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도(위령기도)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연도에 대한 내용은 연도(동음이의어) 문서
연도(동음이의어)번 문단을
연도(동음이의어)#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연도 시연 영상 / CPBC 채널
1. 개요
2. 상세
3. 다큐멘터리


1. 개요[편집]


위령 기도 또는 연도()는 "(煉獄)에 있는 영혼을 위한 기"라는 뜻으로, 가톨릭 교회에서 죽은 사람을 위해 바치는 기도를 의미한다.


2. 상세[편집]


19세기 초반 박해시대 때 만들어졌으며, 이후 지역적인 특성이 가미된 형식[1]으로 불려지다가, 1991년 악보를 수록한 성교예규 이후로 전국적으로 통일된 형식을 띄게 된다. 창(唱) 음률이 쓰였으므로 타령이나 상여 소리와 비슷하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예전에는 조과(朝課,아침기도)와 만과(晩課,저녁기도)에도 창 음률이 쓰였지만, 현재는 위령기도에만 창 음률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음악적 요소는 한국 그리스도교 신앙 토착화의 대표적인 산물로 평가받는다. 김수환 추기경이 2009년에 사망했을 때에도 한국 천주교 특유의 연도에 관한 기사가 나기도 했다.1 2

공식 분량은 꽤 긴 편으로 시편 130편과 51편, 연옥도문(성인호칭기도), 찬미기도와 입관(시편 114,115편), 출관(시편 130편), 도묘, 하관 등을 포함하며, 2010년대부터는 서울대교구 산하 성음악아카데미와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산하 상장례음악연구소를 주축으로 연구·보급되고 있다. #굿뉴스 자료실 〈위령기도〉

천주교 신자가 사망하면, 신자가 속한 성당의 연도회[2] 회원, 구역별 모임 회원, 레지오 마리애 회원을 비롯하여 신자들이 문상 중에 기도를 드린다. 설날이나 추석 등 명절 당일 위령 미사 때 연도를 하기도 하며, 성당에 따라서는 연도 대회를 열기도 한다.


3. 다큐멘터리[편집]




다큐멘터리 〈하늘길 노래, 연도〉 (2019)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9 15:13:23에 나무위키 연도(위령기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경상도와 강원도 지역은 메나리토리, 서울과 경기·충청 서부·경상 서남부는 육자배기토리, 황해도와 평안도는 수심가토리, 제주도는 제주도토리[2] 성당마다 이 단체의 명칭이 다소 다르다. 보통은 연령회 또는 연도회라고 부르며 선종봉사회 등의 이름으로 운영되는 곳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