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중독

덤프버전 :

분류

1. 개요
2. 위험성
3. 디지털 디톡스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디지털 매체에 중독되는 것...이지만 아직 실재 여부가 확실치 않은 질병이다.


2. 위험성[편집]


중독의 원리는 도파민에 존재한다. 뇌는 새로운 것을 받아들일 때마다 반응하고, 이것이 즐거우면 그 자극이 강화된다. 양의 되먹임고리가 굴러가기 시작하면 어느새 중독되어 있는 것이다.

디지털 세계에 중독되어 지나친 시간을 할애하는 바람에 일상 생활에 지장이 생길 정도라면 당장 상담을 받거나 정신과에 방문해야 하며, 이 밖에도 기억력, 집중력, 체력, 시력, 현실적 사회성 감퇴, 거북목 등 다양한 문제를 불러일으킨다.

물론 유별나게 중독된다면 분명 특별한 원인이 있을 테고 그걸 치유하는 게 먼저겠지만, 디지털 중독은 대부분의 인류가 취약함을 보인다는 점에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폰은 언제나 함께하는 필수품처럼 되어버렸기 때문에, 더더욱 중독되기가 쉽다.


3. 디지털 디톡스[편집]


디지털을 마약과 같은 중독성을 가진 것으로 보고, 이를 머릿속에서 빼내겠다는 것. 구체적인 실천방법은 다음과 같다.

  • 한동안 디지털 매체를 아예 끊어서 의존성을 줄인다.[1]
  • 어떤 목적과 시간을 분명히 정해놓고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다.
  • 크롬, 스마트폰에서 쓸 수 있는 'Stayfocused' 같은 사용시간 제한 프로그램을 활용해서 특히 위험한 앱 사용을 자제하거나, 아예 일정 시간 동안엔 열어볼 수조차 없도록 한다.
  • 열공시간 같은 앱을 활용해 시간 관리를 한다.

4.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21:25:20에 나무위키 디지털 중독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대한민국 국군에서 병사로서 복무한다면 행정병이 아닌 이상 사지방, 출타를 제외하고는 디지털 매체에 접근하기 불가능하므로 디지털 디톡스에 도움이 됐지만, 2019년 복지의 일환으로 일과 후 스마트폰 사용을 허가하면서 옛말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