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방송/프로그램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동양방송

1. 개요
3. 라디오 프로그램
3.1. 동양라디오 (TBC-AM)
3.1.1. 정규 프로그램 일람
3.1.1.1. 뉴스
3.1.1.1.1. 종합뉴스
3.1.1.2. 드라마
3.1.1.3. 음악·오락
3.1.2. 특집 프로그램 일람
3.2. 동양FM방송 (TBC-FM)
3.2.1. 정규 프로그램 일람



1. 개요[편집]


동양방송의 TV 및 라디오 프로그램을 서술한 문서. 프로그램과 관련된 자세한 사진과 당시 자료는 이 블로그에서 볼 수 있다. 2012년 JTBC에서는 <TBC 추억여행> 이라는 프로그램을 편성하여 과거 동양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공개하기도 했다. 홈페이지

2. 동양텔레비전 (TBC-TV)[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동양텔레비전/프로그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라디오 프로그램[편집]


주로 AM은 뉴스와 정보를 중심으로 한 프로그램을 편성했고, FM은 음악과 오락을 중심으로 한 프로그램들을 편성했었다.

3.1. 동양라디오 (TBC-AM)[편집]



3.1.1. 정규 프로그램 일람[편집]



3.1.1.1. 뉴스[편집]


3.1.1.1.1. 종합뉴스[편집]

분류
제목
시작연도
종영연도

종합뉴스
뉴스전망대[1]


#(1978년 4월 8일)
#(1979년 10월 27일[2])
#(1980년 7월 14일)
저녁뉴스
뉴스 기상도[3]


#(1980년 5월 22일[4])

3.1.1.2. 드라마[편집]

분류
제목
시작연도
종영연도

아차부인 재치부인[5]


#
#
형사


추적


여인극장


목격자


소설극장


SF극장


소년극장


인물 현대사



3.1.1.3. 음악·오락[편집]

제목
시작연도
종영연도

밤을 잊은 그대에게
1964
1980
#(1980년 7월 16일)
#(1980년 11월 30일)
가로수를 누비며[7]


안녕하세요 황인용·강부자입니다[8]


#
임성훈의 가요대행진[9]


허참의 가요앙코르[10]


노래하는 곳에[11]


#
이브의 연가


이덕화, 문지현 쇼


밤의 데이트



3.1.2. 특집 프로그램 일람[편집]


  • 불우이웃돕기 캠페인 - 1976년 12월 24일 방송.
  • 통일기원건강마라톤대회 - 1978년과 1979년에 치러졌다.
  • 젊은이의 싸이클 대행진 - ###
  • TBC 신인가요제 - TBC 젊은이의 가요제에 이어 신설한 가요제. 하지만 언론통폐합으로 인해 1회만에 폐지되었다(...).

3.2. 동양FM방송 (TBC-FM)[편집]



3.2.1. 정규 프로그램 일람[편집]


제목
시작연도
종영연도

새 아침의 서곡


가곡산책


희망의 샘터


TBC 기타교실


FM대행진[12]
1975
1980
#(1980년 6월 30일)
가정희망음악


클래식 살롱


가요앨범[13]


#(1977년 12월 21일)
#(1978년 2월 12일)
#(1979년 10월 6일)
클래식 다이얼[14]


#(1978년 5월 13일)
뮤직살롱


#(1978년 12월 18일)
오후의 데이트


3시의 희망음악


7시에 만납시다


새아침의 멜로디


안녕하세요 한순옥입니다[15]


#(1980년 5월 1일)
정오의 팝송[16]


#(1979년 10월 11일[17])
FM 가요대행진[18]


#(1980년 5월 1일)
탑튠쇼[19]


# (1980년 4월 29일)
팝스 다이얼


추억의 팝송


7시의 데이트[20]


#(1979년 12월 31일[22])
#(1980년 11월 30일)[23])
밤의 다이얼[24]


# (1980년 5월 1일)
영화음악실[25]


#(1979년 10월 12일)
밤하늘의 멜로디[26]


#(1980년 4월 30일)
#(1980년 11월 30일[27])
일레븐 팝스[28]


