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원

덤프버전 :

소재원

파일:sojaewon3.jpg

출생
1983년 12월 10일
전라북도 익산시
국적
[[대한민국|

대한민국
display: none; display: 대한민국"
행정구
]]

직업
소설가
학력
대학교 중퇴

1. 개요
2. 작품 목록
2.1. 소설
2.2. 드라마
3. 사회활동
3.1. 위안부 명칭 변경 서명 활동
3.2. 차별금지법 관련 입장
3.3. 아동성범죄 공소시효 폐지 활동
3.4. 더불어민주당 윤리심판위원 활동
3.5. 가습기살균제 사회적참사 활동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소설가.

1983년 12월 10일 전라북도 익산시 출생. 대학교를 중퇴했다.

할아버지는 소병호 화백, 아버지와 누나는 고등학교 미술선생님으로 예술가 집안에서 자랐다.

2008년에 소설 《나는 텐프로였다》로 등단.[1] 사회 비판적인 소설을 주로 집필한다.

'나는 텐프로였다', '희망의 날개를 찾아서', '터널', ''등 4개 작품이 영화화 되었고, '이별이 떠났다'는 드라마화되면서 스스로가 극본을 씀으로서 드라마 작가로도 데뷔하게 되었다.


2. 작품 목록[편집]



2.1. 소설[편집]


  • 나는 텐프로였다(2008)[2]
  • 아비(2008)
  • 밤의 대한민국(2009)
  • 살아가려면 이들처럼(2010)
  • 형제(2010)
  • 소원-희망의 날개를 찾아서(2010)[3]
  • 아버지 당신을(2011)
  • 터널-우리는 얼굴 없는 살인자였다(2013)[4]
  • 그날(2014)
  • 균-가습기 살균제와 말해지지 않는 것(2016)[5]
  • 기억을 잇다(2017)
  • 이별이 떠났다(2018)
  • 행복하게해줄게(2019)
  • 세 남자 이야기(2020)
  • 이야기_그날 소장판(2021)


2.2. 드라마[편집]




3. 사회활동[편집]



3.1. 위안부 명칭 변경 서명 활동[편집]


위안부 피해자들의 평온을 위해, 그들을 부르는 명칭을 '꽃송이'로 바꿀 것을 제안했었다. 작가가 쓴 글을 일부 발췌하자면,

"당연하다는 듯이 우리 입으로 그분들을 성 노예라고 표현하는 것은 너무 잔인하다"


"공식 명칭을 아예 바꾸자는 게 아니다"

"언어가 통하고 뜻을 소통할 수 있는 우리끼리라도 은유적인 표현으로 지칭하자는 취지"


"할머니들이 어린 시절 미처 꿈도 채 펴보기 전에 피해를 봤기 때문에 아직 피어나지 않은 꽃봉오리라는 의미로 꽃이 적당하다고 생각했다."

"꽃송이가 북한에선 존경받는 사람이라는 뜻으로도 쓰인다"


위안부를 매춘에 비유하는 등의 망언과는 거리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2. 차별금지법 관련 입장[편집]



한때 개신교도로서 차별금지법 재정에 반대했었다. #

차별금지법을 반대하는 이유가 여러모로 미흡하고 논리적 문제가 많아서 비판받고 있다. 글의 전체적인 맥락으로 보면 그냥 "주님이 동성애 싫어하시니까 나도 싫다!, 내가 본 동성애자들은 전부 변태고 더러운 놈들 뿐이었다!"를 길게 늘여쓴 것에 불과하다. 프로 작가임에도 글의 논리적 전개가 어색한 면이 많다.

레즈비언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지만 분명한건 게이들을 취재하며 두눈으로 확인한 사실만 적었습니다. 다수가 아닌 극소수다? 전 정상적인 남녀 사랑에 있어서 데이트 폭력을 휘두르는 사람을 본적이 없습니다. 헌데 꽤 많은 사람들이 당하고 있다는 기사를 접했죠. 극소수라면 이렇듯 제 눈에 확인되지 않았어야 하는데 15일 동안 봐온 게이커플 중 20%가 넘는 커플이 강압, 폭력이 있었습니다. 결국 확률적으로 어떻게 봐야 하겠습니까?

라는 글을 썼는데 과학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관찰하고 판단했다는 근거가 없다. 통계학에서 쓰이는 수많은 개념들이 왜 존재하는지 생각해보자.[6] 그리고 이런 논리라면 한국에서는 이성애도, 출산도 용인될 수 없다. 이성애자들은 10명에 한 명 꼴로 배우자에게 폭력을 당하고, 부모의 25~30%가 자녀에게 폭력을 가한 바 있는 나라가 대한민국이다.# 한국은 동성애 이성애와 무관하게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 자체가 낮은 나라다.
이반의 세계를 취재하기 위해 게이로 위장하고 이태원 게이 클럽이나 게이 목욕탕 가서 고작 15일(..) 취재한걸 가지고 동성애를 완벽하게 다 이해한 것 마냥 말하는데 이는 오피스텔, 성매매 현장, 호스트빠, 홍대 클럽 취재를 하면 모든 이성애자 문화를 다 이해하고 있다는 것과 마찬가지의 논리다. 심지어 앞서 설명했듯 소재원 이 인간은 과거 호스트빠로 일한 사람이라서 오히려 '이성애'의 문화중 음지나 더러운 성 문화를 접한적이 있을텐데도 이성애 전체를 다 더럽다고 일반화 하지는 않았다. 오히려 호스트바로 흘러들어온 남녀들의 어쩔 수 없는 사정과 인간적인 면을 부각시켜 소설을 전개한다. 이 사람의 논리대로라면 팀 쿡, 홍석천 같이 돈 잘 벌고 사업도 잘 풀리는 '잘 나가는' 게이들만 만나고서 게이들은 인생의 승리자다!라고 해도 될 테지만 이런 소리는 누가 봐도 어불성설이다. 절대다수의 성 소수자들은 여느 시스젠더/이성애자들과 마찬가지로 똑같이 안정적인 직장 잡아서 자기가 원하는대로 편히 살고 싶은, 성적 지향 내지 성 정체성만 빼면 비성소수자와 아무 다를 것이 없는 지극히 평범한 사람들일 뿐이다.

