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 적 할머니가 들려주신 옛 전설/버전 모음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어릴 적 할머니가 들려주신 옛 전설

1. 개요
2. 버전 모음
2.1. 클로즈 베타 버전
2.2. 오픈 베타 버전
2.3. TransAge mix 버전
2.3.1. 네게 전하고 싶었던 이야기들 (이젠 그럴 수 없는)
2.4. 리믹스 버전
2.5. 여신강림 버전
2.6. Second Impact 버전
2.6.1. Mabinogi the Rock - Hanstone & Licafunk & Renne
2.7. 이리아 버전
2.8. 운명의 끈 버전
2.9. 피아노 버전
2.10. VOCALOID 콜라보 버전
2.11. Rock 버전
2.12. 디바 버전
2.13. 할로윈 파티 버전
2.14. 국악 버전
2.15. 10주년 버전
2.16. 북미 디바 버전
2.17. Hero 버전
2.18. 닌자 버전
2.19. 페이트 스테이 나이트 버전 (디바 MR 버전)
2.20. 성가대 버전
2.21. 하프 버전
2.22. 삼하인 전투 버전
2.23. 몽환 버전
2.24. 오르골 버전
2.25. 이스시 버전
2.26. 아포칼립스 버전
2.27. 월몽 (月夢) 버전
2.28. Piano Concerto Ver.
2.28.1. Fantastic Melody
2.29. 티키틱 - 들렀다 가자
2.30. 펫 핸들링 버전
2.31. Detective 버전
2.32. 소울 버전
2.33. 디렉터 버전
2.34. 가야금 버전
2.35. 쇼케이스 (하프 연주) 버전
2.37. Commerce 버전
2.38. 아르카나 버전
2.39. Oblivion 버전
2.41. Winter 버전
2.42. 아르바이트 버전
2.43. 아르카나 버전 2
2.44. 캠프파이어 버전


1. 개요[편집]




2. 버전 모음[편집]



2.1. 클로즈 베타 버전[편집]


Title_Open_Ver.mp3

맨 처음 공개된 최초 타이틀 곡

클로즈 베타 당시 클라이언트 속 파일명은 title.mp3
특이하게도 클로즈 베타 시절에는 128Kbps 음질이다. (오픈베타부터는 96Kbps)

제목: An Old Story 'Feena' mix


두 번째 공개된 타이틀 곡 (KAMEX2002 에서 배포한 클로즈 베타 CD, 마비노기 OST 티르코네일 음유시인의 노래에 수록)
클로즈 베타 타이틀 곡의 리믹스 버전.

제목: 할머니가 들려주셨던 옛날 이야기 (F Remix Version) F는 Feena의 약자.

클로즈 베타 버전시절에는 타이틀 곡 제목이 가정이였는지 제목이 지금과는 달랐다.

마비노기 홈페이지 미디어 다운로드 "어릴 적 할머니가 들려주신 옛 전설" 리스트#에서 맨 처음 곡이 클로즈 베타의 리믹스 곡이다.

- An Old Story(클로즈 베타 시절 영문 제목)
- 할머니가 들려주셨던 옛날 이야기 (클로즈 베타 시절 한글 제목)

- 어릴 적 할머니가 들려주신 옛 전설 (오픈 베타 부터)


2.2. 오픈 베타 버전[편집]



오픈 베타 버전.
TransAge mix 버전이 해당 버전을 다듬은 형식이고 클로즈 베타 시절과의 차이도 미미하기 때문인지 다른 버전과 다르게 오픈 베타 버전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받을 수 없다.


2.3. TransAge mix 버전[편집]



an_old_story_TAmix.mp3

공식 홈페이지에서 다운 받을 수 있는 버전. 한동안 홈페이지 개편으로 받을 수 없었다.

해당 유튜브 제목을 봐도 알겠지만 오픈베타 버전으로 잘못 알려져 있다.


