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띵/방송 관계자

덤프버전 : r20200302

분류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양띵



1. 개요
2. 제작팀
2.1. 무소속
2.1.1. 민들레팀
2.1.2. 새벽불팀
2.2. 양띵 멤버
2.2.2. 눈누난나
2.2.3. 다주파
2.2.4. 새로운팀
3. 해체된 팀
3.1. YD Pictures
3.2. 바른생활팀
3.3. 삼꼬맹이
3.4. 콩쾅
3.5. 옴스타
3.6. 미소와 오징어
3.7. 화려한팀
4. 해체 추정
4.1. 훛
4.2. 루태꺼
4.3. 주사위팀
4.4. 호흡곤란팀
5. 운영자(직원)
5.1. 현재
5.2. 과거



1. 개요[편집]


양띵TV의 양띵의 매니저, 그리고 컨텐츠 제작 팀과 더불어 일부 관계자들까지 서술하는 문서다.


2. 제작팀[편집]


양띵TV에 사용되는 컨텐츠와 맵 제작 팀들, 방송 진행을 도와주는 팀에 대해서 서술한다. 팀별 제작 컨텐츠는 여기에 정리되어 있다.[1]

보통 시청자들끼리 모여 컨텐츠를 제작하다가 점차적으로 양띵TV의 컨텐츠 제작팀으로 자리매김한 경우이다. 크게 보면 양띵TV 제작팀, 멤버 개인별 제작팀으로 나눌 수 있다.

사실 시청자들끼리 자체적으로 꾸려 만든 제작팀은 굉장히 많다. 양띵 공식 카페에도 컨텐츠 제작팀을 모집하는 게시판이 따로 존재하고, 해당 게시판이 활발한 활동을 보이는 걸 볼 수 있다. 이들은 보통 양띵의 생방송에 쓸 수 있는 컨텐츠 또는 탈출맵을 제작하거나, 카페 회원들에게 배포할 용도로 맵 또는 탈출맵을 제작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는 2017년 3월 24일에 방송된 경험치 전쟁을 제작한 '탄산수팀' 등 비교적 인지도가 낮은 개별 제작팀을 비롯해 양띵이 직접 관리하는 제작팀인 화려한팀, 주사위팀(구 YD놀이터팀), 민들레팀, 호흡곤란팀, 새벽불팀이 있다. 이전에는 '바른생활팀'도 있었으나 2016년 3월 16일 해체되었다.

현재 멤버 개인별 제작팀은 넹넹치킨(서넹), 눈누난나(눈꽃), 다주파(다주) 팀이 있다. 삼식과 옴므의 개인 제작팀은 양띵TV 제작팀 내부고발 사건으로 해체되었고, 콩콩의 개인 제작팀은 양띵TV 제작팀원 마찰 사건 당시 해체된 것으로 밝혀졌다.[2] 한편 미소와 오징어라는 제작팀도 있었으나, 2017년 3월 19일 미소가 양띵TV를 탈퇴하면서 해체된것으로 보인다. 훛(후추), 루태꺼(루태) 팀은 멤버가 컨텐츠를 제작했는데도 제작 크레딧에 전혀 없어 해체된것으로 추측된다.

2.1. 무소속[편집]


이들은 팀 자체적으로 기획과 제작을 맡아서 컨텐츠를 제작해 주는 경우도 있고, 양띵이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기획을 담당하면, 컨텐츠에 대한 맵이나 시스템 등만 도맡는 경우도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제작팀들의 탈출맵이 해당되며, 후자의 경우에는 대표적으로 파산게임 시리즈, 지하세계, 감옥탈출[3] 등이 있다.


2.1.1. 민들레팀[편집]


파일:양띵민들레팀.jpg
팀장
한우천
건축
레드[4]
건축
니나[5]
건축/리소스팩/스킨
가을 [6]
건축
호박[7]
건축
다솜
건축
예두
건축
진슘
건축
재롱
건축
광톨
일러스트
여담
서포터
신빗
더빙
태도

제작 컨텐츠 목록

양띵TV 시청자들로 구성된 제작팀. 호흡곤란팀과 비슷하게 스토리 탈출맵을 중심으로 컨텐츠를 제작하는 팀이다.

