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시아(오라토리오)

덤프버전 :

1. 개요
2. 작곡
3. 연주 관행의 변천
4. 2부 합창곡 할렐루야
4.1. 기립해야 하는가?
4.2. 가사
4.3. 기타


1. 개요[편집]


헨델이 작곡한 오라토리오로 작품번호는 HWV 56이다.


2. 작곡[편집]


1741년 8월부터 9월까지 런던에서 작곡하였다. 24일이라는 빠른 속도로 작곡되었다. 7월에 텍스트를 받았고, 8월 22일 작곡을 시작하여 9월 14일에 작곡을 완료했다.

1742년 4월 13일 더블린의 그레이트 뮤직 홀에서 초연되었고 찬사를 받았다.


3. 연주 관행의 변천[편집]


초연 이후에 이 작품은 런던 코벤트 가든을 비롯한 대형 극장 뿐만아니라 병원과 성당의 자선음악회 등에서 그의 생전에 수십회 공연되었다. 1742년 더블린에서 초연되어 호평받은 이후 1743년 3월 코벤트 가든에서 런던 시민들에게 첫 선을 보였다. 하지만 코벤드 가든 같은 세속적인 극장에서 성스러운 작품을 연주한다는 것에 대해 일부 런던 평론가들이 비판을 하여 논쟁이 되었다. 때문에 이런 비난을 의식하여 헨델은 병원과 성당에서 자선연주회를 열어 이곡을 공연하였고 공연 수익을 기부하기도 했다. 여러 차례 공연을 하면서 헨델은 개작, 수정을 거듭했다. 일반적으로 1754년 병원에서 연주하기 위해 병원 사정에 맞게 개작한 판본이 스탠다드로 여겨지고 있다. 이 1754년 악보가 가장 오케스트레이션이 충실하게 기재된 악보이기 때문. 하지만 헨델은 악보에 남기지 않은 악기들도 여건에 따라 추가해서 연주했는데, 더블린 초연 등에서 악보에는 없지만 트롬본을 추가해서 연주한 기록이 있고, 오케스트레이션 가장 충실하게 기록되었다는 1754년 병원 공연에서도 악보에는 없는 호른 등을 추가해서 공연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공연을 거듭하면서 헨델은 편성을 여러 차례 변경했다. 1755년 이후에는 시력 장애 때문에 제자에게 공연을 일임했다. 이 작품은 헨델 생전에 런던 코벤트 가든에서 1743년부터 그가 사망하기 직전인 1759년까지 여러 차례 연주되었고 그 중에는 조지 2세의 참석으로 기립하는 관행이 생기게 된 연주도 있다. 당연히 코벤트 가든에서는 병원 공연보다 큰 규모로 연주되었을 것이라 추정되지만 정확한 기록이 남아있지 않다.

이후 이 작품은 악기의 발전과 오케스트라 편성의 변화 등과 맞물려 다른 작곡가들에 의해 오케스트레이션의 보강, 편곡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이후 헨델의 작품을 애호, 공부했던 모차르트는 1789년에 빈에서 공연하기 위해 독일어로 번안하고 고전주의 2관 관현악 편성에 맞추어 이 곡을 편곡했다. 이로인해 클라리넷, 호른 등 헨델의 원곡에는 없는 악기가 추가되었다. 앞선 시대에 작곡된 작품에 없던 새로운 악기를 추가하여 연주하는 것은 특별할 것이 없는 18세기의 관행이었다. 다만 모차르트의 편곡에서 트럼펫 연주는 오리지널보다 다소 간소화되었다. 이는 절대왕정의 약화로 궁정 음악가들이 많이 해고되어 뛰어난 금관악기 연주자들을 많이 고용할 수 없게 되어 버린 사정도 반영되어 있는 것이다. 이것은 헨델이 살아있을 당시에 기괴할 정도로 금관악기를 많이 동원한 관현악 작품이 작곡되었던 것과는 지극히 대조적으로, 기계식 밸브가 발명되기 이전까지 거의 해결되지 못했다. 이후에 메시아가 연주될 때 모차르트가 편곡한 표준 2관 편성의 오케스트레이션 악보가 많이 사용된 듯하며, 이후 1902년에는 에벤에셀 프라우트(Ebenezer Prout)의 편집판이 나왔고 20세기 초중반까지 대다수의 실제 공연에 채택되었다. 이 판본은 모차르트의 표준 2관 편성 오케스트레이션을 살리면서 모차르트가 고친 구절이나 간소화시킨 트럼펫의 화려한 기교 등을 원래대로 되돌린 일종의 절충판이었다. 19세기 후반 밸브 트럼펫이 개량되고 이에 따라 관이 짧고 피치가 높은 트럼펫이 발달하면서 모차르트 시대의 내츄럴 트럼펫보다 훨씬 정교한 연주가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1940년대에는 영국의 지휘자 토머스 비첨이 동료 음악가 유진 구센스(Eugene Goossens)에게 의뢰하여 대편성 오케스트라를 위해 오케스트레이션을 편곡한 버전으로 연주하여 각광을 받기도 했다. 모차르트나 프라우트가 발전된 오케스트라 편성에 맞게 보강 차원의 편곡을 했다면 구센스는 현대 오케스트라에 맞게 리오케스트레이션을 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1950년대부터 헨델의 오리지널 판본에 의한 레코딩이 늘면서 점차 대세가 되었다. 특히 1980년대 이후에는 시대연주의 붐이 일면서 오리지널 판본에 의거, 당대 악기에 의한 소규모 편성 연주가 대세가 되고 있다. 시대연주자들은 이것이 헨델의 원래 의도라고 주장하고 있다. 시대연주는 원보, 작곡가의 원래 의도, 당대의 연주 관행 등을 엄격히 따르고 재현한다고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어느 것 하나 제대로 맞지 않는다는 점이 문제다.