2.3.1. 네게 전하고 싶었던 이야기들 (이젠 그럴 수 없는)[편집]



작곡가 한스톤이 이 곡과 일맥상통하는 곡 '네게 전하고 싶었던 이야기들 (이젠 그럴 수 없는)'[1]를 공개했다.# 다만 어디까지나 비공식으로 마비노기와 마비노기 모바일과는 무관하다.

두 곡의 연관성은 I Have Stories To Tell You → (TransAge) → An Old Story From Grandma → (TransAge) 라고 한다.


2.4. 리믹스 버전[편집]


#

an_old_story_remix.mp3

예전에 공식 홈페이지에서 다운 받을 수 있었던 버전. 위에 TAmix 버전과 다르게 지금은 다운 받을 수 없다.


2.5. 여신강림 버전[편집]



Title_G1_Ver.mp3

G1 여신강림 ~ G2 팔라딘 초반 버전 타이틀곡. 국내에선 마비노기의 전성기를 함께한만큼 TransAge Mix, 후술할 2nd Impact와 함께 가장 유명한 판본이다. 흔히들 국내 올드게이머들에게 '어릴적 할매 전설'을 물어봤을 때 가장 먼저 떠올리는 버전이라고 할수있다.

원곡인 잔잔한 피아노 연주로 시작했다가 중간부분에서 갑자기 분위기가 반전되더니 마비노기 KAMEX 홍보영상 BGM이었던 《귀염둥이 기웃기웃》이 흐르고, 박자가 빠르게 바뀌어 오픈베타 시절 타이틀곡로 돌아가서 연주된다. 이를 반영한 것인지 타이틀 화면도 새하얗던 오픈베타 시절에서 좌우에 켈트 십자가가 달린 끈이 생긴 것으로 약간만 변경. 이 곡을 기반으로 다나카 리에가 부른 일본 마비노기 CM인 '이터널'이 나왔고, 해외 마비노기에서는 콜라보레이션으로 하츠네 미쿠가 부른 버전이 나왔다.


2.5.1. 다나카 리에 - Eternal[편집]



Mabinogi_CM_-_Eternal.mp3

마비노기 일본 광고에 쓰인 CM송으로 성우 다나카 리에가 불렀다.