"감사하는 마음" 이라는 주제를 갖고 플레이어 & 화면 밖의 사람들에게 전하고자 하는 내용을 스토리에 담는다. 감동적이고 몽환적이면서도 신비한 스토리와 민들레팀만의 건축 스타일이 특징이다. 탈출맵인 '기억' 시리즈를 제작하는데, 에피소드4를 마지막으로 '기억' 시리즈는 마무리되었고 팀장인 한우천은 군복무 기간 동안 장기간 휴식을 가지며 전역 이후의 차기작[8]을 준비하고 있다.

민들레팀 팀장인 한우천이 직접 기억 시리즈에 대한 비하인드와 제작 후기를 남겼다. 기억 시리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인 해당 문서 참조.


2.1.2. 새벽불팀[편집]


건축
루밍
건축
콩분
건축/서버
빛솔

제작 컨텐츠 목록
마크판 심즈 패러디
마인크래프트 동물의 숲
다이튼 교수와 이상한 마을

마인크래프트가 아닌 다른 게임들을 주로 패러디하는 컨텐츠를 제작하는 팀이다.

팀 명칭은 '마인크래프트 동물의 숲' 컨텐츠 때부터 붙여졌다. 하지만 실제 팀의 탄생은 '마크판 심즈' 컨텐츠 때였다. 이때는 팀명이 정해지지 않았을 때라 임시로 '심즈팀'이라고 불렸었다. 양띵이 "앞으로 새벽불팀과 함께 타 게임 패러디 컨텐츠를 제작할 것"이라고 언급한 걸 보면 앞으로도 팀이 계속 유지되어 여러 컨텐츠를 만나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2. 양띵 멤버[편집]


양띵의 고정멤버들의 제작팀은 서바라기, 훛, 눈누난나, 다주파, 루태꺼 팀이 있다. 주로 릴레이 컨텐츠를 전담하였으나, 릴레이 컨텐츠가 폐지된 이후로는 활동량이 제로에 가까웠다.[9] 다만 크루DAY라는 컨텐츠 형식이 생기면서 다시 제작팀의 활동량이 활기를 되찾고 있다.


2.2.1. 넹넹치킨[편집]


팀 담당자
서넹
건축
달세, 비빔, 현서, 쭈니, 다랑
리소스팩
다랑
시스템/서버
비빔

넹넹치킨 팀은 서넹의 개인 제작팀이다. 넹넹치킨팀은 경쟁, 평화, 탈출맵 등의 다양한 분야의 컨텐츠를 제작해왔는데, 컨텐츠가 참신하다는 평가가 많다. 이전 팀명은 서바라기팀.


2.2.2. 눈누난나[편집]


팀 담당자
눈꽃
서버
루밍
건축
콩분
시스템
더블

눈누난나 팀은 눈꽃의 컨텐츠 제작팀이다. 눈꽃은 고정멤버이지만, 삼식, 서넹, 후추 등 기존 멤버들에 비해 멤버로 들어온 지 얼마 되지 않아 제작 컨텐츠가 다른 고정멤버에 비해서는 적은 편이다. 주로 마인크래프트 게임 자체의 특징을 이용한 컨텐츠보다는, 토크나 추리 위주의 컨텐츠가 많다. 컨텐츠 데뷔작인 '마피아VS시민'안녕하세요 마피아입니다., '힐링캠프? 킬링캠프!' 를 제외하고는 딱히 그렇다 할 성공작이 없는 편. 눈퀴벌레팀 사건 이후 기존팀인 눈퀴벌레팀은 눈꽃의 개인팀으로 전환되고, 눈누난나팀은 새로운 컨텐츠 제작팀으로 재편성한 것으로 보인다. 팀 재편성 이후로 토크나 추리위주가 아닌 다양한 모습으로 시청자들에게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2.2.3. 다주파[편집]


팀 담당자
다주
건축
배꼽
스토리
해야
음원
말랑
트리거
치료빛
서버
콜라
커맨드
단단

다주파 팀은 다주의 개인 제작팀이다. 다주파 팀은 루태꺼 팀과 더불어 주로 스토리 탈출맵 위주로 컨텐츠를 제작하는 편이다. 특히 '맹목', '이별'은 양띵이 눈물을 보였을 정도로 감동적인 스토리로 구성되어 있다.

