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스크린/오류코드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블루스크린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이 토론에서 목차 접기(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타 위키에서의 합의내용이 더위키에서 강제되지는 않지만 문서를 편집하실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목차 펼치기 · 접기 ]



1. 개요[편집]



해당 문서에 등재되지 않은 오류코드도 많으니 주의를 요한다.

윈도우 NT 기반의 운영체제(Windows 2000~Windows 11)에서 발생하는 블루스크린의 오류코드를 정리한 문서다. 블루스크린의 메세지는 윈도우 XP~윈도우 7 기반으로 작성됐다. 자신의 컴퓨터에 뜬 블루스크린 오류코드가 대부분 메모리 문제로 보여도 그 외의 부분에서 치명적인 결함이 발생했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본 문서에 서술된 해결 방법을 맹신하기보다는 필요하다면 전반적으로 점검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Windows 8 이상의 경우 부팅 중 오류가 아니라면 어떤 오류코드든 전부 같은 메세지로 통일되어 있다. 또한 "해결 방법을 온라인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라고 표출하기 때문에 굳이 블루스크린에서 해결방법을 찾을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알려준다. 윈도우 10 부터는 QR코드도 함께 표시해준다.


2. 일반 오류코드[편집]


보편적으로 나오는 블루스크린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문제가 발견되어 컴퓨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Windows가 종료됐습니다.

인터럽트 요청 레벨이 사용자의 장치 허용 한도보다 높습니다.(IRQL_NOT_LESS_OR_EQUAL)

이 오류 화면을 처음 보셨다면, 컴퓨터를 다시 시작하십시오. 이 화면이 계속 나타날 경우, 다음 절차를 따르십시오:

새로운 장치가[1]

제대로 설치됐는지 확인하십시오. 새로 설치한 경우, 필요한 Windows용 업데이트가 있는지 해당 장치의 제조사에 문의하십시오.

문제가 계속되면, 새로 설치된 장치를 비활성화 또는 제거하거나, 캐싱이나 섀도잉 등의 바이오스 메모리 옵션을 비활성화하십시오. 구성 요소를 비활성화하거나 제거하는 조건 중 안전 모드 환경에서만 동작이 보장된다는 설명이 있을 경우, 컴퓨터를 수동으로 다시 시작하여 F8 키를 눌러 고급 시작 옵션을 선택한 후, 안전 모드를 선택하십시오.

기술적 정보:

*** STOP: 0x0000000A (0x0227001D, 0x00000002, 0x00000000, 0x804EBA3A)

물리적 메모리 덤프 시작 중

물리적 메모리 덤프가 완료됐습니다.

추가 지원을 위해 시스템 관리자나 기술 지원 그룹과 연락하십시오.(윈도우 XP)

크래시 덤프 데이터 수집 중...

크래시 덤프를 위한 디스크 초기화 중...

물리적 메모리 덤프 시작

물리적 메모리 덤프 중:100% 완료

물리적 메모리 덤프가 완료됐습니다.

추가 지원을 위해 시스템 관리자나 기술 지원 그룹[2]

에 연락하십시오.(윈도우 Vista, 윈도우 7)

0x0000000A(IRQL_NOT_LESS_OR_EQUAL)의 블루스크린

하지만 블루스크린 중간에 있는 해결법이 다른 오류코드가 일부 존재한다. 몇몇 블루스크린은 대개

디스크 공간이 충분한 지 확인하십시오. 드라이버가 중지 메시지에서 식별되면 드라이버를 비활성화하거나 제조업체에 업데이트 된 드라이버가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비디오 어댑터를 변경해보십시오.

하드웨어 공급 업체에 BIOS 업데이트가 있는지 확인한 후 캐싱이나 섀도잉 등의 바이오스 메모리 옵션을 비활성화하십시오. 구성 요소를 비활성화하거나 제거하는 데 안전 모드 환경에서만 동작이 보장될 경우, 컴퓨터를 수동으로 다시 시작하여 F8 키를 눌러 고급 시작 옵션을 선택한 후, 안전 모드를 선택하십시오.


이런 형식으로 해결법이 나온다. 물론 몇몇 오류코드는 이것도 아닌 독자적인 형태의 해결 방법을 주기도 한다.

  • 범례
    • ☆: 위에 언급된 형식으로 나오는 오류코드
    • ★: 독자적인 형식으로 나오는 오류코드
    • ※: 블루스크린으로 매우 흔한 유형의 오류코드(기본 형식만)
    • ⑧: 윈도우 8부터 블루스크린으로 나오는 오류코드


2.1. 0x01~0x0F[편집]


이 문단의 거의 모든 오류코드는 인터넷 상에서 찾아보기가 매우 어려운 편이다. 그나마 상대적으로 보기 쉬운 0x05나 흔하다 못해 아예 블루스크린의 대표 예시로 사용되는 0x0A가 이 문단에 속한다.


2.1.1. 0x00000001(APC_INDEX_MISMATCH)[편집]


파일:STOP0x01.jpg

APC의 인덱스 정보가 일치하지 않습니다.

APC는 Asynchronous procedure call, 즉, 비동기 프로시저 호출 이라는 기능으로, 스레드가 같은 하나의 수행할 job에 대한 대기열로 볼 수 있고,[3] 윈도우에서 실행되는 모든 쓰레드가 이를 위한 큐를 가지고있다. 이 대기열에 있는 쓰레드들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인덱스에 문제가 있음을 뜻한다.


2.1.2. 0x00000002(DEVICE_QUEUE_NOT_BUSY)[편집]


장치 대기열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장치 대기열이란 A, B, C, D 라는 여러 장치가 있을 시 Windows 시스템이 어느 장치에 우선권을 주고, 얼만큼 프로세스 자원을 할당할 것인지에 대한 프로세스적 방법을 의미한다.[4] 장치 대기열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니, 여러 장치들이 "내가 먼저 동작할거야!", "네가 가진 자원을 내가 가져갈거야!" 하며 서로 난장판이 벌어진 꼴이기에 당연히 윈도우가 제대로 돌아갈 수가 없다.

2.1.3. 0x00000003(INVALID_AFFINITY_SET)[편집]


유효하지 않은 설정이 들어 있습니다.

보통 Windows 7에서 프린트 드라이버를 설치 시 발생한다. 발생 원인은 여러 이야기가 있으나 '잘못된 드라이버 서명' 또는 '비공식 드라이버 오류'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매우 드문 오류코드이기에 일반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아예 못 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2.1.4. 0x00000004(INVALID_DATA_ACCESS_TRAP)[편집]


장치에 잘못된 데이터가 존재하며, 이에 편집을 시도할 수 없습니다.

0x00000080 과 같이, 일반 오류코드에 일반적인 오류코드가 뜨지만, 비교적 심각하다고 볼 수 있다. 운영체제 구동에 필요한 데이터가 망가졌고 그것을 운영체제 차원에서 바로잡을 수가 없음을 뜻하는지라 윈도우 자체가 깨졌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2.1.5. 0x00000005(INVALID_PROCESS_ATTACH_ATTEMPT)[편집]


파일:STOP0x05.jpg

잘못된 프로세스에 연결을 시도했습니다.


특정 프로세스, 예를 들어 제3번 프로세스를 필요로 하는데 윈도우 측에서 완전히 다른 제115번 프로세스로 연결하려는 순간 이 오류가 뜬다.[5] 대부분의 경우는 블루스크린이 아닌 단순 오류 메시지로 끝난다. 이 때문에 해당 오류코드를 블루스크린으로서 마주치는 경우는 드문 편이다.

한국에서 제작된 블루스크린 오류코드 사이트에서 2004년 8월에 출시된 윈도우 XP SP2를 언급하는 것을 보면 의외로 그 역사가 짧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1.6. 0x00000006(INVALID_PROCESS_DETACH_ATTEMPT)[편집]


파일:STOP0x06.jpg

잘못된 프로세스의 상세한 정보에 연결을 시도했습니다.

잘못된 프린트 드라이버 설치 도중 또는 보안 프로그램에 의해 발생한다. 해당 프로세스가 권한없이 시스템 정보를 읽다가 거부되어 발생한다고 알려져있다.

2.1.7. 0x00000007(INVALID_SOFTWARE_INTERRUPT)[편집]


잘못된 소프트웨어의 작동을 중단했습니다.

대부분은 프린트 드라이버와 충돌로 인해 발생한다. 과거에는 프린트 드라이버가 다른 장치들과 충돌하는 경우가 매우 많았기 때문에[6] 프린트 드라이버를 재설치하거나 아니면 다른 연결된 장치를 제거하는 것으로 대부분 해결할 수 있다. Windows 10에서는 아무래도 보기 힘든 블루스크린. Windows Server 2003에서 주로 발생했다.

2.1.8. 0x00000008(IRQL_NOT_DISPATCH_LEVEL)[편집]


인터럽트에 디스패치를 시도할 수 없습니다.

인터럽트는 '어떤 장치가 동작을 멈추고 자신의 상태를 알려주는 것'을 의미한다. 인터럽트가 발생할 경우 인터럽트를 받은 장치는 현재 자신의 상태를 메모리에 상주시킨 후 인터럽트를 처리하게 된다.
디스패치는 아래의 과정 중 3번 째 과정을 의미한다.

1. 프로세스를 실행하여 준비된 상태(Ready Queue)를 만든다
2. 스케쥴러가 준비된 상태에 있는 프로세스 중 하나를 선택하여 프로세서가 사용 가능할 때 CPU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3. 해당 프로세스는 준비된 상태에서 실행상태(Running)가 된다.

쉽게 예시를 들자면 아래와 같다.

1. 호텔에서 손님이 나갈 것을 대비해 리무진 차량을 준비시켜 놓는다.
2. 호텔차량관리자가 미리 준비된 리무진 차량을 선택하여 손님이 나오면 바로 손님을 태우고 갈 수 있도록 해놓는다.
3. 손님이 탑승했다면 리무진 차량은 출발상태가 된다.

따라서 디스패치는 '준비'상태에서 '실행'상태로 상태를 바꾸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디스패처가 필요한데, 디스패처가 어떠한 경우로든 맛이 가버린(...) 상태라면 디스패치를 할 수 없게되고 인터럽트는 준비 상태에서 그대로 교착되어 빠져나올 수 없게 되버린다. 쉬운 예시로 다시 예를 들자면 손님이 없는 호텔에서 평생 체크아웃을 하는 손님을 기다리는 리무진이 됐다고 보면 된다. 당연히 더이상 CPU는 일처리를 할 수 없으므로 강제 휴가(블루스크린) 상태가 된다.

2.1.9. 0x00000009(IRQL_NOT_GREATER_OR_EQUAL)[편집]


인터럽트에 속한 일부 장치가 최소 연결 조건에 미달됩니다.

IRQL 인터럽트 요청 레벨이 너무 낮을 때 발생하는 오류코드로, 아래의 0x0A 코드와 정확하게 반대되는 상황이다.


2.1.10. 0x0000000A(IRQL_NOT_LESS_OR_EQUAL)※[편집]


파일:STOP0x0A.jpg
파일:0a.png

인터럽트 요청 레벨이 사용자의 장치 허용 한도보다 높습니다.

0x0000001A, 0x00000050, 0x000000D1, 0x0000008E 등과 함께 블루스크린의 양대산맥을 이루는 매우 흔한 코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관리하거나 데이터 입출력, 하드웨어 제어 등의 IRQL 인터럽트 요청 레벨이 너무 높을때 발생하는 오류코드이다. 문제가 되는 드라이버를 재설치 해보거나 메모리(RAM)을 점검해 보자.


2.1.11. 0x0000000B(NO_EXCEPTION_HANDLING_SUPPORT)[편집]


예외적인 취급 지원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모든 프로그램은 '어떠한 상황'이 벌어졌을 때 이를 대처할 수 있도록 '예외'를 설정하게 되는데 이 '예외'값이 없거나 아니면 해당 레지스트리 값이 잘못됐거나, 해당 파일 중 일부가 삭제되어 확인이 불가능 할 시 해당 오류가 뜨게된다. Windows10에서는 거의 보기 어려운 블루스크린.

2.1.12. 0x0000000C(MAXIMUM_WAIT_OBJECTS_EXCEEDED)[편집]


연산을 위한 저장공간이 부족하거나 없습니다.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메모리에 공간이 없어서 연산에 필요한 자원이나 값을 둘 곳이 없거나 그로 인해 필수적인 작업의 서브루틴 실행이 불가능함을 뜻하며, 미리 램이나 하드 등에 여유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이 오류를 예방할 수는 있다.


2.1.13. 0x0000000D(MUTEX_LEVEL_NUMBER_VIOLATION)[편집]


해당 뮤텍스 번호가 유효하지 않습니다.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뮤텍스(Mutex)는 커널 모드 동기화 객체를 말하며, 스레드들이 생성, 호출하여 사용하는데, 이 뮤텍스의 동기화 레벨이 커널 레벨 등과 다른 등의 이유로 뮤텍스 사용이 불가능하면 이 오류가 뜬다.


2.1.14. 0x0000000E(NO_USER_MODE_CONTEXT)[편집]


사용자를 위한 드라이버를 활용할 수 있는 권한이 부족합니다.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특정 프로그램이 하드웨어 드라이버를 활용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그 작업에 실패한 경우 뜬다. 하드웨어 드라이버의 호환성 등에 기인하는데, 장치에 깔린 드라이버를 전반적으로 점검해보는 게 좋다.


2.1.15. 0x0000000F(SPIN_LOCK_ALREADY_OWNED)[편집]


해당 스핀 락은 이미 타 프로그램이 사용 중입니다.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스핀 락은 멀티프로세서 상호 배제를 달성하기 위해 커널이 사용하는 메커니즘을 뜻하는데 출처 커널이 몇 가지 목적으로 이를 획득하려 시도했으나 선점을 당한 경우 띄우는 오류코드다. 스핀 락이라는 개념이 서버용 운영체제에서 사용하는 매커니즘이다보니 개인용 운영체제에서는 아예 이런 오류가 생길 일이 거의 없으며 Windows Server 시리즈에서나 간혹 생길 수 있는 오류다.


2.2. 0x10~0x1F[편집]



2.2.1. 0x00000010(SPIN_LOCK_NOT_OWNED)[편집]


해당 스핀 락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위의 0x0F와 같은 위치에서 발생하는 정 반대의 오류이다.


2.2.2. 0x00000011(THREAD_NOT_MUTEX_OWNER)[편집]


파일:STOP0x11.gif

외부 쓰레드가 뮤텍스에 접근을 시도하여 뮤텍스를 사용 중인 쓰레드와 충돌했습니다.

뮤텍스 관련 권한이 없는 쓰레드가 뮤텍스 객체에 접근하여 해당 뮤텍스를 사용하는 다른 쓰레드와의 관계가 꼬이는 경우 발생한다.


2.2.3. 0x00000012(TRAP_CAUSE_UNKNOWN)[편집]


파일:STOP0x12.png

해당 오류의 원인을 알아내지 못했습니다.

말 그대로 원인을 알 수 없는 오류로, 이 오류코드는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홈페이지에도 특별한 원인을 제시하지 못했다.


2.2.4. 0x00000013(EMPTY_THREAD_REAPER_LIST)[편집]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드라이버나 레지스트리 등 중요 요소가 퍼지거나 망가졌을때 생기는 오류 중 하나로, 하드웨어나 운영체제 어딘가에 손상이 있음을 알려주는 코드인데, 그 손상될 수 있는 부분이 다양하기 때문에 넓은 범위에서 점검을 해야 한다.


2.2.5. 0x00000014(CREATE_DELETE_LOCK_NOT_LOCKED)[편집]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커널 모드 드라이버가 망가졌거나 하드웨어 결함, 악성코드 감염 등 원인이 다양하다.


2.2.6. 0x00000015(LAST_CHANCE_CALLED_FROM_KMODE)[편집]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커뮤니티에서도 원인을 아는 사람이 많지 않다고 한다. 다만 구글링을 해보면 몇몇 사이트에서 레지스트리를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다. 일단 영문 코드를 직역해보면 '커널 모드로부터 호출된 마지막 기회'라고 한다.


2.2.7. 0x00000016(CID_HANDLE_CREATION)[편집]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CID는 Composite ID 라는 뜻으로, 하드웨어, 운영체제 정보 등을 조합한 뒤 부여하는 값을 뜻하는데 이걸 생성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오류이다.


2.2.8. 0x00000017(CID_HANDLE_DELETION)[편집]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위의 CID값을 삭제하면서 이상이 생기거나, 값의 삭제로 인해서 해당 값을 참조해야할 프로그램이 퍼져서 생긴다.


2.2.9. 0x00000018(REFERENCE_BY_POINTER)[편집]


파일:1693661317417.jpg

포인터 참조 오류

참조 카운트를 세는 서브루틴, 그리고 그와 맞춰서 돌아가야 할 응용 프로그램이나 드라이버, 시스템 파일 등에서 운영체제나 C언어 계열 코드로 짜여진 프로그램의 포인터가 참조하는 값 혹은 주소값이 서로 안 맞을때 생기는 오류다. 드라이버 재설치, 시스템 파일 복구, 윈도우 업데이트 등으로 해결할 수 있다.


2.2.10. 0x00000019(BAD_POOL_HEADER)[편집]


풀 핸들러 오류

이것도 호환성 문제다. 특정 프로그램이 메모리와 충돌하거나, 시스템 과부하, PC의 CPU 메모리의 오버클럭, 메모리가 정상적으로 인식이 되지 않았을 경우, 설치한 하드웨어 호환성이 안 맞을 때 발생한다.

여담으로 블루스크린을 본뜬 화면보호기에서 주로 뜨는 오류코드가 바로 이것이다.

2.2.11. 0x0000001A(MEMORY_MANAGEMENT)※[편집]


파일:STOP0x1A.jpg

메모리를 점검할 필요가 있습니다.


매우 흔한 오류코드이며 주로 메모리 문제이다. 하드디스크의 여유공간을 확보하거나 RAM을 점검하거나 문제가 되는 드라이버를 재설치 해주자.
혹은 메모리 오버클럭시 안정화 실패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2.2.12. 0x0000001B(PFN_SHARE_COUNT)[편집]


여기서 PFN은 페이지 프레임 번호 를 뜻하는데, 이걸 정리한 데이터베이스 내부 요소에 잘못된 값이 삽입되는 등의 이유로 제대로 못 쓸 때 이 오류가 나온다.

여담으로, VMware의 그래픽 드라이버인 VMware SVGA 3D (vm3dmp.sys)[7]에서 가끔식 일어난다. 사례 1 사례 2


2.2.13. 0x0000001C(PFN_REFERENCE_COUNT)[편집]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위에 나온 그 PFN을 참조하는 과정에서 생긴 오류로, 메모리(RAM)쪽을 의심할 필요가 있다.


2.2.14. 0x0000001D(NO_SPIN_LOCK_AVAILABLE)[편집]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0F 오류에서 설명한 스핀락에 관련된 문제로, 호출 가능한 스핀락이 없어서 프로세스가 상호 배제 특성에 따라 실행이 불가능함을 뜻한다. 0F와 마찬가지로 윈도우 서버 버전에서만 쓰이는 기능이니 일반 윈도우에서 거의 안 보이는게 당연하다.


2.2.15. 0x0000001E(KMODE_EXCEPTION_NOT_HANDLED)☆[편집]


파일:0x1E.png
커널 모드에서 예외가 발생했지만 이를 처리하지 못했거나 잘못된 장치 드라이버, 잘못된 CPU 명령어를 인식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드라이버는 작은 오류만 발견돼도 즉시 블루스크린으로 직행하기에 예외 처리를 하여 안정성을 확보하는게 매우 중요하다.

다만 개발자는 만능이 아니므로 예상을 하지 못해 예외 처리를 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오류가 뜬다면 해당 드라이버 개발자에게 덤프 파일을 보내줘서 개발자가 원인을 분석하여 예외 처리를 하도록 하자.

여담으로, 윈도우 7에서 부팅 옵션에 /BREAK 옵션을 추가하면 위와 같은 블루스크린이 뜬다. 단, 한 줄만 나오고 끝이다.[8]

2.2.16. 0x0000001F(SHARED_RESOURCE_CONV_ERROR)[편집]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공유 자원에 관련된 문제로, 교착 상태 등의 시나리오를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2.3. 0x20~0x2F[편집]



2.3.1. 0x00000020(KERNEL_APC_PENDING_DURING_EXIT)[편집]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여기서 APC는 비동기 프로시저 호출 을 뜻하는데, 커널이 APC로 호출된 프로시저를 놓지 않고 종료되어 작업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됨을 뜻한다. 블루스크린을 띄울 정도면 그 영향을 받은 프로시저의 역할이 꽤 크다는 것을 증명하는 듯 하다.


2.3.2. 0x00000021(QUOTA_UNDERFLOW)[편집]


파일:0x21 (Windows vista Home premium).jpg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NTFS 파일 시스템의 디스크 할당 명령어 관련 오류로, 해당 값을 핸들링하지 못하는 경우 생긴다. 이전에 지정된 값 이상으로 많은 할당량이 디스크 블록으로 들어가는 경우 등의 이상 현상이 원인이다.


2.3.3. 0x00000022(FILE_SYSTEM)★[편집]


파일 시스템에 문제가 생김으로써 뜨지만, 의외로 0x00000024에 비해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대체로 알려진 파일 시스템들의 경우 이상 발생시 출력할 별도의 오류 코드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 22는 그 외의 다른 파일 시스템을 가져다 쓰다가 생긴 오류에서만 띄운다.


2.3.4. 0x00000023(FAT_FILE_SYSTEM)★[편집]


파일:0x23 (3).jpg

안티바이러스, 조각모음 유틸리티, 백업 유틸리티를 비활성화하거나 삭제하십시오. 하드디스크 구성을 확인하고 업데이트된 드라이버가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CHKDSK /F 명령어를 실행하여 하드 디스크 손상을 확인한 다음 컴퓨터를 다시 시작하십시오.

