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군의회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부여군




파일:부여군 CI.svg부여군의회⠀
원내 구성

[ 펼치기 · 접기 ]
제9대 의회
2022.7.1. ~ 2026.6.30.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4석, 군수 소속 정당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svg

6석

재적

10석






파일:지방의회 휘장_White.svg
부여군의회
扶餘郡議會 | Buyeo County Council

}}}
구성
단원제, 양당제
개회
1991년 4월 15일
주소
충청남도 부여군 사비로 33 (부여읍)
관할구역
충청남도 부여군
의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장성용 (나선거구)
부의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박순화 (가선거구)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의회 구성
2.1. 의회 분포 및 현황
3. 상세
3.1. 역대 선거 통계
4. 역대 의원
4.1. 1대 의원[1]
4.2. 2대 의원
4.3. 3대 의원
4.4. 4대 의원
4.5. 7대 의원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충청남도 부여군지방의회.

의사당은 부여읍 사비로 33에 위치한다.


2. 의회 구성[편집]



2.1. 의회 분포 및 현황[편집]



  • 제8대 부여군의회 의석 현황 (2020.08.23)
    • 재적: 10석 [2]
    • 교섭단체


3. 상세[편집]


1991년 제1대 지방의회 의원선거에 따라 부여군의회가 개원하였다. 의사당은 1991년 개원때부터 현재까지 지금의 위치에 위치해 있다.


3.1. 역대 선거 통계[편집]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
(총 재적 11석)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국민중심당|
파일:국민중심당 흰색 로고타입.svg
]]


[[무소속|
무소속
]]

6석
4석
1석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
(총 재적 11석)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자유선진당|
파일:자유선진당 흰색 로고타입.svg
]]

6석
5석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
(총 재적 11석)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9석
2석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
(총 재적 11석)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7석
4석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
(총 재적 11석)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6석
5석

4. 역대 의원[편집]



4.1. 1대 의원[3][편집]


  • 무소속: 홍사민, 임선묵, 윤종하, 태상준, 강진석, 김봉현, 박성순, 이종식, 신재덕, 이상철, 유병기, 이석규, 노영길, 조두연, 조붕구, 이청, 정복기


4.2. 2대 의원[편집]


  • 무소속: 장석만, 안홍진, 김정식, 김종근, 송정범, 한춘희, 현종범, 홍성원, 김영빈, 신재덕, 이상철, 박준성, 신영하, 노영길, 조두연, 임승순, 조익현, 이동휘


4.3. 3대 의원[편집]


  • 무소속: 신재덕, 박성순, 유재원, 송정범, 이재열, 김영욱, 유재욱, 최은기, 김영빈, 이철훈, 차충규, 박창규, 윤일중, 이정규, 조남극, 조익현, 김환규


4.4. 4대 의원[편집]


  • 무소속: 이시용, 유찬종, 박종근, 이재열, 김광현, 현종범, 박성순, 염수영, 신재덕, 정만교, 신태현, 박창규, 강용일, 김정은, 신현경, 임승용, 윤석정


4.5. 7대 의원[편집]


  • 자유한국당: 이경영, 이삼례, 김남호, 김종수, 조세연, 장성용, 이대현, 김태호, 정태영, 유정임, 박윤근
  • 더불어민주당: 송복섭


5.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5:03:23에 나무위키 부여군의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기부터 4기까진 기초자치단체의회의 의원들은 무조건 무소속이였다.[2] 박상우 군의원 사퇴로 인한 1석 공석[3] 1기부터 4기까진 기초자치단체의회의 의원들은 무조건 무소속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