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일랜드-팔레스타인 관계

덤프버전 :





1. 개요
2. 상세
3. 역사적 관계
3.1. 2010년대
4. 교통 교류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팔레스타인아일랜드의 대외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2. 상세[편집]


아일랜드는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공식승인하지 않았다. 다만 서유럽에서 팔레스타인을 적극적으로 지지해주는 나라는 아일랜드이다. 역사적, 정서적인 이유로 인하여 아일랜드는 서방에서 독보적으로 친팔레스타인 여론이 강하고, 팔레스타인 독립운동에 직간접적으로 국가적, 외교적 지원을 꾸준히 해주며 유럽 내에서 팔레스타인 측의 시각을 전파하는 밀접한 관계에 있다. 1980년대 서유럽에서 처음으로 팔레스타인 국가 독립을 지지했으며, 2000년대에는 더블린, 라말라에 각자 두 나라들의 대표 사무소들을 두었다. 2012년 후기, 2013년 초기에 팔레스타인을 인정해 주기도 했다.

이러한 태도는 구 IRA 출신 북아일랜드 민족 진영에게도 마찬가지이며 실제로 북아일랜드 분쟁이 한창 심했을 때는 IRA와 팔레스타인 독립 진영이 군사적 협력을 한 적도 있다. 아이러니라면 아이러니지만 20세기 초반만 하더라도 아일랜드 민족주의자들은 디아스포라 민족의 건국독립운동이라며 시오니스트들에게 많이 공감하고 협력하곤 했다. 그러나 팔레스타인 일대가 영국 식민 위임령에 떨어지고, 유대인들이 주로 현지 영국 식민당국에게 더 우대받고, (아직은 팔레스타인인으로서 정체성 형성이 안된) 현지 아랍인들은 탄압과 추방을 겪는 걸 보며 이스라엘을 "작은 유대인들의 얼스터"[1]라 부르며 비판적으로 돌아서기 시작했고, 결정적으로 2차대전 이후 전 세계적 탈식민지 좌익 민족주의 열풍이 불며 친팔레스타인 여론이 완전한 주류가 되었다.관련기사: 왜 아일랜드인들은 팔레스타인을 지지하는가 직접적인 이해관계도 안 걸려 있고, 지정학적으로도 멀지만 순수한 자국 내 역사 인식과 대외 의식에 기반해 장기적 대외 관계를 형성한 외교사적으로 상당히 독특한 사례라 할수 있다.

은근히 역사적으로 공통점도 조금 있는데, 언급했던 것처럼 이런 점 때문에 팔레스타인을 동정하는 아일랜드인들도 많다. 실제로 북아일랜드 현지에 가면 벨파스트, (런던)데리 같이 정치적 성향에 따라 동네를 구분하는 살벌한 분리장벽 양쪽에 친영파 개신교 지역은 이스라엘, 아일랜드 민족주의 가톨릭 동네에는 팔레스타인 깃발이 걸려 서로 나란히 대치하는 모습도 종종 볼 수 있다. 즉 뒤집어 말하면 아일랜드 민족주의에 역사적으로 가장 맹렬하게 대치해 왔던 영국인으로서 정체성을 가진 개신교 다수 얼스터 연합주의 주민들은 친이스라엘 성향이 두드러지는 편이다. 물론 개신교라고 무작정 이스라엘을 옹호하지 않고, 반대로 가톨릭이라고 팔레스타인만 편들지는 않지만 대부분 이런 양상들이 보이는 편이다.[2][3]

또한 벨파스트의 벽에는 벽화들이 그려져 있는데, 팔레스타인과 아일랜드의 역사가 담겨 있다. 그 외에도 다른 약소국들의 역사들도 보여줄 때도 있지만 제일 많은 주제가 팔레스타인과 아일랜드의 관계 및 과거사의 공통점들이다. 게다가 원인 역시 영국의 지배 때문에 나타났다.

이러한 점 때문인지 아일랜드에는 팔레스타인인들의 공동 단체들도 있고#, 시위도 간혹 일어나기도 한다#. 그 외에도 아일랜드와 팔레스타인의 교류가 활발하다.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발발 이후 유럽연합 내각 일부에서 가지지구로 향한 유럽연합의 인도주의적 지원금과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지원금을 동결시키려고 하자 아일랜드 외무부는 스페인 외무부, 네덜란드의 마르크 뤼터 총리, 벨기에와 룩셈부르크와 함께 즉각 반발 성명을 발표, 같은 날 유럽연합의 팔레스타인 지원금 자산 동결을 무산시켰다. [4]

3. 역사적 관계[편집]



3.1. 2010년대[편집]


2010년 2월 아일랜드 외무는 가자지구를 첫 번째로 방문했다. #

2010년 가자 지구로 향하는 아일랜드 구호선은 이스라엘에 저항하지 않겠다고 주장했다. #, #

2011년 아일랜드는 팔레스타인과 외교관계를 격상하기로 합류했다. #

2012년 아일랜드에서 아일랜드인과 팔레스타인인들이 반이스라엘 시위를 열었다. #

2013년 서안지구에서 이스라엘군이 EU 외교관들을 폭행했는데 프랑스, 영국, 그리스, 아일랜드, 스페인, 스웨덴에서 온 외교관들이었다. #

2014년 12월 11일, 아일랜드는 팔레스타인을 국가 인정 검토를 했다. #

2014년 12월 12일 아일랜드는 팔레스타인을 나라로 인정했다. #

하마스와 팔레스타인 자치정부는 아일랜드 의회의 결정에 환영을 밝혔다.#


4. 교통 교류[편집]


현재 두 나라들을 잇는 항공 노선은 없는 편이다.

5. 관련 문서[편집]



[1] 즉, 영국 제국주의의 앞잡이[2] 사실 개신교 중심 친영파 북아일랜드인들의 친이스라엘 성향은 순전히 반대편 따라하기가 본질인지라 실제로 옛날엔 미국발 총기, 폭탄, 전술이, 지금은 시민사회에서 모금한 성원금이 막 더블린, 코크, 벨파스트에서 모여서 팔레스타인으로 가는 반대쪽과 달리 막상 실제 정치적 의견은 아예 큰 관심 자체가 없는 경우가 많다.[3] 오히려 막상 실제 민간 사회에선 옛날부터 영국령 북아일랜드가 아일랜드섬 전체에서 그나마 산업화된 지방이었고, 몇십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아일랜드의 뿌리깊은 종파-인종간 차별 때문에 그나마 땅파먹고 농사하는 거에 비해 돈벌이가 되는 공장 산업 노동자는 개신교도들이 집중적으로 차지했는지라 좌익 민족주의를 표방하는 아일랜드 민족주의 이웃들과의 대립을 제외하고 경제적 문제에선 의외로 좌파적이다. 민주연합당 같은 이들을 대표하는 정치세력도 실제 정책에선 차라리 기독교적 사회적 이슈에서 더 보수적인 면을 보이지, 경제이슈에선 발을 나란히 하는 영국 본토 보수당에 비해 신자유주의적 정책에 적극적이지 않다. 이런 복잡한 배경 때문에 겉으론 평화장벽 중간에 두고 험악하게 마주보는 민족주의자 동네에 걸린 팔레스타인 깃발과는 반대로 이스라엘 깃발이 걸린 친영파 동네에서는 "유대인 은행가"가 이랬니 저랬니 민간의 금융자본 관련 반유대주의적인 발언도 심심팒게 들린다.[4] 하마스와 팔레스타인인은 별개로 본다는 입장을 표하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0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0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7 06:40:11에 나무위키 아일랜드-팔레스타인 관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