콜라가 군대에 가게 되어 다주파 멤버 모집을 한다는 글이 카페에 올라왔다. #


2.2.4. 새로운팀[편집]


파일:양띵TV새로운팀.png
팀장
김루야
BGM
24
시스템
김루야
건축
하늘, 주은, 무니
디자인
림, 민호, 수지, 웅달
제작 컨텐츠 목록
해가 뜨기 전에
헤르츠(Hz)
지하세계2

양띵TV 서넹의 크루데이를 위주로 진행되는 팀이다.
화려한팀의 해체로 중규모 컨텐츠 지하세계2의 제작을 담당하게 된다.


3. 해체된 팀[편집]


현재 해체된 제작팀은 양띵 직속 공식팀이었던 YD Pictures와 화려한팀, 바른생활팀과 멤버들의 제작팀이던 삼꼬맹이(삼식), 콩쾅(콩콩), 옴스타(옴므), 미소와 오징어(미소)가 있다.


3.1. YD Pictures[편집]


파일:YD Pictures.png
팀장
박누피
영상
큰컵
일러스트
뽕필학생, 연닌
3D 애니메이션
예순
음악
양차

양띵의 여러 컨텐츠들의 맵과 시스템을 제작하고 방송 진행을 도와주었던 양띵TV 최초의 공식팀

뽕필학생은 유튜브 영상 썸네일에 들어갈 그림을 그렸다.

2013년 후반 갑자기 아무런 소식 없이 활동을 하지 않기 시작했는데 각자의 길을 걷기로 하고 해체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 큰컵은 유튜브 편집과 사생활 촬영을 담당했다, 개인 인스타그램을 통해서 2018년 12월 31일 양띵TV 활동을 그만둔다는 사실을 알렸다.
  • 뽕필학생과 예순샌드박스 네트워크으로 가서 활동하고 있다.
  • 박누피는 2015년 4월 25일 양띵 카페에 남긴 글 이후로는 아무런 활동을 하지 않고 있다가 2017년 11월 13일 후원을 하면서 근황을 알렸다.
  • 양차 역시 2014년 1월 20일 양띵 카페에 남긴 글 이후로는 아무런 활동을 하지 않고 있다.
  • 연닌은 아무런 근황이 알려지지 않았다.

제작했던 영상은 아래와 같다.



3.2. 바른생활팀[편집]


양띵TV의 시청자 출신 팀 중 하나이다. 시간전쟁 컨텐츠에서 처음 등장했는데 초창기에는 바른생활팀이 아닌 YD Craft 팀이었다. 시계돌리기 컨텐츠에서 바른생활팀으로 팀의 명칭이 바뀌었다. 또한 시간에 관련된 컨텐츠가 왜인지 모르게 자주 나온다. 컨텐츠들의 룰이 이해하기에는 다소 어려운 부분이 있어 아쉽다는 평가를 받아왔었다.

2016년 3월 16일 '언더머니 : 버려진 섬' 컨텐츠를 마지막으로 학업, 개인 사정 등의 이유로 시간을 내지 못하는 사람이 많아 팀 활동을 이어갈 수 없어 해체하였다.

바른생활팀의 제작 컨텐츠 목록


3.3. 삼꼬맹이[편집]


팀 담당자
삼식
기획/서버
버미
기획
라펠
시스템
정우
건축
사이다
건축
다욜

삼꼬맹이팀은 삼식의 개인팀이다. 삼꼬맹이는 닉네임 변경 전까지 컨텐츠에 대한 완성도나 재미가 없다고 비판을 받아 왔으나, 닉네임 변경 후에는 지금까지도 컨텐츠 실패작이 거의 없는 편이다. 2016년 초반 컨텐츠에서는 컨텐츠 시작 부분에 약간의 상황극을 넣기도 했다.

