연장자주대공차량 M13
2.2. 2랭크
2.2.1. 다연장자주대공차량 M16
2.3. 3랭크
2.3.1. 혼성자주대공차량 M15
2.4. 4랭크
2.4.1. 쌍열자주대공차량 M19
2.5. 5랭크
2.5.1. 쌍열 40 mm 자주대공포 M42 더스터
2.6. 6랭크
2.6.1. 20 mm 발칸 자주대공포 M163
2.6.2. 40 mm 자주대공포 M247



1. 구축전차 라인[편집]


1.70(1.49) 패치로 추가된 라인.

대부분 대전차 자주포지만 게임에서는 구축전차로 취급한다.

4랭크까지 적용되는 미국 구축전차 라인의 특징은 적절한 주포의 성능, 낮은 장갑 방호력, 회전 가능한 포탑이다. 다만 M10 같은 경우 주포 성능이 매우 뛰어난 편이다. 포탑이 '일단은' 돌아간다는 이점 하나때문에 공수주 3박자를 모두 만족하는 전차는 이 라인에 없다. 워썬더 시스템이 구축에게 불리한 편이라지만 유난히 운용 난이도가 굉장히 높은 라인이다.

장갑 방호력은 대체로 오픈탑 차량이 많기 때문에 항공 지원으로 날아오는 비행기의 기총 소사나 지근거리 고폭탄 포격에 차량 승무원이 전멸하는 사태가 벌어질 수도 있다.


1.1. 1랭크[편집]



1.1.1. 경전차 M2A2[편집]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us_m2a2.png

  • 차량 성능
차종경전차랭크1BR1.0
중량8.7 톤최대속도72 km/h포탑회전 속도초당 12.8°
엔진 출력218 마력, 2,400 RPM등반각40°부앙각-10 / 20°
차체장갑정면 15측면 12후면 6최대 수리 코스트무료
포탑장갑정면 15측면 15후면 15무료 수리 시간없음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12.7mm M2HB 기관총×110.4 초다목적, API+API-T, AP+API-T, API-T1,40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다목적다목적무료27mm19mm14mm
API+API-TAPI227mm26mm12mm
AP+API-TAP227mm19mm14mm
API-TAPI-T20.04 Kg887m/초26mm18mm12mm

  • 부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7.62mm M1919A4 기관총×2기본19,00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기본기본무료9mm7mm4mm


이젠 LVT가 기본지급되고, 이전차는 연구를해야한다. 무장인 50구경과 30구경이 각각의 포탑에 장착된 정신나간 모양새를 하고 있다. 전투기만도 못한 무장이 압권이다.

50구경은 오른쪽으로 일정 각도 이상으로 돌리려고 하면 오른쪽 포탑에 걸린다. 그래서 상대하는 입장에선 어느정도 관통력이 된다면 한쪽포탑치고 반대쪽 치고 차체 한번 쳐주면 바이바이. 그리고 포수가 오른쪽 포탑에 앉으므로 전차장이 나가면 그 순간 30구경만 남는 고자가 된다.

그래도 이동 속도와 연사력이 정신없이 빠르므로 측후면을 잡아서 50구경을 갈기면 어찌어찌 승무원 사살로 킬을 올릴 수 있다. 측후면을 관통시킬 수 있다는 전제 하에는 상당히 강력하다.

그렇다고 이 전차가 답도 없는 쓰레기는 아니다.
8.7톤의 가벼운 무게로 인해 순간가속력과 속도하나는 저티어 경전차 사이에서도 으뜸가는지라
리얼에서도 심심치않게 최고속력인 72km/h를 손쉽게 뽑아내므로 다른 전차들은 절대로 못 올라올것 같은 언덕을 오르거나 누구보다 빠르게 기지를 점령하거나 시작한지 5분만에 적베이스 뒤로 돌아가 뒤통수를 날려주는 전략을 짤수 있다.

포탑이 반만돌아가는 것도 서러운데 돌리는 속도도 암이 걸리니 미리 적이 있을법한 방향으로 포탑을 돌려놓자.


1.1.2. 75 mm 자주포 M3[편집]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us_halftrack_m3_75mm_gmc.png

  • 차량 성능
차종구축전차랭크1(예비)BR1.7
중량9.1 톤최대속도72 km/h포탑회전 속도초당 5.1°
엔진 출력122 마력, 3,000 RPM등반각15°부앙각-10 / 29°
차체장갑정면 6측면 6후면 6최대 수리 코스트410
포탑장갑정면 6측면 6후면 6무료 수리 시간20분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75mm M1897A4 야포×113.0 초AP, HE, APCBC, Smoke6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M72무료6.3 kg609m/s109mm92mm76mm
HEM48무료6.3 kg594m/s8mm8mm8mm
APCBCM6196.8 kg609m/s88mm81mm73mm
SmokeM8993 kg259m/s

동티어에 어떤 전차라도 전면이 관통 가능하고, APCBC를 사용시 어지간한 녀석들은 원샷이 난다. 미군의 APCBC는 사실 APCBC-HE라서 내부 작약이 들어가기에 파편 발생량이 매우 많기 때문이다.

단점은 방향 전환이 답답하며 포신 회전이 느리고 덩치가 저티어 주제에 무식하게 크며 반궤도 장갑차가 베이스기 때문에 오픈탑에 물장갑이라서 기관총 사격이나 포격 스킬, 항공기 기총소사에 굉장히 취약하다. 기관총이 한정도 없는건 덤..