이러한 해결문구가 뜬다. 윈도우 XP까지만, 그것도 제한적으로 FAT를 시스템 파티션으로 지원해서 비스타 이후로는 안 뜰것 같지만, 의외로 윈도우 7에서도 뜬다. 일부 외장 저장장치들이 FAT 계열로 포맷되어있어 그것들을 호환시키기 위해 제한적으로 지원을 이어나갔기 때문이다.

2.3.5. 0x00000024(NTFS_FILE_SYSTEM)★[편집]


파일:0x24_bsod.png

안티바이러스, 조각모음 유틸리티, 백업 유틸리티를 비활성화하거나 삭제하십시오. 하드디스크 구성을 확인하고 업데이트된 드라이버가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CHKDSK /F 명령어를 실행하여 하드 디스크 손상을 확인한 다음 컴퓨터를 다시 시작하십시오.

이러한 해결문구가 마찬가지로 뜬다. 다른 파일 시스템 관련 오류코드는 그리 흔하지 않게 뜨지만, NT계열 윈도우 99%가 시스템 파티션으로 NTFS를 사용하기 때문에 비교적 흔하게 발생한다.


2.3.6. 0x00000025(NPFS_FILE_SYSTEM)★[편집]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윈도우 상에서 사용 가능한 NPFS라는 파일 시스템의 오류이지만 이 유형의 파일 시스템을 쓰는 컴퓨터가 많지 않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해당 문제의 원인은 페이지가 없는 메모리 풀 고갈로 발생하기때문에 간단하게 물리적 램을 추가해주면 된다. 사실상 NPFS 에러지만 해당 파일을 불러오는 도중 메모리에 적재할 공간이 없어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

NPFS는 Named Pipe File System의 약자로서 직역하자면 네임드 파이프 파일 시스템이며 여기서 네임드 파이프(named pipe)는 프로세스 간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매커니즘 중 하나이다. 네임드 파이프는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에서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서버가 해당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는데 네임드 파이프가 로컬 또는 네트워크 상에서 프로세스 간에 양방향 통신을 제공하며, 다른 유형의 파일과 유사한 방식으로 열고 읽고 쓰고 닫을 수 있게 해준다. 당연히 일반 사용자가 이런 파일시스템을 쓸 일도 없고 볼 일도 없다(...)

2.3.7. 0x00000026(CDFS_FILE_SYSTEM)★[편집]


CD롬을 지원하는 유닉스 계열 호환용 가상 파일 시스템인 CDFS 파일 시스템의 문제다.


2.3.8. 0x00000027(RDR_FILE_SYSTEM)★[편집]


원격 데스크탑에 사용되는 가상 파일 시스템인 RDR시스템의 문제다.


2.3.9. 0x00000028(CORRUPT_ACCESS_TOKEN)[편집]


여기서 언급하는 토큰은 윈도우 7부터 생긴 보안 관련 파일 그룹으로, 몇개의 파일로 나눠서 해당 컴퓨터에 대한 정품인증 정보를 담고 있다.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는 않지만 간혹가다 부팅 때 생기는 오류로, 보안 요소의 일부인 토큰에 접근하는 과정에서 이상이 생겼을 때 뜰 것으로 보이지만 아직까지 제대로 된 원인을 파악한 사이트는 온라인에서도 검색되지 않고 있다.


2.3.10. 0x00000029(SECURITY_SYSTEM)[편집]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코드 상으로는 보안 시스템에 관련된 오류지만 보안 시스템이란 건 굉장히 포괄적인 개념이며, 앞으로도 계속 내용이 많아질 부분이라 정확한 오류 발생 위치를 파악하기는 어렵다. 일단은 대표적인 보안 장치인 TPM이나 Secureboot 기능 등 윈도우에서 제공하는 보안 기능들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


2.3.11. 0x0000002A(INCONSISTENT_IRP)[편집]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여기서 말하는 IRP는 윈도우 프로그래밍을 배운 사람들이라면 자주 들어봤을 내용으로, 드라이버들이 하드웨어와 운영체제를 연결해주는데 사용하는 함수들이 사전 정의된 구조체의 일종인데, 이 구조체 내부가 꼬여있음을 알려주는 오류코드가 이것이다. 이 오류를 해결하기 위해선 평소에 백업을 생활화하고 시스템 복원 지점을 미리 만들어두는 등 필요시 운영체제를 롤백할 준비가 되어있어야한다. IRP구조체라는 게 하드웨어 드라이버와도 연관이 있는 개념인 만큼 하드웨어와 운영체제를 연결해주는 소프트웨어는 전부 점검해보자.


2.3.12. 0x0000002B(PANIC_STACK_SWITCH)[편집]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주기억장치에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적재할 때 사용하는 자료구조의 일종인 스택도 스위치들이 쌓인 개념으로 정의,사용되는데 이 스택을 구성하는 스위치가 뻑났음을 알려준다. 주기억장치에서 발생하는 오류인 만큼 재부팅으로 메모리를 비워서 해결을 시도해보고, 같은 오류가 또 발생하면 을 교체해보자.


2.3.13. 0x0000002C(PORT_DRIVER_INTERNAL)[편집]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영문을 해석하면 포트 드라이버 내부로, 여기에 오류가 있다는 뜻이다. cmd창에서 netstat이라고 치면 나오는 그 포트들 중 하나 이상의 포트가 뻗었다는 뜻으로 보인다.


2.3.14. 0x0000002D(SCSI_DISK_DRIVER_INTERNAL)[편집]


SCSI 디스크 드라이버 내부 라고 해석되는데, 그 안에 오류가 있음을 알려준다. SCSI도 보조기억장치의 인터페이스의 일종이긴 한데, 지금은 SAS를 거쳐 NVMe로 세대교체가 되어서 지금은 거의 사장된 인터페이스다. 2022년 현재 SCSI는 퇴물이 되어서 찾아볼 수 없으니 이 오류가 발생할 일은 없다고 봐도 좋다. 다만 외장 SSD, 외장 NVMe의 경우 컨트롤러로 SCSI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니 참고할 것!

2.3.15. 0x0000002E(DATA_BUS_ERROR)☆[편집]


말 그대로 메인보드 회로 상에서 각 장치들을 연결해주는 데이터 버스에서 충돌이나 연결 끊김 등의 문제가 생겼음을 알려주는 오류코드로 메인보드에 문제가 없지만 컴퓨터 바이러스에 감염됐거나, 장치 드라이버를 잘못된 방법으로 설치하거나, 응용프로그램 크랙판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어 사용에 유의해야 한다.


2.3.16. 0x0000002F(INSTRUCTION_BUS_ERROR)[편집]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명령어 버스 에러로, CPU 내에서 발생한 오류다. 일단은 재부팅을 해볼 필요가 있으며 그럼에도 오류가 뜰 경우 CPU 제조사에 문의하거나 CPU를 다른 것으로 갈아 끼워 보자.


2.4. 0x30~0x3F[편집]



2.4.1. 0x00000030(SET_OF_INVALID_CONTEXT)[편집]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유효하지 않은 문맥 다발 이라는 뜻이다. 특정 원인을 짚을 수가 없는 것이, 프로그램 내에서 처리하는 값의 단순 오타에서 아예 윈도우 시스템 파일이 깨졌을 경우까지 매우 폭넓게 의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2.4.2. 0x00000031(PHASE0_INITIALIZATION_FAILED)[편집]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윈도우 내의 페이즈는 작업의 단위를 뜻하는데, 이는 서버용 운영체제에서 취급하는 단위로 일반 사용자들은 애초에 볼 일이 없는 오류 코드다.


2.4.3. 0x00000032(PHASE1_INITIALIZATION_FAILED)[편집]


파일:0x00000032.jpg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서버 운영체제의 작업구역 중 하나가 초기화에 실패했음을 뜻한다.


2.4.4. 0x00000033(UNEXPECTED_INITIALIZATION_CALL)[편집]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예상치 못한 초기화 호출 이라는 뜻이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바이오스, 레지스트리 등 이 오류의 원인을 다양하게 지목하고 있다. 하여튼 사용자와 하드웨어 사이의 소프트웨어들 중 운영 체제가 예상치 못한 초기화 관련 예외가 생겼을 때 운영 체제가 속수무책으로 당했다는 걸 알려주는 코드다.


2.4.5. 0x00000034(CACHE_MANAGER)[편집]


캐시 매니저 오류로, 간간이 발견되는 오류코드다. 시스템 프로세스인 캐시 메모리 관리자에서 보고하는 오류인데, 캐시에 매핑된 파일 속 값이 임계값을 넘는 등의 현상이 있을때 띄운다. 이 오류를 경험해본 사람들의 다수는 을 원인으로 지목하고있으며, 윈도우 설치 파일을 담는 매체 등 다른 메모리의 오류를 의심하기도 한다. 일단은 램을 우선 점검해보자.


2.4.6. 0x00000035(NO_MORE_IRP_STACK_LOCATIONS)[편집]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0x2A 오류에서 언급한 IRP 구조체를 담은 위치를 특정 프로세스가 찾아가는 과정에서 이상이 생겼음을 뜻한다. 코드를 보았을 때 해당 IRP 스택의 주소값을 가지고 위치를 찾던 프로세스가 램 내부를 계속 돌아다녀보고 눈씻고 찾아봐도 목표하는 스택을 못찾았을때 "못 찾겠다 꾀꼬리!"라고 외치는 격으로 이해하면 될 듯 하다.


2.4.7. 0x00000036(DEVICE_REFERENCE_COUNT_NOT_ZERO)[편집]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하드웨어를 호출할 때 주소값으로 호출하게 되는데, 이 주소값이 가리키는 데이터가 초기화되어있지 않아 쓰레기 값을 읽었을 때 이 오류를 띄우고 호출 작업을 막아서 운영 체제가 퍼지는 것을 예방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장치 드라이버를 원인으로 지목하고있다.


2.4.8. 0x00000037(FLOPPY_INTERNAL_ERROR)[편집]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플로피 내부 오류를 뜻하는데 플로피 디스크가 현재는 사장됐으므로 생길래야 생길 수가 없는 오류다.


2.4.9. 0x00000038(SERIAL_DRIVER_INTERNAL)[편집]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직렬 처리 포트를 사용하는 장치의 드라이버 내부 오류인 만큼 일단은 장치 드라이버들을 점검하자.


2.4.10. 0x00000039(SYSTEM_EXIT_OWNED_MUTEX)[편집]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0x0D 오류에 언급된 커널 모드 동기화 객체 Mutex 를 사용중이던 시스템이 퍼져서 뮤텍스까지 물귀신처럼 끌고 가서 뻗는 경우를 뜻한다,


2.4.11. 0x0000003A(SYSTEM_UNWIND_PREVIOUS_USER)[편집]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이전 사용자를 시스템이 풀었다는 뜻인데, 계정 관련 오류로 보인다. 보통 일반 사용자용 윈도우는 블루스크린까지 띄워가면서 이런 일이 있었단 걸 알려주지는 않기 때문에 온라인에서도 이 오류에 관련된 설명이 거의 없다.


2.4.12. 0x0000003B(SYSTEM_SERVICE_EXCEPTION)※[편집]


파일:0x3B (Windows Vista Home).jpg
시스템 서비스에서 예외사항이 발생함으로써 뜨는 오류코드로, 매우 흔한 편에 속한다.

Windows 10 Insider Program 기준, \\\\.globalroot\\device\\condrv\\kernelconnect를 명령 프롬프트에 입력하여 엔터를 누르면 볼 수 있으나 높은 확률로 혼자서는 해결이 불가능에 가까운 무한부팅에 걸리니 절대로 시도해서는 안 된다.[9]

2.4.13. 0x0000003C(INTERRUPT_UNWIND_ATTEMPTED)[편집]


이 오류코드는 흔하지 않다. 인터럽트를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끊거나 왜곡하는 등의 시도가 있어서 프로세스나 하드웨어가 상호작용에 차질을 빚을 때 생긴다.


2.4.14. 0x0000003D(INTERRUPT_EXCEPTION_NOT_HANDLED)[편집]


인터럽트 예외 오류인데, 컴퓨터를 사용하다보면 인터럽트가 굉장히 많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보니 이에 영향을 받는 하드웨어 혹은 드라이버나 이들을 사용하는 응용프로그램 이 셋 중 한 곳에서 인터럽트가 제대로 처리되지 않았을 때 나올 수 있는 오류다.


2.4.15. 0x0000003E(MULTIPROCESSOR_CONFIGURATION_NOT_SUPPORTED)[편집]


파일:0x3E 2.jpg

지원되지 않는 멀티프로세서 구성

멀티코어 프로세서 혹은 말 그대로 메인보드에 2개 이상의 CPU가 붙어있는 경우 생길 수 있는 오류인데, 이들 간의 관계 혹은 할당량 등에 있어서 균형이 잡혀있지 않아서 프로세서가 따로 노는 등 비정상적으로 상호작용을 할때 이런 오류가 뜬다.


2.4.16. 0x0000003F(NO_MORE_SYSTEM_PTES)★[편집]


백업 유틸리티, 디스크 활성화 유틸리티를 비롯한 최근에 설치한 소프트웨어를 제거하십시오.

구성 요소를 비활성화하거나 제거하는 데 안전 모드 환경에서만 동작이 보장될 경우, 컴퓨터를 수동으로 다시 시작하여 F8 키를 눌러 고급 시작 옵션을 선택한 후, 안전 모드를 선택하십시오.

과도한 I/O 작업의 수행으로 인한 PTEs(Page Table Entries)의 손상 또는 단편화, 또는 메모리 자체의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류로 잘못된 드라이버, 응용프로그램을 과도하게 실행(10개 이상)하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2.5. 0x40~0x4F[편집]



2.5.1. 0x00000040(TARGET_MDL_TOO_SMALL)[편집]


여기서 MDL은 Memory Descriptor List의 약자로, 버퍼(가상메모리)에 있는 프로그램의 실제 물리 메모리상 적재 위치를 매핑,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는 구조체다. 여기 쓰여있는 버퍼의 크기가 너무 작아서 돌려야할 프로그램이 안 들어간다고 알려줄 때 이 코드를 띄운다.


2.5.2. 0x00000041(MUST_SUCCEED_POOL_EMPTY)[편집]


IT에서의 pool은 미리 만들어놓은 자원을 사용하는 기법을 뜻하는데, 이를 위해 미리 마련된 자원의 집합을 뜻하기도 한다. 이 풀에 잡다한 데이터가 많아서 프로그램들이 제대로 쓰기가 어려울 때 이 오류를 띄운다.


2.5.3. 0x00000042(ATDISK_DRIVER_INTERNAL)[편집]


Atdisk는 커널 드라이버의 일종으로, 시스템 파일 형태로 존재한다. 여기에 문제가 있을 때 뜨는 오류로, XP까지만 사용됐기 때문에 그 이후의 윈도우에서는 나오지 않는 오류코드다.


2.5.4. 0x00000043(NO_SUCH_PARTITION)[편집]


파티션 없음을 뜻한다. 운영 체제나 프로세스가 찾고있는 파티션이 존재하지 않을 때 알리는 오류로, 보통은 시스템 오류 메시지로써 해당 공간을 참조할 수 없다고 띄워주고 끝내는데, 블루스크린까지 뜰 정도일 땐 하드의 손상을 의심해보자. 자주 뜨는 오류는 아닌 것이, 윈도우가 돌고 있을 때 저장장치를 도중에 분리해도 이 오류는 거의 안 띄우고 0xEF를 띄운다.


2.5.5. 0x00000044(MULTIPLE_IRP_COMPLETE_REQUESTS)[편집]


IRP 구조체에 너무 많은 요청이 들어와서 병목현상+데드락이 생겼음을 뜻한다. 재부팅으로 메모리를 비워서 초기화해주자.


2.5.6. 0x00000045(INSUFFICIENT_SYSTEM_MAP_REGS)[편집]


시스템 매핑 레지스트리에 누락된 값이 있어서 프로그램이 필요한 자원을 찾아갈 수 없음을 뜻한다.


2.5.7. 0x00000046(DEREF_UNKNOWN_LOGON_SESSION)[편집]


알수 없는 역참조 로그온 세션에 접근했을 시 발생한다. 주로 프로그래밍적 오류로 인해 발생하며 자주 나타나는 블루스크린은 아니며, 잘못된 드라이버에 의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2.5.8. 0x00000047(REF_UNKNOWN_LOGON_SESSION)[편집]


알수 없는 참조 로그온 세션에 접근했을 시 발생한다. 위와 동일하나 역방식이 아닌 정방식에 의한 오류 발생이라는 차이점이 있다.

2.5.9. 0x00000048(CANCEL_STATE_IN_COMPLETED_IRP)[편집]


완성된 IRP 구조체의 취소 상태 로 해석할 수 있는데, 기껏 요청해놓은 IRP가 제대로 사용, 반환되지 못하여 다른 프로세스에 영향을 주게 될 경우 이걸 띄우고 시스템 재부팅을 유도하는 듯 하다.


2.5.10. 0x00000049(PAGE_FAULT_WITH_INTERRUPTS_OFF)[편집]


요청한 페이지에 이상이 있고 인터럽트가 해제되어있음을 뜻한다. 아래의 0x50과의 차이점은 50의 경우 타겟 페이지가 없어서 못 찾는거고 이건 찾은 페이지에 이상이 있어서 조치를 취해야하는데 그러기 위해 필요한 인터럽트가 안 걸렸다는게 문제다. 쉽게 말해 속수무책이다.


2.5.11. 0x0000004A(IRQL_GT_ZERO_AT_SYSTEM_SERVICE)[편집]


인터럽트 관련 문제로 커널 모드에서 시스템 콜을 수행한 후 사용자 모드로 복귀하려고 할 때 현재 IRQL 레벨이 PASSIVE_LEVEL(0)가 아닐 경우 발생시키는 코드이다. 사용자 모드는 PASSIVE_LEVEL 에서만 동작해야 하기 때문이다.

주로 메인보드와 하드웨어 간에 수신에 문제가 생겼을 때 발생하며, 소프트웨어(대개는 드라이버)의 문제일 땐 이 코드 한 가지만 뜨며, 하드웨어가 퍼졌을 때는 다른 코드들도 함께 뜨기 때문에 우선은 소프트웨어를 의심해보아야 한다. #

2.5.12. 0x0000004B(STREAMS_INTERNAL_ERROR)[편집]


흔히 나타나는 오류는 아니라서 인터넷에서도 관련 자료가 많이 검색되지 않는다.
여기서 말하는 스트림(stream)은 파일을 읽거나 쓸 때, 네트워크 소켓을 거쳐 통신할 때 쓰이는 추상적인 개념인데, 이렇게 통신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생기면 뜨는 것으로 보인다. 보통은 재부팅해서 각 하드웨어들을 초기화시켜주면 해결되지만 반복적으로 이럴 경우 드라이버나 하드웨어를 점검해보는게 상책이다.

2.5.13. 0x0000004C(FATAL_UNHANDLED_HARD_ERROR)[편집]


제어 불가능한 하드웨어 문제

되게 심각한 오류처럼 보이지만 평상시에는 볼 수 없다.
그러나 만약 떴다면 점검할 수 있는 하드웨어는 싹 다 점검해보는게 유일한 방법이다.

2.5.14. 0x0000004D(NO_PAGES_AVAILABLE)[편집]


파일:0x4D.jpg
작업을 계속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여유 페이지가 없음을 나타낸다. 가상 메모리 문제로, 보조기억장치 내에 구성하는 경우가 대부분인 만큼 하드 디스크나 SSD 등에 여유공간을 확보해둠으로써 예방/해결할 수 있다.


2.5.15. 0x0000004E(PFN_LIST_CORRUPT)[편집]


메모리 오류 4E의 그 4E이다. 메모리 고장 혹은 메인보드 메모리 소켓 문제일 수 도 있다.
일단 영문 코드를 직영하면 페이지 프레임 번호 (PFN) 리스트 파일 손상이라고 뜨는데, 문제의 파일은 PC 하드 디스크에서 렌더링되어 실제 하드 디스크의 모든 파일을 찾는 명령어를 담고있다. 이 중 메모리에 적재해야 할 페이지에 번호를 붙이고 리스트를 만드는데, 이 과정에서 위의 원인으로 리스트 정리가 안 되는 것이다.


2.5.16. 0x0000004F(NDIS_INTERNAL_ERROR)[편집]


NDIS(Network Driver Interface Specification)에 내부적으로 오류가 생겼을 때 발생한다.


2.6. 0x50~0x5F[편집]



2.6.1. 0x00000050(PAGE_FAULT_IN_NONPAGED_AREA)※[편집]


파일:STOP0x50.gif

OS에서 요청한 데이터가 메모리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블루스크린 오류코드 중 상당히 흔하게 찾아볼 수 있는 오류코드로, 요청한 데이터가 메모리에 없을 경우 발생한다.

메모리 오버클럭을 했거나 1.35V 이상의 과한 전압을 줄 시 종종 발생하니, 만약 발생했다면 램오버를 우선적으로 풀어보자. 이후에도 동일 증상이 발생 시 메모리 섹터 일부가 손상되어 write가 불가능한 상태일 수도 있다. 교체하자.

2.6.2. 0x00000051(REGISTRY_ERROR)[편집]


레지스트리에 심각한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보다시피 레지스트리가 깨졌을 때 뜬다. 문제 발생 위치는 분명하지만 해결하기가 상당히 골치아픈 편이다. 레지스트리 안의 값이 꼬였을 수도 있고 그 영향을 받는 하드웨어나 파일시스템도 같이 점검해보는 게 좋다.

사실 레지스트리가 꼬인건 정말 답이 없으니 그냥 백업 후 포맷하자,

2.6.3. 0x00000052(MAILSLOT_FILE_SYSTEM)[편집]


파일 시스템의 문제로 보이나 인터넷에서도 검색되는 자료가 없다. 일반 사용자용 윈도우에서는 아예 뜰 일이 없는 오류로 보인다.