空遠く 雲追えば 樹々の風 続く道
소라토오쿠 쿠모오에바 키기노카제 츠즈쿠미치
하늘 높이 떠있는 구름을 따라가다 보면 나무들 사이의 바람이 이어지는 길
夢ならば 醒めないで・・永遠に 醒めないで
유메나라바 사메나이데...에이엔니 사메나이데
꿈이라면 깨지 말아요...영원히 깨지 말아요
懐かしき その唄を 僕たちは 目印に
나츠카시키 소노우타오 보쿠타치와 메지루시니
그리운 그 노래를 우리들은 표시로 삼아
愛ならば 時間(とき)を越えて 出会える はずという
아이나라바 토키오 코에테 데아에루 하즈토이우
사랑이 있다면 시간을 넘어 꼭 만나게 될 것이라고
ゆらり ゆらり 揺られる メロディ
유라리 유라리 유라레루 메로디
하늘하늘 흔들리는 멜로디
笛の音は 優しく・・
후에노네와 야사시쿠...
피리소리는 부드럽고…
美しき世界は いつか 移ろうもの
우즈쿠시키 세카이와 이츠카 우츠로우모노
아름다운 세계는 언젠가 변해가는 것
きらり きらり 風に光る
키라리 키라리 카제니 히카루
반짝 반짝 바람 속에 빛나는
“過去”(あの日)の欠片
아노히노 카케라
과거(그날)의 파편
そっと あつめた
솟토 아츠메타
살며시 모아봐요
耳をすませば 遥か遠い何処かで 誰かが 君を 呼んでいる
미미오 스마세바 하루카 토오이 도코카데 다레카가 키미오 욘데이루
귀기울여 들으면 저 멀리 어딘가에서 누군가 그대를 부르고 있네
遥か遠い何処かで 誰かが 君を 呼んでいる
하루카 토오이 도코카데 다레카가 키미오 욘데이루
저 멀리 어딘가에서 누군가 그대를 부르고 있네
La La La La La La La La La La...
果てしなく 続く道 悲しみを 背負う肩
하테시나쿠 츠즈쿠미치 카나시미오 세오우카타
끝없이 이어진 길 슬픔을 짊어진 어깨
口ずさむ この唄は 終わらない 物語
쿠치즈사무 코노우타와 오와라나이 모노가타리
흥얼거리는 이 노래는 끝이 없는 이야기
懐かしき その唄を 魂が 覚えてる
나츠카시키 소노우타오 타마시이가 오보에테루
그리운 그 노래를 영혼이 기억하고 있어
友ならば 時を越えて 出会える この場所で
토모나라바 토키오 코에테 데아에루 코노바쇼데
친구라면 시간을 넘어 만날 수 있는 이 곳에서
ゆらり ゆらり 漂う メロディ
유라리 유라리 타다요우 메로디
하늘 하늘 흔들리는 멜로디
暖かい 揺り籠
아타타카이 유리카고
따사로운 요람
慈しむ世界は いつも か弱いもの
이츠쿠시무 세카이와 이츠모 카요와이모노
사랑스러운 세계는 언제나 가냘픈 것
ポロリ ポロリ ほろり 涙 こぼれ 落ちてく
포로리 포로리 호로리 나미다 코보레 오치테쿠
방울 방울 맺힌 눈물은 넘쳐 흘러내리네
そっと 触れたい
솟토 후레타이
살며시 만져 보고파
千の風と 千の花と 千の虹と 千の星を
센노카제토 센노하나토 센노니지토 센노호시오
천 줄기의 바람과 천 송이의 꽃과 천 개의 무지개와 천 개의 별을
春の森を 夏の樹々を 秋の花を 冬の月を
하루노 모리오 나츠노 키기오 아키노 하나오 후유노 츠키오
봄의 숲을 여름의 나무들을 가을의 꽃을 겨울의 달을
帰らない この時が 永遠に 続くなら・・
카에라나이 코노 토키가 에이엔니 츠즈쿠나라...
돌아오지 않는 이 시간이 영원히 계속된다면…
夢ならば 醒めないで 永遠に 醒めないで
유메나라바 사메나이데 에이엔니 사메나이데
꿈이라면 깨지말아요 영원히 깨지말아요
空遠く 雲追えば 樹々の風 続く道
소라토오쿠 쿠모오에바 키기노카제 츠즈쿠미치
하늘 높이 떠있는 구름을 따라가다 보면 나무들 사이의 바람이 이어지는 길
君となら また会える いつかまた 時を超え
키미토나라 마타 아에루 이츠카 마타 토키오 코에
그대와 함께라면 다시 만날 수 있어요 언젠가 시간을 넘어
懐かしき この唄を 僕たちは 目印に
나츠카시키 코노 우타오 보쿠타치와 메지루시니
그리운 이 노래를 우리들은 표시로 삼아
友ならば また会える いつの日か この場所で
토모나라바 마타 아에루 이츠노히카 코노 바쇼데
친구라면 다시 만날 수 있어요 언젠가 이 곳에서


2.6. Second Impact 버전[편집]



G2 팔라딘 후반 ~ G3 다크나이트까지 사용된 타이틀곡. 던전의 모리안 여신상의 3D 렌더링이 로그인 화면으로 사용되었는데, 여신상의 신비한 분위기와 잘 어울린다는 평을 들었다. 1:54부터 잠깐동안 나오의 테마곡인 '소원'이 리믹스되어 흐르는 것이 특징.

여담이지만 이때 당시에도 팅김이 많았던 때라 팅김 방지 + 재로그인 30초 쿨타임 때문에 잔잔한 도입부가 질렸다는 평이 많았었는데, 이후에 다시는 쓰이지 않은 곡 중 하나라 추억 보정이 겹쳐 이 곡을 그리워하는 유저들이 많아졌다.