최대 속도가 시속 72 km/h라지만 평지를 기동 할때는 그런 속도를 내기가 어렵다. 주로 40 km/h 전후 정도로 달리게 된다. 내리막 길을 내달리다 보면 최대 속도에 도달 할 수 있긴 하다. 그나마 후진 속도 하난 빨라서 -16km/h가 나오기 때문에 쏘고 도망치기엔 좋다.


1.2. 2랭크[편집]



1.2.1. 3인치 자주포 M10[편집]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us_m10.png

  • 차량 성능
차종구축전차랭크2BR3.7 / 3.7 / 3.3
중량29.6 톤최대속도41 km/h포탑회전 속도초당 3.8°
엔진 출력342 마력, 2,900 RPM등반각40°부앙각-10 / 30°
차체장갑정면 38측면 19후면 19최대 수리 코스트1,440
포탑장갑정면 57측면 25후면 25무료 수리 시간6시간 40분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76mm M7 전차포×18.1 초APCBC, HE, AP54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CBCM62무료7 kg792m/s125mm116mm106mm
HEM48무료5.8 kg800m/s7mm7mm7mm
APM61206.8 kg792m/s154mm131mm107mm

  • 부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12.7mm M2HB 기관총×1기본30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기본기본무료25mm19mm12mm

2랭크 죽창

다른 국가의 구축전차와는 달리 회전포탑이 달려있다! 비록 회전속도가 느리지만 이걸 사용해서 싸우는게 포인트.
3인치 주포로, 1.0 BR 위인 M18 헬캣과 76mm 셔먼의 포와 동급이므로 BR 대비 화력이 화끈하게 좋다. 업글탄인 AP는 작약이 없어 파편이 부족하지만 155mm라는 화끈한 관통력으로 이론상으론 티거도 잡을 수 있다. 다만 1km 이상부터는 APCBC보다 관통력이 더 떨어지게되며 그냥 AP라 경사 장갑 상대로는 도탄률이 높다. 어차피 3.7±1 BR대에서는 APCBC만 써도 전부 뚫어재낄 수 있기 때문에 채용할 이유는 별로 없다. 특히 AP는 작약이 없기때문에 적에게 별다른 데미지를 주지 못한다. APCBC는 작약량이 상당해 울버린이 만날 수 있는 전차중 차체가 넓은 KV-1에게도 치명적인 피해를 입힐 수 있다. 만나는 상대 대부분을 제대로만 맞추면 한 두방에 보낼 수 있는 굉장한 펀치력을 가지고 있다.

거기다 부각도 좋은 편이라 헐다운하기에도 좋다.
허나 울버린에겐 포탑 회전 속도가 느려도 너무 느린 초당 3.8도라는 단점이 있다. 또한 옆면의 방호력도 낮아 포탄을 가득 채우고 있는데 옆면을 공략 당하면...
심지어 포탑 돌리는게 느린걸로 소문난 KV-2 도 초당 5.1도가 나오는 마당에.. 그냥 목이 '돌아가기는 하는' 구축전차라는 것에 만족하는 게 낫다.

장갑은 30톤급에 걸맞게 대전차 자주포 치고는 중장갑이다. 옆구리는 단단한 편이 아니지만 전면은 경사각이 좋기 때문에 초기형 셔먼보다 좋게 느껴질 때도 있을 정도이다.

아무튼 전체적으로 나사 빠진 전차들이 많은 미국 2랭크 구간의 화력을 책임지는 소년 가장이다. 3랭크 전차가 모자랄 때 땜빵으로 끌고가도 밥값은 하며 워낙 좋아서 아군들 붙어다니면서 쏴주기만 해도 3킬은 물어오는 명품 전차로 간단한 운용 팁을 주자면 니가와 상황에서는 포탑을 미리 돌려두고 들어가자. 당연한 얘기지만 울버린은 포탑 회전 속도가 정말 다 돌리는 데 1년 걸리는 전차기 때문에 이 상황이 아니더라도 무조건 미리 돌려두고 적을 조준하는 것이 좋다.


1.3. 3랭크[편집]



1.3.1. M18 자주포[편집]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us_m18_hellcat.png
필요 RP: 26,000
가격: 130,000

  • 차량 성능
차종구축전차랭크3BR4.7 / 5.3 / 5.3
중량17.7 톤최대속도72 km/h포탑회전 속도초당 20.4°
엔진 출력384 마력, 2,400 RPM등반각20°부앙각-10 / 20°
차체장갑정면 12측면 12후면 12최대 수리 코스트1,600
포탑장갑정면 25측면 12후면 12무료 수리 시간10시간 50분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76mm M1 전차포×17.9 초APCBC, HE, AP45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CBCM62무료7 kg792m/s125mm116mm106mm
HEM42A1무료5.8 kg800m/s7mm7mm7mm
APM79306.8 kg792m/s154mm131mm107mm
APCRM931004.3 kg1,036m/s215mm203mm181mm

  • 부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12.7mm M2HB 기관총×1기본80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기본기본무료25mm19mm12mm

Speed machine
지옥 고양이

일단 이 전차로 50Km/h를 넘는 속도로 달리면. 적이 이 전차를 조준할 수가 없다.