그러나 양띵TV 제작팀 내부고발 사건의 여파로 해체되었다. 다른 제작팀들에 비해 의사소통과 보상 부분에서 많은 갈등이 있었고, 그에 대한 해결책이 마련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해체되기 전, 마지막 컨텐츠는 엄청난 퀄리티를 선보여 양띵과 시청자들에게 많은 호평을 받은 정원의 화인이었다.


3.4. 콩쾅[편집]


팀 담당자
콩콩
서버/부팀장
호야
건축/시스템
쿠로
건축/회로
레드
커맨드
꽃닢
건축
단뮤

콩쾅팀은 콩콩의 개인팀이다. 콩콩은 최초로 정식 멤버가 아님에도 릴레이 컨텐츠를 제작했었다.[10] 콩쾅팀은 주로 돈을 버는 류, 타이쿤 스타일의 컨텐츠가 많다. 제작팀 명칭은 원래 콩콩과 그 외 잡이었으나 양띵TV 제작팀 내부고발 사건의 여파로 콩쾅으로 변경되었다. 팀명은 팀원들이 지었지만 콩콩과 그 외 잡이라는 팀명이 제작팀원들에게 불쾌감을 안겨줄 수 있기 때문이다. 콩쾅팀으로서의 제작 컨텐츠는 없었다가, 양띵TV 제작팀원 마찰 사건의 사건 진행 도중 콩콩이 말하기를 소리소문없이 이미 해체된 것으로 밝혀졌다.


3.5. 옴스타[편집]


팀 담당자
옴므
건축
광톨
건축/트리거
후니
건축/회로/시스템
예두
서버/시스템
요르리
아이디어/기획
파니

옴스타팀은 옴므의 개인팀이다. 옴스타팀은 '옴벤져스' 컨텐츠 이후로는 1년 4개월 간은 제작한 컨텐츠가 없는데, 이는 옴므가 탈퇴했다가 복귀했기 때문이다. 복귀 후에 열심히 하겠다는 태도 덕인지 탈퇴 전보다 컨텐츠 퀄리티는 높아진 걸 볼 수 있다.

큰 문제가 없었던 팀인데도 불구하고 양띵TV 제작팀 내부고발 사건을 계기로 해체되었다.


3.6. 미소와 오징어[편집]


팀 담당자
미소
팀장
켄루
디자인/서포터
리페
건축/서버
초코도치
건축
코돌
건축
영계
서버
라문
건축/스킨
채공
일러스트/기획
도롱
시스템
타니
총기획
뽕똥[11]
서버
댜다

미소와 오징어들 혹은 미소와 오징어팀은 미소의 개인팀이며, 약칭으로 '미징어' 팀이라 부르기도 한다. 미소와 오징어팀의 컨텐츠는 나올 때마다 '믿고보는 미소 컨텐츠' 라고 불릴 정도로 멤버들과 팬들에게 인기가 많았다.[12] 양띵TV에서 제일 오래된 멤버의 팀답게 제작 컨텐츠가 제일 많다. 릴레이 컨텐츠 폐지 이후로 유일하게 컨텐츠를 제작하여 선보인 팀이기도 하다. '굿바이 미소' 라는 컨텐츠에서 팀원들을 소개하였다.

팀은 어떻게 되었는지 언급은 하지 않았지만 미소가 군대를 간 직후부터 활동이 미미해졌다. 그러다가 미소 탈퇴 사건이 터지면서 사실상 해체는 확정된 상태인데, 일부가 타 팀으로 이적될 수도 있는 상황이다.


3.7. 화려한팀[편집]


파일:화려한팀 로고.png
멤버
네글, 곰렬, 선풍기, 라티, 마듀, 곰탱이, 뽀뿍, 체링, 딕트, 야채호빵
前 소속
트레져헌터, 양띵TV
팀 창설일
2014년 7월 28일
활동 기간
2014년 7월 28일 ~ 2019년 4월 26일
파일:화려한팀 로고.png / 파일:트위치 로고.png / 파일:유튜브 아이콘.pn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 / 파일:트게더 로고.png

양띵TV의 팬들로 구성된 양띵 컨텐츠 제작팀. 양띵TV의 前 공식 운영팀으로서 양띵의 컨텐츠 및 탈출맵의 제작을 돕는다. 양띵의 팬들 사이에서도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인기가 높은 팀이다.