#(1980년 4월 28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0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11;"
, 11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0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11;"
, 11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05:54:44에 나무위키 동양방송/프로그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 당시 전국에서 사실은 수도권과 영호남일부지역이다.인기를 달리던 아침 8시 라디오 뉴스쇼 프로그램이다. 출근길이라면 거의 모든 대중교통에서 들을 수 있었다고 한다. 어찌보면 시선집중 같은 라디오 뉴스쇼의 원조격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1980년 당시 봉두완 논평위원이 월/목, 김성호 정경부장이 화/금, 박종세 방송위원이 수/토, 성대석 기자가 일요일 진행을 맡았고, 특히 봉두완 위원은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진행방식으로 뉴스전망대 인기의 1등 공신이 되었다.[2] 썸네일부터 범상치 않고 영상 시작부터 모차르트 레퀴엠의 선율을 들을 수 있는데, 그렇다. 10.26 사태 바로 다음 날 아침이었다. 국가원수자기 부하의 총에 맞아 죽은 초유의 사태였기에 유튜브 업로더가 녹음을 해 두어서 방송자료가 남아있게 된 것이다.[3] 저녁 7시 라디오 종합뉴스 프로그램. 인터뷰와 대담, 해설 중심의 뉴스 전망대와는 달리 아나운서의 뉴스 기사 낭독과 기자의 리포트를 중심으로 한 스트레이트 뉴스 프로그램이었다. 당시에는 저녁TV뉴스 수중계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사실상 이 뉴스가 라디오 메인뉴스 역할을 했다.(TV뉴스 수중계는 90년대에 MBC가 뉴스데스크를 수중계하면서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다.)[4] 듣다보면 광주라는 단어가 유난히 많이 들리는데, 그렇다. 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신군부의 날조된 발표를 그대로 보도한 것이다! 물론 당시 상황상 외부 언론이 정확한 상황을 취재도, 보도도 할수 없었지만 어떤 상황인지는 대략 짐작은 했었고, KBS와 MBC는 지역 방송국을 두고 있었고 TBC도 전일방송이라는 협력 회사가 있었기 때문에 어쨌든 잠입 취재 자체는 가능한 상황이기는 했다. 실제로 기자 몇 명이 현장에 잠입해 시위 현장을 카메라에 담았으나, 보도 검열로 인해 전파를 타지 못했고, 31년 뒤 JTBC 개국과 함께 최초로 공개한다 그러나 이 때 취재한 영상물의 경우에는 그나마 광주의 상황이 상세히 전해졌던 5월 21일 오후를 제외하면 철저하게 일부만 왜곡 편집되어 보도되었으며, 6월 항쟁이 끝나고 나서야 KBS를 통해 5.18에 대한 진상이 제대로 보도될 수 있었다. 언론통폐합으로 회사 자체가 KBS에 편입되었기 때문에 영상물도 KBS로 이전되었기 때문. 그나마 외신에서 필사의 각오로 광주에 잠입해 취재를 하여 전 세계로 퍼질 수 있었다.[5] 역시 개국과 함께한 라디오 코미디 드라마. 사실 일본 TBS 라디오의 '사야카리부인과 우카리부인(チャッカリ夫人とウッカリ夫人)'을 모방한 방송이다. 폐국 후에도 KBS에서 계속 방송하였다.[6] 300회 특집 공개방송 당시 모습이다. 참고로 1980년 11월 30일 이후 모습은 이렇다. 로고를 혼용한 걸로 봐서는 1984년쯤으로 추정된다.[7] 개국과 함께 시작한 교통정보방송. 특이하게 매주 일요일마다 공개방송을 진행하였고[6], 아침에 한번, 점심때 한번, 저녁에 또 한번 이렇게 3번씩 나누어 진행했다. 송해가 DJ를 맡았다. 아들이 오토바이 교통사고로 사망한 이후로 충격을 크게 받아 그만둔 방송이 바로 이 프로그램이다. 언론통폐합 후에도 KBS 제3방송에서 이어서 방송하다가 KBS 라디오서울로 넘어가서 방송이 이어졌으며, 라디오서울 폐국 후 KBS 제2라디오로 이전했다. 이후 2001년 6월에 종영.[8] 1978년 봄 개편으로 탄생한 프로그램으로, 황인용, 강부자는 언론통폐합 이후 KBS 제2라디오에서 1992년까지 계속 방송되었다. 