기동성은 이 게임 최고의 전차 중 하나이며 경전차인 채피나 워커불독보다 빠르다. 아케이드모드 기준으로 풀업시 17.7톤에 804마력이라는 정신나간 추중비를 보여준다. 비슷한 속도를 가진 M8 그레이하운드는 타이어라 야지 기동성이 떨어지고[1], M1 에이브람스는 가속력과 최고속도는 좋지만 60톤의 무게 때문에 민첩성이 떨어진다.[2]

기본탄도 흉악하지만 경심철갑탄의 관통력은 독일 저리가라이며, 고철탄 안쓰더라도 그 전의 M79철갑탄은 500미터 이내에서 무리없이 티거를 뚫는다.

화력은 이전 M10 울버린이 사용하던 76mm 주포와 같다. 차이점은 APCR이 생겨 수직 장갑 상대로 더 높은 관통력이 보장 된다는 것 과 재장전 속도가 좀 더 빨라졌다. 하지만 미국 76mm 계열 주포들이 재장전 시간 너프 이후로 화력은 독일 전차와 비교해도 그저 그런 수준이다. 대신 기동력이 엄청나기 때문에 우회 기동이 수월하며 특정 맵에서는 루트만 잘 짜면 아무도 모르게 적 스폰 존 근처로 잠입이 가능하여, 스폰킬을 시전 할 수 있으며 상대의 멘탈을 찢어버리기 좋은 구축전차이다. 후진이 가속도와 최대속도 둘 다 매우 빠른것도 덤. 언덕 위에서 우월한 부각으로 상대방을 농락하며 정작 본인은 매우 빠른 후진 속도로 치고 빠지며 한발도 안 맞는 짓도 가능하다.

하지만 치명적인 단점이 있는게 이 트리의 모든 구축이 그렇듯이 물렁물렁한 장갑. 하지만 그중에서도 M18 헬켓은 정말 특출나게 장갑이 없다시피 하긴 하다.

대공차량의 관통력이 전체적으로 상향된 1.70 패치에서 독일의 오스트빈트나 비르벨빈트에게 포착당하는 순간 갈기갈기 찢겨나간다. 그리고 아무리 빨라서 못 맞춘다고 해봐야 지형을 이용하는게 아닌 이상 이쪽도 멈춰서 노출 되지 않으면 쏠수가 없고 측 후면을 노릴정도로 접근하다보면 적 대공전차가 쌍수를 들며 반겨준다.

사실 대공전차는 접근 하기 전에 미리 발견만 할 수 있다면 크게 문제 되지 않고 조종을 피나게 연습하면 조종수의 실신을 피할수 있겠지만 진짜 문제는 바로 오픈탑과 물장갑으로 인해 툭 치기만해도 치명타를 입는다는 것이다. 밥 먹듯이 폭격기와 전투기가 날아드는 아케이드 환경에서는 전투기가 기총소사만 해도 엔진과 승무원들이 손상을 입고 포병이 쏘는 야포 파편에도 죽어나간다. 다른 전차들은 운 나쁘면 죽는거지 하면서 피해를 어느정도 감수할수있지만 헬캣은 매우 높은 확률로 치명타를 입기 때문에 무조건 포격지역을 벗어나야한다. 따라서 적에게 발각되면 한자리에서 캠핑을 할 수 없다. 또한 헬켓은 적탄이 관통해 나간 후 지면에 부딪쳐 폭발한 파편으로도 치명상을 입을 수 있으며 심지어는 차체정면이 판터의 75mm고폭탄에 관통된다. 차체 장갑의 두께는 12.7mm로 반궤도 장갑차랑 장갑이 별 다를바가 없다. 운없으면 7.62mm 동축기관총탄에도 승무원이 부상을 입으며 12.7mm 중기관총 정도면 걸레짝이 된다.

헬켓의 운용법은 정신나간 기동성을 이용해 빠르게 우회기동해서 적의 후방을 강하게 후려치고 이탈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게 좋다.

과거 리얼리스틱 이상 난이도에서는 미국 TD의 이상형이나 다름 없었는데, 이유는 2차대전 포탑 TD 3형제의 '공격 능력'이 BR 대비 구축놀음하기에 꽤나 하자가 있었으며 어차피 셋다 뭐든 맞으면 죽는 수준의 장갑을 가지고 있었던 만큼 우월한 기동력을 바탕으로 사격위치랑 측면이라도 잡을 수 있는 M18이 고평가 되었던 것. 지금도 리얼에서의 입지는 비슷하지만, 반대로 아케이드에서는 위치가 쉽게 발각되기 때문에 장거리 사격용으로 운용시 M18은 정말 운좋게라도 매직도탄을 기대해 볼 수 있는 다른 차량보다 생존성이 지극히 낮다.

라고 써져있었으나 M1 전차포의 APCBC의 작약량 상승으로 뚫기만 하면 거의 한방에 보낼 수 있는 펀치력이 생기면서 아케이드에서도 상당히 활약하기 쉬워졌다. 적 팀 뒤통수를 후릴만한 루트만 찾아서 미치도록 때리고 튀면 3킬 이상은 따는 죽창 전차가 되었다!! 운용 팁은 적 전차들의 포화에 겁먹지 말고 쉴 새 없이 달리면서 옆구리를 때리는 것. 굳이 탄약고를 노릴 필요 없이 관통만 된다면 때리고 신속히 그 자리를 이탈하자. 익숙해지면 상당히 재밌게 탈 수 있다. 절대 아케이드에서 이 녀석으로 한자리에만 있지 마라! 3초 전에만 해도 멀쩡하던 녀석이 조준하다가 불구덩이가 되는 수가 있다. 어차피 40km만 넘어도 멀리있는 적들은 못 맞추니 눈 앞에 전차들 부터 하나하나 때려주면 된다. 그리고 굳이 좁은 곳으로 다니기 보단 퇴로 확보가 잘 되는 곳으로 돌아다니는 게 생존률이 높다.



