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태양광)

덤프버전 :

분류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태양광)
Craftsman New and Renewable Energy Equipment
중분류
262. 에너지·기상
관련부처
산업통상자원부
시행기관
한국산업인력공단

1. 개요
2. 필기
3. 실기
4. 여담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전기, 전자, 기계, 토목 등의 전공을 기초로 하는 기능사 자격증으로 아무런 자격 제한 없이 응시가 가능하다.

이 자격증이 생겨난 이유는 환경오염으로 인한 지구 온난화 문제, 화석연료 고갈에 따른 국제유가 급등에 고심하여 국가 차원에서 대체에너지원의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이에 한국 정부는 2011년 국가기술자격법을 개정하여서 2013년 1월 1일부터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태양광) 자격증 시험을 실시하였다. 하늘을 바라보는 시커멓거나 시퍼런 넓은 판이 이 자격증 소지자가 다루는 대상인 태양전지.

첫 시험은 2013년에 개시되었으며 정기 기능사 5회 시험에만 시행되었기 때문에 2014년까지는 단 1번만 응시가 가능[1]하였으나 2015년부터 1년에 2번의 필기/실기 시험을 응시할 수 있게 되었다. 합격 후 2년 동안 필기시험이 면제되어 실기에 응시가 가능하다.

2017년에는 2회와 4회에 시행했으며, 2020년 현재는 2회, 3회, 4회에 시행한다.


필기 시험비용은 14,500원 실기 시험비용은 17,200원이다.


2. 필기[편집]


2013년에 신규로 만들어진 자격증이다 보니 문제유형이 제대로 확립되지 않아 데이터가 별로 없다. 신재생에너지 개요 부분은 잘 안 나오고 모듈, 인버터, 관련기기 및 부품, 시공 쪽이 잘 나온다. 아무런 지식 없이도 25개 정도는 맞힐 수 있으니 쉬엄쉬엄 공부하자. 전기기능사를 공부해 두면 필기에서도 실기에서도 상당히 도움이 된다. 에너지와 발전으로 연관되는 대표적인 것이 전기이기 때문에 다 전기로 연관되는 것.

기출문제는 2013년 5회, 2014년 5회, 2015년 2회, 2015년 5회, 2016년 2회까지 총 5개밖에 구할 수 없지만 그것들만 외워도 간당간당하게 합격할 수 있는 정도이다. 2017년까지는 모두 기출 암기로 가능했다. 다만 기출에서 안나왔던 것들도 제법 있으므로 제발 책을 보도록 하자. 기출만 외웠더니 정확히 60점 나와서 합격하는 경우도 있다. 덧붙이자면 태양광 모듈쪽만 보아도 상당히 도움이 된다. 태양광 모듈파트와 과년도 문제를 보고도 73점으로 합격한 경우가 있다.

2020년 4월 19일 기준으로 직접 시험을 친 결과 전자문제집의 데이터 부족[2]으로 전자문제집으로만 합격하려면 기초지식이 탄탄하거나 운이 좀 많이 필요하다. 부품 파트의 역할, 일사량에 따른 Ah구하기 등 전자문제집으로만 합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서 확실하게 합격을 받고 싶으면 책이 필수불가결하다.



3. 실기[편집]


작업형이 아닌 서술형 시험이다!누구에겐 약 누구에겐 독[3]

출제 과목은 기초적인 전기이론, 태양광 기초이론과 함께 시공과 유지보수 항목을 실무라는 이름 하나로 통합하여 문제가 출제된다.

바이패스 다이오드 그리기, 발전소의 종류 서술, 감전방지대책 서술,추락방지대책 서술, 제출해야 할 서류목록 서술, 직렬/병렬 결선방법, 점검 항목 정도의 시험을 본다. 서술식 시험이다 보니 꾸준히 어려운 기사/산업기사와는 다르게 난이도가 상당히 들쭉날쭉하다. 실제로 합격률이 10~50%를 오락가락하며, 얼마전 치러진 2016년 2회 실기는 단 20명만이 합격했다. 합격률 8.2%. 그에 비해 3회차 실기는 매우 쉬운 난이도로 출제되었다는 평이다. 아직 과도기라 그런 것이며, 시험운이 있어야 한다.

2021년 기준 기출문제도 상당히 쌓이고 애초에 많았던 부분점수로 취득이 쉬워진듯 하다

책을 읽다보면 알겠지만 책은 두껍지만 외워야 하는 항목은 생각보다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니 책을 여러 번 정독해서 시험을 보자. 물론 필기보다 몇 배는 어렵다. 필기가 객관식 보기에서 아닌 걸 골라내는 식이라면 실기는 맞는 걸 서술형으로 쓰는 식이다.



4. 여담[편집]


아직 기출문제가 풍부하지 않기 때문에 이론설명과 자세한 해설을 잘 읽고, 책을 여러번 보는 것이 합격에 가까워질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4]


만들어질 당시엔 친환경설비시설 관련하여 앞으로 유망할것으로 점쳐졌던 자격증이었으나, 제도가 미비하여 신재생에너지 관련 자격증으로 해당 발전설비를 다룰 수 없는 상황이었고, 오히려 기존 전기기사나 전기공사기사 자격증 취득자가 다루었던 분야다. 실제로 일반인은 이런자격증이 있는지조차 모르는게 현실이다.

현재 대부분의 태양광발전설비는 전기기사나 전기산업기사로 대체가능하기 때문에 전기기사 소지자가 다루는게 현실이다. 당장 태양광발전설비 채용공고를 둘러봐도 대부분 전기기사 또는 전기공사기사 소지자를 채용하지,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 자격증은 곁다리로 적어놓거나 아예 적어놓지 않는 설비업체가 많다.




5.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04:49:58에 나무위키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태양광)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정기 기능사 3회 의무검정에도 시행했다. 특성화고 3학년 학생만 응시가 가능했기 때문에 14년도까지 특성화고 학생들에 한하여 2번 응시가 가능했다.[2] 2014년~2016년의 5개 가량의 데이터 뿐이다.[3] 실기를 앉아서 공부하는 스타일이 편하면 이게 더 낫고, 작업하는 게 편하면 독이다. 자주 쓰이는 자격증 중 전기, 용접, 선반, 밀링, 기계제도, 전자기기, 공조냉동기계 등은 작업형/위험물은 서술형/가스, 에너지관리 등은 복합형(서술형+작업형)으로 기능사라도 다들 준비법이 달라 작업형이 편한 사람은 꽤나 애먹는다. 선임을 제외하면 많은 사람들이 응시하는 대부분의 기능사는 작업형이 압도적으로 많기 때문.[4] 2016년 5회 기능사부터 모든 기능사 시험이 CBT시험으로 바뀌었기 때문에 더 이상 기출문제를 얻을 수 없게 되었다. 2016년 2회 기능사가 마지막 기출문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