Windows상에서 MAILSLOT이라는 용어는 아예 존재하지 않는다.

2.6.4. 0x00000053(NO_BOOT_DEVICE)[편집]


부팅할 장치가 없음을 뜻하는데, 보통 이렇게 뜨기보다는 "재시작 후 부팅할 디바이스를 선택해주세요." 혹은 "운영 체제 없음" 등의 메시지를 바이오스 차원에서 띄워주는 경우가 많다. 부팅중에 이런 오류 코드가 뜬다면 하드디스크 손상을 의심해보자. 다시 말하지만 NO BOOT DEVICE는 그냥 검은 화면에 CMD창 켠듯이 뜨는게 정상적인 것이다. 파란화면이 뜬 것은 뭔가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2.6.5. 0x00000054(LM_SERVER_INTERNAL_ERROR)[편집]


LM은 Lan Manager 의 약자로, 네트워크 보안과 관련된 서버용 윈도우의 툴이다. 이게 퍼졌을 때 생긴 오류인데, 일반 사용자들은 볼 일이 없다.

2.6.6. 0x00000055(DATA_COHERENCY_EXCEPTION)[편집]


데이터의 일관성에 예외가 발생했음을 뜻하는데, 운영체제의 중요 시스템 파일이나 그 안의 데이터가 꼬이면 뜨는 듯 하다.


2.6.7. 0x00000056(INSTRUCTION_COHERENCY_EXCEPTION)[편집]


명령어 일관성에 예외가 발생했음을 뜻한다. 마찬가지로 시스템 파일의 변조를 의심할 필요가 있다.


2.6.8. 0x00000057(XNS_INTERNAL_ERROR)[편집]


XNS는 Xerox Network System을 의미한다. 우리가 흔히 복사기업체로 알고있는 후지 제록스가 만든 것 맞다. 해당 네트워크 시스템이 뻗었다는 것인데 네트워크 소켓 문제이므로 해당 부분에 대한 광범위한 검사가 필요하다. 다만 XNS가 1977년(...)에 개발된 레거시중의 레거시기 때문에 요새는 안뜬다고 봐도 무방하다.

2.6.9. 0x00000058(FTDISK_INTERNAL_ERROR)[편집]


FTDISK는 Fault Tolerant Disk의 약자로, 시스템 파일의 형태로 들어있는 볼륨 관리자 드라이버 서비스인데, 이게 윈도우 안에 없든가 아니면 돌다가 퍼졌든가 둘 중 하나일 때 이 오류가 뜬다. 없는거면 복구해야하고, 일시적 오류라면 재부팅을 하거나 cmd에 명령어를 넣어서 꺼버리면 된다.

2.6.10. 0x00000059(PINBALL_FILE_SYSTEM)[편집]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버그리포트

시스템 혹은 프로세스가 비어있는 풀 메모리를 요청하는데 비어있는 메모리가 없을 경우에 발생한다.

어렵게 적어도 결국 메모리가 부족한 상태이므로, 램을 추가해야한다.

다만, 일시적으로 이 현상이 발생한 경우라면, 메모리 누수가 있는지 체킹하고, 만약 메모리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면 시스템 내부에 "pinball.sys" 파일이 존재하는지 확인하자. 이 파일은 NT 3.5 HPFS 에 쓰이던 파일이라 현재의 윈도우에서는 작동할 일이 없는 파일이다.

2.6.11. 0x0000005A(CRITICAL_SERVICE_FAILED)[편집]


파일:0x0000005A.jpg
마지막으로 성공한 구성으로 부팅 시 윈도우 필수 서비스가 실행되지 않아 발생하는 오류다. 하드웨어가 변경됐거나 운영체제 업데이트에 오류가 있을 경우 이런 일이 생길 수 있는데, 최근에 추가한 하드웨어가 있다면 빼보고 다시 부팅해보고, 하드웨어가 아닌 다른 문제라면 안전 모드 부팅 후, 이전 복원 지점으로 롤백을 돌려보자.


2.6.12. 0x0000005B(SET_ENV_VAR_FAILED)[편집]


시스템에 중요한 환경 변수들을 설정하지 못했을 때 발생한다.


2.6.13. 0x0000005C(HAL_INITIALIZATION_FAILED)[편집]


파일:0x5C (Windows Vista X64).jpg
HAL는 Hardware Abstraction Layer(하드웨어 추상화 레이어)의 약자로 커널과 하드웨어 사이에 존재하는 계층으로 여러 종류의 디바이스를 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특정 디바이스에 종속되지 않으면서 하드웨어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데 이 기능이 초기화가 실패되었을 출력되는 오류 코드다. [10]

2.6.14. 0x0000005D(UNSUPPORTED_PROCESSOR)[편집]


파일:0x5D.png
지원되지 않는 프로세서 를 뜻하는데, 윈도우의 각 버전별로 지원되는 프로세서가 다르기 때문에 해당 버전별로 사용 가능한 CPU의 세대 등을 미리 파악하면 예방할 수 있다.


2.6.15. 0x0000005E(OBJECT_INITIALIZATION_FAILED)[편집]


윈도우를 구성하고 있는 필수 개체가 초기화되지 않고 퍼지면 뜬다.


2.6.16. 0x0000005F(SECURITY_INITIALIZATION_FAILED)[편집]


보안 장치의 초기화를 실패했을 때 뜬다.


2.7. 0x60~0x6F[편집]


여기서는 모든 영문 코드가 INITIALIZATION FAILED(초기화 실패) 로 끝난다. 대부분 재부팅으로 해결된다.


2.7.1. 0x00000060(PROCESS_INITIALIZATION_FAILED)[편집]


특정 중요 프로세스의 초기화에 실패했음을 알려준다.


2.7.2. 0x00000061(HAL1_INITIALIZATION_FAILED)[편집]


0x0000005C 오류 코드와 마찬가지로 Hardware Abstraction Layer(하드웨어 추상화 레이어) 초기화 실패 관련 오류 코드다. 이 에러코드는 샷건을 친다면 심심찮게 볼수 있다. 대부분 재부팅을 하면 해결된다.

2.7.3. 0x00000062(OBJECT1_INITIALIZATION_FAILED)[편집]


인스턴스의 Class내 Object1의 초기화에 실패 시 발생한다.


2.7.4. 0x00000063(SECURITY1_INITIALIZATION_FAILED)[편집]


주로 Windows Server 도메인 로그인 과정중에 출력된다. 로그인 과정 중 보안설정 초기화에 실패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새로운 계정을 생성하는 것이 좋다.

2.7.5. 0x00000064(SYMBOLIC_INITIALIZATION_FAILED)[편집]


Windows 파일 시스템 내의 SYMBOLIC Link의 초기화에 실패했다는 문구이다. SYMBOLIC Link는 다른 곳에 위치한 물리적 파일이나 폴더를 참조하는 가상의 파일 또는 폴더인데 이것에 대해 초기화가 실패한 것 이다.

2.7.6. 0x00000065(MEMORY1_INITIALIZATION_FAILED)[편집]


파일:0x65 블루스크린.png
메모리 초기화에 실패했을 때 출력된다.
메모리를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

2.7.7. 0x00000066(CACHE_INITIALIZATION_FAILED)[편집]


캐시 초기화에 실패했을 때 출력된다.


2.7.8. 0x00000067(CONFIG_INITIALIZATION_FAILED)[편집]


파일:0x00000067.jpg
구성 설정 파일의 초기화에 실패했을 때 출력된다.


2.7.9. 0x00000068(FILE_INITIALIZATION_FAILED)[편집]


파일 초기화 실패했을 때 출력되며, 아마도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기타 파일이 뻗으면 이걸 띄우는 듯 하다.


2.7.10. 0x00000069(IO1_INITIALIZATION_FAILED)[편집]


입출력 관련 하드웨어나 소켓 등의 초기화를 실패했을 때 출력된다.

2.7.11. 0x0000006A(LPC_INITIALIZATION_FAILED)[편집]


LPC는 Local Procedure Call 이라는 윈도 내부의 문서화되어 있지 않은, 경량 프로세스 간 통신을 위해 NT커널에서 제공되는 기능인데, 이게 초기화가 안돼서 작동이 안될 때 이 오류가 뜬다.

2.7.12. 0x0000006B(PROCESS1_INITIALIZATION_FAILED)[편집]


파일:attachment/블루스크린/BSOD_NT40.jpg

마이크로소프트(R) 윈도우 NT(TM) 버전 4.0 (빌드 1381: 서비스 팩 6).

싱글코어 프로세서 [64MB 메모리]

(여기까지가 부팅 과정에서 나오는 문구다.)

*** STOP : 0x0000006B (0xC000003A, 0x00000002,0x00000000,0x00000000)

프로세스1 초기화 실패

(이하생략)

시스템을 다시 시작하여 시스템 제어판 또는 /CRASHDEBUG 시스템 시작 옵션에서 복구 옵션을 선택하십시오.

이 메시지가 다시 나타나면 시스템 관리자나 기술 지원 그룹에 문의하십시오.

- Windows NT 4.0의 BSOD


2.7.13. 0x0000006C(REFMON_INITIALIZATION_FAILED)[편집]


REFMON은 Reference monitor의 약자로써, 참조 모니터를 의미한다. 해당 참조 모니터는 일반적으로 보안 감시 등 여러 방면에서 사용되는데 해당 참조 모니터의 초기화에 실패했을 경우 발생한다.

2.7.14. 0x0000006D(SESSION1_INITIALIZATION_FAILED)[편집]


파일:0x6D.jpg
윈도우 스테이션들과 클립보드를 포함하는 SESSION1의 초기화에 실패했을 경우 출력된다.

2.7.15. 0x0000006E(SESSION2_INITIALIZATION_FAILED)[편집]


윈도우 스테이션들과 클립보드를 포함하는 SESSION2의 초기화에 실패했을 경우 출력된다.


2.7.16. 0x0000006F(SESSION3_INITIALIZATION_FAILED)[편집]


파일:0x0000006F (4).png
윈도우 스테이션들과 클립보드를 포함하는 SESSION3의 초기화에 실패했을 경우 출력된다.
이 블루스크린은 SESSION5(0X00000070 및 0X00000071까지 각각 세션 4, 5) 까지 존재한다.


2.8. 0x70~0x7F[편집]



2.8.1. 0x00000070(SESSION4_INITIALIZATION_FAILED)[편집]


윈도우 스테이션들과 클립보드를 포함하는 SESSION4의 초기화에 실패했을 경우 출력된다.
이 블루스크린은 SESSION5(0X00000070 및 0X00000071까지 각각 세션 4, 5) 까지 존재한다.

2.8.2. 0x00000071(SESSION5_INITIALIZATION_FAILED)[편집]


파일:0x00000071.jpg
윈도우 스테이션들과 클립보드를 포함하는 SESSION5의 초기화에 실패했을 경우 출력된다.
이 블루스크린은 SESSION5(0X00000070 및 0X00000071까지 각각 세션 4, 5) 까지 존재한다.

세션 1~5까지의 오류는 모두 Windows 운영체제 초기화를 실패했을 경우에 나타난다. 특정 세션(예를들어 원격 데스크탑)에서만 오류가 발생할 경우 그 부분만 수정하면 해결된다.

2.8.3. 0x00000072(ASSIGN_DRIVE_LETTERS_FAILED)[편집]


할당된 드라이브 문자가 안 맞을 때 뜨는 오류다. 그러니까 A드라이브 같은 식의 문자가 정당하지 않은 방법으로 변경되어 해당 저장소에 접근을 못하고 있어서 컴퓨터가 관리자에게 도와달라고 부르짖는 거다.


2.8.4. 0x00000073(CONFIG_LIST_FAILED)[편집]


버그 체크 문자열로 봐서는 시스템이 구성된 레지스토리 리스트를 불러오지 못했거나 리스트에 오류가 발생했을 시 뜨는 것으로 추정된다.


2.8.5. 0x00000074(BAD_SYSTEM_CONFIG_INFO)[편집]


파일:0x74블루스크린.png

부팅 파일의 일부가 손실됐을 때, RAM이나 하드디스크, 또는 레지스토리 값 손상 및 제대로 부착되지 않았을(또는 아예 장착을 안 했을) 시 뜬다.

아니면 시스템 구성이 잘못 됐을때 뜰 수도 있다.(에초에 BAD_SYSTEM_CONFIG_INFO가 잘못된 시스템 구성 정보라는 뜻이다.)

(가상머신으로 윈도우 8 이상 윈도우 에다가 램 128MB로 설정하면 이 블루스크린 코드가 뜰 수 있다.[11])


2.8.6. 0x00000075(CANNOT_WRITE_CONFIGURATION)[편집]


파일:0x75.jpg
발견 빈도가 적어 정보가 많이 알려지지 않았으나 대략적으로는 윈도우가 레지스트리 하이브 파일을 열 수 없어서 필요한 정보를 반영하지 못할 때 띄워줄 수 있는 코드라고 한다.


2.8.7. 0x00000076(PROCESS_HAS_LOCKED_PAGES)[편집]


프로세스가 입출력 혹은 메모리 데이터 참조 과정 중에 잠긴 페이지를 건드리면서 꼬여버리면 생기는 오류인데, 일시적인 오류라서 재부팅이나 업데이트 한번 해주면 정상으로 돌아간다.


2.8.8. 0x00000077(KERNEL_STACK_INPAGE_ERROR)[편집]


가상 메모리의 페이징 파일에서 요구하는 커널 스택을 메모리에서 읽지 못했음을 뜻한다. 디스크 데이터 충돌이나 바이러스 감염 등의 이유로 커널 데이터가 저장된 스택이 누락되거나 망가질 수 있는데, 이 오류가 그때 뜬다.


2.8.9. 0x00000078(PHASE0_EXCEPTION)[편집]


파일:0x78.jpg
발생 빈도가 높지 않아 알려진 정보가 거의 없다. 다만 영문으로 된 문서들을 보면 아래의 HAL을 초기화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관련 커널에 오류가 있을때 이 코드를 찍어준다고 한다.


2.8.10. 0x00000079(MISMATCHED_HAL)[편집]


HAL은 하드웨어 추상화 계층을 뜻하며 윈도우 NT의 기반이 되는 시스템 SW이기도 하다. 윈도우NT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운영체제에서 이 계층을 구성하는 파일을 가지고 있는데, 이게 없어지거나 망가지면 이 오류가 뜰 수 있다.


2.8.11. 0x0000007A(KERNEL_DATA_INPAGE_ERROR)[편집]


파일:0x0000007A.jpg
페이징 파일에서 요청한 커널 데이터를 메모리에 올릴 수 없을 때 발생한다. 여기서 페이징은 프로세스 적재를 위한 메모리 공간 분할법을 뜻하는데, 이 규칙을 명시한 파일이 페이징 파일이다. 해당 파일도 메모리로부터 데이터를 읽어야하는데, 이 데이터 파일이 누락됐거나 손상되면 이 오류를 통해 알려준다.


2.8.12. 0x0000007B(INACCESSIBLE_BOOT_DEVICE)★[편집]


파일:BSoD 2000.png

*** STOP: 0x0000007B (0xF641F84C,0xC0000034,0X00000000,0x0000000)

부팅 장치 접근 불능

이 오류 화면을 처음 보셨다면, 컴퓨터를 다시 시작하십시오. 이 화면이 계속 나타날 경우, 다음 절차를 따르십시오:

컴퓨터가 바이러스에 감염됐는지 확인하거나, 새로 설치된 하드 디스크 또는 하드 디스크 컨트롤러를 제거하거나, 하드 디스크가 올바르게 구성되고 종료됐는지 확인하십시오.

CHKDSK / F 명령어를 실행하여 하드 디스크 손상을 확인한 다음 컴퓨터를 다시 시작하십시오.

해당 오류 문제 해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운영체제의 사용 설명서를 참조하십시오.

- Windows 2000의 BSOD

파일:STOP0x7B.jpg

문제가 발견되어 컴퓨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Windows가 종료됐습니다.

이 오류 화면을 처음 보셨다면, 컴퓨터를 다시 시작하십시오. 이 화면이 계속 나타날 경우, 다음 절차를 따르십시오:

컴퓨터가 바이러스에 감염됐는지 확인하거나, 새로 설치된 하드 디스크 또는 하드 디스크 컨트롤러를 제거하거나, 하드 디스크가 올바르게 구성되고 종료됐는지 확인하십시오.

CHKDSK /F 명령어를 실행하여 하드 디스크 손상을 확인한 다음 컴퓨터를 다시 시작하십시오.

기술적 정보:

*** STOP: 0x0000007B (0xFFFFF880009A9928, 0xFFFFFFFFC0000034, 0x0000000000000000, 0x0000000000000000)

- Windows 7의 64비트판 BSOD


:(

PC에 문제가 발생하여 다시 시작해야 합니다. 일부 오류 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그런 다음 자동으로 다시 시작합니다.

(80% 완료)

자세한 내용을 보려면 나중에 온라인에서 이 오류를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INACCESSIBLE_BOOT_DEVICE / 액세스가 불가능한 부팅 장치)

- Windows 10의 BSOD

주로 SATA 제어 모드가 잘못 설정된 경우[12] 또는 레지스트리 설정값 변동으로 인해 발생한다. 이 경우 부팅후 윈도우 로고가 뜬 뒤 1초도 지나지 않아 바로 위 메세지가 뜨는데 해결 방법은 바이오스 설정에서 SATA 제어 모드를 변경하면 되지만, 레지스트리의 경우 컴퓨터 수리점 혹은 상당한 시간을 들여 해결하는 수밖에 없다.


2.8.13. 0x0000007C(BUGCODE_NDIS_DRIVER)[편집]


NIDS는 "네트워크 드라이버 인터페이스 사양" 이라는 이름의 라이브러리로, 네트워크 드라이버에서 네트워크 하드웨어를 추상화하는 물건이다. 여기에 버그가 발견됐을 때 이 코드로 알려준다.


2.8.14. 0x0000007D(INSTALL_MORE_MEMORY)[편집]


파일:0x7D (2) .jpg

메모리를 추가로 확보하여 주십시오.


영문 코드부터 대놓고 메모리를 더 추가해 달라고 호소하고 있다. 0x1A처럼 메모리 공간이 딸려서 필요한 프로그램들을 못 돌린다고 아우성치는 것. 더 볼 것도 없이 증설이 답이다.


2.8.15. 0x0000007E(SYSTEM_THREAD_EXCEPTION_NOT_HANDLED)☆[편집]


파일:STOP:0x7E.jpg

문제가 발견되어 컴퓨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Windows가 종료됐습니다.

처리되지 않은 시스템 스레드에서 예외가 발생했습니다.

이 오류 화면을 처음 보셨다면, 컴퓨터를 다시 시작하십시오. 이 화면이 계속 나타날 경우, 다음 절차를 따르십시오:

디스크 공간이 충분한지 확인하십시오. 오류 메시지에서 드라이버가 식별되는 경우 드라이버를 비활성화하거나 제조업체에 드라이버 업데이트가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또는 비디오 어댑터를 변경해 보십시오.

기술적 정보:

*** STOP:0x0000007E (0xFFFFFFFFC0000005, 0xFFFFF88005357284, 0xFFFFF880035EE208, 0xFFFFF880035EDA60)


NVIDIA Geforce GT 520MX를 탑재한 노트북에서 윈도우 10 1607 업데이트 도중에 뜨던 블루스크린이다. 2016년 8월 당시 저 그래픽카드 드라이버에 대한 호환성이 없어서 저런 오류가 발생했던 것. 엔비디아에서 업데이트를 배포한 이후에 실시된 윈도우 10 1703 업데이트부터는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있다.


2.8.16. 0x0000007F(UNEXPECTED_KERNEL_MODE_TRAP)★[편집]


여러가지 이유로 커널이 퍼졌을때 생기는데,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하드웨어 과열이나 메모리 문제가 있다. 열기 빼주는 냉각팬 등을 점검하고, 컴이 더위 먹지 않게 신경써주자. 과열 문제가 없고 메모리 문제가 의심되는 경우에는 메모리 진단 도구를 실행해 점검해야 한다.[13]


2.9. 0x80~0x8F[편집]



2.9.1. 0x00000080(NMI_HARDWARE_FAILURE)[편집]


파일:STOP0x80 Win2000.jpg

STOP: 0x00000080

하드웨어가 작동하지 않습니다.

치명적인 시스템 하드웨어 오류

이 오류 화면을 처음 보셨다면, 컴퓨터를 다시 시작하십시오. 이 화면이 계속 나타날 경우, 다음 절차를 따르십시오:

새로운 장치가 제대로 설치됐는지 확인하십시오. 새로 설치하는 경우 윈도우 2000용 업데이트가 있는지 확인하려면 해당 장치의 제조사에 문의하십시오.

문제가 계속될 경우 새로 설치된 장치를 비활성화하거나 제거한 후, 캐싱이나 섀도잉 등의 바이오스 메모리 옵션을 비활성화하십시오.

문제 해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장치의 매뉴얼을 참조하십시오.

- Windows 2000의 BSOD


일반 오류코드에 일반적인 메세지가 뜨지만, 대단히 심각한 오류이다. 영문코드 자리에 아예 대놓고 Hardware Malfunction.(하드웨어 오작동)라는 메세지가 뜬다. 즉, 맨 아래에 있는 하드웨어 오작동 블루스크린이랑 동급이다. 한편 영문 코드의 NMI는 Non-Maskable-Interrupt의 약자다. 자폐 불가능한 인터럽트란 뜻으로, 당장 인터넷만 찾아봐도 컴퓨터가 심각한 상황에 놓여 있는걸 알 수 있다.
즉, 하드웨어에 심각한 오류가 발생해서 이 오류코드가 뜬 것이다.
이 오류가 뜬 건 컴퓨터에 중대한 문제가 생겼다는 것이니 하드웨어 전체를 점검해야 한다.


