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필립

덤프버전 :



김필립
金必立 | Philip Kim

파일:김필립.jpg
출생
1968년 (56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국적
[[대한민국|

대한민국
display: none; display: 대한민국"
행정구
]]

학력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학 / 학사) (1990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물리학 / 석사 (1992년)[1]
하버드 대학교 대학원 (응용물리학 / Ph.D.) (1999년)
경력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물리학과 연구원
컬럼비아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현직
하버드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2]
수상
2008년 제18회 호암상 과학상
2011년 제6회 자랑스러운 한국인상
2023년 벤저민 프랭클린 메달

1. 개요
2. 업적



1. 개요[편집]


김필립은 대한민국 국적의 하버드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이다.

그래핀의 선구적 연구 업적으로 2023년 '미국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벤저민 프랭클린 메달'을 수상했다.#

본명이 한자 이름 필립(必立)이다.


2. 업적[편집]


김필립 교수도 그래핀 분야의 권위자로, AFM[3] 등을 이용해 그래핀에 가까운 무언가를 얻어냈고 이후로도 왕성한 활동을 했다.

그러나 AFM으로 분리한 물건은 그래핀이라기엔 너무 두껍고 활동 자체도 Novoselov-Geim에 비해서 뒤떨어진다고 봤는지 한국 최초로 노벨상 과학 분야 수상을 하지는 못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7 04:37:40에 나무위키 김필립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석사 학위 논문: STM을 이용한 Y₁Ba₂Cu₃O₇ 고온초전도체 박막의 연구[2] 응용물리학 박사 프로그램 교수[3] Atomic Force Microscope, 쉽게 말하면 원자크기 탐침으로, 작동 원리는 LP용 축음기에서 바늘이 하는 역할을 생각하면 비슷하다. 원래는 측정용 기술 및 장비인데 Tip 끝을 기존의 Si같이 잘 부숴지지 않게 만든것에서 그라파이트로 바꾸는 마개조를 하였다. 자세한 것은 김필립교수의 15분짜리 스피치를 통해 확인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