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버스(서울)

최근 편집일시 :







파일:bus_plus_9401.jpg

9401번 광역버스의 운행 모습[1]

파일:서울 광역버스 노선도.png

서울 광역버스 노선도[2]

1. 개요
2. 범례
3. 유의
4. 운행 노선
4.1. 4권역 기점: 경기도 성남시
4.2. 7권역 기점: 경기도 고양시, 파주시[3]



1. 개요[편집]


서울특별시에서 인가하고 운영하는 버스로, 2004년 7월 대중교통 개편 당시 서울특별시 외부로 나가는 기존의 좌석버스를 광역버스[4]라는 분류로 통합한다.[5][6] 지선버스와 마찬가지로 4자리 숫자로 되어있고 간선버스와 같이 3자리 행선지가 새겨져 있으며 바탕색은 연한 빨강색이고 겉면에 영어 머릿글자 RED의 R이 새겨져 있다.

고속(화)도로를 경유하는 9401번, 9404번, 9409번, 9707번, 9711번은 사실상 직행좌석버스에 해당되고, 고속(화)도로를 경유하지 않고 노선상의 거의 모든 정류소에 정차하는 9403번, 9408번, 9701번, 9703번은 사실상 일반좌석버스에 해당된다.[7]

광역버스 번호체계는 9 + 기점권역 + 일련번호 2자리로 한다. 간선버스, 지선버스와 달리 도착지 권역의 번호가 들어가지 않는다.

현재 요금은 2015년 6월 27일 이후로 일반 교통카드 기준 2,300원.
2004년 7월 개편 당시에는 다른 노선과는 달리 환승할인 혜택이 없었기 때문에 교통카드로 환승해도 기본요금을 징수했다. 2008년 9월 20일부터는 간선 및 지선, 순환버스에서 환승해도 환승할인을 받을 수 있도록 개선되었다.

서울특별시는 시내버스 준공영제를 운영하다보니 시내버스 운행으로 인한 손실을 보조금으로 메워주고 있다. 그런데 광역버스를 이용하는 승객의 대부분은 경기도민이다. 즉, 서울시민에게서 받은 세금을 경기도민을 위해 써야 하는 것.[8] 게다가 버스회사에 지급하는 보조금이 해마다 늘어나자 어떻게든 광역버스를 경기버스로 이관 시키거나 폐선 시키고있다.[9]

서울시청에서도 광역버스를 살리기 위해 애쓰고 있다고는 하지만 #, 실제로는 1, 2, 3, 5, 6권역에 현재 광역버스 노선이 단 하나도 살아남지 못하고 간선버스로 형간전환되거나 경기버스로 이관된 상태다. 개편 당시 43개에 달했던 광역버스가 현재는 10개밖에 남지 않았고 이 과정은 7권역 광역버스의 감차로 현재진행형이다.

일부 지역에서는 간선버스 및 지선버스 정류장과 함께 승차할 수 있는 정류장이 있지만 아예 간선버스 및 지선버스와 따로 떨어져있는 광역버스 전용 정류장이 있기도 하였다. 중앙버스전용차로에서는 지역에 관계없이 한 정류장에서 승차할 수 있다.

4권역 광역버스는 모두 현대 유니버스, 자일대우버스 FX같은 고급좌석버스가 투입되는 반면 7권역 광역버스는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좌석형 버스가 투입되어 차급 다운그레이드에 일조하고 있다.

2. 범례[편집]


  • 표 우측의 배차란은 분 단위로 표시하되, 배차간격이 긴 경우에는 횟수로 표시합니다.


3. 유의[편집]


준공영제의 특성상 개별 노선의 흑자, 적자 여부는 서울특별시 관계자 이외에는 정확하게 알 수 없으므로 개별 노선 문서에 나와 있는 일일 승객 수 통계는 참고 자료 이상의 의미를 지니지 못한다.


4. 운행 노선[편집]



4.1. 4권역 기점: 경기도 성남시[편집]


번호
기점
종점
경유지
배차(분)
입석금지
9401
구미동
서울역
푸른마을 - 효자촌 - 이매촌 - 판교역 - 경부고속도로 - 한남대교 - 서울백병원 - 종로2가
1~12
O [10]
9403
동대문
효자촌 - 야탑역 - 송파역 - 잠실역 - 군자교 - 신설동역
7~13
X
9404
신사역
계원예고 - 분당구청 - 내곡터널 - 양재역 - 강남역
6~10
O
9408
영등포역
중앙공원 - 야탑역 - 고등동 - 양재역 - 강남역 - 고속터미널 - 노량진역
10~14
X
9409
신사역
오리역 - 미금역 - 대장지구 - 화랑공원 - 내곡터널 - 양재역 - 강남역
20~30
O


4.2. 7권역 기점: 경기도 고양시, 파주시[11][편집]


번호
기점
종점
경유지
배차(분)
입석금지
9701
일산 가좌동
회현역
덕이동 - 대화역 - 덕양구청 - 원당역 - 서오릉 - 홍제역
10~26
X
9703
탄현역
숭례문
탄현동 - 중산동 - 원당역 - 구파발 - 불광역 - 광화문
16~25
X
9707
일산 가좌동
영등포
대화역 - 마두역 - 능곡역 - 난지한강공원 - 당산역
4~16
O
9711
일산동부경찰서
양재시민의숲
마두역 - 서정마을 - 서울월드컵경기장 - 한남대교 - 강남역
12~20
O
9714
파주 교하동
숭례문
대화역 - 마두역 - 행신동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연세대
30~70
X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3 23:33:51에 나무위키 광역버스(서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해당 노선은 서울 광역버스 인가대수 1위, 이용객수 1위 노선이며 특히 서울시내버스 유일의 고속도로 경유 노선이다.[2] 9409번 개통 이전에 제작되어서 9409번은 표시되어 있지 않으며, 9711A번은 번호가 9711번으로 바뀌고 킨텍스와 탄현동 구간이 잘렸으며, 9703번도 마찬가지로 킨텍스 구간이 잘렸다.[3] 공교롭게도 파주시민들의 발이 되어 주는 노선은 모두 경기면허로 이관되었고 9714 하나만 남았다.[4] 개념은 서울 부도심.도심과 수도권을 급행하는 형태의 노선이다.[5] 서울 시내 구간만 운행하는 좌석버스는 모두 입석버스인 간선버스로 전환되었다.[6] 별도의 카테고리가 아닌, 기존과 같은 좌석버스로 분류되어 있다.[7] 9714번도 고속(화)도로를 경유하진 않지만, 일부 정류소에만 정차하기 때문에 간선급행버스에 해당된다.[8] 다만 서울 버스 9401처럼 서울 시민이 성남시 분당,판교로 출퇴근 하는 경우도 있다.[9] 번호까지 그대로 경기도 면허로 이관된 경우는 9301번, 9407번, 9709번이 있다.[10] 다만 실제로는 사실상 모든 차량이 입석을 받는다. 애초에 사람이 너무 많아서 입석을 안 받을 수가 없다.[11] 공교롭게도 파주시민들의 발이 되어 주는 노선은 모두 경기면허로 이관되었고 9714 하나만 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