일단 정작 헨델 당대에는 이보다 대규모로 연주되었고 헨델도 사정이 허락되는 한 큰 규모로 공연하길 원했고 본인의 원보에 없는 악기도 임의로 집어넣어 연주하기도 했다. 헨델 뿐만 아니라 모차르트, 베토벤 등 고전주의 이전 작곡자들도 쩐의 문제 때문에 그렇지 가급적 대편성으로 연주하고 싶어했다. 모차르트는 자기 교향곡을 연주할 때 바순 주자 6명을 기용할 수 있게 되자 크게 기뻐하며 편지에까지 이를 기록했고, 베토벤도 만년에는 자신의 교향곡을 연주할 때 관악기 주자를 두 배로 늘려야 한다고 강력하게 요구해서 이를 어렵게 관철시키기도 했다.

시대연주는 정확히 악보대로만 연주하는 것은 아니고 당대의 관행이었다는 이유로 원보에 없는 트럼펫, 팀파니 등의 화려한 애드립을 집어 넣는 경우가 많은데 이게 애드립을 넘어 하나의 솔로 패시지로 확대되는 경우도 있는데, 과도한 시도로 음악의 흐름을 깨는 경우도 적지 않다.

또 요즘 시대연주처럼 지극히 깔끔하고 패시지마다 음을 정교하게 조탁하며 과도한 감정 표현을 억제하는 연주 스타일은 오히려 원래 시대의 연주 스타일과 정반대일 것이라는 추측이 많다. 고전주의 이전에는 전문 연주자와 아마추어 연주자의 경계가 뚜렷하지 않았다. 베토벤 시절에도 규모가 큰 작품을 연주할 때 아마추어 연주자들까지 동원해서 연주한 사례는 흔히 발견된다. 지금보다 악기 성능이 심하게 떨어지고, 연주자의 수준도 오늘날에 비하면 많이 떨어지던 시절의 연주는 음의 섬세한 조탁보다는 음정이 다소 안맞더라도 연주자들의 감정 표출과 몰입에 더 적극적으로 의존하는 연주 형태였을 것이라는 것이다.

클래식 전문 연주 단체들은 원전판을 주로 사용하는 추세지만, 전문 공연 단체가 아닌 교회, 성당, 혹은 합창단의 연주회에서는 기존의 프라우트 편곡판 등이 여전히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를테면 크리스마스 전후로 헨델의 메시아를 자주 공연하는 미국 각지의 개신교 교회나 대학 합창단 공연에서는 사정이 2관 편성 개작판의 연주도 흔히 볼 수 있다.

또 전문 공연단체들의 경우에도 모차르트, 프라우트, 구센스 등의 편집판을 사용하는 경우도 여전히 존재한다. 또 독자적으로 오케스트레이션을 보강한 새로운 버전도 종종 등장하는데, 앤드류 데이비스 등은 자신이 독자적인 오케스트레이션으로 녹음하기도 했는데, 데이비스는 구센스판을 넘어서서 현대적 오케스트라의 다채로운 관현악 음색을 덧붙였다.

시대연주 장면을 보면, 근대 이후에 개량되기 이전의 악기인 내추럴 트럼펫 및 반원형 활을 사용하는 현악기를 볼 수 있다.



4. 2부 합창곡 할렐루야[편집]





보이 소프라노가 참여하는 영상. 일반적인 성인 여성 목소리의 소프라노와는 많이 다른 느낌이다. 보이소프라노가 존재하는 이유 중 하나가 이것. 게다가 헨델 당시에는 보이소프라노가 꽤 흔했다.