다른 버전과 다르게 공식 홈페이지에서 다운 받을 수 없다.

2.6.1. Mabinogi the Rock - Hanstone & Licafunk & Renne[편집]




2006년에 등장한 2차 창작곡. 편곡은 Licafunk[2], 보컬은 Renne.

원곡은 캐릭터 선택곡인 'Soft Sunshine과 어릴적 할머니가 들려주시던 전설을 합쳐 락 버전으로 편곡한 곡. 비공식이지만 당시에 많은 유저들이 기억하는 최초의 락 버전이자 보컬이 들어간 곡이다.

지금은 홈페이지 개편으로 볼수 없지만, 한때 팬아트 게시판에서 '마비노기 더 락'이라는 이름의 뮤직비디오로 올라왔었다.

또 아침이 왔어
늘 포근한 햇살 따라
외로운 사람들은 오늘도 잠에 깨어
그래 꿈은 끝났어..
자 이제는 깨어날 시간이야 야 야
아니야 이건 아냐 아니야 세상은 무언가 잘못됐어...
태양도 무정한 바람도 모두 다 나를 포기했나봐
똑같은 하루 그리고 나는 지치고 있어
희망도 유치한 사랑도 내게는 너무 안 어울리는 걸
그래도 가끔씩 나 혼자 뭔가 기대를 하며
나 그럴 땐 난 노래를 해요 라 라랄라라라 이렇게
행복이 뭐 별 거있나요 파랑새는 가까이 있어
나 그럴 땐 내 손을 잡아요 이 나를 믿어요 이렇게
네 그래요 나 사랑 하니까 원해요 내게로 와요
고마워요 에린에 와서....
또 하루가 갔어
또 오늘도 꿈결 따라
외로운 사람들은 아련한 잠을 청해
넌 무엇을 볼까?
나 오늘도 너를 생각하며 뭐 뭐 뭐 뭐야
뭐야 이건 뭐야 내 속에 무언가 잘못됐어...
추억도 너와의 행복도 내게는 너무 값비싸 보여
나에겐 너, 그리고 너를 기다리는 나
시련도 새로운 모험도 내게는 모두 바람이 되어
그리고 가법게 내 귀에 살짝 속삭이는걸
나 그럴 땐 난 노래를 해요 라 라라랄라라 이렇게
행복이 뭐 별 거있나요 파랑새는 가까이 있어
나 그럴 땐 내 손을 잡아요 이 나를 믿어요 이렇게
네 그래요 나 사랑 하니까 원해요 내게로 와요
랄라라 랄라라라 랄라라라 랄랄랄
랄라라 랄라라라 랄라라라 랄랄라
랄라라 랄라라라 랄라라라 랄랄랄
랄라라 랄라리라 랄라라라 랄랄라


2.7. 이리아 버전[편집]



Title.mp3

챕터 2 이리아의 개척자 ~ 챕터 3 연금술사를 넘어 챕터 4 셰익스피어 G13 햄릿까지 사용된 우려먹기 곡. 그래서 인지 모든 브금이 여기서부터 시작됐다고 알고 있었던 사람들이 많다. 심지어는 마비노기 MP3 폴더로 가보면 이 브금의 파일명이 title.mp3 라고 떡하니 박혀있으니...[3]

처음 나왔을때는 '탐험'이라는 분위기와 잘 어울린다는 평을 들었으나, 너무나도 지겹도록 우려먹었다. 여기에는 작곡가인 한스톤을 비롯한 개발진들이 마비노기 2 팀으로 옮기면서 생긴 어른의 사정이 있는듯. 추가로 이 브금은 G16 엔딩 부분에서도 나온다.

다른 특징으로는 후반부의 반음 상승이 없어졌다.