2.9.2. 0x00000081(SPIN_LOCK_INIT_FAILURE)[편집]


위에서 언급한 스핀락 매커니즘 기능의 초기화를 실패하여 해당 기능을 사용하지 못할 때 뜨는 오류다.


2.9.3. 0x00000082(DFS_FILE_SYSTEM)[편집]


분산 파일 시스템(Distributed File System)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하는 여러 호스트 컴퓨터의 파일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파일 시스템으로,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이라고고 불린다. 이 파일 시스템이 퍼졌을 때 이 오류가 발생하는데, 특성상 일반 사용자보다는 서버로 사용되는 컴퓨터에서 생길 가능성이 더 높다.

2.9.4. 0x00000083(OFS_FILE_SYSTEM)[편집]


OFS라는 NT 4.0의 구 계획인 카이로의 일부분으로 계획되다 폐기된 파일 시스템에 관련된 오류다. OFS 자체가 만들다가 포기한 물건이라 실제로 탑재된 적이 없고, 그래서 이 오류코드도 윈도우에서 볼 일이 없다.

2.9.5. 0x00000084(RECOM_DRIVER)[편집]


윈도우 공식 포럼이나 구글 검색 결과 등의 자료가 굉장히 부족한데, 그나마 있는 자료들은 드라이버나 업데이트 등 소프트웨어를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다.

여기서 RECOM은 RECOM이라는 드라이버가 아닌 Recommend Driver를 의미한다. 직역하자면 추천 드라이버인데 과거 드라이버 설치 시 (최소 95이전) 사양에 맞지 않는 드라이버를 설치하지 않으면 매우 가끔씩 발생하였다고 한다. 즉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드라이버를 설치하라는 의미. 2023년은 고사하고 20년 전에도 거의 안떴기 때문에 정보가 없는 것이 당연하다.

2.9.6. 0x00000085(SETUP_FAILURE)[편집]


말 그대로 설치를 실패할 시 뜬다.(SETUP_FAILURE=설치 실패) 해결법은 설치 과정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면 되지만, 컴퓨터 어딘가에 문제가 있을 수 있기에 설치를 성공적으로 완료한 후 컴퓨터를 전체적으로 점검하는 것이 좋다.


2.9.7. 0x00000086(AUDIT_FAILURE)[편집]


윈도우의 감사 정책 관련 오류로, 보안 로그 파일에 이벤트 기록을 실패하거나 그 밖의 보안관련 작업을 하다가 파일이 깨졌거나 다른 문제가 있을 때 이 코드를 띄운다.

2.9.8. 0x0000008B(MBR_CHECKSUM_MISMATCH)[편집]


MBR이란 부분에서 알 수 있듯 부팅시에 생길 수 있는 오류로, 부트 레코드 파일이 깨졌을 때 뜬다. 이렇게 MBR을 부술 수 있는 건 악성코드들 정도이므로, 바이러스 감염을 의심해보고 다른 컴퓨터에 중요 데이터들을 빼둔 뒤 윈도우 재설치를 하는 게 안전하다.


2.9.9. 0x0000008E(KERNEL_MODE_EXCEPTION_NOT_HANDLED)☆※[편집]


파일:0x8E.jpg

디스크 공간이 충분한지 확인하십시오. 이 메시지에서 드라이버가 확인되면 드라이버를 비활성화하거나 제거한 후 제조업체에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확인해보십시오. 문제가 계속되는 경우, 비디오 어댑터를 변경해보십시오.


영문 코드를 해석해보면 "제어되지 못한 커널 모드 예외가 발생했습니다." 라고 나온다.
이 오류코드는 매우 흔하다. 드라이버를 재설치해보거나 BIOS 업데이트가 있는지 확인해 보자.


2.9.10. 0x0000008F(PP0_INITIALIZATION_FAILED)[편집]


한글로 된 자료가 없어 정확한 원인을 알기는 어렵지만 영문 사이트들을 봤을 땐 흔한 오류도 아니고 초기화 오류의 일종이지만 다른 위치의 초기화 실패보다 심각하게 보고있다. 해당 파일의 초기화 실패의 원인을 시스템 파일의 손상으로 지목하고있기 때문인데, 시스템 파일 중에 깨진 게 있는지 점검해보고, 만약 깨진 게 있다면 데이터를 안전하게 추출한 후 윈도우를 갈아엎어야한다.

라고 알려져있으나 사실 PP0은 Plug and Play, 즉 PnP를 의미하는데 PnP 관리자를 초기화 할 수 없을 시 발생한다. 다른 위치의 초기화 실패보다 심각한 점은 당연히 USB를 꼽든 마우스를 꼽든 PnP가 작동을 안하니 사용자로서는 매우 심각한 문제이긴 하다(...) PnP 문제기때문에 부팅단계에서 해당 장치를 인식시키면 상관 없기는 하다. DISM으로 복구를 시도해볼 수 있으나 기대는 안하는 것이 좋고, 속편하게 포맷하자!

2.10. 0x90~0x9F[편집]



2.10.1. 0x00000090(PP1_INITIALIZATION_FAILED)[편집]


8F와 비슷한 시스템 파일 초기화 오류로, 대책 역시 비슷하다.

2.10.2. 0x00000091(WIN32K_INIT_OR_RIT_FAILURE)[편집]


win32k.sys는 메시지, GDI, 창을 관리하는 커널 드라이버로 이 오류코드는 win32k.sys를 로드하는데 실패했다는 의미다.

이 경우 win32k.sys가 깨져있을수도 있으므로 업데이트나 윈도우 복구 혹은 윈도우를 재설치하여 해결할 수 있다.

2.10.3. 0x00000092(UP_DRIVER_ON_MP_SYSTEM)[편집]


마이크로소프트의 공식 개발자 지원 사이트 Learn에서는 이 오류가 유니-프로세서 전용 드라이버가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에 로드됐음을 나타낸다고 서술되어있다. 즉, 드라이버와 시스템이 서로 유형이 안 맞는다는 얘기. 윈도우의 잘못이 아닌 드라이버의 잘못이다.

2.10.4. 0x00000093(INVALID_KERNEL_HANDLE)[편집]


핸들은 운영체제 내부에 있는 어떤 리소스의 주소를 정수로 치환한 값인데, 커널에 들어가있는 특정 리소스의 값이 유효하지 않을때 이 코드로 알려준다.

2.10.5. 0x00000094(KERNEL_STACK_LOCKED_AT_EXIT)[편집]


특정 프로세스를 종료할 때 커널 스택이 잠겨서 return 값을 저장하지 못할 때 뜬다.

2.10.6. 0x00000095(PNP_INTERNAL_ERROR)[편집]


플러그 앤 플레이 기능 관련 오류. 윈도우보다는 그 기능을 지원하는 외부 기기 관련 드라이버가 뻑나는 경우가 많다.

2.10.7. 0x00000096(INVALID_WORK_QUEUE_ITEM)[편집]


NULL 포인터가 포함된 큐 항목이 제거됐음을 뜻한다. 작업자 스레드 작업 항목이 오용되는 등 큐를 잘못 건드려서 날아갔을 때 뜬다.

2.10.8. 0x00000097(BOUND_IMAGE_UNSUPPORTED)[편집]


바운드는 CPU 내의 레지스터 중 하나인데, 베이스와 함께 Memory Management Unit이라는 주소 변환기를 구성한다. 이 바운드 안에 지원되지 않는 이미지가 들어가서 바운드가 일시적으로 뻑난 상황이다. 발생 사례가 거의 없어 국내외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커뮤니티나 다른 자료들 역시 거의 나오지 않는다.

2.10.9. 0x00000098(END_OF_NT_EVALUATION_PERIOD)[편집]


NT 운영체제의 평가 기간이 종료됐습니다.


개발 버전의 Windows가 사용제한시간(타임밤, Timebomb)을 넘겼을 때 시스템을 스스로 망가뜨린 후 이런 오류코드를 출력한다. 시간을 다시 돌려놓아도 쓸모가 없으며, 유일한 해결방안은 시스템 재설치 뿐이다.

2.10.10. 0x00000099(INVALID_REGION_OR_SEGMENT)[편집]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자료에서는 ExInitializeRegion 또는 ExInterlockedExtendRegion 이 잘못된 매개 변수 집합으로 호출됐음을 뜻한다고 나와있다. 흔히 사용되는 프로세스가 아니라서 일반 사용자들은 거의 접할 일이 없는 오류 코드다.

2.10.11. 0x0000009A(SYSTEM_LICENSE_VIOLATION)[편집]


파일:0x0000009A.jpg

시스템 라이선스 계약이 위반되었습니다.

소프트웨어 사용권 계약이 위반됐음을 나타낸다. 사용자가 오프라인 시스템의 제품 유형을 변경하거나 Windows 평가 단위의 평가 기간을 변경하려고 했을 때 뜨는건데, 매개변수를 가지고 어떤 소프트웨어의 어떤 문제인지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키를 불러오지 못하거나 키에 문제가 있거나, 혹은 정당하지 않은 방법으로 특정 키 값이나 정책을 변경하려는 시도가 있는지가 매개변수에 다 드러난다.

2.10.12. 0x0000009B(UDFS_FILE_SYSTEM)[편집]


사용자 정의 파일 시스템(UDFS)이라고 해서, 보조기억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는 파일 시스템인데, 이 시스템이랑 윈도우가 손발이 안 맞을 때 이 오류를 띄운다.

2.10.13. 0x0000009C(MACHINE_CHECK_EXCEPTION)[편집]


장치 검사 예외 라는 뜻. 시스템을 구성하는 하드웨어를 검사하는 과정에서 예외가 발생했다는 뜻인데 원인으로 지목될 수 있는 위치가 광범위하다. 일단 하드웨어랑 드라이버를 점검하는게 최우선이다.


2.10.14. 0x0000009E(USER_MODE_HEALTH_MONITER)[편집]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지원 페이지의 내용. 윈도우 서버 버전에서만 사용되는 클러스터 관련 문제로, 일반 사용자들이 접할 일은 없는 코드다.

2.10.15. 0x0000009F(DRIVER_POWER_STATE_FAILURE)[편집]


파일:STOP0x9F.jpg

드라이버의 전원 관리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드라이버가 잘못된 전원 상태에 있음을 뜻한다.
이 경우 문제가 되는 드라이버를 다시 설치하거나
새로 설치한 드라이버가 있으면 그 드라이버를 삭제하고 다시 설치하면 된다.
또한 최대 절전모드로 돌아가거나 일반 모드로 복귀할 경우에도 생길수 있다.

2.11. 0xA0~0xAF[편집]



2.11.1. 0x000000A0(INTERNAL_POWER_ERROR)[편집]


파일:STOP0xA0.jpg

본체 내부의 전원 장치에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파워서플라이보다는 메인보드의 CPU 소켓 주변 전원부나, 다른 포트 주변에 간간이 보이는 전원부 문제다. 그 주변에 있는 콘덴서나 정육면체 모양 안에 있는 초크 코일이 불량인 경우 등을 확인해봐야한다. 사람으로 치면 심장은 잘 뛰는데 중,말단부 혈관이 막혀 피가 안들어가는 상황과 비슷하게 보면 된다.

2.11.2. 0x000000A1(PCI_BUS_DRIVER_INTERNAL)[편집]


PCI Bus 드라이버 내부 구조에서 이상 감지

PCI와 그 후속 규격 포트의 통신을 위한 버스를 구동하는 드라이버가 꼬였거나 깨졌을 때 뜬다. 블루스크린의 주된 2대 원인인 하드웨어나 드라이버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오류로, 최신 드라이버를 구해다가 다시 깔아주면 된다.

2.11.3. 0x000000A2(MEMORY_IMAGE_CORRUPT)[편집]


메모리의 실행 파일 이미지가 손상됨

램과 관련된 파일 이미지가 망가졌음을 뜻한다. 바이오스나 드라이버를 먼저 점검해보고 소프트웨어 이상이 없으면 램 자체가 망가진 것이니 램을 바꿔 끼우면 된다. 소프트웨어 이상이라면 재설치가 가장 확실한 해결법이다.

2.11.4. 0x000000A3(ACPI_DRIVER_INTERNAL)[편집]


파일:0x000000A3(Windows vista x64).jpg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자료집에서는 ACPI 드라이버 내부 불일치를 감지한 경우 뜬다고 서술되어 있는데, 무결성이 깨졌다는 뜻이다. 이럴 때는 문제가 된 드라이버를 완전히 삭제한 후 재설치하거나 그래도 해결이 안 되는 경우 윈도우 재설치를 시도해야 할 수도 있다.

2.11.5. 0x000000A4(CNSS_FILE_SYSTEM_FILTER)[편집]


CNSS는 Committee on National Security System 이라고 해서 미국 국가안보국 산하의 국가 정보보안 시스템 위원회라고 불리는 조직인데, 여기서 마련한 표준을 따르는 파일 시스템이 있고, 거기 문제가 있을 때 뜨는 오류다. 미국 정보기관이나 거기 관련된 곳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아니면 이 파일 시스템을 다룰 일은 없으므로 이 오류코드를 볼 일도 전혀 없다.

2.11.6. 0x000000A5(ACPI_BIOS_ERROR)★[편집]


파일:0x000000A5 (Windows xp).png

문제가 발견되어 컴퓨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Windows가 종료됐습니다.

이 오류 화면을 처음 보셨다면, 컴퓨터를 다시 시작하십시오. 이 화면이 계속 나타날 경우, 다음 절차를 따르십시오:

이 시스템의 BIOS는 ACPI와 완벽히 호환되지 않습니다. 업데이트된 BIOS에 대해서는 해당 시스템 공급 업체에 문의하십시오.[14]

업데이트된 BIOS를 설치할 수 없거나, 공급 업체에서 제공한 최신 BIOS가 ACPI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BIOS 설정에서 ACPI 모드를 해제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려면 저장소 드라이버를 설치하라는 메시지가 표시될 때 F7 키를 누릅니다. 시스템은 F7 키를 눌렀음을 알리지 않으며, ACPI를 자동으로 비활성화하고 설치를 계속할 수 있습니다.

기술적 정보:

*** STOP: 0x000000A5 (0x0000003, 0x8BB4A814, 0xC0140001, 0x494E495F)


ACPIBIOS가 서로 안 맞아서 작동을 못 시킨다는 뜻. BIOS 설정 가서 ACPI를 끄거나 BIOS를 업데이트 하면 해결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드물게 BIOS가 약간 손상될 정도로 먹통이 됐다면 오류 코드 딱 한줄만 화면 가운데에 뜨기도 한다.
(예시)

*** STOP: 0x000000A5 (0x0000003, 0X8BB4A814, 0XC0140001, 0x494E495F)

하지만 바이오스 업데이트가 안될 만큼 오래된 메인보드라면 최신 부품으로 바꿔야한다. 그래서 해결 방법은 분명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해결하려면 돈이 많이 깨지는 오류중 하나인 셈이다.
여담으로 가상머신으로 윈도우 7 램을 128MB로 부팅하면 볼수있다.
완전 최신 컴퓨터에 윈도우 XP 설치를 시도할 경우에도 이 블루스크린을 볼 수 있다.

2.11.7. 0x000000A6(FP_EMULATION_ERROR)[편집]


파일 포인터 구현 오류. 파일 시스템에 원인이 있는지 확인해봐야한다.


2.11.8. 0x000000A7(BAD_EXHANDLE)[편집]


커널 모드 핸들 테이블이 일관되지 않은 핸들 테이블 입력 상태를 감지했음을 나타낸다.


2.11.9. 0x000000A8(BOOTING_IN_SAFEMODE_MINIMAL)[편집]


안전모드 부팅 문제다. 안전모드마저 제정신이 아닌 경우는 윈도우가 심각하게 깨지거나 메인보드가 망가지는 경우에 생기는 만큼 심각하긴 한데, 자주 보이는 코드는 아닌 게, 이런 문제가 생겼을 땐 다른 오류코드가 뜨던가 아예 안켜지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2.11.10. 0x000000A9(BOOTING_IN_SAFEMODE_NETWORK)[편집]


안전모드 부팅 중 네트워크 문제가 있는 경우를 뜻한다.

2.11.11. 0x000000AA(BOOTING_IN_SAFEMODE_DSREPAIR)[편집]


안전모드로 부팅 때 필요한 것들 중 수리되지 않은 게 있어서 그 부분이 퍼진 경우를 뜻한다.

2.11.12. 0x000000AB(SESSION_HAS_VALID_POOL_ON_EXIT)[편집]


특정 세션이 종료될 때 위에 서술한 풀을 반환하지 않아서 아무도 그걸 사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됐을 때 뜬다. 세션이 물귀신 같은 꼴이 된 셈.


2.11.13. 0x000000AC(HAL_MEMORY_ALLOCATION)[편집]


앞서 서술한 HAL을 메인 메모리에 할당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생기면 이 오류코드로 알려준다.

2.11.14. 0x000000AD(VIDEO_DRIVER_DEBUG_REPORT_REQUEST)[편집]


비디오 드라이버가 퍼져서 미니덤프가 생성되었음을 알려준다. 그래픽 드라이버가 퍼진 것이므로 재설치 해주면 된다.

2.12. 0xB0~0xBF[편집]



2.12.1. 0x000000B1(BGI_DETECTED_VIOLATION)[편집]


BGI는 Borland Graphic Interface, 볼랜드 그래픽 인터페이스의 약자로 그래픽 API의 일종이다. 이게 퍼졌을 때 뜨는 코드다.
보통 이런 API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프로그래머일 것이다. 프로그래머라면 자신이 이 API 활용을 어떻게 했는지 분석해봐야한다.

2.12.2. 0x000000B4(VIDEO_DRIVER_INIT_FAILURE)[편집]


영문코드 대신 The video driver failed to initialize(비디오 드라이버를 초기화하는데 실패했습니다)라고 뜬다.
메시지 자체가 대놓고 비디오 드라이버가 퍼졌다고 알려주고있다. 드라이버 재설치가 답이다.

2.12.3. 0x000000B5(BOOTLOG_LOADED)[편집]


부트로그를 비롯한 부팅에 필요한 파일 중에 깨진 게 있으면 뜬다. 하지만 이 코드보다는 다른 오류코드를 띄우는 경우가 더 많은데 일단 떴다면 윈도우가 깨졌는지 의심할 필요가 있다.

2.12.4. 0x000000B6(BOOTLOG_NOT_LOADED)[편집]


부트로그가 아예 안 뜰 때 생기는 오류다.

2.12.5. 0x000000B7(BOOTLOG_ENABLED)[편집]


부팅 기록 파일을 불러오는 과정에서 레지스트리 값이 이상한 경우 뜬다. 서드 파티 프로그램이 잘못 설치되어 레지스트리까지 잘못 볶아버렸을때 이런 오류가 뜰 수 있다.

2.12.6. 0x000000B8(ATTEMPTED_SWITCH_FROM_DPC)[편집]


DPC는 지연 프로시저 호출의 약자로, 여러 원인으로 인해 이 기능과 관련된 파일을 변질시키려는 시도가 있었을 때 뜬다. 그 원인으로는 iastor.sys 드라이버 오류, 하드웨어의 손상 또는 충돌, 바이러스 또는 맬웨어 감염, 시스템 파일의 손상 등이 지목된다. 출처


2.12.7. 0x000000B9(CHIPSET_DETECTED_ERROR)[편집]


메인보드와 연결된 각양각색의 하드웨어들을 연결하는 메인보드 칩셋이 퍼졌을 때 나오는 오류. 통신 신호가 꼬인 정도면 재부팅으로 해결 가능하지만 칩셋 자체가 망가진 경우엔 메인보드를 교체할 수밖에 없다.


2.12.8. 0x000000BA(SESSION_HAS_VALID_VIEWS_ON_EXIT)[편집]


특정 세션이 종료될 때 가상 데이터 테이블인 뷰를 사용 후 반환하거나 초기화하지 않고 함께 죽어버리면 뜬다.

2.12.9. 0x000000BB(NETWORK_BOOT_INITIALIZATION_FAILED)[편집]


네트워크를 통해 부팅할 때 해당 기능 관련 드라이버나 소프트웨어의 초기화가 실패하면 뜬다.

2.12.10. 0x000000BC(NETWORK_BOOT_DUPLICATE_ADDRESS)[편집]


네트워크 부팅에 필요한 신호를 주고받는 주소가 중복되어 트래픽이 충돌하면 뜬다.


2.12.11. 0x000000BD(INVALID_HIBERNATED_STATE)[편집]


이는 최대 절전 모드 메모리 이미지가 현재 하드웨어 구성과 일치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이 버그 체크는 시스템이 최대 절전 모드에서 재개되고 시스템이 최대 절전 모드에 있는 동안 하드웨어가 변경되었음을 발견할 때 발생한다.


2.12.12. 0x000000BE(ATTEMPTED_WRITE_TO_READONLY_MEMORY)[편집]


영문코드 대신 An attempt was made to write to read-only memory.(읽기전용으로 지정된 메모리에 쓰기를 시도했습니다.)라고 뜬다.

메모리의 접촉불량, 오버클럭 실패 등과 같은 문제나 드라이버의 문제 등을 원인으로 꼽을 수 있다.


2.12.13. 0x000000BF(MUTEX_ALREADY_OWNED)[편집]


특정 쓰레드에 필요한 뮤텍스를 이미 쓰레드가 가지고있으면서 또 요구할 때 생기는 문제로, 그 쓰레드를 만든 프로그램의 코드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 프로그램 개발자가 손을 대야 할 문제다.

2.13. 0xC0~0xCF[편집]



2.13.1. 0x000000C0(PCI_CONFIT_SPACE_ACCESS_FAILURE)[편집]


PCI 구성 설정 파일에 접근해야하는데 그 동작에 실패했다는 뜻이다. 설정 파일이 깨지거나 권한이 잘못 설정되었는지 점검해야한다.