화려한 건축물, 시스템, 스토리로 유명하다. 데뷔작은 2014년 7월 28일 양띵, 삼성, 서넹이 플레이한 마인크래프트 스토리 탈출맵 "화려한 왕국"인데 화려한팀이라는 이름도 이 컨텐츠에서 유래되었다. 양띵의 콘텐츠 제작팀이 된 이후로 편의점이나 동물원을 운영하는 타이쿤을 마인크래프트로 구현한 타이쿤 시리즈, 경쟁 컨텐츠인 파산게임, 대규모 전쟁 컨텐츠인 양띵TV 공성전 등을 제작하여 인기를 얻게 되었다.


4. 해체 추정[편집]



4.1. 훛[편집]


팀 담당자
후추
알 수 없음
알린
알 수 없음
빛솔

훛팀은 후추의 개인 제작팀이다. 훛팀의 컨텐츠의 재미 및 완성도가 높다고 항상 칭찬받는다. 실제로 모든 멤버들의 릴레이 컨텐츠 중 유튜브 조회수 1위는 훛팀의 컨텐츠인 '후추의 뱃속 탈출맵'이고, '희생도' 콘텐츠 이후로 실패작은 찾아보기 힘들다. 그러나 엔딩이 조금... 사실 제작팀 명칭은 잘 언급하지 않고, 그냥 '후추팀'이라고 많이들 부른다.

2017년 4월 4일 첫 크루데이 후추데이를 마지막으로 더 이상 보이지 않는다. 후추 군대 전역 전까지 크루데이 후추데이를 3번을 했는데도 보이지 않는것을 보면 사실상 해체된것으로 보인다.


4.2. 루태꺼[편집]


팀 담당자
루태
건축
달푸
건축
메론
건축
니나
건축
가을
건축
재롱

루태꺼오글는 루태의 개인팀이다. 루태꺼 팀은 다른 멤버의 개인팀에 비해 제작 컨텐츠 수가 제일 적다. 제일 늦게 양띵TV에 합류했으니 그럴 수밖에. 현재까지 탈출맵만 제작해 왔는데, 루태 유튜브에도 모드 스토리 리뷰의 비중이 상당한 걸 보면 주로 스토리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모두 마인크래프트에 존재하는 아이템이나 몬스터 등을 기반으로 만든 탈출맵이다.

현재 크루데이 루태데이 컨텐츠들의 제작 크레딧을 보면 화려한팀의 곰탱이, 딕트와 함께 할뿐 컨텐츠 제작팀과는 함께 하지 않는것으로 보아 본인 스스로 컨텐츠를 제작하기로 하고 해체한것으로 보인다.


4.3. 주사위팀[편집]


팀장
제리
알 수 없음
메론
알 수 없음
씨에이치
알 수 없음
만성

제작 컨텐츠 목록

감옥탈출 시리즈를 제작한 시청자 출신 팀.

2012년 ~ 2013년 정도에 양띵 방송의 운영자로 활동하던 사람들이 많이 소속되어 있었고, 2015년까지는 화려한팀, 바른생활팀과 3대 컨텐츠 제작팀을 이루면서 어느 정도 인지도를 쌓을 수 있었으나 감옥탈출 컨텐츠를 제외하고는 활동이 단 한 번도 없었다.

원래 제작팀 명칭은 YD놀이터팀이었으나, 팀원들간의 제작 시간이 맞지 않고 다른 사적인 일들(학업, 직업 등)과 겹치면서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여건이 되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로 더 이상 팀 활동이 힘들게 되어 YD놀이터팀은 해체가 되었고, YD놀이터팀에 있던 4명의 팀원만이 주사위팀으로 다시 태어났다.

하지만 현재는 주사위팀의 활동이 없다가 양띵의 방송에서 감옥탈출3이 제작 중에 있는 것 같다고 언급된 것을 보면, 감옥탈출 시리즈를 전문으로 활동은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또 활동이 전혀 없는 상태다. 언급도 안되는걸 보면 해체된게 아닌가 싶다.