2.8. 운명의 끈 버전[편집]



Title_Puppet_Ver.mp3

The Classic - 운명의 끈, 인형사 업데이트때 변경된 테마곡. 간만에 나온 리믹스곡으로, '인형술'이라는 테마와 잘 어울리는 째깍거리는 태엽 소리와 비트가 환상적인 조화를 이루었다.


2.9. 피아노 버전[편집]



Title_Piano_Ver.mp3

더 드라마 : 이리아 업데이트 전반부에 나온 테마곡. 피아노 연주가 G1 여신강림 버전과 비슷하지만 느릿한 템포로 연주되며 분위기 반전이 없는 것도 특징.[4]

피아노의 안정감 때문인지 특별한 업데이트가 없는 한 이 곡이 로그인 테마가 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그중에 대만노기라 불리던 마비노기 몽상 생활의 로그인 화면 곡으로도 쓰였다.


2.10. VOCALOID 콜라보 버전[편집]



Eternal_MikuVer.mp3

일본 마비노기에서 보컬로이드 콜라보로 나온 테마곡. 다나카 리에 버전의 가사를 하츠네 미쿠가 부른 음성이 들어간다.


2.11. Rock 버전[편집]



Title_Rock_Ver.mp3

슈터 업데이트와 함께 나온 테마곡. 전자기타가 주선율로 올라와서 특유의 신나는 분위기를 연출하였다.


2.12. 디바 버전[편집]



Title_Diva_Ver.mp3

디바 업데이트와 함께 나온 테마곡. 보컬로이드가 부르는 듯한 허밍이 들어간 음색이 특징이다. 어레인지는 퀄리티가 좋으나 그 조교가 덜된 보컬로이드 음색 때문에 유저들이 별로 안좋아하는 어레인지.노래만 빼고 반주로 나와주면 안되겠니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mp3폴더안에 Title_Diva_MR.mp3라는 파일명으로 존재한다[5]


2.13. 할로윈 파티 버전[편집]



Title_Haloween_Ver.mp3

할로윈 파티 업데이트와 함께 나온 테마곡. 역대 버전 중 최초로, 할로윈에 어울리는 음침한 테마가 특징.
어릴 적 할머니가 들려주신 무서운 옛 전설


2.14. 국악 버전[편집]



Title_Korean_traditional.mp3

2014년 설날에 변경된 테마곡. 역대 버전 중 최초로 한국 전통악기가 사용된 리믹스 버전이다.


2.15. 10주년 버전[편집]



Title_10th_Remake_Shibuya_Ver.mp3

마비노기 10주년 기념으로 나온 리믹스 곡. 파일 이름이 'Title_10th_remake_shibuya_ver.mp3'인데 실제로 시부야계 장르로 리메이크 되었다. 특히 시부야계 중에서도 프리템포의 영향을 매우 강하게 받은 곡이다.

공개 당시 숱한 국내 게임 커뮤니티로부터 이래저래 말이 나왔던 편곡이기도 하다. 뜻깊은 10주년에다가 국산 게임의 오리지널 사운드 트랙임에도 왜 하필 시부야계로 편곡했냐는 의견, 나름 기념비적인 10주년인데 전세계적으로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는 오케스트라 편곡 같은것이 아닌 일본에서나 통용되는 로컬 코드 따위를 채용한걸 이해할 수 없다는 의견, 역시 일본 게임 답다는 조롱 등 개발사를 향한 클레임이 있었다. 물론 시부야계 편곡이 아련한 노스텔지아를 자극한다며 호를 표하는 유저들도 있었다.

이래저래 불만의 목소리가 많지만 개발사측에서는 꽤나 자부심을 갖고 있는 편곡인것으로 보인다. 2021년 일본 마비노기 16주년 이벤트에서 HMC BAND가 라이브로 연주하여 끝을 장식했으며, DJMAX RESPECT V NEXON 콜라보 DLC에도 여신강림이나 Second Impact, 이리아를 비롯한 숱한 판본들을 제치고 이 시부야판이 수록되었다.