또한 '난잡한 성관계와 집착성의 폭력[7]이 존재합니다.' 라고 주장하면서 든 근거들은 이미 여러 과학적 근거나 통계로 거짓임이 밝혀졌다. 그 예로 모든 동성애자들이 항문 성교를 하는게 아니며 오히려 항문 성교를 하는 사람들은 이성애자들이 동성애자보다 많다.#### 자세한건 동성애 문서의 '5.3.5 동성애가 에이즈와 성병을 유발한다?' 목차 참고.[8]
또한 글의 초반에서 <이태원 까지 올라오며 느낀 점은 주님의 말씀이 진리다! 이었습니다. 왜 주님은 동성애를 그토록 싫어하셨는지 몸소 깨닫는 순간이었습니다.> 라면서 '주님'이 동성애를 싫어한 것을 동성애가 틀렸다고 주장하는 근거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것도 과학적 회의주의의 관점에서 보자면 과학적으로나 학계에서 증명되지 않은, 증명할 수 없는 근거를 혐오의 정당화의 이유로 쓰고있는 것이다. 이런 논리 전개를 통해 정당화된 사태를 생각해보면 어째서 문제가 되는지 알 수 있다.
또한 작가가 과거 인스타그램에서 쓴 글#에서 자신은 약자를 대변하는 소설가라고 주장했는데 정작 성 소수자들이 사회적 소수자이고 약자라는 것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는 이중잣대는 논란의 여지가 다분하다.

지금은 천주교 신자로 개종하여 소통과 화합을 철학으로 트위터에 차별금지법 반대에 대한 사과입장문을 밝힌 바 있다.

3.3. 아동성범죄 공소시효 폐지 활동[편집]


소설 [소원-희망의 날개를 찾아서]를 영화 [소원]으로 만들면서 아동성범죄 공소시효 폐지 운동을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과 함께 이끌었으며 아동성범죄 공소시효를 폐지시킨 이력이 눈에 띄기도 한다. 다만 13세 미만의 성범죄자들에 대한 공소시효를 폐지 시켰기에 아쉬움이 남는다. 그럼에도 성범죄 공소 시효 중 하나를 폐지시킨 건 큰 성과다.

3.4. 더불어민주당 윤리심판위원 활동[편집]


2016년 더불어민주당 중앙당 윤리심판위원으로 활동하면서 갑질과 부도덕한 의원들에 대한 징계에 적극적인 위원 중 한명이었다. 한창 총선이 있던 시기였기에 공천권이 박탈당할 위기에 놓인 한 국회의원을 소재원이 적극적으로 징계 절차를 진행하며 자신의 sns에 "제명하지 않은 걸 다행이라 여겨야한다”며 “재심 따위로 권력을 되찾으려 하지 말라” 등의 내용을 게시하기도 했다. 국회의원 소재원을 검찰에 고소를 하기도 했지만 혐의없음 판결을 받았고 해당 지역구는 다른 후보자가 공천되어 당선되었다.

3.5. 가습기살균제 사회적참사 활동[편집]


가습기 살균제 피해구제를 위해 소설 [균]을 집필하고 소설 [균]을 영화 [공기살인]으로 제작하였으며 사회적참사법 위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가습기살균제 참사를 잊지 않겠다는 캠페인을 진행한 이력도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04:12:54에 나무위키 소재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사실 첫 작품은 터널이지만, 출판을 받아주는 곳이 없었다고 한다.[2] 비스티 보이즈라는 제목으로 영화화.[3] 소원이라는 제목으로 영화화되면서 '소원'으로 개제하여 재간되었다.[4] 한번 절판되었다가 터널이 개봉하면서 다시 재간되었다.[5] 공기살인이라는 제목으로 영화화.[6] 자신이 직접 관찰하고 판단하는 것은, 학문적으로 바람직한 행위이다. 김성모 작가는 실제로 사창가를 가고 사채를 빌렸으며, <괴짜 경제학>에는 노숙자 생활을 한 사회학자가 언급될 정도로, 흔히 쓰이고 있기도 하다. 제대로 된 관찰 대상을, 제대로 된 방법으로 관찰하고, 제대로 된 방법으로 결과를 분석하느냐가 문제지.[7] 참고로 데이트 폭력을 보면 알겠지만, 이성애자들 간에도 충분히 집착이나 폭력이 존재할 수 있다.[8] 한 가지 웃기는 건 한국이나 미국이나 교회에서 순결 서약까지 맺은 기독교 신자들이, 연애를 할 때 순결은 지켜야겠다고 항문 성교를 하는 경우가 꽤 있어서 비웃음거리가 된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