2부의 합창곡으로, 할렐루야 코러스(Hallelujah chorus)라고도 불린다. 예수가 부활한 것의 기쁨을 나타내는 곡으로, 부활절에 많이 연주된다.

4.1. 기립해야 하는가?[편집]


파일:539w.jpg

"일어나기를 단호하게 거부하는 세속주의자들과, 독기를 품은 눈빛으로 그들을 힐책하는 전통주의자들 사이의 소리 없는 결전."

"A silent showdown between the secularists who resolutely refuse to stand . . . and the traditionalists who rebuke them with looks of poison."

 

《Globe》, Michael Steinberg, 음악평론가


세계적으로 유명한 불문율 중 하나. 할렐루야 합창이 연주될 때에는 관객들이 자리에서 일어나야 한다는 전통이다. 그러나 오늘날 이 기립하는 전통 자체가 도전받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먼저, 기립하는 전통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왕실에 대한 경의 표시. 1742년 런던에서 메시아가 처음으로 연주될 때, 이 할렐루야 부분에서 영국의 왕 조지 2세가 감격한 나머지 저도 모르게 벌떡 일어섰다는 이야기가 있다. 지금까지 내려오는 영국 왕실 예법상 국왕이 일어나면 국민들도 다 따라서 일어나야 했고, 이 이후로 메시아 연주를 들을 때 할렐루야 부분에서는 청중이 모두 기립하는 것이 불문율이 되었다.

가장 오래 된 국왕 기록의 근거는 〈메시아〉런던 초연일로부터 37년 후 J.Beattie라는 사람이 쓴 편지에서 "국왕께서 우연히 그 자리에 계시다가 일어나 서 계셨고… 이것이 관행이 된 것이다" 라는 언급이 확인된다. 그 외에 다른 출전에서는 국왕이 암행하고 있던 중이었다고도 전한다.

하지만 정작 국왕이 메시아 초연에 참석했다는 기록이 없다. 신문 기록과 초연 참석 관객들의 당시 증언을 찾아봐도 국왕이 그 자리에서 헨델의 작품을 관람했다는 사료는 찾아볼 수 없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 암행을 해서 그렇지 않겠냐고도 하지만, 그렇게 치면 다른 사람들이 다 따라서 일어났다는 상황 자체가 설명이 불가능하다.

둘째, 신앙적인 존숭의 의미. 이미 헨델이 오라토리오를 초연할 때부터 몇몇 비평가들은 "성당에서 공연하는 게 더 어울렸을 오라토리오" 라고 평가하기도 했었다. 빅토리아 시대의 전기작가들도 "헨델이 메시아를 작곡하면서 하늘의 문이 열리는 것과 위대하신 하느님의 모습을 보았다" 고 기록했을 만큼 종교적인 의미가 크다는 것이다. 가톨릭 교회를 비롯한 정교회, 성공회 등 예전을 중시하고 보편교회를 표방하는 교파에서는, 미사나 예배 중에 복음을 전하기 전에 알렐루야를 일어나서 외치는 차례가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이 곡에서도 기립을 하는 것이 신도들에게는 익숙하게 느껴질 수 있다.

다만 세속 국가에서까지 모든 관객들에게 자리에서 일어남으로써 하느님에 대한 경의를 표하도록 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그리스도교 신자들은 충분히 그런 의미에서 자리에서 일어날 수 있어도, 타 종교 신자들이나 종교가 없는 사람들에게까지 강요할 수는 없다는 것.

셋째, 단순히 전통에 대한 존중. 그냥 그것이 불문율이고 지금까지 줄곧 그렇게 해 왔을 뿐이라는 것이다. 무슨 의미를 부여해야 한다면, 그것이 그저 "헨델의 메시아가 연주되고 있기 때문에" 정도일 뿐이지, 그 이상 무슨 왕가에 대해서나 하느님에 대해서나 경의를 표할 것까지는 없다는 것이다. 자리에서 일어나는 행위는 그냥 할렐루야 합창이 연주되는 것의 한 일부분일 뿐이라는 것.

그러나 헨델 당시에 이미 영국에서는 다양한 합창곡이 불릴 때 기립하는 전통이 있었다. 예를 들어 헨델의 다른 오라토리오 《사울》 중 〈죽음의 행진〉 파트에서도 관객들이 기립했다는 기록이 있다. 그러나 유독 할렐루야 합창만 기립하는 전통이 끝까지 남게 된 것은, 단순히 선대의 관객들이 기립했기에 기립하는 것이라고 보기에는 설명이 부족하다. 종교적이든 왕실에 대한 존중이든 간에 다른 이유가 있다는 것. 그리고 지금까지 그렇게 해 왔기에 앞으로도 그렇게 해야 한다는 것은 전통주의자들에게는 설득력이 있을지 몰라도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납득할 수 없는 이유일 뿐이다.