이후 황인용, 서승현김홍신, 김수미 → 황인용, 김미화노주현, 김연주 → 노주현, 왕영은정한용, 왕영은 등, 프로그램 제목과 출연자를 바꿔가다가, 2005년에 종영되었다. 프로그램 시그널은 리차드 클레이더만의 ping pong sous les arbres 이었다. #[9] 폐국 직전까지 방송된 정오 시간대 프로그램. 1980년 7월까지 최미나와 공동으로 진행했다.[10] 폐국 직전까지 방송된 오후 2시대 프로그램.[11] 밤 8시부터 9시까지 방송. 해당 녹음본은 1978년 2월 10일 방송분이며 공개방송을 녹음한 것. 가수 김만수가 진행했다.[12] 아침 7시~9시까지 방송된 아침 프로그램. 언론통폐합 이후에도 폐지되지 않고 현재도 KBS 2FM에서 계속 같은 시간에 방송되는 장수 프로그램. 동양방송 시절에 쓰인 시그널은 Bert Kaempfert 악단이 연주하는 Zambesi 다. #[13] 오후 1시부터 2시까지 방송된 최신 가요 프로그램. 시그널 음악은 Will Glahé 악단이 연주한 Wenzel-Polka다.#[14] 이재명 아나운서가 진행했던 클래식 전문 프로그램. 오후 2시부터 3시까지 방송되었다.[15] 한순옥 아나운서가 진행했던 클래식 음악 프로그램. 오전 9시~11시까지 방송. 시그널 음악은 Roger Whittaker가 연주한 The Rising Of The Lark (whistling)이다. #[16] 이희옥 아나운서가 진행했던 팝 음악 프로그램. 정오부터 오후 1시까지 방송. 시그널 음악은 Ray Conniff의 Popsy.# 1980년 11월 30일 마지막 방송을 마무리하면서 진행자인 이희옥 아나운서가 시그널 음악 연주자와 제목을 알려주었던 일화가 있다.[17] 원래는 동영상이 있었으나,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 측에서 동영상에 수록된 시그널 음악을 문제삼아 해당 동영상을 삭제하는 바람에 영상이 없다.[18] 오후 1시부터 3시까지 방송되었다. 언론통폐합 이후에 잠시 폐지되었다가 다시 부활했고, DJ도 TBC 시절과 똑같이 정소녀와 장제훈이 맡았다.[19] 김광한이 진행했었던 최신 팝 프로그램. 오후 3시부터 4시까지 방송.[20] 한때 김창완, 장미선의 듀엣으로 진행했다. 저녁 7시~8시까지 방송.[21] 후에 해바라기의 3기 맴버로 활약한다.[22] 링크된 음원은 1979년 12월 31일 저녁 7시에 연말 특집 프로그램으로 편성한 '사랑의 듀엣 쇼' 실황 녹음. 생방송은 아니고 사전 녹음된 방송이다. 1970년대 FM 스테레오 방송, 그것도 실황을 녹음한 것이니 헤드폰이나 이어폰으로 들어보자. 이 '사랑의 듀엣 쇼'의 입상곡들은 이듬해인 1980년에 음반으로 출시되기도 했다. 대상은 김정환 이현숙 듀엣이 부른 '젊은 나무들'이지만, 가장 유명한 노래는 심명기[21]와 조채환이 부른 '꽃과 어린왕자'이다.초딩때 다 들어봤을껄?[23] 그동안 방송되었던 7시의 데이트의 하이라이트를 엮어서 소개해 주는 고별특집 방송. 마지막에 장미선씨가 울먹이는 부분에서 가슴이 짠~해진다. (...) 전두환 개객끼[24] 고영수 씨가 진행했던 최신 팝 음악 프로그램. 저녁 8시부터 9시까지 방송.[25] 심야 영화음악 프로그램. 같은 시간대에 MBC-FM에서는 임국희 아나운서가 진행하는 '임국희의 한밤의 데이트 1부'가 이 프로그램과 경쟁했다. 1979년에는 김세원 씨가 진행했고 1980년에는 홍승혜 아나운서로 진행자가 바뀌었다. 통폐합 후 KBS 2FM으로 이어졌고, 80년대 중반 김세원 씨가 DJ로 복귀한 적이 있었다. 밤 10시부터 11시까지 방송. 시그널 음악은 Caravelli 오케스트라가 연주한 Jeux Interdits (영화 '금지된 장난' 중 로망스)이다. #[26] 배한성이 진행했던 심야 프로그램. 밤 11시부터 다음날 새벽 1시까지 2시간동안 방송.[27] 링크된 음원은 TBC-FM 최후의 날인 1980년 11월 30일 밤 11시에 방송된 동양FM의 마지막 방송이자 동양방송 전체로도 최후의 방송이다. 그래서 이 날은 배한성 뿐만이 아니라 이수만과 최희선 아나운서도 출연했다. 시그널 음악은 Franck Pourcel 악단이 연주한 Mr. Lonely다. #[28] 오전 11시부터 12시까지 방송한 팝 음악 프로그램. 이수만과 최희선 아나운서가 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