2.13.2. 0x000000C1(SPECIAL_POOL_DETECTED_MEMORY_CORRUPTION)[편집]


장치 드라이버가 허가되지 않은 메모리 공간에 데이터 쓰기를 시도하는 경우 생기는 오류. 건드리지 말아야 할 부분을 건드렸다가 시스템 전체가 먹통이 된 것으로, 당연히 치명적인 오류에 속한다. 해결법은 윈도우 재설치 뿐이다.


2.13.3. 0x000000C2(BAD_POOL_CALLER)[편집]


파일:0xc2_bsod.png

풀을 발신한 프로세스에 문제가 있습니다.


풀을 사용하기 위해 호출한 프로세스에 이상이 있거나 그 프로세스가 호출하는 방식이 잘못됐음을 뜻한다. 이것도 메모리 상에서의 드라이버 충돌이기는 한데, 이 드라이버가 메모리 조작을 잘못했거나 안티바이러스 소프트웨어와 충돌하면 뜨는 오류로, 결국 또 서드 파티 드라이버나 하드웨어가 퍼져서 생기는 거다.


2.13.4. 0x000000C3(BUGCODE_PSS_MESSAGE_SIGNATURE)[편집]


여기서 언급된 PSS는 윈도우NT 계열에서 쓰는 웹 파일 형식 중 하나인데, 그 파일에 버그가 있다는 뜻이다. 일반 사용자들이 자주 쓰는 파일은 아니라서 자주 볼 오류는 아니다.


2.13.5. 0x000000C4(DRIVER_VERIFIER_DETECTED_VIOLATION)[편집]


파일:STOP0xC4.jpg

장치 드라이버가 시스템을 손상시키려는 시도를 발견했습니다. 현재 커널 스택에 있는 문제의 드라이버를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버전으로 대체해야 합니다.[15]

영문코드 대신 이러한 메세지가 추가로 뜬다. 드물게 오류코드 한줄만 가운데에 뜨기도 한다.

윈도우의 드라이버 중 일부가 악성코드에 감염되거나 결함이 있는 것을 설치했을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바이러스 검사를 통해 문제의 드라이버를 제거한 후 다시 설치해야 한다.

윈도우 7이 깔린 일부 컴퓨터에서 KB4056894 업데이트 설치 후 이 오류코드가 표시된 블루스크린이 뜨기도 했다.


2.13.6. 0x000000C5(DRIVER_CORRUPTED_EXPOOL)★[편집]


파일:STOP0xC5.jpg
파일:BSOD_0xC5.png
이 오류코드가 표시된 블루스크린은 컴퓨터 화면에 전부 표시할 수 없을 정도로 매우 길다. 이게 표준 메세지 에 붙어 있어 아예 오류 메시지가 잘려 나온다.

드라이버가 충돌했습니다.

새로운 장치가 제대로 설치됐는지 확인하십시오. 새로 설치한 경우, 필요한 윈도우 업데이트가 있는지 확인한 후 해당 장치의 제조사에 문의하십시오.

새로운 드라이버를 찾으려면 드라이버 확인 프로그램을 실행하십시오. 만약 손상된 드라이버가 발견되지 않는다면, special pool을 사용해보십시오.

문제가 계속되면, 새로 설치된 장치를 비활성화 또는 제거하거나, 캐싱이나 섀도잉 등의 바이오스 메모리 옵션을 비활성화하십시오. 장치를 비활성화하거나 제거하려는데 안전 모드 환경에서만 동작이 보장될 경우, 컴퓨터를 수동으로 다시 시작하여 F8 키를 눌러 고급 시작 옵션을 선택한 후, 안전 모드를 선택하십시오.


새로 설치한 드라이버와 기존에 설치된 드라이버가 정면으로 충돌하거나 제대로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재부팅하면 발생할 수 있다. 안전 모드를 이용해서 문제가 된 드라이버를 삭제해야 하는 작업이 필수적이다.

2.13.7. 0x000000C6(DRIVER_CAUGHT_MODIFYING_FREED_POOL)[편집]


드라이버가 해체된 메모리에 풀 엑세스하려고 했음을 나타낸다.

2.13.8. 0x000000C7(TIMER_OR_DPC_INVALID)[편집]


커널 타이머 또는 DPC에 허용되지 않은 메모리 어딘가에서 발견된 경우를 뜻한다.

2.13.9. 0x000000C8(IRQL_UNEXPECTED_VALUE)[편집]


프로세서의 IRQL이 현재의 IRQL과 다르다는 것을 나타낸다.


2.13.10. 0x000000C9(DRIVER_VERIFIER_IOMANAGER_VIOLATION)[편집]


모든 Driver Verifier I/O 확인 위반에 대한 코드다.

2.13.11. 0x000000CA(PNP_DETECTED_FATAL_ERROR)[편집]


PnP, 즉 플러그 앤 플레이(Plug and Play)장치 또는 드라이버에 결함이 있기 때문에 발생한다.

2.13.12. 0x000000CB(DRIVER_LEFT_LOCKED_PAGES_IN_PROCESS)[편집]


이는 드라이버 또는 I/O 관리자가 I/O 작업 후 잠긴 페이지를 해제하지 못했음을 나타낸다.


2.13.13. 0x000000CC(PAGE_FAULT_IN_FREED_SPECIAL_POOL)[편집]


시스템이 해체된 메모리를 참조했을때 나타난다.

2.13.14. 0x000000CD(PAGE_FAULT_BEYOND_END_OF_ALLOCATION)[편집]


시스템에서 일부 드라이버의 풀 할당이 끝난 후 메모리에 액세스했음을 뜻한다.


2.13.15. 0x000000CE(DRIVER_UNLOADED_WITHOUT_CANCELLING_PENDING_OPERATIONS)[편집]


파일:0xce.jpg
드라이버가 대기 중인 작업들(DPC, 작업자 스레드 등)을 취소하지 않고 언로드됐거나, 취소에 실패했을 때 발생하는 오류이다.


2.13.16. 0x000000CF(TERMINAL_SERVER_DRIVER_MADE_INCORRECT_MEMORY_REFERENCE)[편집]


드라이버가 터미널 서버로 잘못 포팅되었음을 나타낸다.


2.14. 0xD0~0xDF[편집]


대부분 드라이버 관련 문제로 발생하는 코드들이다.


2.14.1. 0x000000D0(DRIVER_CORRUPTED_MMPOOL)[편집]


유효 기간이 지난 등의 이유로 손상된 드라이버가 일으키는 문제다. 오래된 드라이버가 있다면 최신 버전의 드라이버로 재설치해주자.

2.14.2. 0x000000D1(DRIVER_IRQL_NOT_LESS_OR_EQUAL)※[편집]


파일:0xD1.jpg
0x0A 코드와는 비슷하지만 다르게 드라이버가 문제가 되는 경우로, 멀쩡하던 윈도우 파일이 원인이 되는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는 흔한 오류다. 드라이버를 참조한 메모리랑 관련된 오류이다. 문제는 동일한 환경에서도 발생을 할 때도 있고 안할 때도 있는 등 예측 불가능하게 발생한다는 점이다.[16] 또한, 윈도우 11에서는 레드스크린으로도 띄우는 경우가 있다.


2.14.3. 0x000000D2(BUGCODE_ID_DRIVER)[편집]


NDIS 드라이버의 문제다.


2.14.4. 0x000000D3(DRIVER_PORTION_MUST_BE_NONPAGED)[편집]


시스템이 너무 높은 IRQL 프로세스에서 페이징 가능한 메모리에 액세스하려고 시도했음을 나타낸다.


2.14.5. 0x000000D4(SYSTEM_SCAN_AT_RAISED_IRQL_CAUGHT_IMPROPER_DRIVER_UNLOAD)[편집]


이는 드라이버가 언로드 전에 보류 중인 작업을 취소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2.14.6. 0x000000D5(DRIVER_PAGE_FAULT_IN_FREED_SPECIAL_POOL)[편집]


드라이버가 이전에 해제된 메모리를 참조했을 때 뜬다. 쉽게 말해 뒷북쳤단 뜻.

2.14.7. 0x000000D6(DRIVER_PAGE_FAULT_BEYOND_END_OF_ALLOCATION)[편집]


이는 드라이버가 풀 할당이 끝난 후 메모리에 액세스했음을 나타낸다.

2.14.8. 0x000000D7(DRIVER_UNMAPPING_INVALID_VIEW)[편집]


드라이버가 매핑되지 않은 주소의 매핑을 해제하려고 시도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2.14.9. 0x000000D8(DRIVER_USED_EXCESSIVE_PTES)[편집]


더 이상 시스템 페이지 테이블 항목(PTE)이 남아 있지 않음을 나타낸다.


2.14.10. 0x000000D9(LOCKED_PAGES_TRACKER_CORRUPTION)[편집]


잠긴 내부 페이지 추적 구조가 손상됐음을 나타낸다.


2.14.11. 0x000000DA(SYSTEM_PTE_MISUSE)[편집]


시스템 페이지를 동적으로 매핑하는데 쓰는 가상 주소가 모여있는 페이지 테이블 항목이 부적절한 방식으로 사용됐음을 나타낸다. 윈도우 안에서 그런 일이 일어나는 경우는 많지 않고 외부 드라이버들이 잘못 건드리는 경우가 많다.

2.14.12. 0x000000DB(DRIVER_CORRUPTED_SYSPTES)[편집]


시스템 PTE 손상으로 인해 유효하지 않은 IRQL에서 메모리를 접촉하려는 시도가 있었음을 나타낸다.


2.14.13. 0x000000DC(DRIVER_INVALID_STACK_ACCESS)[편집]


드라이버가 스택 스레드의 스택 포인터 아래에 있는 스택 주소에 액세스했음을 나타낸다.

2.14.14. 0x000000DE(POOL_CORRUPTION_IN_FILE_AREA)[편집]


풀이 특정 파일이 사용하고있는 와중에 망가졌을때 이게 뜬다.

2.14.15. 0x000000DF(IMPERSONATING_WORKER_THREAD)[편집]


작업 항목이 완료되기 전에 가장을 비활성화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2.15. 0xE0~0xEF[편집]



2.15.1. 0x000000E0(ACPI_BIOS_FATAL_ERROR)★[편집]


파일:Windows XP Professional-2023-05-18-16-49-46.png

ACPI 바이오스 시스템에서 심각한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컴퓨터에서 바이오스 시스템의 구성 요소에 결함이 있어 Windows가 작동하지 않는다고 보고했습니다.

컴퓨터와 함께 제공된 진단용 디스켓이나 도구를 실행하여 어떤 구성 요소에 결함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해당 도구가 없으면 시스템 공급업체에 연락하여 이 오류 메시지를 보고해야 합니다.

해당 공급업체는 해당 하드웨어 문제를 수정하여 Windows가 작동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대놓고 바이오스 오류임을 드러내고 있다. 메인보드 바이오스의 문제인 만큼 메인보드 초기화나 바이오스 업데이트 등 윈도우가 아닌 메인보드에 초점을 두고 해결법을 찾아보는 게 좋다.

2.15.2. 0x000000E1(WORKER_THREAD_RETURNED_AT_BAD_IRQL)[편집]


인터럽트 요청 레벨의 문제로 작업자 쓰레드가 반환됐다고 뜨는데, 비정상적인 반환인 즉, 퍼진 거다. 영문 코드 해석을 해봤을 때 0x0A와 비슷한 방향으로 접근해보는게 좋다.


2.15.3. 0x000000E2(MANUALLY_INITIATED_CRASH)[편집]


파일:20230923_125401.jpg

최종 사용자가 크래시 덤프를 수동으로 생성했습니다.

키보드, 디버깅 등으로 띄울 수 있는 오류 코드이다. 유사품으로 0xDEADDEAD가 있다.


2.15.4. 0x000000E3(RESOURCE_NOT_OWNED)[편집]


파일:0xE3 (Windows xp).jpg

스레드가 소유하지 않은 리소스를 릴리스하려고 했습니다.

주로 NTFS 파일시스템 드라이버의 잘못된 동작으로 인한 오류다. 최신 버전의 서비스팩을 설치하면 없어진다.


2.15.5. 0x000000E4(WORKER_INVALID)[편집]


특정 메모리에 들어가야하지 말아야 할 유형의 값이 잘못 들어갔을 때 뜬다. 주로 개발자들이 보게 될 코드다.

2.15.6. 0x000000E5(POWER_FAILURE_SIMULATE)[편집]


전원 부족을 가장한 상황에 관련된 코드. 일반적으로 보기는 힘든데, 실제로 파워가 모자라면 처음부터 부팅하기도 전에 컴퓨터가 지 혼자 꺼져버린다.

2.15.7. 0x000000E6(DRIVER_VERIFIER_DMA_VIOLATION)[편집]


DMA는 Direct Memory Access의 약자로 CPU를 대신하여 I/O장치와 Memory사이의 데이터전송을 담당하는 장치를 뜻하는데, DMA 보호 기능이 켜진 상태에서 외부 섀시에 설치된 레거시 PCI(주변 장치 구성 요소 상호 연결) 디바이스나 관련 드라이가 직접 메모리 액세스를 시도할 때 이런 코드가 뜰 수 있다. BIOS에서 커널 DMA 보호를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하여 해결할 수 있다.

2.15.8. 0x000000E7(INVALID_FLOATING_POINT_STATE)[편집]


스레드의 저장된 부동 소수점 상태가 유효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2.15.9. 0x000000E8(INVALID_CANCEL_OF_FILE_OPEN)[편집]


IOCancelFileOpen에 전달된 파일 개체가 잘못됐습니다.

1을 참조해야 합니다.

IOCancelFileOpen을 호출한 드라이버에 오류가 있습니다.



2.15.10. 0x000000E9(ACTIVE_EX_WORKER_THREAD_TERMINATION)[편집]


작업자 스레드가 작업자 스레드 런다운 코드를 거치지 않고 종료됐습니다.

EX 작업자 대기열에 대기 중인 작업 항목은 스레드를 종료해서는 안 됩니다.

스택 추적이 범인을 나타내야 합니다.



2.15.11. 0x000000EA(THREAD_STUCK_IN_DEVICE_DRIVER)★[편집]


장치 드라이버의 스레드 작업이 예기치 않게 종료됐습니다.

장치 드라이버가 무한 루프에 빠졌습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장치에 문제가 있거나 하드웨어를 잘못 프로그래밍하는 장치 드라이버에 문제가 있음을 나타냅니다.

하드웨어 장치 공급 업체에 드라이버 업데이트가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2.15.12. 0x000000EB(DIRTY_MAPPED_PAGES_CONGESTION)★[편집]


가상 메모리 페이지 중 쓰레기 값이 가득하여 타 프로세스에게도 영향을 줄 수 있는 페이지가 있음을 알려준다. 저장장치 및 그 외의 드라이버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인데 해당 드라이버를 삭제 혹은 업데이트를 실행해야 한다.


2.15.13. 0x000000EC(SESSION_HAS_VALID_SPECIAL_POOL_ON_EXIT)[편집]


세션 드라이버가 여전히 메모리를 보유하고 있는 동안 세션 언로드가 발생했음을 나타낸다.


2.15.14. 0x000000ED(UNMOUNTABLE_BOOT_VOLUME)[편집]


파일:0xED (Windows Vista).jpg
파티션이 날라가서 생길수도 있으나 대부분 하드디스크의 불량으로 생기는 오류코드다.


2.15.15. 0x000000EF(CRITICAL_PROCESS_DIED)⑧[편집]


시스템에 중요한 프로세스 또는 스레드가 갑자기 종료된 경우 뜨는 블루스크린이다. Windows API
NtSetInformationProcess
함수를 쓰면 프로세스를 시스템 프로세스로 지정할 수 있다. 블루스크린을 띄우는 방법 중 하나인 csrss.exe 종료나 svchost.exe 종료 등의 시스템 프로세스 종료는 이런 프로세스들이 시스템 프로세스로 지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만 시스템 프로세스로 지정하기 위해서는 관리자 권한이 필요하고 디버깅 권한인 SeDebugPrivilege를 부여해야 한다. 반대로 말하면 그만큼 중요한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이 퍼졌다는 건 윈도우를 셧다운해야할 정도로 상황이 심각하다는 뜻이다.

다만 WinDbg와 연결되어 있다면 바로 블루스크린을 발생시키지 않고 콘솔에서 break하거나 윈도우를 계속 실행할거냐는 메시지가 나온다. 윈도우를 계속 실행하겠다고 선택하면 블루스크린이 발생하지 않는다.

2.16. 0xF0~0xFF[편집]


이 문단에서의 오류 코드는 Windows 디버그 코드가 대부분 원인이며, 이런 경우 평상시에는 볼 수 없다.[17]

2.16.1. 0x000000F0(STORAGE_MINIPOTT_ERROR)[편집]




2.16.2. 0x000000F1(SCSI_VERIFIER_DETECTED_VIOLATION)[편집]


SCSI 인터페이스를 검증하는 프로그램이 뭔가 이상한 점을 감지했을때 띄우는 오류. 인터페이스가 손상됐을 가능성이 높다.
현재는 이 인터페이스가 사장되어 거의 볼 일 없는 코드.

2.16.3. 0x000000F2(HARDWARE_INTERRUPT_STORM)[편집]


하드웨어 인터럽트끼리 충돌했을 때 뜬다. 여러 하드웨어를 통해 입력이 동시에 들어오니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것.
같은 IRQ를 쓰는 장치를 삭제하며 원인이 된 하드웨어가 무엇인지 파악하는 게 급선무다.

2.16.4. 0x000000F3(DISORDERLY_SHUTDOWN)[편집]


직역하면 "무질서하게 종료됨". 줄여서 개판이라는 뜻인데, 메모리가 부족하여 온갖 프로세스들이 몰리면서 병목현상이 생긴 게 주요 원인이다. 이 특징에서 알 수 있듯 메모리를 넉넉하게 설치하여 예방할 수 있다.

2.16.5. 0x000000F4(CRITICAL_OBJECT_TERMINATION)[편집]


파일:Windows 7-2014-06-24-23-23-22.png

시스템의 필수 개체가 예기치 않게 종료됐습니다.

영문코드 대신 "A process or thread crucial to system operation has unexpectedly exited or been terminated." (시스템 필수 프로세스 또는 스레드가 예기치 않게 종료됐습니다.)로 나온다. 윈도우 구동에 필요한 필수적인 시스템 파일 등을 강제 종료하면 나오는 문제로, 반대로 말하면 이들이 퍼질 경우 윈도우에서 아무것도 할 수 없음을 뜻한다.


2.16.6. 0x000000F5(FLTMGR_FILE_SYSTEM)[편집]


FLTMGR는 필터 매니저의 약자로, 파일 시스템 필터 드라이버에 일반적으로 필요한 기능을 구현하고 노출하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이게 퍼져서 생기는 오류다.

2.16.7. 0x000000F6(PCI_VERIFIER_DETECTED_VIOLATION)[편집]


PCI 슬롯으로 연결된 장치가 직접 메모리에 접근할 때 생기는건데, 메모리라는 자원도 한정되어있고 그래서 스케줄링 테이블에 연동될 수밖에 없다. 이런 가운데서 PCI 장치가 무작정 트래픽을 들이미는 행위를 한 것인데, 새치기를 시전하려다가 막혔다고 보면 된다.

2.16.8. 0x000000F7(DRIVER_OVERRAN_STACK_BUFFER)[편집]


파일:STOP0xF7.jpg

드라이버가 스택 기반 버퍼를 오버런했습니다. 이 오버런으로 인해 악의적인 사용자가 이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 감염이나 시스템 오류로 인한 오류코드로, 단순 재부팅으로 해결되나 지속되는 경우 전체적인 점검을 해야 한다.


2.16.9. 0x000000F8(RAMDISK_BOOT_INITIALIZATION_FAILED)[편집]


파일:스크린샷 2023-06-24 080359.png

RAM 디스크에서 부팅하는 동안 초기화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2.16.10. 0x000000F9(DRIVER_RETURNED_STATUS_REPARSE_FOR_VOLUME_OPEN)[편집]


드라이버가 후행 이름 없이 IRP_MJ_CREATE 요청에 STATUS_REPARSE를 반환했음을 나타낸다.

2.16.11. 0x000000FA(HTTP_DRIVER_CORRUPTED)[편집]


HTTP도 해당 프로토콜을 사용하기 위한 드라이버 역할을 하는 시스템 파일이 있어야 브라우저를 통해 작동시킬 수 있는데, 이 시스템 파일이 망가졌음을 알려준다. 시스템 파일인 만큼 윈도우 복구 혹은 재설치를 해야 해결할 수 있다.

2.16.12. 0x000000FB(RECURSIVE_MACHINE_CHECK)[편집]



2.16.13. 0x000000FC(ATTEMPTED_EXECUTE_OF_NOEXECUTE_MEMORY)[편집]


드라이버 손상, 소프트웨어 충돌 등 불특정 다수의 원인으로 일어나지만 재부팅으로 해결된다.


2.16.14. 0x000000FD(DIRTY_NOWRITE_PAGES_CONGESTION)[편집]


기본 시스템 작업을 계속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여유 페이지가 없음을 나타낸다.

2.16.15. 0x000000FE(BUGCODE_USB_DRIVER)[편집]


이 경우는 USB 드라이버 오류이다.


2.16.16. 0x000000FF(RESERVE_QUEUE_OVERFLOW)[편집]


예약 대기열에 새 항목을 삽입하려고 시도하여 대기열이 오버플로되었음을 나타낸다.

2.17. 0x100~0x10F[편집]



2.17.1. 0x00000100(LOADER_BLOCK_MISMATCH)[편집]


로더 블록이 유효하지 않거나 로드 중인 시스템과 일치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2.17.2. 0x00000101(CLOCK_WATCHDOG_TIMEOUT)[편집]


파일:STOP0x101.jpg

할당된 시간 내에 보조 프로세서의 클락 인터럽트가 제대로 수신되지 않았습니다.

CPU가 인터럽트를 처리하지 않을 때 발생하는 오류이다. CPU에 인가되는 전압이 부족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오버클럭을 했다면 안정화에 실패한 것이고 하지 않았다면 컴퓨터 전력공급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CPU가 불량일 경우에도 뜰 수 있다.