2.16. 북미 디바 버전[편집]



Eternal_Lalala_Retake.mp3

북미서버 디바 업데이트때 나왔던 테마곡. 한국서버에선 나오지 않았다. 한국 디바곡처럼 염불노기가 아니고 다나카 리에의 이터널을 "라라라"로만 부르는 음성이나온다.


2.17. Hero 버전[편집]



Title_Hero_Ver.mp3

영웅재능 업데이트 때 나왔던 테마곡...인데 해외 서버 한정이고, 국내 서버에는 챕터 6 신의 기사단 업데이트와 함께 추가되었다. 오케스트라풍의 웅장한 느낌이다.


2.18. 닌자 버전 [편집]



Title_Ninja_Ver.mp3

닌자버전 일본 서버에 우선 적용되었고, 한국 서버에도 2015년 4월 29일 적용되었다. 분신술을 써야 할 것 같다


2.19. 페이트 스테이 나이트 버전 (디바 MR 버전) [편집]



Title_Diva_MR.mp3

페이트 스테이 나이트 Unlimited Blade Works 콜라보로 나온 음악, 사실 디바버전의 MR이다. 원래 드라마 이리아 시즌2의 '정열의 리사이틀' 퀘스트에서 쓰였다.

2.20. 성가대 버전[편집]



Title_Choir_Ver.mp3

G20 업데이트로 나온 찬송가풍의 로그인 테마곡. 웅장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듣다 보면 염불같은 소리가 들린다


2.21. 하프 버전[편집]



Title_Harp_Ver.mp3

2015년 할로윈 이벤트 삼하인에 제1악장에 새롭게 나온 버전이다. 이리아 버전만큼 차분하고 분위기의 반전이 없다.
새로 추가된 음악 던전의 기본 배경음으로 쓰인다. 다만 기억의 방에서 마지막으로 친 배경음으로 고정돼버리기때문에 기억하는 사람은 적다.


2.22. 삼하인 전투 버전[편집]



Title_Samhain_Ver.mp3

2015년 할로윈 이벤트 삼하인 제2악장에 새롭게 나온 버전이다. 최후의 결전에서나 쓰일 법한 분위기를 자랑한다.


2.23. 몽환 버전[편집]



Title_Dreamy_Ver.mp3

2016년 1월14일 변경된 테마곡. 몽환의 라비던전 업데이트를 위한 곡으로 던전 이름처럼 몽환적인 분위기를 풍긴다.


2.24. 오르골 버전[편집]



Title_Orgel_Ver.mp3

2016년 12월 22일 변경된 테마곡. 메멘토 업데이트를 위한 곡으로 신비스러운 오르골 소리가 인상적이다.


2.25. 이스시 버전[편집]



Title_Aossi_Ver.mp3

2017년 7월 21일 변경된 테마곡. 파멸의 고리 업데이트를 위한 곡이다.


2.26. 아포칼립스 버전[편집]



Title_Apocalypse_Ver.mp3

2018년 7월 19일 변경된 테마곡. C7 G22 아포칼립스 메인스트림 업데이트를 위한 곡이다.


2.27. 월몽 (月夢) 버전[편집]



Title_Moonlight_Ver.mp3

2018년 10월 11일 변경된 테마곡. 2018 할로윈 이벤트 월몽 (月夢)을 위한 곡이다.


2.28. Piano Concerto Ver.[편집]



Title_Orchestra.mp3[6]


Title_Orchestra_Kor.mp3[7]

2019년 3월 19일 Fantastic Melody 기념으로 공개된 곡이다.
환경설정의 BGM 옵션을 선택하면 들을 수 있다.


Title_Orchestra_Piano.mp3

2019년 6월 13일, 15주년 이벤트 로그인 화면에 쓰였다.