4.4. 호흡곤란팀[편집]


파일:호흡곤란팀.png
팀장
달푸[13]
시스템
숨인
건축
넬름
스토리
다룽
건축
맛탕

제작 컨텐츠 목록

탈출맵인 '잔혹동화' 시리즈를 제작하여 시청자와 팬들 사이에서 큰 호평을 받았다. 특히 잔혹동화 시즌3는 큰 인기를 얻었으며, 다양한 퀄리티의 미니게임과 지루하지 않은 스토리로 탈출맵이 전개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최근 일부 팀원들의 탈퇴, 잔혹동화 시즌3 이후로 제작된 컨텐츠가 나오지 않고 있는 점 등으로 보면 최근에 활동은 거의 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예전부터 올라오던 팀원모집글도 잠수에 마지막 기존 팀원들의 SNS계정과 카페활동도 잠수인걸로 보아 사실상 해체직전이지 않을까라고 보인다.

여담으로는 전 팀원 건축담당인 사요는 유튜브활동을 재개하였고 전 팀원 서버와시스템 담당인 화랑은 서넹의 유튜브편집자인걸로 알려진다.
[다른 전 팀원들과 기존 팀원들은 자취를 감추고 있어 파악되지 않는다.]


5. 운영자(직원)[편집]



5.1. 현재[편집]


닉네임
BYJ
하는 일
양띵 유튜브 하이라이트 영상 편집자
2013년 8월 입대했다가 2015년 5월에 전역 후 양띵 공식 카페프로듀스101 PICK ME YDTV ver. 이라는 시네마 4D를 이용한 영상으로 많은 호응을 받았었다. 현재는 양띵 유튜브 채널의 하이라이트 영상을 편집하고 있으며, 개인 유튜브 채널도 존재한다.

닉네임
가을밍
하는 일
2대 양띵 공식 카페 부매니저
양띵의 사생활 채널 영상 편집자
윤슬이 양띵TV 제작팀 내부고발 사건으로 인해 물러났고, 기존 일반 카페 스탭에서 양띵 카페 부매니저가 되었다.

닉네임
루나
하는 일
광고 관리 및 정산 담당
상당히 옛날(최소 핵전쟁 이전)부터 양띵이 진행하는 컨텐츠의 운영자를 맡으면서 양띵과 연을 쌓아 왔다.

닉네임
밍이
하는 일
디자이너
매월 양띵TV 배경화면을 제작하여 카페에 올리고, 트위치 양띵 이모티콘을 만든다. 사생활 영상의 썸네일을 제작한다.

닉네임
선풍기
하는 일
양띵 유튜브 썸네일 제작(화려한팀 소속)
과거에 화려한팀에 소속되어 있었다.[14]

이름
한은서
하는 일
양띵 유튜브 하이라이트 영상 편집자
2018년 1월 23일 양띵 유튜브 편집자를 모집한다고 카페 공지가 올라왔는데 여기서 뽑힌 신 편집자다.


5.2. 과거[편집]


닉네임
이순신
하는 일
서버 관리
마인크래프트 방송 초기(~2013)에 서버를 열어주고 양띵을 도와준 관계자이다. 2013년 이전까지만 해도 양띵의 마인크래프트 방송은 이순신과 마블띵의 도움을 바탕으로 진행되었다. 이 관계자들 덕분에 양띵의 레전드 컨텐츠인 핵전쟁 시즌2가 나왔다고 볼 수 있다. 항상 서버 관리를 하느라 지친 이순신에게 양띵이 장기 휴가를 주면서 더 이상 활동을 하지 않는다고 한다. 마지막 활동은 2014년 7월 9일에 방송용 맵을 양띵 공식 카페에 배포한 것이다.