2.17.3. 0x00000102(DPC_WATCHDOG_TIMEOUT)[편집]


DPC watchdog의 루틴이 할당 된 시간 간격 내에 실행되지 않음을 뜻한다.

2.17.4. 0x00000103(MUP_FILE_SYSTEM)[편집]


다중 UNC 공급자(MUP)에서 유효하지 않거나 예상치 못한 데이터가 발생했음을 나타냅니다. 결과적으로 MUP는 원격 파일 시스템 요청을 UNC(Universal Naming Convention) 공급자인 네트워크 리디렉터로 보낼 수 없음을 나타낸다.

2.17.5. 0x00000104(AGP_INVALID_ACCESS)[편집]


GPU가 이전에 커밋되지 않은 다양한 AGP(Accelerated Graphics Port) 메모리에 썼다는 것을 나타낸다.

2.17.6. 0x00000105(AGP_GART_CORRUPTION)[편집]


GART(Graphics Aperture Remapping Table)가 손상되었음을 나타낸다.

2.17.7. 0x00000106(AGP_ILLEGALLY_REPROGRAMMED)[편집]


AGP(Accelerated Graphics Port) 하드웨어가 승인되지 않은 에이전트에 의해 다시 프로그래밍되었음을 나타낸다.

2.17.8. 0x00000107(KERNEL_EXPAND_STACK_ACTIVE)[편집]


확장된 커널 상의 스택을 활성화 하지 못했을 때 뜬다. 스택이 퍼졌을 가능성이 높다.

2.17.9. 0x00000108(THIRD_PARTY_FILE_SYSTEM_FAILURE)[편집]


타사 파일 시스템이나 파일 시스템 필터에 복구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했음을 나타낸다.

2.17.10. 0x00000109(CRITICAL_STRUCTURE_CORRUPTION)[편집]


시스템 코드 또는 중요한 데이터 구조의 수정이 감지됐습니다.

어떠한 이유로 커널의 중요한 코드나 데이터가 변조됐을 때 윈도우는 시스템 보호를 위해 발생시키는 블루스크린이다.

64비트 윈도우에서는 커널 패치 보호(KPP, Kernel Patch Protection)가 존재한다. 비공식적으로는 패치가드(PatchGuard)라고 부르며, 커널을 감시한다. KKP가 감시하는 부분은 다음과 같다.
  • SSDT(시스템 서비스 서술자 테이블)
  • IDT(인터럽트 서술자 테이블)
  • GDT(전역 서술자 테이블)
  • 커널 자신 및 커널 내부에서만 사용하는 객체
이 중에서 하나라도 수정된 것이 확인되면 즉시 블루스크린을 일으킨다.

2.17.11. 0x0000010A(APP_TAGGING_INITIALIZATION_FAILED)[편집]


앱 태그 초기화 실패. 대놓고 응용프로그램 문제라고 띄우고 있다. 최근에 설치한 응용프로그램들을 점검하고 재설치하는게 답이다.


2.17.12. 0x0000010B(DFSC_FILE_SYSTEM)[편집]


분산 파일 시스템의 네임스페이스와 관련된 문제다.


2.17.13. 0x0000010C(FSRTL_EXTRA_CREATE_PARAMETER_VIOLATION)[편집]


FsRtl(파일 시스템 런타임 라이브러리) ECP(추가 생성 매개 변수) 패키지에서 위반이 감지되었음을 나타낸다.

2.17.14. 0x0000010D(WDF_VIOLATION)[편집]



다크 소울 2 플레이 도중 블루스크린이 뜬 영상.[18] 블루스크린의 오류코드가 아래와 같다.
영문코드 대신 The windows Driver Framework has detected that a violation has occurred. (Windows 드라이버 프레임워크에서 위반이 발생했음을 탐지했습니다.)라고 뜬다.

2.17.15. 0x0000010E(VIDEO_MEMORY_MANAGEMENT_INTERNAL)[편집]


비디오 메모리 관리자에 예기치 못한 치명적인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컴퓨터 사용 도중 그래픽카드 메모리에 여유 공간이 부족해져 발생하는 오류로, 주로 게임을 한두개 정도 돌리는 게 아니라 5개 이상 돌리는 경우 비슷한 메모리 부족 오류와 함께 발생할 수 있다. 그냥 게임은 한번에 하나씩만 즐기자.


2.17.16. 0x0000010F(RESOURCE_MANAGER_EXCEPTION_NOT_HANDLED)[편집]


커널 모드 자원 관리자가 직접 콜백에 대한 응답으로 예외를 발생시켰음을 커널 트랜잭션 관리자가 감지했음을 나타냅니다. 리소스 관리자가 예상치 못한 복구 불가능한 상태에 있음을 나타낸다.

2.18. 0x110~0x11F[편집]



2.18.1. 0x00000110(DRIVER_INVALID_CRUNTIME_PARAMETER)[편집]


드라이버에 유효하지 않은 클라이언트 런타임 파라미터가 있다는 뜻.
클라이언트 상의 스케줄링 관련 변수 중 꼬인 게 있어서 스케줄러가 퍼진 경우 뜬다.


2.18.2. 0x00000111(RECURSIVE_NMI)[편집]


이전 NMI가 진행되는 동안 NMI(Non-Maskable-Interrupt)가 발생했음을 나타낸다.

2.18.3. 0x00000112(MSRPC_STATE_VIOLATION)[편집]


Msrpc.sys 드라이버가 버그 검사를 시작했음을 나타낸다.

2.18.4. 0x00000113(VIDEO_DXGKRNL_FATAL_ERROR)[편집]


DirectX 그래픽 커널 하위 시스템이 위반을 감지했음을 나타낸다.

2.18.5. 0x00000114(VIDEO_SHADOW_DRIVER_FATAL_ERROR)[편집]


섀도우 드라이버가 위반을 감지했음을 나타낸다.

2.18.6. 0x00000115(AGP_INTETNAL)[편집]


AGP(ACCELERATED GRAPHICS PORT) 드라이버가 위반을 감지했음을 나타냅니다.

2.18.7. 0x00000116(VIDEO_TDR_FAILURE)[편집]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재설정을 시도하고 시간 초과에서 복구하지 못했습니다.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나 그래픽카드 고장으로 인해 발생한다. 특히 이 블루스크린이 뜰때 화면이 깨져서 나오는 경우 100% 그래픽 카드 고장으로, 그래픽 카드를 새 것으로 교체해야만 해결된다.


2.18.8. 0x00000117(VIDEO_TDR_TIMEOUT_DETECTED)[편집]


디스플레이 드라이버가 제한 시간 안에 응답하지 못했음을 나타낸다.

2.18.9. 0x00000118(NTHV_GUEST_ERROR)[편집]




2.18.10. 0x00000119(VIDEO_SCHEDULER_INTERNAL_ERROR)[편집]


비디오 스케줄러 내부 오류


간혹 비디오 카드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또는 말 그대로 그래픽(또는 비디오) 카드의 작동이 중단됐을 때 뜬다.


2.18.11. 0x0000011A(EM_INITIALIZATION_FAILURE)[편집]




2.18.12. 0x0000011B(DRIVER_RETURNED_HOLDING_CANCEL_LOCK)[편집]




2.18.13. 0x0000011C(ATTEMPTED_WRITE_TO_CM_PROTECTED_STORAGE)[편집]




2.18.14. 0x0000011D(EVENT_TRACING_FATAL_ERROR)[편집]




2.18.15. 0x0000011E(TOO_MANY_RECURSIVE_FAULTS)[편집]




2.18.16. 0x0000011F(INVALID_DRIVER_HANDLE)[편집]




2.19. 0x120~0x12F[편집]



2.19.1. 0x00000120(BITLOCKER_FATAL_ERROR)[편집]




2.19.2. 0x00000121(DRIVER_VIOLATION)[편집]




2.19.3. 0x00000122(WHEA_INTERNAL_ERROR)[편집]




2.19.4. 0x00000123(CRYPTO_SELF_TEST_FAILURE)[편집]




2.19.5. 0x00000124(WHEA_UNCORRECTABLE_ERROR)[편집]


파일:0x124.png

시스템에서 복구할 수 없는 하드웨어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CPU 오버클럭을 시도했을 때 실패했다면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CPU 오버클러커들에겐 친근한 오류코드다. 만약 이 오류코드가 CPU 오버클럭을 하지 않았음에도 뜨고 CPU 과열이나 SSD 등 저장 장치가 망가진 것도 아니라면 메인보드가 불량일 가능성이 있다. 또는 CPU 불량일 수 도있다. 다만 멜트다운 패치가 적용된 Windows가 MBR 디스크 위에 설치되어있는 경우라면, 모든 데이터를 백업한 뒤 Windows PE 등을 이용해 Windows가 설치된 디스크의 볼륨을 전부 지워주고 CONVERT 명령어를 이용해 GPT로 바꾼 후 다시 설치해주면 더 이상 해당 오류가 뜨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2.19.6. 0x00000125(NMR_INVALID_STATE)[편집]




2.19.7. 0x00000126(NETIO_INVALID_POOL_CALLER)[편집]




2.19.8. 0x00000127(PAGE_NOT_ZERO)[편집]




2.19.9. 0x00000128(WORKER_THREAD_RETURNED_WITH_BAD_IO_PRIORITY)[편집]




2.19.10. 0x00000129(WORKER_THREAD_RETURNED_WITH_BAD_PAGING_IO_PRIORITY)[편집]




2.19.11. 0x0000012A(MUI_NO_VALID_SYSTEM_LANGUAGE)[편집]




2.19.12. 0x0000012B(FAULTY_HARDWARE_CORRUPTED_PAGE)[편집]




2.19.13. 0x0000012C(EXFAT_FILE_SYSTEM)[편집]


exFAT 파일 시스템 오류. 다른 파일 시스템 오류와 같이 대처하면 된다.

2.19.14. 0x0000012D(VOLSNAP_OVERLAPPED_TABLE_ACCESS)[편집]




2.19.15. 0x0000012E(INVALID_MDL_RANGE)[편집]




2.19.16. 0x0000012F(VHD_BOOT_INITIALIZATION_FAILED)[편집]




2.20. 0x130~0x13F[편집]



2.20.1. 0x00000130(DYNAMIC_ADD_PROCESSOR_MISMATCH)[편집]




2.20.2. 0x00000131(INVALID_EXTENDED_PROCESSOR_STATE)[편집]




2.20.3. 0x00000132(RESOURCE_OWNER_POINTER_INVALID)[편집]




2.20.4. 0x00000133(DPC_WATCHDOG_VIOLATION)[편집]


파일:DWV.jpg
Watchdog은 특정시간마다 프로세스를 감시하여 이것들이 잘 돌아가고 있는지 점검하는 기능인데, 이 중에서도 DPC를 감시하는 쪽에서 문제가 생긴 경우 이걸 띄워서 알린다. 원인으로는 장치 관리자의 충돌이 많이 지목된다. 결국 또 드라이버가 사고 친 거다.

2.20.5. 0x00000134(DRIVE_EXTENDER)[편집]




2.20.6. 0x00000135(REGISTRY_FILTER_DRIVER_EXCEPTION) [편집]


응용 프로그램을 제대로 시작하지 못했습니다. 응용 프로그램을 닫으려면 확인을 클릭하십시오.


밑에 쓰여진 c0000135 오류코드와 비슷한 오류지만 상대적으로 치명적이지는 않다. 시스템 복원 혹은 마지막으로 성공한 구성(Windows 8 미만의 구형 OS만 가능)을 시도해볼 필요가 있으며 이마저도 안될 경우 A/S 혹은 윈도우 재설치를 진행해야 한다.


2.20.7. 0x00000136(VHD_BOOT_HOST_VOLUME_NOT_ENOUGH_SPACE)[편집]


파일:4044515884_203851e00d_z.jpg

문제가 발견되어 컴퓨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Windows가 종료됐습니다.

VHD 부팅 호스트용 볼륨 공간이 충분하지 않습니다.

VHD에서 부팅을 시도하는 동안 초기화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VHD를 호스팅하는 볼륨에 VHD를 확장하기 위한 충분한 여유 공간이 없습니다.


우선, VHD의 개념에 대해 간단하게나마 알아볼 필요가 있다.[19]

VHD란, Virtual Hard Disk. 직역하면 가상 하드디스크로 쉽게 말해 저장장치의 일부를 하나의 파일로 변환하여 저용량 저장장치를 즉석에서 만든 것을 뜻한다. 이 때문에 VHD는 매우 긴 설치 시간을 들이지 않고도 바로 OS를 깔아서 사용할 수 있다. VHD를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출처

1. 제어판 혹은 작업 표시줄의 검색 아이콘으로 '컴퓨터 관리' 검색

2. 디스크 관리에서 동작 탭을 누른 후 VHD 만들기 실행

3.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저장장치의 여유공간을 확인한 후 알맞는 용량으로 설정[20]

4. 새로 추가된 디스크 1에 우클릭하여 파티션을 나눈 후 디스크 초기화 실행[21]

5. 이후 자신이 원하는 OS를 설치하면 끝난다.

VHD에 할당된 여유 공간이 주 저장장치의 실제 여유 공간을 넘어서면 발생한다. 이런 경우 기존에 설치된 VHD를 삭제한 후 위의 과정을 처음부터 다시 진행하되, 여유 공간을 이전보다 더 적은 값으로 설정해야 한다.

2.20.8. 0x00000137(WIN32K_HANDLE_MANAGER)[편집]




2.20.9. 0x00000138(GPIO_CONTROLLER_DRIVER_ERROR)[편집]




2.20.10. 0x00000139(KERNEL_SECURITY_CHECK_FAILURE)[편집]


커널이 중요한 데이터 구조의 손상을 감지했음을 나타낸다.

2.20.11. 0x0000013A(KERNEL_MODE_HEAP_CORRUPTION)[편집]




2.20.12. 0x0000013B(PASSIVE_INTERRUPT_ERROR)[편집]




2.20.13. 0x0000013C(INVALID_IO_BOOST_STATE)[편집]




2.20.14. 0x0000013D(CRITICAL_INITIALIZATION_FAILURE)[편집]


초기 커널 초기화에 실패했음을 나타낸다.


2.20.15. 0x0000013E(ERRATA_WORKAROUND_UNSUCCESSFUL)[편집]




2.21. 0x140~0x14F[편집]



2.21.1. 0x00000140(STORAGE_DEVICE_ABNORMALITY_DETECTED)[편집]




2.21.2. 0x00000141(VIDEO_ENGINE_TIMEOUT_DETECTED)[편집]




2.21.3. 0x00000142(VIDEO_TDR_APPLICATION_BLOCKED)[편집]




2.21.4. 0x00000143(PROCESSOR_DRIVER_INTERNAL)[편집]




2.21.5. 0x00000144(BUGCODE_USB3_DRIVER)[편집]




2.21.6. 0x00000145(SECURE_BOOT_VIOLATION)[편집]




2.21.7. 0x00000146(NDIS_NET_BUFFER_LIST_INFO_ILLEGALLY_TRANSFERRED)[편집]




2.21.8. 0x00000147(ABNORMAL_RESET_DETECTED)[편집]




2.21.9. 0x00000148(IO_OBJECT_INVALID)[편집]




2.21.10. 0x00000149(REFS_FILE_SYSTEM)[편집]




2.21.11. 0x0000014A(KERNEL_WMI_INTERNAL)[편집]




2.21.12. 0x0000014B(SOC_SUBSYSTEM_FAILURE)[편집]




2.21.13. 0x0000014C(FATAL_ABNORMAL_RESET_ERROR)[편집]




2.21.14. 0x0000014D(EXCEPTION_SCOPE_INVALUD)[편집]




2.21.15. 0x0000014E(SOC_CRITICAL_DEVICE_REMOVED)[편집]




2.21.16. 0x0000014F(PDC_WATCHDOG_TIMEOUT)[편집]




2.22. 0x150~0x15F[편집]



2.22.1. 0x00000150(TCPIP_AOAC_NIC_ACTIVE_REFERENCE_LEAK)[편집]




2.22.2. 0x00000151(UNSUPPORTED_INSTRUCTION_MODE)[편집]




2.22.3. 0x00000152(INVALID_PUSH_LOCK_FLAGS)[편집]




2.22.4. 0x00000153(KERNEL_LOCK_ENTRY_LEAKED_ON_THREAD_TERMINATION)[편집]




2.22.5. 0x00000154(UNEXPECTED_STORE_EXCEPTION)[편집]


파일:Bsod 10.jpg

이 오류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문제로 발생한다.
하드웨어 오류는 하드디스크나 SSD를 교체하면 해결이 된다.
소프트웨어 오류는 충돌하는 소프트웨어를 지우면 된다.


2.22.6. 0x00000155(OS_DATA_TAMPERING)[편집]




2.22.7. 0x00000156(WINSOCK_DETECTED_HUNG_CLOSESOCKET_LIVEDUMP)[편집]




2.22.8. 0x00000157(KERNEL_THREAD_PRIORITY_FLOOR_VIOLATION)[편집]




2.22.9. 0x00000158(ILLEGAL_IOMMU_PAGE_FAULT)[편집]




2.22.10. 0x00000159(HAL_ILLEGAL_IOMMU_PAGE_FAULT)[편집]




2.22.11. 0x0000015A(SDBUS_INTERNAL_ERROR)[편집]




2.22.12. 0x0000015B(WORKER_THREAD_RETURNED_WITH_SYSTEM_PAGE_PRIORITY_ACTIVE)[편집]




2.22.13. 0x0000015C(PDC_WATCHDOG_TIMEOUT_LIVEDUMP)[편집]




2.22.14. 0x0000015D(SOC_SUBSYSTEM_FAILURE_LIVEDUMP)[편집]




2.22.15. 0x0000015E(BUGCODE_NDIS_DRIVER_LIVEDUMP)[편집]




2.22.16. 0x0000015F(CONNECTED_STANDBY_WATCHDOG_TIMEOUT_LIVEDUMP)[편집]




2.23. 0x160~0x16F[편집]



2.23.1. 0x00000160(WIN32K_ATOMIC_CHECK_FAILURE)[편집]




2.23.2. 0x00000161(LIVE_SYSTEM_DUMP)[편집]




2.23.3. 0x00000162(KERNEL_AUTO_BOOST_INVALID_LOCK_RELEASE)[편집]




2.23.4. 0x00000163(WORKER_THREAD_TEST_CONDITION)[편집]




2.23.5. 0x00000164(WIN32K_CRITICAL_FAILURE)[편집]




2.23.6. 0x00000165(CLUSTER_CSV_STATUS_IO_TIMEOUT_LIVEDUMP)[편집]




2.23.7. 0x00000166(CLUSTER_RESOURCE_CALL_TIMEOUT_LIVEDUMP)[편집]




2.23.8. 0x00000167(CLUSTER_CSV_SNAPSHOT_DEVICE_INFO_TIMEOUT_LIVEDUMP)[편집]




2.23.9. 0x00000168(CLUSTER_CSV_STATE_TRANSITION_TIMEOUT_LIVEDUMP)[편집]




2.23.10. 0x00000169(CLUSTER_CSV_VOLUME_ARRIVAL_LIVEDUMP)[편집]




2.23.11. 0x0000016A(CLUSTER_CSV_VOLUME_REMOVAL_LIVEDUMP)[편집]




2.23.12. 0x0000016B(CLUSTER_CSV_CLUSTER_WATCHDOG_LIVEDUMP)[편집]




2.23.13. 0x0000016C(INVALID_RUNDOWN_PROTECTION_FLAGS)[편집]




2.23.14. 0x0000016D(INVALID_SLOT_ALLOCATOR_FLAGS)[편집]




2.23.15. 0x0000016E(ERESOURCE_INVALID_RELEASE)[편집]




2.23.16. 0x0000016F(CLUSTER_CSV_STATE_TRANSITION_INTERNAL_TIMEOUT_LIVEDUMP)[편집]




2.24. 0x170~0x17F[편집]



2.24.1. 0x00000170(CLUSTER_CSV_CLUSSVC_DISCONNECT_WATCHDOG)[편집]




2.24.2. 0x00000171(CRYPTO_LIBRARY_INTERNAL_ERROR)[편집]




2.24.3. 0x00000173(COREMSGCALL_INTERNAL_ERROR)[편집]




2.24.4. 0x00000174(COREMSG_INTERNAL_ERROR)[편집]




2.24.5. 0x00000175(PREVIOUS_FATAL_ABNORMAL_RESET_ERROR)[편집]




2.24.6. 0x00000178(ELAM_DRIVER_DETECTED_FATAL_ERROR)[편집]




2.24.7. 0x00000179(CLUSTER_CLUSPORT_STATUS_IO_TIMEOUT_LIVEDUMP)[편집]




2.24.8. 0x0000017C(PDC_LOCK_WATCHDOG_LIVEDUMP)[편집]




2.24.9. 0x0000017D(PDC_UNEXPECTED_REVOCATION_LIVEDUMP)[편집]




2.25. 0x180~0x18F[편집]



2.25.1. 0x00000180(WVR_LIVEDUMP_REPLICATION_IOCONTEXT_TIMEOUT)[편집]




2.25.2. 0x00000181(WVR_LIVEDUMP_STATE_TRANSITION_TIMEOUT)[편집]




2.25.3. 0x00000182(WVR_LIVEDUMP_RECOVERY_IOCONTEXT_TIMEOUT)[편집]




2.25.4. 0x00000183(WVR_LIVEDUMP_APP_IO_TIMEOUT)[편집]




2.25.5. 0x00000184(WVR_LIVEDUMP_MANUALLY_INITIATED)[편집]




2.25.6. 0x00000185(WVR_LIVEDUMP_STATE_FAILURE)[편집]




2.25.7. 0x00000186(WVR_LIVEDUMP_CRITICAL_ERROR)[편집]




2.25.8. 0x00000187(VIDEO_DWMINIT_TIMEOUT_FALLBACK_BDD)[편집]