2.28.1. Fantastic Melody[편집]



2019년 5월 16일에 공개되었으며 위의 버전에 공식적으로 가사가 입혀진 버전이다. 부른 가수는 은토

발밑에 걸린 그림자 따라 어느새 훌쩍 자라난 걸음
끝없이 계속 이어진 길은 내일에 닿을까
보내지 못한 어제의 나를 토닥여 주며 부르던 노래
그날 보았던 북극성 자리 여전히 있을까
모두 떠난다 해도 변함없는 그 마음
함께 보냈던 계절은 사라지지 않아
고운 무릎에 누워 들었던 전설처럼 아름다운 날들
기억해, 모든 순간
유월의 눈 부신 햇살과 달빛 아래 따스한 밤공기도
기억해, 모든 약속
설레던 첫 만남처럼 언제라도 난 여기 있을게
같은 별에서 우린 저녁노을을 보다
슬픔 모르는 아이로 남자고 말했지
낡은 서랍에 잠이 든 그리움은 빛으로 차올라
이대로 너에게 달릴게
고마울 뿐이야, 내게 와줘서
돌아갈 자리를 줘서
손끝엔 붉은 매듭 지어져 먼 곳을 향해 있어
너와 나 정해진 운명처럼
수많은 별 중에 오직 하나


2.29. 티키틱 - 들렀다 가자[편집]



2019년 7월 11일에 공개되었으며 본문의 ost를 바탕으로 했으나 멜로디, 가사가 다르다. 티키틱이 마비노기와의 콜라보를 하면서 작사작곡한 노래.
여담으로, 티키틱의 이신혁 감독은 “2주년에 태어난” 칭호를 달고 있을 정도로 마비노기의 상당한 헤비유저이다. 마비노기가 2004년에 런칭해 2022년 기준 18년째 서비스중이란걸 생각해보면…

가끔씩 생각 나는 날에는 돌아가서 다시 꺼내보자
그때 그 노래, 다 외운 책 한 권
오늘이면서 어제인 그때로
매일 새로운 하루를 살다보면 아는 것뿐인 추억도 그립곤 해
예전의 나와 다시
항상 그때에 머물 것 같았던 나는 어느새 자라버렸지만
문득 꺼내보면 변하지 않은 그때에 잠깐 들렀다 가자
그때를 안고 또 하루를
어떤 것이라도 괜찮아
항상 그때에 머물 것 같았던 나는 어느새 자라버렸지만
문득 꺼내보면 변하지 않은 그때에 잠깐 들렀다 가자
노래로 (항상 그때에)
향기로 (머물 것 같았던)
이야기로 (나는 어느새)
기억으로 (자라버렸지만)
문득 꺼내보면 나를 남겨둔 (변하지 않은)
그때에 잠깐
그때를 안고
또 하루를


2.30. 펫 핸들링 버전[편집]



Title_PetHandling_ver.mp3

2019년 12월 19일 변경된 테마곡. 펫풍당당 업데이트를 위한 곡으로 통통튀는 편곡과 동물소리 효과음이 귀여움을 자아낸다.


2.31. Detective 버전[편집]



Title_2020Haloween_Ver.mp3

2020년 10월 15일 할로윈 이벤트 '밀레시안의 사건 수첩'에 추가된 이벤트 테마곡으로, 수사물 풍 음악으로 어레인지된 버전이다.
초임 시절 반장님이 들려주신 옛 미제사건

2.32. 소울 버전[편집]



Title_Soul_Ver.mp3

11월 6일 공개되었으며 그렉 프리스터가 소울 버전으로 편곡하여 불렀다.
공식 홈페이지에서 MR 버전을 다운받을 수 있다.

2.33. 디렉터 버전[편집]



11월 12일 공개되었으며 디렉터가 새롭게 교체된다는 것을 예고했다.


2.34. 가야금 버전[편집]




2021년 9월 16일, 리뉴얼된 '카라젝의 모험 상자'에서 얻을 수 있는 '오동나무 가야금' 의자를 사용하면 들을 수 있는 버전이다. 클라이언트 상 mp3 파일을 얻을 수 없지만 음원 사이트에서 다운 받을 수 있다.