1.4. 4랭크[편집]



1.4.1. 90 mm 자주포 M36[편집]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us_m36.png

필요 RP: 89,000
가격: 300,000

  • 차량 성능
차종구축전차랭크4BR5.7 / 5.7 / 5.7
중량30.8 톤최대속도42 km/h포탑회전 속도초당 14.3°
엔진 출력417 마력, 2,600 RPM등반각40°부앙각-10 / 20°
차체장갑정면 50측면 25후면 25최대 수리 코스트3,220
포탑장갑정면 76측면 31후면 31무료 수리 시간3일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90mm M3 대전차포×113.0 초AP, APCBC, APCR, HE47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T33무료11 kg822m/s188mm163mm137mm
APCBCM8210011 kg807m/s164mm150mm137mm
APCRM3043007.6 kg1,021m/s302mm278mm246mm
HEM71무료11 kg823m/s19mm19mm19mm

  • 부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12.7mm M2HB 기관총×1기본1,00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기본기본무료25mm19mm12mm

M10 울버린과 비교 시 관통력과 화력이 향상되었는데 76mm M1 전차포를 제거하고 90mm M3 대전차포를 탑재하였기 때문이다. M10 시절의 곶곶한 포탑 선회속도도 4배 가까이 상승했지만 헬캣보다는 느리다. 과거에는 배틀레이팅이 6.3으로 4랭크 후반에서 5랭크 전차들과 교전하는 등 상당히 합리적이지 못한 배틀레이팅에 배치되었지만 현재는 5.7의 배틀레이팅으로 3랭크에서 4랭크 중반기의 전차들과 조우하기 때문에 M36 잭슨의 운용 난이도가 상당히 개선되었다. 5.7레이팅으로 인해 가장 자주 보게되는 것은 티거 1과 판터 시리즈인데, 티거와 판터를 거리 불문하고 격파할 수 있기에 매우 행복한 시간을 보낼 수 있다.

M3 대전차포의 주력 포탄인 90mm 저저항피모철갑탄은 묵직한 일격을 지니고 있는데 최대 165mm 장갑을 관통력에 D 폭약이 140g 적재되어 있다 관통력만 충분하면 한 두발 이내로 적 전차를 격파할 수 있으며 특히 소련의 T-34와 다수의 일본 전차들을 상대로 상당히 위력적이다. 게다가 티거같이 넓직한 중전차도 엔진만 노려쏘지 않으면 대게 승무원 전멸 혹은 포탑 전멸이 나올 정도로 펀치력을 갖추고 있다.

저저항피모철갑탄의 최대 관통력이 165mm 수준으로 중장갑 전차와 전면전을 펼칠 경우 관통력이 다소 부족하지만 평균적이며 90mm 경심철갑탄을 사용하면 된다. 그렇지만 차체 장갑이 최대 50mm~19mm 수준으로 상당히 얇다 이럴 경우 방호력 부족 현상은 불가피하며 20mm 대공기관포 사격에 격파될 수 있다.

의외의 사실로 전진 가속도가 프리미엄인 슈퍼헬캣과 별 차이가 없는데 잭슨은 울버린에 비해 가벼워지고 엔진 출력이 올랐지만 슈퍼헬캣은 무거워지기만 했기 때문이다.

배틀레이팅이 6.3으로 책정된 시기에는 상당히 저평가 받았고 많은 유저들에게 동정심을 샀으나 최근 배틀레이팅 조정을 통해 5.7로 상향되어서 재평가되고 있다.


1.5. 5랭크[편집]



1.5.1. 105 mm 자주포 T95[편집]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us_t95.png
필요 RP: 270.000
가격: 300,000

  • 차량 성능
차종구축전차랭크5BR7.0
중량86.2 톤최대속도13 km/h포탑회전 속도초당 8.5°
엔진 출력417 마력, 2,600 RPM등반각25°부앙각-5 / 19°
차체장갑정면 305측면 152후면 50최대 수리 코스트4,800
포탑장갑정면 305측면 63후면 50무료 수리 시간4일 21시간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105mm T15E2 전차포×120.0 초APBC, APCR, HE62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BCT32무료18 kg795m/s248mm218mm190mm
APCRT28E369011 kg1,128m/s310mm285mm251mm
HET30E1무료15 kg945m/s17mm17mm17mm

  • 부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12.7mm M2HB 기관총×1기본1,00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기본기본무료25mm19mm12mm

통곡의 벽

월드 오브 탱크에서도 나오는 그 통곡의 벽이다. 105mm를 장착하였으며 정면은 305mm라는 떡장을 자랑하지만, 해치의 두께가 얇아 자기보다 저티어의 전차에게도 뚫리는지라 상당히 큰 단점이었고 기동성마저도 느려 전장에 투입되는 시간마저 늦는 편인데다 1.61 이전에는 작약탄마저 없던 전차였다. 사실 해치 장갑수치는 152.4mm가 고증상 맞지만 장거리 교전을 고려하면 무적에 가까운 문제를 보여줄 수 있으니 하향시킨 듯하다. 이전에는 데미지 모델조차도 시궁창이었지만 1.69.2.54 패치로 수정... 이에 관한 것은 아래에서 후술하도록 하겠다.