확실한 것은, 이와 같은 기립하는 전통은 영국에서 시작되어 미국으로 전래되고 세상에 널리 알려진 전통이며, 그것을 그대로 따르는 것도 물론 가능하지만 자리에 앉아 있음으로써 그것을 거부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자리에서 일어나는 전통은 말 그대로 "전통" 일 뿐이지 무슨 제도화된 약속도 아니고 강요도 아니며, 그저 과거에는 불문율이었다가 오늘날에는 전적으로 개인의 선택에 맡겨진 문제라는 것이다. 따라서 일어나지 않는 사람에게, 혹은 일어나는 사람에게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을 요구할 수는 없을 것이다.


4.2. 가사[편집]


가사는 다음과 같다.

Hallelujah (×10)

할렐루야(×10)

 

For the Lord God omnipotent reigneth

Hallelujah (×4)

전능의 주가 다스리신다

할렐루야(×4)

 

For the Lord God omnipotent reigneth

Hallelujah (×4)

전능의 주가 다스리신다

할렐루야(×4)

 

For the Lord God omnipotent reigneth

Hallelujah (×4)

전능의 주가 다스리신다

할렐루야 (×4)

 

Hallelujah (×8)

(For the Lord God omnipotent reigneth)

Hallelujah (×4)

할렐루야(×8)

(전능의 주가 다스리신다)

할렐루야(×4)

 

For the Lord God omnipotent reigneth

(Hallelujah (×4))

전능의 주가 다스리신다

(할렐루야 (×4))

The kingdom of this world will become

the kingdom of our Lord,

and of His Christ (×2)

이 세상 나라들 영원히

주와(성부) 그의 그리스도(성자) 다스리는 나라가 되고 (주 다스리시는 나라되고 나라되고, 번역상 이게 맞는 번역이다)

 

And he shall reign forever and ever (×4)

또 주가 길이 다스리시리(×4)

 

King of kings

(Forever and ever hallelujah hallelujah)

왕의 왕

(영원히 영원히 할렐루야 할렐루야)

 

And Lord of lords

(Forever and ever hallelujah hallelujah)

또 주의 주

(영원히 영원히 할렐루야 할렐루야)

 

King of kings

(Forever and ever hallelujah hallelujah)

왕의 왕

(영원히 영원히 할렐루야 할렐루야)

 

And Lord of lords

(Forever and ever hallelujah hallelujah)

또 주의 주

(영원히 영원히 할렐루야 할렐루야) 

King of kings

(Forever and ever hallelujah hallelujah)

왕의 왕

(영원히 영원히 할렐루야 할렐루야)

And Lord of lords

King of kings and Lord of lords

또 주의 주

왕의 왕 또 주의 주 

And He shall reign

He shall reign (×4)

Forever and ever

또 주가 길이 다스리시리

영원히 

King of kings (Forever and ever)

And Lord of lords (Hallelujah hallelujah)

And He shall reign forever and ever

왕의 왕 (영원히 영원히)

또 주의 주(할렐루야 할렐루야)

또 주가 길이 다스리시리

King of kings and Lord of lords (×2)

And He shall reign forever and ever

왕의 왕 또 주의 주 (×2)

또 주가 길이 다스리시리 영원히

 

Forever and ever and ever and ever

(King of kings and Lord of lords)

Hallelujah (×4)

Hallelujah!

영원히 영원히 영원히 영원히

(왕의 왕 또 주의 주)

할렐루야 (×4)

할렐루야!


4.3. 기타[편집]




  • 신세기 에반게리온에서 15사도 아라엘소류 아스카 랑그레이에게 끔찍한 환각을 보여주는 빛빛열매 먹은 아라엘빛을 쏘면서 배경음악으로 깔린다. 과거의 상처들로 인해 비명을 지르며 괴로워하는 아스카의 모습과, 그와는 대비되게 종교적 환희에 가득찬 분위기의 음악이 매우 섬뜩한 조화를 이룬다.





  • 슈베르트의 3개의 피아노 소품 D.946 중 첫 곡에, 메시아 1부 중 제2곡의 선율이 인용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2;"
, 2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2;"
, 2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29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2.1;"
, 2.1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29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2.1;"
, 2.1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7 16:29:59에 나무위키 메시아(오라토리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