닉네임
마블띵
하는 일
서버 및 여러 가지 도움
마인크래프트 방송 초기때 양띵이 어떤 블로그를 참고해서 방송할 때가 있었는데 알고 보니 그 블로거가 다름 아닌 팬이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그래서 양띵이 "인크래프트 로그 "의 약칭으로 마블띵이라는 별명을 지어 주었다. 이순신과 함께 운영자로 활동했었으며 주로 양띵이 혼자 진행 중 어려움을 겪으면 나타나서 도와준다. 마블띵의 마지막 활동은 2014년 1월 21일 양띵이 The Code 3 탈출맵을 플레이하는데 도와준 것이다. 소문에 의하면 최근에 다른 회사에 입사하여 일을 하다가 얼마 전 군 입대를 했다고 한다. 현재는 시간이 많이 지나 전역하고 본인의 길을 걷고 있는듯하다.

닉네임
우감독
하는 일
양띵의 사생활 영상 편집자 및 촬영자
현재는 개인 유튜버 활동을 하고 있다.

닉네임
윤슬
하는 일
매니저
초대 양띵 카페 부매니저
한때는 양띵 카페에서 시크한 매력으로 양띵 카페를 가입한 팬들에게 인기가 많이 있었으나 양띵TV 제작팀 내부고발 사건 당시 욕설 논란으로 인해 현재 양띵TV 관련 모든 활동을 더 이상 하지 않고 있다. 현재는 트레져헌터 직원이 되었다. 이후 2017년 양띵 카페에 '윤슬' 이라고 검색하면 1월 오크밸리 팬미팅, 2월 착한문구점, 6월 현대백화점 판교점 팬미팅 후기글에 윤슬을 보았다고 써져 있으나 양띵의 사생활에 해당 팬미팅 영상의 제작 크레딧을 보면 촬영을 한 사람이 '윤슬'이 아닌 '가을밍'이라고 작성되어있다. 아무래도 윤슬을 알지만 사건을 모르거나 사건을 알고 있어도 양띵TV 관련 모든 활동을 그만둔 것을 모르는 듯.

닉네임
곰탱이
하는 일
서버 관리(화려한팀 소속)
현재 화려한팀에 소속되어 있다. 따로 제작팀이 없는 컨텐츠를 진행할 때 곰탱이가 서버를 담당해주는 경우가 많은 편. 그러다보니 자연스럽게 운영자의 역할도 겸하는 경우가 많다. 현재는 루태가 서버를 관리하면서 서버관리를 하지 않는다.

닉네임
큰컵
하는 일
양띵 유튜브&사생활 채널 영상 편집 및 관리
양띵의 사생활 영상 촬영자
팬들 사이에서 가장 많이 알려진 사람으로, 편집을 기가 막히게 잘해서 "Dr.큰", "갓큰컵" 이라는 별명이 있다. 양띵의 유튜브 채널을 총괄한다. 현재는 그만둔 상태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921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21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1] 개별 문서로 분리되어 있는 화려한팀에는 화려한팀이 제작한 컨텐츠가 정리되어 있다.[2] 정확히 말하면 해당 사건으로 인해 해체한 것이 아니라, 해체되었었으나 공지된 사항이 없었고, 사건 도중 해체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이다.[3] 다만 감옥탈출 컨텐츠는 시즌1만 양띵이 아이디어를 제공했으며, 시즌2는 제작팀에서 직접 제작한 것이라고 한다.[4] 지금은 해체된 콩쾅 팀원이기도 하다.[5] 루태꺼 팀원이기도 하다.[6] 루태꺼 팀원이기도 하다.[7] 건축실력이 상당히 뛰어나다 우마공 에서의 베스트작품 선정도 많이 됐었다[8] 이름은 '그리고 봄'이다[9] 릴레이 컨텐츠 폐지 이후 유일하게 제작 활동을 했던 팀은 미소와 오징어 팀이 유일하다.[10] 첫 컨텐츠인 '아프니까 청춘이다' 제작 당시에는 쩜오제도가 없었다.[11] 팀이 결성하기 전인 2013년부터 미소를 도와줬다.[12] 양띵의 방송 스타일에 맞게 광물을 캐는 시간이 많은 컨텐츠, 타이쿤 컨텐츠 등이 많다. 그래서 양띵이 더 좋아하기도 한다.[13] 루태꺼 팀원이었기도 하다.[14] 루태의 마인크래프트 스킨을 손봐주었다. 이 때까지만 해도 화려한팀이 되기 전이였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