최대 속도가 12km이라는 정신나간 속도를 가지고 있어 플레이어들에게 인내심을 요구하고 있다. 쿠르스크 맵이라도 걸렸다간 정말로 고정 포탑으로 변하는 T95를 볼 수 있다. 그리고 풀다 맵이 새로 추가됨으로써 아군 1선이 격전지 도착해서 죽은후 리스폰하여 다시 격전지로 달려가는 와중에도 아직 이동중인 통곡을 볼수있다. 기동이란것 자체가 불가능. 심지어 마우스 보다도 최대속도가 한참 느린데다가 후진조차 느린 -4km 가 나오는데 포탑조차 없기에 암유발이 뭔지 제대로 느낄 수 있다. 그나마 피봇턴 구현으로 선회는 빠르다. 자체 성능과는 별개로 넓쩍한 자태때문에 적 공격기들과 폭격기들의 사랑을 한몸에 받는다.

그래도 낮은 피탐성에 은엄폐가 쉽고 500m 밖으로만 떨어져도 아케이드, 리얼 모두 유일한 약점인 큐폴라는 거의 색적불가 수준[3]이고 주포도 우수한 수준이라 중장거리 저격 및 수비적 플레이엔 유리하다. 여느 구축전차가 그렇듯 아무리 이게 초중전차, 중구축전차여도 근접은 절대 피해야한다. 측후면을 공략당하면 끝장이니.

초기의 T95가 너무 좋지 않아서인지, 꽤 여러차례 상향패치를 받았다. 1.53 때 BR이 아케이드 7.0 → 6.7로 상향되었고 1.61 때는 T29 추가와 함께 작약탄을 지급받았으며, 1.63 패치 때는 고배율 조준경을 받아 원거리 전투에서 매우 유리한 입지를 차지하게 되었다. 그리고 M46, M103 등이 버프 받은 대망의 1.69.2.54 패치 때 T95 역시 추가 조치를 받았다, 내용은 해치 패치. 더 이상 해치를 뚫고 뒷면에 튕겨 내부에서 작약이 폭발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고 탄이 그냥 빠져나간다. 다만 해치 관통에 의한 파편은 생성되는데, 해치의 위치가 위치다보니 이젠 파편 때문에 전차장, 조종수만 나간다. 그나마도 이건 확률적인 문제로 안 죽고 승무원 색깔만 변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게다가 이 확률이 악랄한것이 전차장 해치같은 경우 전차장의 우측에 바로 탄약고가 있어서 만약 거기에 탄약이 실려있다면 유폭으로 죽는다. 고로 정면을 보여주면서 해치를 명중시키지 못하게 전차를 좌우로 살짝씩 계속 흔들어주자.

1.69.2.54 패치 이후로 T95의 생존성은 이전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확연히 상승했고, 측후면이 공략당하지 않는 한 정면에서는 구식 철갑유탄으로는 도저히 공략할 수 없는 진정한 통곡의 벽이 되었다. 정면에서 들이댈 경우 저지할 방법이 항공폭탄 외엔 없다. 쓸모있을 거라고 판단되는 맵, 전투형식(1개 거점 형식인 컨퀘스트 같은)이다 싶으면 유용하게 잘 운용해주자, 정면에 있는 T95를 걷어내지 못 해서 분통터지는 적들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적들과 가까이서 대치 중이라면 조종수 해치(플레이어 기준으로 왼쪽)는 꼭 가려주자. 전차장 해치는 뒷편에 있어 피격되더라도 전차장만 죽지 앞쪽의 포수에게는 피해가 잘 안가지만 조종수 해치는 앞쪽에 있어서 조종수는 물론 뒷쪽의 탄약수도 같이 파편에 휩쓸릴 수 있다. 도망도 못치고 반격도 못하게 될 수 있다.

아케이드 모드의 최대 수리비가 상당히 비싸다. 약 29000라이언으로 동 BR의 전차들은 물론 그 이상의 전차들보다도 더 비싸다.

2018년 10월 12일 경제 패치로 수리비가 약간 달라졌다. 아케이드에선 2만SL(이하 실버라이언)에 육박하던 수리비가 6천SL낮아져서 13000대로 떨어졌다. 리얼에서도 700SL정도 낮아져서 약 7000대로 떨어졌다. 다만 시뮬레이터 전투에서는 6000SL이 올라서 17000SL로 돼었다.

1.6. 6랭크[편집]



1.6.1. 152 mm 포 전차 M60A2[편집]


파일:us_m60a2.png

1.69 패치로 추가된 차량이다.미국진영의 2번째 ATGM이 장착된 전차며 느려터진 미사일 재장전 속도+ 연구해야 사용가능한 점도 덤이다...

미국 특유의 간지가 아니고 상당히 이질적인데 IT-1의 둥근 포탑에 주포를 때려박은 모습이다.ATGM으로서의 성능은 로또성이 다분하다는 평이 많은듯하다. 쉐리든과 달리 높은 방호력 및 방어력을 가지고 있는데 물론 HEAT탄에 맞으면 뚫리지만 쉐리든보다 확실히 체감되는 편이다. 빠른 포탑회전속도와 상하각조절속도(둘 다 초당 40도), 두꺼운 포탑 전면장갑, 시레일러 미사일과 고폭탄 등을 잘 이용하면 M60A1(AOS)보다 잘 써먹을 수 있다.

1.81 패치로 거리측정기가 레이저 거리측정기로 교체(고증화) 되면서 거리측정 속도가 빨라져서 조금 쓸만해졌다.