2.35. 쇼케이스 (하프 연주) 버전[편집]



showcase_title.mp3

12월 8일, '2021 쇼케이스 대교역시대'에서 하피스트 심소정이 공연한 버전으로 공식 홈페이지에서 다운 받을 수 있다.


2.36. 카트라이더 버전[편집]



12월 16일, 카트라이더 게임에 마비노기와의 콜라보로 추가된 음악이다. 레이싱 게임답게 신나는 비트로 리믹스 된게 특징. 카트라이더는 마비노기처럼 클라이언트 상 mp3 파일을 얻을 순 없지만[8] 음원 사이트에서 다운 받을 수 있다.


2.37. Commerce 버전[편집]



Title_Commerce_Ver.mp3

2021년 12월 23일 변경된 테마곡. 대교역시대 업데이트를 위한 곡이다.

2.38. 아르카나 버전[편집]



Title_Arcana_Ver.mp3

2022년 8월 11일에 변경된 테마곡. 아르카나 업데이트를 위한 곡으로 재즈풍으로 편곡된 것이 특징이다.


2.39. Oblivion 버전[편집]



Title_Oblivion_Ver.mp3

2022년 10월 20일에 변경된 테마곡. 할로윈 이벤트 '시간을 찾아 떠난 소년'를 위한 곡이다.


2.40. 마비노기 모바일 버전[편집]



2022년 공개된 마비노기 모바일의 티저 공개와 함께 공개되었다. 작곡가가 테일즈위버DJMAX시리즈로 유명한 ESTiNauts여서 묘하게 테일즈위버 맛이 난다.


2.41. Winter 버전[편집]



Title_Winter_Ver.mp3

2023년 1월 19일에 변경된 테마곡. 글렌 베르나 업데이트를 위한 곡이다.


2.42. 아르바이트 버전[편집]


title_arbeit_ver.mp3

2023년 7월 13일에 변경된 테마곡. PROCEED 업데이트를 위한 곡이다.


2.43. 아르카나 버전 2[편집]



Title_Arcana_2_Ver.mp3

2023년 8월 10일에 변경된 테마곡. 아르카나 추가 업데이트를 위한 곡이다.


2.44. 캠프파이어 버전[편집]



Title_2023Samhin_Ver.mp3

2023년 10월 26일에 변경된 테마곡. 할로윈 이벤트 '가을 밤을 걷는 여정'을 위한 곡으로 '캠프 파이어 버전'답게 중간중간 장작이 타들어가는 소리가 난다.

[1] 영어명은 'I Have Stories To Tell You (But I Can't Anymore)'[2] 현 기준으론 편곡자의 페이지에선 삭제 되었고 같은 해에 나온 오케스트라 버전만 공개되어있다.[3] 사실 이때까지는 버전별로 BGM파일을 따로 두지 않고 패치때 title.mp3 파일 자체가 교체되었다. 이후부터는 버전이름이 붙어서 파일을 추가하는 형식으로 패치되었다. 그러므로 여기 이전의 BGM은 누군가가 소장용으로 복사해놓은 파일들이라는 것... 감사합니다[4] 때마침 G1부터 등장했던 루에리가 긴 시간 끝에 재등장 했기 때문에 여운이 남는 느낌을 주기도 한다.[5] 드라마 이리아 시즌2의 '정열의 리사이틀' 퀘스트에서 쓰였고 후에 페이트 스테이 나이트 콜라보 로그인 화면에 쓰인다.[6] 프라하 녹음 버전[7]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 버전[8] RHO파일로 암호화 되어있기 때문에 마비노기처럼 'mp3' 폴더에 다운로드 되는 방식이 아니라서 파일을 얻어내려면 불법 언패킹 프로그램을 사용해야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r200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r200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21:53:42에 나무위키 어릴 적 할머니가 들려주신 옛 전설/버전 모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