2.25.9. 0x00000188(CLUSTER_CSVFS_LIVEDUMP)[편집]




2.25.10. 0x00000189(BAD_OBJECT_HEADER)[편집]




2.25.11. 0x0000018A(SILO_CORRUPT)[편집]




2.25.12. 0x0000018B(SECURE_KERNEL_ERROR)[편집]




2.25.13. 0x0000018C(HYPERGUARD_VIOLATION)[편집]




2.25.14. 0x0000018D(SECURE_FAULT_UNHANDLED)[편집]




2.25.15. 0x0000018E(KERNEL_PARTITION_REFERENCE_VIOLATION)[편집]




2.26. 0x190~0x19F[편집]



2.26.1. 0x00000190(WIN32K_CRITICAL_FAILURE_LIVEDUMP)[편집]




2.26.2. 0x00000191(PF_DETECTED_CORRUPTION)[편집]




2.26.3. 0x00000192(KERNEL_AUTO_BOOST_LOCK_ACQUISITION_WITH_RAISED_IRQL)[편집]




2.26.4. 0x00000193(VIDEO_DXGKRNL_LIVEDUMP)[편집]




2.26.5. 0x00000194(SAVER_NONRESPONSIVEPROCESS)[편집]




2.26.6. 0x00000195(SMB_SERVER_LIVEDUMP)[편집]




2.26.7. 0x00000196(SAVER_MTBFCOMMANDTIMEOUT/LOADER_ROLLBACK_DETECTED)[편집]




2.26.8. 0x00000197(WIN32K_SECURITY_FAILURE)[편집]




2.26.9. 0x00000198(UFX_LIVEDUMP)[편집]




2.26.10. 0x00000199(KERNEL_STORAGE_SLOT_IN_USE)[편집]




2.26.11. 0x0000019A(WORKER_THREAD_RETURNED_WHILE_ATTACHED_TO_SILO)[편집]




2.26.12. 0x0000019B(TTM_FATAL_ERROR)[편집]




2.26.13. 0x0000019C(WIN32K_POWER_WATCHDOG_TIMEOUT)[편집]




2.26.14. 0x0000019D(CLUSTER_SVHDX_LIVEDUMP)[편집]




2.26.15. 0x0000019E(BUGCODE_NETADAPTER_DRIVER)[편집]




2.26.16. 0x0000019F(PDC_PRIVILEGE_CHECK_LIVEDUMP)[편집]




2.27. 0x1A0~0x1AF[편집]



2.27.1. 0x000001A0(TTM_WATCHDOG_TIMEOUT)[편집]




2.27.2. 0x000001A1(WIN32K_CALLOUT_WATCHDOG_LIVEDUMP)[편집]




2.27.3. 0x000001A2(WIN32K_CALLOUT_WATCHDOG_BUGCHECK)[편집]




2.27.4. 0x000001A3(CALL_HAS_NOT_RETURNED_WATCHDOG_TIMEOUT_LIVEDUMP)[편집]




2.27.5. 0x000001A4(DRIPS_SW_HW_DIVERGENCE_LIVEDUMP)[편집]




2.27.6. 0x000001A5(USB_DRIPS_BLOCKER_SURPRISE_REMOVAL_LIVEDUMP)[편집]




2.27.7. 0x000001A6(BLUETOOTH_ERROR_RECOVERY_LIVEDUMP)[편집]




2.27.8. 0x000001A7(SMB_REDIRECTOR_LIVEDUMP)[편집]




2.27.9. 0x000001A8(VIDEO_DXGKRNL_BLACK_SCREEN_LIVEDUMP)[편집]




2.27.10. 0x000001A9(DIRECTED_FX_TRANSITION_LIVEDUMP)[편집]




2.27.11. 0x000001AA(EXCEPTION_ON_INVALID_STACK)[편집]




2.27.12. 0x000001AB(UNWIND_ON_INVALID_STACK)[편집]




2.28. 0x1B0~0x1BF[편집]




2.28.1. 0x000001B0(VIDEO_MINIPORT_FAILED_LIVEDUMP)[편집]




2.28.2. 0x000001B8(VIDEO_MINIPORT_BLACK_SCREEN_LIVEDUMP)[편집]





2.29. 0x1C0~0x1CF[편집]




2.29.1. 0x000001C4(DRIVER_VERIFIER_DETECTED_VIOLATION_LIVEDUMP)[편집]




2.29.2. 0x000001C5(IO_THREADPOOL_DEADLOCK_LIVEDUMP)[편집]




2.29.3. 0x000001C6(FAST_ERESOURCE_PRECONDITION_VIOLATION)[편집]




2.29.4. 0x000001C7(STORE_DATA_STRUCTURE_CORRUPTION)[편집]


저장소 구성 요소가 데이터 구조에서 손상을 감지했음을 나타낸다.

2.29.5. 0x000001C8(MANUALLY_INITIATED_POWER_BUTTON_HOLD)[편집]


파일:DP7_CdiU8AEnmYq.jpg

시스템 종료 도중 강제종료를 시도했습니다.

전원 버튼에서 손을 떼십시오. 종료되기까지 몇 초 정도가 소요될 수 있습니다. (0% 완료)[원문]

부팅 중에 강제종료 시 발생한다. 종료 중에 강제종료해도 나온다. Windows 7까지는 메시지가 짧은 블루스크린, Windows 8.1까지는 일반 블루스크린으로 나왔지만 Windows 10부터 별도의 블랙스크린으로 분리됐다. 하지만 취급은 여전히 블루스크린이다. 특이한 점은 강제종료임에도 로그 파일을 수집해 MS에 전송한다. 여기서 버튼에 손을 떼지 않으면 로그를 전송하지 않고 그대로 강제종료된다.

만약 이 화면이 지속적으로 발생한다면 전원 버튼을 청소해보자.


2.29.6. 0x000001C9(USER_MODE_HEALTH_MONITOR_LIVEDUMP)[편집]




2.29.7. 0x000001CA(HYPERVISOR_WATCHDOG_TIMEOUT)[편집]




2.29.8. 0x000001CB(INVALID_SILO_DETACH)[편집]




2.29.9. 0x000001CC(EXRESOURCE_TIMEOUT_LIVEDUMP)[편집]




2.29.10. 0x000001CD(INVALID_CALLBACK_STACK_ADDRESS)[편집]




2.29.11. 0x000001CE(INVALID_KERNEL_STACK_ADDRESS)[편집]




2.29.12. 0x000001CF(HARDWARE_WATCHDOG_TIMEOUT)[편집]




2.30. 0x1D0~0x1DF[편집]




2.30.1. 0x000001D0(ACPI_FIRMWARE_WATCHDOG_TIMEOUT)[편집]




2.30.2. 0x000001D1(TELEMETRY_ASSERTS_LIVEDUMP)[편집]




2.30.3. 0x000001D2(WORKER_THREAD_INVALID_STATE)[편집]




2.30.4. 0x000001D3(WFP_INVALID_OPERATION)[편집]




2.30.5. 0x000001D4(UCMUCSI_LIVEDUMP)[편집]




2.30.6. 0x000001D5(DRIVER_PNP_WATCHDOG)[편집]




2.30.7. 0x000001D6(WORKER_THREAD_RETURNED_WITH_NON_DEFAULT_WORKLOAD_CLASS)[편집]




2.30.8. 0x000001D7(EFS_FATAL_ERROR)[편집]




2.30.9. 0x000001D8(UCMUCSI_FAILURE)[편집]




2.30.10. 0x000001D9(HAL_IOMMU_INTERNAL_ERROR)[편집]




2.30.11. 0x000001DA(HAL_BLOCKED_PROCESSOR_INTERNAL_ERROR)[편집]




2.30.12. 0x000001DB(IPI_WATCHDOG_TIMEOUT)[편집]




2.30.13. 0x000001DC(DMA_COMMON_BUFFER_VECTOR_ERROR)[편집]




2.30.14. 0x000001DD(BUGCODE_MBBADAPTER_DRIVER)[편집]




2.30.15. 0x000001DE(BUGCODE_WIFIADAPTER_DRIVER)[편집]




2.30.16. 0x000001DF(PROCESSOR_START_TIMEOUT)[편집]




2.31. 0x1E0~0x1EF[편집]




2.31.1. 0x000001E1 (DEVICE_DIAGNOSTIC_LOG_LIVEDUMP)[편집]




2.31.2. 0x000001E4(VIDEO_DXGKRNL_SYSMM_FATAL_ERROR)[편집]




2.31.3. 0x000001E9(ILLEGAL_ATS_INITIALIZATION)[편집]




2.31.4. 0x000001EA(SECURE_PCI_CONFIG_SPACE_ACCESS_VIOLATION)[편집]




2.31.5. 0x000001EB(DAM_WATCHDOG_TIMEOUT)[편집]




2.31.6. 0x000001ED(HANDLE_ERROR_ON_CRITICAL_THREAD)[편집]




2.32. 0x1F0~0x1FF[편집]




2.32.1. 0x000001F5(APPLICATION_HANG_KERNEL_LIVEDUMP)[편집]




3. 치명적인 오류코드[편집]


타 오류코드보다 다소 심각하다고 볼 수 있는 특수 오류코드들이다. 이런 오류코드들은 일반 사용자들이 아는 방법으로는 절대 해결할 수 없을 만큼 심각한 오류이기 때문에 해결 방안을 제시해 준다 해도 딱 한 줄밖에 안 되고, 어떠한 이유로 이 오류코드가 발생했는지 알려준다. 또한 아래의 오류코드들은 일반적인 블루스크린와 달리 문서화되어 있지 않은 NtRaiseHardError라는 함수를 사용하여 띄운다.

NtRaiseHardError는 커널 모드의 ExRaiseHardError를 호출하는 함수로 보통 커널 모드 드라이버가 화면에 메시지 박스를 띄우기 위해 ExRaiseHardError를 사용하지만 인수값 중 _HARDERROR_RESPONSE_OPTION 인수값을 OptionShutdownSystem로 설정하면 블루스크린 형태로 발생시키는 것으로 시스템을 종료할 수 있다. 이 경우 KeBugCheckEx로 거치는데 첫번째 에러 코드는 FATAL_UNHANDLED_HARD_ERROR(0x0000004C)로 고정되고 두번째 에러코드부터 ExRaiseHardError 인수 값에서 가져온다. 다만 이 옵션을 사용하려면 먼저 RtlAdjustPrivilege로 SeShutdownPriviledge 권한을 부여받아야 한다. SeShutdownPriviledge 권한만 부여되어 있다면 관리자 권한이 없어도 NtRaiseHardError를 통해 블루스크린을 발생시킬 수 있다. 사실 SeShutdownPriviledge 권한 부여는 관리자 권한이 없더라도 가능하다.

Windows 8 부터 일반 블루스크린으로 나온다. 다만 중지 코드가 NTSTATUS 값으로 나온다. WinDbg로 디버깅 중이라면 콘솔에서 NTSTATUS 외의 파리미터들을 확인해볼 수 있다.

3.1. c0000001(STATUS_UNSUCCESSFUL)[편집]


파일:NtRaiseHardError_c0000001.png

STOP: c0000001 {작업 실패}

요청한 작업이 실패했습니다.


NtRaiseHardError의 첫번째 인수 값은 오류 코드로 NTSTATUS 값을 넣어서 사용한다. 다만 해당 값이 오류 항목에 해당되지 않으면 작동하지 않는다. 위 블루스크린은 STATUS_UNSUCCESSFUL(0xc0000001)를 오류코드로 넣어서 발생시킨 것이다.


3.2. c0000002(STATUS_NOT_IMPLEMENTED)[편집]


STOP: c0000002 {구현되지 않음}

요청한 작업이 구현되지 않았습니다.


c0000023과 같이 KeQueryHardwareCounterConfiguration 함수를 통해 발생시킬수 있다.


3.3. c0000003(STATUS_INVALID_INFO_CLASS)[편집]


STOP: c0000003 {잘못된 매개 변수}

지정된 정보 클래스가 지정된 개체에 대해 올바른 정보 클래스가 아닙니다.



3.4. c0000004(STATUS_INFO_LENGTH_MISMATCH)[편집]


STOP: c0000004 지정한 정보 레코드 길이가 지정한 정보 클래스에 필요한 길이와 일치하지 않습니다.



3.5. c0000005(STATUS_ACCESS_VIOLATION)[편집]


지침(0x%081x 참조 메모리(0x%08lx) 메모리는 %s로 될 수 없었습니다.

대부분이 램 불량, 깨짐일 때 생긴다.

드물게 하드디스크를 이용한 가상메모리로 인해 생기고, 이 때는 하드디스크가 깨진 경우도 있다.[22] (하지만 흔하지 않은 블루스크린 중 하나다.)


3.6. c0000006(STATUS_IN_PAGE_ERROR)[편집]


파일:0xc0000006 (Winvista).png
Windows Vista에서의 스크린샷

STOP: c0000006 0x%08lx의 명령이 0x%08lx의 메모리를 참조하였으나,

0x%08lx의 I/O 오류 상태 때문에 필요한 데이터가 메모리에 저장되지 않았습니다.

666.exe를 실행할 시 발생하는 블루스크린이다.
여담으로 위의 c0000005처럼 0x 뒤에 붙는 값이 깨져서 나온다.


3.7. c0000007(STATUS_PAGEFILE_QUOTA)[편집]


STOP: c0000007 프로세스의 페이지 파일 할당량이 모두 사용되었습니다.



3.8. c0000008(STATUS_INVALID_HANDLE)[편집]


STOP: c0000008 잘못된 핸들이 지정되었습니다.



3.9. c0000009(STATUS_BAD_INITIAL_STACK)[편집]


STOP: c0000009 NtCreateThread 호출에 잘못된 초기 스택이 지정되었습니다.



3.10. c000000a(STATUS_BAD_INITIAL_PC)[편집]


STOP: c000000a NtCreateThread 호출에 잘못된 초기 시작 주소가 지정되었습니다.



3.11. c000000b(STATUS_INVALID_CID)[편집]


STOP: c000000b 잘못된 클라이언트 ID가 지정되었습니다.



3.12. c000000c(STATUS_TIMER_NOT_CANCELED)[편집]


STOP: c000000c 연관된 APC가 있는 타이머를 취소하거나 설정하려고 시도했지만

주체 스레드가 원래 연관된 APC 루틴으로 타이머를 설정한 스레드가 아닙니다.



3.13. c000000d(STATUS_INVALID_PARAMETER)[편집]


STOP: c000000d 잘못된 매개 변수가 서비스 또는 함수에 전달되었습니다.



3.14. c000000e(STATUS_NO_SUCH_DEVICE)[편집]


STOP: c000000e 존재하지 않는 장치가 지정되었습니다.



3.15. c000000f(STATUS_NO_SUCH_FILE)[편집]


STOP: c000000f {파일 발견 안됨}

%hs 파일이 없습니다.



3.16. c0000010(STATUS_INVALID_DEVICE_REQUEST)[편집]


STOP: c0000010 지정한 요청은 대상 장치에 대한 올바른 작업이 아닙니다.



3.17. c0000011(STATUS_END_OF_FILE)[편집]


STOP: c0000011 파일 끝 마커에 도달했습니다.

이 마커를 제외한 파일에 유효한 데이터가 없습니다.



3.18. c0000012(STATUS_WRONG_VOLUME)[편집]


STOP: c0000012

{Wrong Volume}

드라이브에 잘못된 볼륨이 들어있습니다. %hs 볼륨을 %hs 드라이브에 삽입합니다.


3.19. c0000013(STATUS_NO_MEDIA_IN_DEVICE)[편집]


STOP: c0000013

{No Disk}

드라이브에 디스크가 없습니다. %hs 드라이브에 디스크를 넣으세요.


3.20. c0000014(STATUS_UNRECOGNIZED_MEDIA)[편집]


STOP: c0000014

{알 수 없는 디스크 형식}

%hs 드라이브의 디스크가 제대로 포맷되지 않았습니다. 디스크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다시 포맷하십시오.


3.21. c0000015(STATUS_NONEXISTENT_SECTOR)[편집]


STOP: c0000015

{섹터를 찾을 수 없음}

지정한 섹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3.22. c0000016(STATUS_MORE_PROCESSING_REQUIRED)[편집]


STOP: c0000016

{Still Busy}

I/O 작업이 완료되지 않아 지정된 I/O 요청 패킷(IRP)을 삭제할 수 없습니다.


3.23. c0000017(STATUS_NO_MEMORY)[편집]


STOP: c0000017 {메모리 할당량 부족}

지정한 작업을 완료할 수 있는 가상 메모리 또는 페이징 파일 할당량이 부족합니다.


오류의 원인은 메모리가 심각하게 부족하거나 메모리 자체가 완전히 맛이 간 경우지만, 이런 상태의 경우 대부분 부트 매니저에 막혀 아예 윈도우로 부팅이 안되는 상황이 대다수라 극히 보기 드물다.[23] 오류의 원인이 메모리 관련 오류가 발생했을 때 뜨는 0x00000074, 0x0000000c와 같지만, 역시 메모리 자체가 부팅도 못할 정도로 심하게 메모리가 부족하거나 메모리를 쓸 수 없을 정도로 맛이 간 상태다보니, 0x00000074, 0x0000000c보다 더 심각하다. 이 오류코드가 떴다는건 이런 메모리로 도저히 뭔 짓거리를 할 수 없거나 메모리가 너무 심하게 손상되어 교체해야하는 상황일 때 나타난다. 해결방법도 메모리 교체나 추가이다.


3.24. c0000018(STATUS_CONFLICTING_ADDRESSES)[편집]


STOP: c0000018

{충돌하는 주소 범위}

지정된 주소 범위가 주소 공간과 충돌합니다.


3.25. c0000019(STATUS_NOT_MAPPED_VIEW)[편집]


STOP: c0000019

매핑을 해제할 주소 범위가 매핑된 뷰가 아닙니다.


3.26. c000001a(STATUS_UNABLE_TO_FREE_VM)[편집]


STOP: c000001a

가상 메모리를 해제할 수 없습니다.


3.27. c000001b(STATUS_UNABLE_TO_DELETE_SECTION)[편집]


STOP: c000001b

지정된 섹션을 삭제할 수 없습니다.


3.28. c000001c(STATUS_INVALID_SYSTEM_SERVICE)[편집]


STOP: c000001c

시스템 서비스 호출에 잘못된 시스템 서비스가 지정되었습니다.


3.29. c000001d(STATUS_ILLEGAL_INSTRUCTION)[편집]


STOP: c000001d

{예외}

잘못된 명령 잘못된 명령을 실행하려고 시도했습니다.


3.30. c000001e(STATUS_INVALID_LOCK_SEQUENCE)[편집]


STOP: c000001e

{잘못된 잠금 시퀀스}

잘못된 잠금 시퀀스를 실행하려고 시도했습니다.


3.31. c000001f(STATUS_INVALID_LOCK_SEQUENCE)[편집]


STOP: c000001f

{잘못된 매핑}

섹션보다 더 큰 섹션에 대한 뷰를 만들려고 했습니다.


3.32. c0000020(STATUS_INVALID_FILE_FOR_SECTION)[편집]


STOP: c0000020

{Bad File}

메모리 섹션에 지정된 매핑 파일의 속성을 읽을 수 없습니다.


3.33. c0000021(STATUS_ALREADY_COMMITTED)[편집]


STOP: c0000021

{Already Committed}

지정된 주소 범위가 이미 커밋되었습니다.


3.34. c0000022(STATUS_ACCESS_DENIED)[편집]


파일:NtRaiseHardError_c0000022.png

시스템의 중요 액세스 접근이 거부됐습니다.


STOP: c0000022 {접근 거부됨}

프로세스가 개체에 대한 접근을 요청했지만 해당 접근 권한이 부여되지 않았습니다.

크래시 덤프 데이터 수집 중...

크래시 덤프를 위한 디스크 초기화 중...

물리적 메모리 덤프 시작

물리적 메모리 덤프 중:100% 완료

물리적 메모리 덤프가 완료됐습니다.

추가 지원을 위해 시스템 관리자나 기술 지원 그룹에 연락하십시오.

MEMZ 바이러스를 강제 종료하면 뜬다.


3.35. c0000023(STATUS_BUFFER_TOO_SMALL)[편집]


STOP: c0000023 {버퍼가 너무 작음}

버퍼가 너무 작아서 항목을 포함할 수 없습니다. 버퍼에 정보가 기록되지 않았습니다.


c0000002와 같이 KeQueryHardwareCounterConfiguration 함수를 통해 발생시킬수 있다.


3.36. c0000047(STATUS_SEMAPHORE_LIMIT_EXCEEDED)[편집]


STOP : c0000047 최대 개수를 초과하도록 세마포어를 해제하려고 했습니다.

흔하지 않은 오류코드이다. 컴퓨터에서의 세마포어는 데드락을 회피하기위한 운영체제의 알고리즘에서 자주 언급되는 내용으로, 1개의 공유되는 자원에 제한된 개수의 프로세스, 또는 스레드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기법이다. 따라서 저 오류는 쉽게 말해서 한정된 자원보다 많은 수의 프로세스가 자원에 접근하는 바람에 병목현상이나 과부하가 걸렸다고 생각하면 된다.


3.37. c0000048(STATUS_PORT_ALREADY_SET)[편집]


STOP: c0000048 프로세스의 DebugPort 또는 ExceptionPort를 설정하려고 시도했지만, 프로세스에 포트가 이미 존재하거나

파일의 CompletionPort를 설정하려고 시도했지만, 파일에 포트가 이미 설정되어 있거나

ALPC 포트의 관련 완료 포트를 설정하려고 시도했지만 이미 설정되어 있습니다.


하드에러 c0000048

흔하지 않은 오류코드 중 하나다. 보통 Unknown Hard Error이 표시되지만 이 오류는 대체 무슨 이유에서인지 표시되는지 알 수 없다. 일단은 윈도우가 저장된 하드나 SSD가 망가졌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드물게 CPU 핀 혹은 메인보드 소켓 핀이 망가진 경우에도 이 오류가 뜨기도 한다.