2. 대공전차 라인[편집]


항공기에게는 엄청난 화력을 자랑하며 상대방의 본격적인 전차들을 상대로는 일단 장갑이 두껍지 않은 측면을 점하거나 해서 관통만 시키면 갈아 버릴 수 있다. 보통 구축전차와 같은 위치에서 적 항공기를 제압한다.단 치명적인 약점이 있는데 1랭크부터 5랭크까지 계속 승무원이 노출되어있다는거다. 그래서 적의 기관총사격이나 항공기의 기관총세례에도 쉽게 무력화될수있다.


2.1. 1랭크[편집]




2.1.1. 다연장자주대공차량 M13[편집]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us_halftrack_m13.png

  • 차량 성능
차종자주대공포랭크1BR1.3
중량8.3 톤최대속도72 km/h포탑회전 속도초당 51.0°
엔진 출력118 마력, 3,000 RPM등반각15°부앙각-5 / 70°
차체장갑정면 6측면 6후면 6최대 수리 코스트130
포탑장갑정면 12측면 6후면 6무료 수리 시간10분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12.7mm M2HB 기관총×210.4 초기본, API+API-T, AP+API-T, API-T4,80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기본기본무료25mm19mm12mm
API+API-TAPI322mm16mm10mm
AP+API-TAP325mm19mm12mm
API-TAPI-T30.04 Kg887m/초22mm16mm10mm

2연장 50구경 기관총이 달린 하프트랙이다. 다른 대공 차량과 비교했을 때 50구경이라는 작은 구경으로 무장이 빈약해보일 수 있지만 발사속도도 빠르고 항공기 기관총처럼 과열되는 일도 없어서 마구 쏠 수 있다.

M3 하프트랙을 기반으로한 승공포로 워 썬더 미국 자주대공포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12.7mm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2정이 주력 무기로 화력 부족 문제가 염려되지만 1랭크 전차전에서 이 승공포는 대단한 활약상을 많이 남겼다. 복엽기는 물론 저공 저속으로 비행하는 전투기나 폭격기를 상대하기에 적절한 위력의 무장이다 또한 안정적인 지속 사격 능력에 최대 26mm 장갑 관통력을 지니고 있어서 1랭크의 경전차를 격파할 수 있어서 제한적인 대전차 화기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대전차 화기로 사용할 때에는 가급적이면 적 전차와의 거리가 가깝고 측,후면을 공략해야 효율적이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M3 하프트랙을 기반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고속 주행이 가능하며 기동성도 민첩하다 하지만 장갑 방호력이 매우 약해 기관총 사격에 무력화 되는 경우 역시 빈번하다.

1.72 패치로 후진 속도가 떡 너프를 먹었다. 20~30은 기본적으로 뽑아주던 후진 속도가 이제는 10km도 못 나온다.


2.2. 2랭크[편집]




2.2.1. 다연장자주대공차량 M16[편집]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us_halftrack_m16.png

필요 RP: 7,900
가격: 10,000

  • 차량 성능
차종자주대공포랭크2BR2.3
중량8.6 톤최대속도72 km/h포탑회전 속도초당 51.0°
엔진 출력118 마력, 3,000 RPM등반각15°부앙각-5 / 70°
차체장갑정면 6측면 6후면 6최대 수리 코스트550
포탑장갑정면 6측면 6후면 6무료 수리 시간41분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12.7mm M2HB 기관총×418.2 초기본, API+API-T, AP+API-T, API-T4,80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기본기본무료25mm19mm12mm
API+API-TAPI622mm16mm10mm
AP+API-TAP625mm19mm12mm
API-TAPI-T60.04 Kg887m/초22mm16mm10mm

M16 승공포는 이전의 M13 승공포와 비교하였을때 화력이 강력해졌다는 것이 주요 특징이다. 12.7mm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4연장은 더욱 더 강력한 화력 투사 능력과 지속 사격 능력을 지니고 있다. 차체의 특징은 M13 승공포와 동일하다 빠른 주행성과 기동성 그리고 빠른 후진 속도가 장점이지만 장갑 방호력의 결여는 단점이다.


2.3. 3랭크[편집]




2.3.1. 혼성자주대공차량 M15[편집]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us_halftrack_m15.png

필요 RP: 14,000
가격: 55,000

  • 차량 성능
차종자주대공포랭크3BR3.3
중량9.0 톤최대속도72 km/h포탑회전 속도초당 21.3°
엔진 출력118 마력, 3,000 RPM등반각14°부앙각/ °
차체장갑정면 6측면 6후면 6최대 수리 코스트1,360
포탑장갑정면 6측면 6후면 6무료 수리 시간4시간 58분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37mm M1A2 기관포×12.6 초AP-T+HEFI-T*, HEFI-T*, AP-T24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T+HEFI-T*M59A1무료44mm27mm17mm
HEFI-T*M542000.61 kg792m/s5mm5mm5mm
AP-TM59A12000.87 kg625m/s44mm27mm14mm

  • 부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12.7mm M2HB 기관총×2다목적, API+API-T, AP+API-T, API-T3,40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다목적다목적무료27mm19mm14mm
API+API-TAPI1027mm26mm12mm
AP+API-TAP1027mm19mm14mm
API-TAPI-T100.04 Kg887m/초26mm18mm12mm

50구경 두 정과 37mm 한 정이 달린 하프트랙이다. 기관총은 동축 기관총 취급이라서 기관총 발사 버튼을 눌러야 발사된다.
그리고 정면을 바라볼시에는 전방으로 포를 전혀 내릴 수 없으므로 항상 적이 있는 방향은 후진 상태로 있는것이 좋다.

