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사 수신용 공용 휴대폰

덤프버전 :


1. 개요
2. 배경
3. 도입
4. 폐지



1. 개요[편집]


대한민국 국방부에서 시행한, 신분의 군인들을 위한 수신 전용 전화기 보급 정책.


2. 배경[편집]


병들은 부대 내부로 휴대전화를 포함한 전자기기의 반입이 금지되어 공중전화콜렉트콜 전용 단말을 통해서만 가족이나 지인들과 연락을 주고받을 수 있었다. 이 점에 대해 불편함이 꾸준히 지적되었으나 개선의 움직임은 보이지 않았는데, 2014년 발생한 제28보병사단 의무병 살인사건을 계기로 병영문화 혁신위가 출범하면서 부대 내 휴대전화 반입 허용이 본격적으로 추진되기 시작했다. 기사 다만 사건 직후에도 국방부에서는 병들의 휴대전화 반입 허용을 탐탁지 않게 생각했는지 병영문화 개선안에서는 이 사항이 한 차례 빠지게 되었는데 (기사), 이어진 찬반논쟁끝에 2015년에 절충안인 '공용 휴대폰 보급' 형태로 병영문화혁신 과제에 포함되면서 본격적인 사업이 시작되었다. 기사


3. 도입[편집]


  • 2015년 8월 나라장터해당 입찰건이 공지되었고, 개찰 결과 LG U+가 낙찰되었다. 서부전선 포격 사건에 감명받은 LG U+의 부회장이 단말과 망 운영비용을 전부 자사가 부담하게끔 입찰 지시를 내린 것이 배경이 되었다. 기사 [1]
  • 6월에 배포된 보도자료 시점에는 11월중으로 보급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실제로는 2016년 1월부터 운용되기 시작했다. 기사 부대에는 생활관 단위로 공급되었다.
  • 도입 기종은 LG Gentle을 기반으로 한 전용 모델로, 음성전화/문자메시지 수신과 제한적 문자메시지 발송 이외의 모든 기능이 삭제된 채로 일선에 공급되었다. 또한 케이스에 국방부 로고가 인쇄되어 있다. 이미지
    • 문자메시지는 발신자가 문구를 임의로 입력할 수 없고, '부대입니다. 전화주세요.', '아들입니다. 전화주세요.', '다음 주에 휴가 예정입니다.', '부대에 복귀했습니다.'와 같은 기본 설정된 문구로만 발송이 가능했다. 이와 같은 제한적 발송때문에 여러가지 짤방이 나오기도 했다. 예시

4. 폐지[편집]


2019년 4월부터 일과 후 병 개인 휴대전화 사용 정책이 시행되면서 수신용 휴대폰은 아무도 쳐다보지 않는 물건이 되었고, 결국 개인폰이 허용된 지 한 달도 되지 않아 사업 종료를 결정, 모든 기기를 회수하였다. 심지어 일부 부대에서는 공중전화 부스도 함께 철거했다. 과거 외부와의 소통을 위해 북새통을 이루던 사이버 지식 정보방이 병사폰 시행과 함께 인터넷 강의실로 변모한 것과 비슷하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16:24:05에 나무위키 병사 수신용 공용 휴대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입찰 시스템상 0원의 입력이 불가능하여, 상징적인 금액인 1원으로 입찰에 참여하였다고 한다.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