3.38. c000007b(STATUS_INVALID_IMAGE_FORMAT)[편집]


파일:c000007b.png

STOP:c000007b {올바르지 않은 이미지}

C:₩Windows₩system32₩winsrv.DLL이 Windows에서 실행되도록 설계되지 않았거나 오류가 포함되어 있어 실행할 수 없습니다.

원본 설치 미디어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재설치하거나 시스템 관리자 또는 소프트웨어 공급업체에 문의하십시오.


특정 DLL 파일이 변형되거나 깨져 발생하는 오류다. 그러나 파일명을 보면 알겠지만 중요 시스템 파일이 망가졌기에 일반적인 복구로는 되돌릴 수 없는 치명적인 오류에 속한다. 이 역시 윈도우 재설치 혹은 컴퓨터 수리점만이 해결책이다.

버추얼박스에서 게스트 확장 기능을 설치하는 도중 오류가 발생한 채로 설치된 경우 낮은 확률로 발생한다.

3.39. c000009a(STATUS_INSUFFICIENT_RESOURCES)[편집]




3.40. c00000e9(STATUS_UNEXPECTED_IO_ERROR)[편집]




3.41. c00000ef(STATUS_INVALID_PARAMETER_1)[편집]


STOP: c00000ef 잘못된 매개 변수가 첫 번째 인수로 서비스 또는 함수에 전달되었습니다.



3.42. c00000f0(STATUS_INVALID_PARAMETER_2)[편집]


STOP: c00000f0 잘못된 매개 변수가 두 번째 인수로 서비스 또는 함수에 전달되었습니다.



3.43. c00000f1(STATUS_INVALID_PARAMETER_3)[편집]


STOP: c00000f1 잘못된 매개 변수가 세 번째 인수로 서비스 또는 함수에 전달되었습니다.



3.44. c00000f2(STATUS_INVALID_PARAMETER_4)[편집]


STOP: c00000f2 잘못된 매개 변수가 네 번째 인수로 서비스 또는 함수에 전달되었습니다.



3.45. c00000f3(STATUS_INVALID_PARAMETER_5)[편집]


STOP: c00000f3 잘못된 매개 변수가 다섯 번째 인수로 서비스 또는 함수에 전달되었습니다.



3.46. c00000f4(STATUS_INVALID_PARAMETER_6)[편집]


STOP: c00000f4 잘못된 매개 변수가 여섯 번째 인수로 서비스 또는 함수에 전달되었습니다.



3.47. c0000102(STATUS_FILE_CORRUPT_ERROR)[편집]


STOP : c0000102 {손상된 파일}

파일 또는 디렉터리 C:\(파일 위치가 나온다)가 손상되어 읽을 수 없습니다.

Chkdsk 유틸리티를 실행하십시오.



3.48. c000012f(STATUS_INVALID_IMAGE_NOT_MZ)[편집]


STOP : c000012f 명시된 이미지 파일이 올바른 포맷을 가지고 있지 않았습니다. 초기 MZ를 가지고 있지 않았습니다.


PE 파일(.exe, .dll 등)의 제일 첫 부분에 위치해야 하는 MZ 헤더가 없을 때 발생한다.


3.49. c0000130(STATUS_INVALID_IMAGE_PROTECT)[편집]


파일:c0000130.jpg

STOP: c0000130

지정된 이미지 파일의 형식이 올바르지 않습니다. MZ 헤더에 적절한 e_lfarlc가 없습니다.



3.50. c0000135(STATUS_DLL_NOT_FOUND)[편집]


파일:c0000135.png

STOP: c0000135 컴퓨터에 %hs가 없기 때문에 프로그램을 시작할 수 없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프로그램을 다시 설치해 보십시오.

[24]
특정 시스템 파일이 없어서 프로그램을 시작할 수 없다고 말하는데, 이게 심각한 이유는 윈도우 운영 체제의 일부인 시스템 파일이[25] 없다는 건 윈도우 자체가 망가졌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애초에 제시된 해결법도 프로그램 재설치다.


3.51. c0000139(STATUS_ENTRYPOINT_NOT_FOUND)[편집]


파일:c0000139.jpg

STOP: c0000139 {진입점을 찾을 수 없음}

절차 진입점 GdiGetBitmapBitsSize를 동적 링크 라이브러리 GDI32.dll에서 찾을 수 없습니다.

크래시 덤프 데이터 수집 중...

크래시 덤프를 위한 디스크 초기화 중...

물리적 메모리 덤프 시작

물리적 메모리 덤프 중:100% 완료

물리적 메모리 덤프가 완료됐습니다.

추가 지원을 위해 시스템 관리자나 기술 지원 그룹에 연락하십시오.



3.52. c0000142(STATUS_DLL_INIT_FAILED)[편집]


파일:stop c0000142.png

파일:c0000142.jpg
[26]

STOP: c0000142 {DLL 초기화 실패}

동적 링크 라이브러리 winsrv의 초기화가 실패했습니다. 프로세스가 비정상적으로 중지됐습니다.


해결 방법을 묻는 글(영어). 자료가 거의 없다.
또한, Listenmymusic.exe를 열고 제한시간이 끝나면 컴퓨터가 꺼지는 시점에 발생한다.


3.53. c0000145(STATUS_APP_INIT_FAILURE)[편집]


파일:STOP c0000145.jpg

STOP: c0000145 {응용프로그램 오류}

응용 프로그램을 올바르게 시작할 수 없습니다(0xc000000d). 응용 프로그램을 닫으려면 확인을 누르십시오.



3.54. c0000194(STATUS_POSSIBLE_DEADLOCK)[편집]




3.55. c0000218(STATUS_CANNOT_LOAD_REGISTRY_FILE)[편집]


파일:c0000218.jpg

시스템의 필수 레지스트리 파일을 불러올 수 없습니다.


STOP: c0000218 {레지스트리 오류}

레지스트리가 파일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systemroot\\system32\\config\\SOFTWARE에 해당하는 로그가 손상되거나, 없거나, 쓸 수 없습니다.

C:\\Windows\\System32\\config 폴더에 저장된 레지스트리 하이브 파일들 중 하나 이상을 불러오지 못했을 때 발생한다.[27]

3.56. c000021a(STATUS_SYSTEM_PROCESS_TERMINATED)[편집]


파일:STOPc000021aFatalSystemError.jpg
파일:w10_c21a.png
Windows XP ~ Windows 7에서의 화면
Windows 10에서의 스크린샷

시스템의 필수 프로세스가 무력화됐습니다.


STOP: c000021a {치명적인 시스템 오류}

초기 세션 프로세스 또는 시스템 프로세스가 0x00000000 (0xc0000001 0x00100448) 상태로 예기치 않게 종료됐습니다.

시스템이 종료됐습니다.

이 계열의 오류코드 중에 가장 흔한 오류코드이다. 0xF4 또는 0xEF와 원인이 거의 겹치지만 훨씬 치명적이다. F4 또는 EF의 뜻은 일시적인 무력화를 가리키지만 c21a의 뜻은 반영구적인 무력화를 가리키며, 단순히 퍼진 게 아니라 일부가 망가졌음를 뜻한다.
이 프로세스를 복구할 수 있다면 좋겠지만 그게 안 된다면 윈도우를 밀어버리고 새로 깔아야한다.
여담으로 윈도우 11을 128MB의 메모리로 부팅시키면 볼 수 있다.[28]

3.57. c0000221(STATUS_IMAGE_CHECKSUM_MISMATCH)[편집]


파일:c0000221.png

시스템의 필수 이미지 체크섬이 일치하지 않습니다.


STOP: c0000221 {올바르지 않은 이미지 체크섬}

이미지 shlwapi.dll이 손상됐을 수 있습니다. 헤더 체크섬이 계산된 체크섬과 일치하지 않습니다.

운영 체제가 설치된 저장장치의 손상이나, 컴퓨터 바이러스 등에 의한 시스템 파일의 변조로 인해 발생한다.


3.58. c0000244(STATUS_AUDIT_FAILED)[편집]


STOP: c0000244 {감사 실패}

보안 감사를 생성하지 못했습니다.



3.59. c0000263(STATUS_DRIVER_ENTRYPOINT_NOT_FOUND)[편집]


파일:0xc0000263블루스크린.png

STOP: c0000263(드라이버 진입 포털을 찾을 수 없음)

\SystemRoot\System32\DRIVERS\Vhdmp.sys 장치 드라이버가 드라이버 ntoskrnl.exe에서 InbvEnableDisplayStriny 진입점을 찾을 수 없습니다

이 단계 오류 화면이 처음인 경우, 컴퓨터를 재부팅하세요.

이 화면이 다시 나타나면 다음 단계를 수행하십시오:

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가 제대로 설치됐는지 확인합니다.

새로 설치하는 경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제조업체에 필요한 Windows NT 업데이트가 있는지 문의하십시오.

문제가 계속되면 새로 설치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하거나 제거하십시오.

캐시 또는 섀도잉과 같은 BIOS 메모리 옵션을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하십시오.

구성요소들을 제거하거나 기능을 정지시키기 위해 안전모드가 필요하다면,

컴퓨터를 재부팅하시고, 고급 시작 옵션을 선택하기 위해 F8 버튼을 누른 후, 안전모드로 부팅하세요.

문제 해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장치의 매뉴얼을 참조하십시오.

- Windows NT 5.0 서버의 BSOD




3.60. c0000269(STATUS_ILLEGAL_DLL_RELOCATION)[편집]


STOP: c0000269 {잘못된 시스템 DLL 재배치}

시스템 DLL인 kernal32.dll이 메모리에서 재배치됐습니다. 응용 프로그램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게 됩니다.

재배치가 일어난 이유는 C:\\WINDOWS\\System32\\GDI32.dll이 윈도우 시스템 DLL에 예약된 주소 범위를 차지했기 때문입니다. 해당 DLL의 공급업체는 shou %s %s입니다.


STOP: c0000269 {잘못된 시스템 DLL 재배치}

예외 처리 메시지 c0000269 파라미터 96b9600 96b71f58 0 0[29]



3.61. c000026c(STATUS_DRIVER_UNABLE_TO_LOAD)[편집]


파일:c000026c 2000.jpg

STOP: c000026c {장치 드라이버에 로드할 수 없음}

\\systemroot\\system32\\drivers\\TDSSrfdc.sys

장치 드라이버를 로드할 수 없습니다. 오류상태는

0xc0000018입니다.



3.62. c00002e1(STATUS_DS_CANT_START)[편집]




3.63. c00002e2(STATUS_DS_INIT_FAILURE)[편집]


파일:c00002e2.jpg

STOP: c00002e2 다음 오류로 인해 디렉터리 서비스를 시작할 수 없습니다:

시스템에 연결된 장치가 작동하지 않습니다.[30]

오류 상태: 0xc0000001[31]

입니다.

시스템을 수동으로 종료한 후 고급 시작 옵션에서 디렉터리 서비스 복원모드를 선택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시스템 복구가 완료됐다면) 이벤트 로그를 참조하십시오.


윈도우 Server 2003 이상에서 발생하는 특수 오류 코드로, 가정용에서는 오류 재현이 불가능에 가깝다.


3.64. c00002e3(STATUS_SAM_INIT_FAILURE)[편집]


파일:c00002e3 (2).png

STOP: c00002e3 다음 오류로 인해 보안 계정 매니저를 초기화할 수 없습니다:

미디어를 편집할 수 없는 상태로 보호되어 있습니다.[32]

오류 상태는 0xc0000189[33]

입니다.

시스템을 종료한 후 고급 시작 옵션에서 안전모드를 선택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이벤트 로그를 참조하십시오.


SAM(Security Account Manager)를 초기화하지 못하는 경우 발생한다.

Windows 7 기준, SAM 레지스트리 하이브인 C:\\Windows\\System32\\config\\SAM이 없거나, 로드하지 못했을 때 확정적으로 볼 수 있다.


3.65. c0000350(STATUS_HOST_DOWN)[편집]


파일:c0000350.jpg

STOP: c0000350 데이터 전송 중 원격 시스템이 무력화됐음을 확인했습니다.


페트야 랜섬웨어 실행시 나오는 블루스크린이다.


3.66. c0000415(STATUS_HUNG_DISPLAY_DRIVER_THREAD)[편집]


STOP: c0000415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응답 없음}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이름) 디스플레이 드라이버가 비정상적으로 작동을 멈추었습니다. 전체 디스플레이 기능을 복원할려면 작업을 저장하고 이 시스템을 재시작 하시오. 다음에 컴퓨터를 재시작하면 대화 상자가 표시됩니다.



3.67. c0000420(STATUS_ASSERTION_FAILURE)[편집]


파일:c0000420.png
Windows 7에서의 스크린샷

STOP: c0000420 어설션 실패가 발생했습니다.

파일:c0000420블루스크린.png
Windows 11에서의 스크린샷
tin.exe를 실행하면 뜨는 블루스크린이다.


4. 기타[편집]



4.1. Unknown Hard Error[편집]


파일:c0000218 unknown hard error.jpg

STOP: c0000218 알 수 없는 장치 오류

알 수 없는 장치 오류

물리적 메모리 덤프 시작

물리적 메모리 덤프 중:100%

물리적 메모리 덤프가 완료됐습니다.

추가 지원을 위해 시스템 관리자나 기술 지원 그룹에 연락하십시오.


대부분 c0000218 오류코드와 같이 뜨지만, c000021a 나 c0000139나 c0000221 등으로도 뜬다.

파일:c0000221Unknownharderror.jpg

STOP: c0000221 알 수 없는 장치 오류

\\SystemRoot\\System32\\ntdll.dll


심지어 c0000221 오류코드는 내용이 살짝 다르다. 하드라고 나와있지만 이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가 될 수도 있고 다른 하드웨어를 뜻할 수도 있다.


4.2. Hardware Malfunction[편집]


파일:IMG00237-20090719-1149.jpg

*** 하드웨어 오작동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하드웨어 업체에 문의하십시오.

NMI 패리티 검사 완료 / 메모리 패리티에서 오류를 발견했습니다. [34]

*** 시스템이 정지됐습니다. ***


문자 그대로 대부분 하드웨어 오작동이 그 원인이다. 보고된 사례는 많지 않으며, PCI 기반 IEEE1394 확장카드DRAM 불량과 같은 하드웨어적 원인과 컴퓨터 백신과 같은 소프트웨어적 원인이 공존한다. 대부분 덤프 파일은 생성되지 않으며, 안전모드나 시동 복구 등은 경우에 따라 가능 여부가 다르지만 대체로 하드웨어가 원인인 경우 안전모드나 시동 복구 사용이 불가능한 편이다. 이 경우 윈도우 설치 USB와 같은 외부 미디어를 통해 부팅을 시도해 보고, 부팅이 가능한 경우 소프트웨어, 불가능한 경우 하드웨어를 원인으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이 블루스크린이 떴다는 것은 적어도 POST는 통과하고 윈도우를 어느 정도 불러올 수 있다는 의미이므로[35] 큰 고장은 아닐 확률이 크다. 따라서 컴퓨터를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다면 차분히 어느 것이 문제인지 점검을 시도하고, 잘 모르겠다면 전문가에게 맡기는 것이 해결책이다.

4.3. 0x00000000(원인 파악 불가)⑧[편집]


:(

PC에 문제가 발생하여 다시 시작해야 합니다.

일부 오류 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그런 다음 자동으로 다시 시작합니다.

80% 완료

자세한 내용을 보려면 나중에 온라인에서 이 오류를 검색하세요. 0x00

[36]

원인을 알 수 없는 오류라 치명적인지 아닌지 확인할 수가 없다. 최악의 경우 위 블루스크린(하드웨어 오작동)을 대신하여 뜨는 것일 수도 있다. 윈도우 2000~7 사이의 0x12와 비슷하다.

그만큼 마땅한 해결 방법도 없으며, 인터넷에 검색해도 검색결과가 거의 나오지 않는다. 그리고 0x00000000 오류코드는 PC방에서 주로 나타난다.

[1] 블루스크린에서 표기된 '하드웨어 혹은 소프트웨어'라는 단어는 영문명칭인 'Hardware or software'를 직역한 것으로, 실제 뜻은 '시스템 구동장치 전반'을 의미한다. 간단히 말해 그냥 '장치'.[2] 작업관리자 등과 달리 위의 시스템 관리자나 기술 지원 그룹은 컴퓨터를 잘 아는 컴공과학생 기업 내에 상주하는 CS 기술지원팀이나 PC유지보수업체, 마이크로소프트 기술 지원 그룹, 기타 웹 사이트 기술 지원팀을 의미한다.[3] 출처: 네이버 블로그 "윤우서우 아빠의 IT 이야기"-APC란 무엇인가 [4] 자세한 것은 프로세스 스케줄링을 참고할 것[5] 쉽게 말해 번지 수를 잘못 찾아가도 한참 잘못 찾아갔다는 것이다,[6] 이는 빠른 시스템 처리속도와 매우 느린 물리적 처리속도(출력)에 기인한다.[7] Windows Vista부터 해당한다.[8] 파일:0x0000001E BSOD.jpg[9] 여기서 Globalroot는 /C /D /E... /Z 와 같이 추상화된 드라이브 루트를 의미하며 Condrv는 콘솔 드라이버의 약자이며, Kernelconnect는 해당 커널에 연결한다는 의미이다. 즉 추상화된 드라이브 루트 내의 콘솔 드라이버의 커널단계에 접속한다는 의미가 된다. 당연히 /C /D 정도야 있겠지만 네트워크 디스크를 사용하지 않는 이상 /Z까지의 드라이브에 대해 콘솔 드라이버 접근이 불가하니 블루스크린이 뜨게 되는 것이다. 이는 안전모드로 다시 해당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게 설정하면 해결된다.[10] 대부분 오류코드 한줄만 뜬다[11] 간혹 0xc0000017이 뜬다.[12] IDE 모드로 설정했다가 레지스트리 변경 없이 AHCI 모드로 변경한 경우나 그 반대[13] 오버클럭을 했을 시에는 오버를 풀거나 MemTest 같은 프로그램을 돌려 문제를 찾아야 한다.[14] 윈도우 Vista 이상인 경우 대부분 여기까지만 나온다.[15] 원문: A device driver attempting to corrupt the system has been caught. The faulty driver currently on the kernal stack must be replaced with a working version.[16] 이 경우 완전한 클린 설치를 해야 그나마 해결이 된다.[17] 0xF1, F5, F6, F8, F9, FA, FD, FF[18] 캡처보드로 별도의 방송용 컴퓨터에서 송출하고 있어서 그렇지, 만약 방송용 컴퓨터 없이 블루스크린이 일어나면 그대로 방송이 중단된다.[19] 2022년 1월 8일 기준 IT 용어로서의 VHD 문서가 존재하지 않는다.[20] 이게 가장 중요하다. 만일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저장장치가 128GB SSD이고 메인 OS가 차지하고 있는 용량이 30GB라 여유공간이 100GB에 못 미치는데(98GB) 이 여유공간을 넘어서는 100GB로 설정해버리면 위 오류와 같은 저장장치 공간 부족 오류에 시달릴 수 있다.[21] MBR과 GPT가 있으며 두개 중 하나를 골라도 정상적으로 실행이 가능하지만 MBR 쪽이 권장된다. MBR 포맷은 제법 오래 전에 개발된 포맷이라 2TB까지밖에 지원하지 못하나 각종 저장장치와의 호환성이 높은 편이기에 오류를 내뿜을 가능성이 적다.[원문] Please release the power button. We just need a few
more seconds to shutdown (0% Complete)
[22] 하드디스크 자체로 발생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23] 부트 매니저에서 뜨는 코드 역시 0xc0000017이다.[24] 파일:c0000135 xp.jpgWindows xp에서 뜬 모습[25] 예시:sideu.ini[26] 구글링하면 사진이 넘쳐나는 c135 오류와는 달리 이건 단 하나도 나오지 않는다. 네이버에 c0000142로 검색해서 딱 1개 나왔다. 그 1개가 바로 이 사진이다.[27] 그렇다고 이 오류코드를 보기 위해 system32\\config\\SOFTWARE 파일을 삭제하더라도 이 오류코드가 아닌 0x00000074(부팅 파일 손상) 오류코드가 나온다. 이 오류 코드를 보기 위해서는 레지스트리 전체를 엉망진창으로 부숴버려야 한다. 반대로 말하자면 이 오류코드가 떴다는 건 레지스트리가 완전히 파괴되어 아무것도 할 수 있는 게 없다는 뜻으로 윈도우 재설치만이 유일한 해결책인 셈이다.[28] Windows XP에서 모든 권한이 없을 때도 뜬다. https://www.youtube.com/watch?v=q-3k8J40c6s&t=668s 에서 >키(프레임 단위로 이동)을 누르다 보면 나온다..[29] 예외가 발생한 파일 이름이 엄청나게 길어서 이렇게 표시되는 경우도 있다.[30] 시스템이 지정한 파일을 찾을 수 없습니다. 등등 과 같이 나오는데 메인보드가 개판나거나 이럴때는 글씨가 깨져서 나온다. 바로 밑에 서술할 0xc2e3 오류도 마찬가지다. [31] STATUS_UNSUCCESSFUL[32] 0xc2e2 오류코드와 비슷하게 여러가지거나, 깨져서 나오는 경우도 있다. [33] STATUS_TOO_LATE[34] 메모리 오류인 경우 이 문자열이 출력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생략되는 경우가 있다.[35] 이것조차 불가능하면 POST 통과 실패로 화면 없이 비프음만 들리거나, 부팅이 아예 되지 않을 것이다.[36] 오류를 인터넷에서 검색하라고 나와있는데 정작 인터넷에 검색해도 검색결과가 거의 안 나오며(후술) 심지어는 MS 공식 홈페이지에도 나와있지 않은(!) 오류코드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6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6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15:40:41에 나무위키 블루스크린/오류코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