상기한 이유 덕택에 숙련되어 있지 않다면 사격하다가 미처 포가 다 내려오지 않아 항공기나 다른 목표를 사격할 수 없는 불상사가 일어나게 되므로 주의를 하자. 37mm포의 연사력을 이용하여 50구경과 함께 화망으로 항공기를 떨구어보자. 다만 37mm와 50구경의 탄도가 다르기 때문에 근거리가 아니라면 동시에 발사하기가 쉽진 않다.
전 티어에 익숙해져 있다면 갑자기 쏠 수 있는데를 못 쏘고(...) 당황할 수 있으므로 미리 이리 저리 돌려보는 것을 권한다.
아예 포탑을 뒤로 돌리고 후진으로 이동하는것도 나름 추천할만 하다. 후진속도가 15Km를 넘지 못하지만 사격하기 한결 수월하며 혹여라도 포탑에 피탄당해 발사가 불가능해도 그대로 전진기어 넣고 도주해 버리면 그만이기 때문.

앞을 볼 수가 없는데 포탑회전속도가 대공전차중에서 제일 느린 수준이라서 옆구리를 잡아도 터는게 힘든 수준이다.
심지어 기동성도 트럭인데도 불과하고 둔하기 때문에 되려 역관광을 당할 가능성이 높다.
심지어는 연사력도 매우 느리고 장전속도마저 길어서 동BR대의 다른 대공차량들과 비교하면 대공 능력조차 매우 부실한 수준이다.


2.4. 4랭크[편집]




2.4.1. 쌍열자주대공차량 M19[편집]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us_m19.png
필요 RP: 61,000
가격: 230,000

  • 차량 성능
차종자주대공포랭크4BR5.0
중량17.5 톤최대속도56 km/h포탑회전 속도초당 21.3°
엔진 출력247 마력, 3,199 RPM등반각32°부앙각-3/85 °
차체장갑정면 12측면 12후면 12최대 수리 코스트4,000
포탑장갑정면 12측면 8후면 8무료 수리 시간1일 21시간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40mm M2 기관포×20.6 초AP-T+HEFI-T*, HEFI-T*, AP-T352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T+HEFI-T*기본무료74mm62mm45mm
HEFI-T*Mk.II5000.86 kg874m/s9mm9mm9mm
AP-TM81A15000.88 kg874m/s74mm62mm45mm

M24 채피의 차체를 사용했으며, 보포스 40mm 포 두 정이 달린 대공 전차다. 연사속도가 그리 빠른편이 아니라 항공기를 맞추는게 꽤나 힘들다.

포탑 회전속도와 포신 상하조절 각도 조절 속도가 빠른 편이 아니라 오히려 항공기 속도를 못 따라잡는 경우가 많다. 항공기와 1대1 헤드온을 해도 구린 연사속도+물장덕에 죽을 때가 의외로 많다.

항공기 입장에선 일단 맞았다 하면 철갑탄이던 고폭탄이던 대여섯발이 훑고 지나가기 때문에 화망에 걸려든 순간 중폭격기고 뭐고 죄다 터져나간다.

오히려 오스트빈트 같은 대구경 대공차량과 같이 항공기보단 전차를 잡는데에 많이 보이는데 관통력이 꽤나 쓸만해 포신부수고 마사지 해주면 전차하나 잡는건 일도아니다. 하지만 위급할 때 하는것 외에는 트롤링이니 가급적 하지말고 주임무인 항공기나 잡아대자,

2.5. 5랭크[편집]




2.5.1. 쌍열 40 mm 자주대공포 M42 더스터[편집]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us_m42_duster.png
필요 RP: 220,000
가격: 610,000

  • 차량 성능
차종자주대공포랭크5BR6.7
중량22.6 톤최대속도72 km/h포탑회전 속도초당 34.0°
엔진 출력417 마력, 2,800 RPM등반각29°부앙각-3 / 85 °
차체장갑정면 25측면 12후면 19최대 수리 코스트5,500
포탑장갑정면 12측면 8후면 8무료 수리 시간4일 03시간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40mm M2 기관포×20.6 초AP-T+HEFI-T*, HEFI-T*, AP-T48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T+HEFI-T*기본무료74mm62mm45mm
HEFI-T*Mk.II1,1000.86 kg874m/s9mm9mm9mm
AP-TM81A11,1000.88 kg874m/s74mm62mm45mm

M41 워커 불독의 차체를 이용한 대공 전차로, 40 mm 보포스 두 문으로 무장하고 있어 사실상 M19와 같은 물건이다. 탄약도 더 많고 더 빠르긴 하지만 티어가 5티어 이기 때문에 아무래도 항공기도 제대로 못잡고 땅에 굴러다니는 차량도 관통력이 낮아서 제대로 못잡는 이 녀석은 상당히 잉여 스럽다. 참고로 궤도 위 어깨를 보면 장갑이 없는데 탄약고가 줄지어 늘어져있다!


2.6. 6랭크[편집]



2.6.1. 20 mm 발칸 자주대공포 M163[편집]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us_m163_vulcan.png
1.63패치로 등장했으며, 3000RPM의 발사속도를 가진 벌컨포를 달고있다.

발칸포의 발사속도가 굉장히 빠르기 때문에 1톤짜리 폭탄 4개를 단 Do-217같은 프롭기나 느린 제트 폭격기는 날아오는 예광탄을 보고 피해도 뒤따라오는 수백발의 20미리 기관포탄에 맞아 인수분해 된다. 다만, 집탄률이 높은 편이라 오히려 탄이 잘 흩뿌려지지 않기 때문에 탄을 맞히기가 쉽지 않아서 낮은 평가를 받는다. 소구경에 속하는 20mm 특성상 사거리가 적은 것 또한 한몫 한다. 탄 소비가 굉장히 빠르지만 2200발을 탑재하기 때문에 아주 부족하지는 않다.
한 탄창을 다 쓰고나면 점령지 주변에서 서식하자. 1100발씩 재보충하는 시간이 굉장히 오래 걸린다. 게다가 점령지 안에서 조금만 움직여도 보충게이지가 리셋이 되니 안전한 곳에서 가만히 있는 것이 좋다.

M113의 차대를 가지고 있어서 6km의 속력으로 하천을 도하할 수 있다. 전측면 장갑이 다른 국가의 동랭크 대공전차에 비해 좋고 특히 상판장갑은 월등히 두꺼워 공대지 공격에 안정적이다. 하지만 포좌가 겉으로 노출되어 있어 포수와 약실모두가 그대로 드러나있기 때문에 전투기 기총소사에 맥없이 쓰러지고 부서지는 일이 쉽게 발생한다. 제트기가 뿜어내는 화력을 맨몸으로 감당하기 벅차므로 수리부속과 승무원보충을 우선순위로 언락시켜주도록 하자. 무게가 가벼워 지근거리에 떨어진 폭격에 차체가 뒤집히는 경우도 잦기 때문에 폭격음이 나는 즉시 멀리 도망가자.

20mm대 탄환의 한계로 쉴카와 더불어 대전차 관통력이 그닥이니 순수 대공용으로만 활용하되, 가끔 가다 보이는 타란같은 물몸전차에겐 샤워 한번씩 시켜주고 가자.

여담으로, 맵의 시간대가 밤일때면 이놈이 하늘을 매우는 예광탄이 EDM 콘서트를 연상하게 해서 정말 예쁘다. 최근 패치로 발칸 예열 시간이 불과 0.5초로 짧아져서 더 좋아졌다.

원래 현실의 발칸은 예열 그런거 없고 거의 바로 발사되었지만 여기선 왠지 예열시간이 있었다. 개틀링은 회전과 동시에 탄이 공급되기에 바로 발사되는 것이 맞다. 다만 최대회전속도까지 도달하는데 0.5초에서 느리면 1초까지 걸린다.

1.77 패치에 총기 발사음들이 바뀌면서 발칸 역시 바뀌었는데, 훨씬 묵직한 저음으로 바뀌어서 호평일색이다. 정말 기관포를 쏜다는 느낌이 든다.

1.83 패치로 M247 서전트 요크가 같은 8.0으로 생기면서 하락세에 접어들었다. M163뿐 아니라 게파르트, 쉴카 등등 동티어 대공포 전부가 M247보다 못하다는 평가를 듣는다. 그놈의 VT탄이 워낙 사기적이라...자세한건 아래 문단 참고.

2.6.2. 40 mm 자주대공포 M247[편집]


파일:_us_m247.png
본섭으로 넘어오면서 헐브레이크가 추가되었으며 레이더도 없는 등 문제가 많았지만 1.83 업데이트로 정상화 되었다. 차체 한정이지만 헐브레이크가 사라졌고 레이더와 VT신관도 모두 잘 작동한다.[4]

40mm 보포스 2정은 M42와 다를게 없다고 생각될 수 있지만, 발사속도도 훨씬 빨라진데다가 이전의 자폭탄과 다르게[5] 제대로 된 VT신관을 달고 나왔다.[6] 따로 VT라고 쓰여있지는 않지만, M822 탄띠가 VT신관을 사용한다. VT신관 덕분에 항공기가 6m 반경에 감지되면 자동으로 폭발하여 파편으로 대미지를 입히기 때문에 고속 비행하는 기체 상대로 직격탄을 맞추지 않아도 대미지를 줄 수 있는 매우 강한 위력을 보여준다.[7] 비행장에 있는 AI 대공포가 쓰는 탄이 소구경으로 그대로 옮겨갔다고 보면 된다. 이러한 VT탄의 특징 덕분에 현재 워썬더에 존재하는 대공포 중 화력 면에서는 최상위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물론 탄의 거리가 항공기로부터 멀어질수록 위력이 약해지며 6m를 초과하면 터지지 않는다. 그래도 직격으로 맞춰야 대미지가 들어가는 다른 대공포보단 훨씬 나은 사정으로 다른 대공전차보다 훨씬 쉽게 항공기를 격추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1] 아케이드에서 시속 50km를 못넘긴다[2] 고속주행 중 급선회를 하면 그대로 쭉 미끄러져버린다. M18도 이런 현상이 있으나 M1은 특히나 심한 편.[3] 아케이드에선 초록색으로 인디케이터로 어째저째 색적이 되지만 먼 거리에선 88mm 71구경장의 명중률로도 직격시키기가 어렵다. 거기다가 에임이 조금만 흔들려도 탄이 엄한곳으로 날아간다.[4] 데브서버 기준[5] 일반 자폭탄은 항공기를 탐지해서 터지는게 아니라 그냥 일정 거리를 지나가면 폭발하는 방식이다.[6] 또한 현재까지 유일하게 VT탄을 가진 대공전차였으나 이탈리아 오토멜라가 76mm VT신관을 들고 왔다.[7] 물론 직격탄이 가장 강력한 위력을 발휘하나, 고속으로 비행하는 제트기를 직격으로 맞추기에는 매우 힘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