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동로(송)

덤프버전 :



경동로 京東路

1. 개요
2. 역사
3. 행정구역
3.1. 경동동로(京東東路)
3.1.1. 청주(靑州)
3.1.2. 밀주(密州)
3.1.3. 제남부(濟南府)
3.1.4. 기주(沂州)
3.1.5. 등주(登州)
3.1.6. 내주(萊州)
3.1.7. 유주(濰州)
3.1.8. 치주(淄州)
3.1.9. 회양군(淮陽軍)
3.2. 경동서로(京東西路)
3.2.1. 응천부(應天府)
3.2.2. 습경부(襲慶府)
3.2.3. 서주(徐州)
3.2.4. 흥인부(興仁府)
3.2.5. 동평부(東平府)
3.2.6. 제주(濟州)
3.2.7. 단주(單州)
3.2.8. 복주(濮州)
3.2.9. 공주(拱州)
3.2.10. 광제군(廣濟軍)


1. 개요[편집]


경동로는 송나라의 행정구역이다.


2. 역사[편집]


997년 송나라를 15로로 설치하면서 경동로를 설치하였다. 1074년에 경동로를 경동동로와 경동서로로 분할하였다. 정강의 변으로 송나라가 화북 전역을 상실한 이후 금나라는 이곳에 산동동로와 산동서로를 설치하였다.


3. 행정구역[편집]



3.1. 경동동로(京東東路)[편집]



3.1.1. 청주(靑州)[편집]


북해군(北海郡). 진해군(鎭海軍) 절도주로 962년 북해현에 군을 두어 994년에 진해군이 되었다. 1042년에 경동동로 안무사가 설치되었다.
    • 익도현(益都縣), 수광현(壽光縣), 임구현(臨朐縣), 박흥현(博興縣), 천승현(千乘縣), 임치현(臨淄縣)


3.1.2. 밀주(密州)[편집]


본래 방어주로 960년에도 이어졌다가 972년에 안화군(安化軍) 절도주가 되었다가 방어주로 격하되었으며 973년에 다시 안화군 절도주가 되었다.
    • 제성현(諸城縣), 안구현(安丘縣)[1], 거현(莒縣), 고밀현(髙密縣), 교서현(膠西縣)[2]


3.1.3. 제남부(濟南府)[편집]


제남군(濟南郡). 흥덕군(興德軍) 절도부로 본래 제주(齊州)였다. 1001년에 임제현(臨濟縣)을 폐지하고, 1078년에 경동동로에 소속되었으며, 1116년에 제남부가 되었다.
    • 역성현(暦城縣), 우성현(禹城縣), 장구현(章丘縣)[3], 장청현(長淸縣), 임읍현(臨邑縣[4]


3.1.4. 기주(沂州)[편집]


낭야군(琅琊郡). 방어주였다.
    • 임기현(臨沂縣), 승현(承縣), 기수현(沂水縣), 비현(費縣), 신태현(新泰縣)


3.1.5. 등주(登州)[편집]


동모군(東牟郡). 방어주였다.
    • 봉래현(蓬萊縣), 문등현(文登縣), 황현(黃縣), 모평현(牟平縣[5]


3.1.6. 내주(萊州)[편집]


동래군(東萊郡). 방어주였다.
    • 액현(掖縣), 내양현(萊陽縣), 교수현(膠水縣), 즉묵현(即墨縣)


3.1.7. 유주(濰州)[편집]


단련주로 청주(靑州) 북해현(北海縣)에 북해군을 세우고 창읍현(昌邑縣)을 설치하였다. 965년에 주가 되었고 창락현(昌樂縣)을 추가로 설치하였다.
    • 북해현(北海縣), 창읍현(昌邑縣)[6], 창락현(昌樂縣)[7]


3.1.8. 치주(淄州)[편집]


치천군(淄川郡). 군사주였다.
    • 치천현(淄川縣), 장산현(長山縣), 추평현(鄒平縣)[8], 고원현(髙苑縣)[9]


3.1.9. 회양군(淮陽軍)[편집]


982년에 서주(徐州) 하비현(下邳縣)에 회양군을 세우고 숙천현(宿遷縣)을 회양군에 소속시켰다.
    • 하비현(下邳縣), 숙천현(宿遷縣)


3.2. 경동서로(京東西路)[편집]



3.2.1. 응천부(應天府)[편집]


하남군(河南郡). 귀덕군(歸德軍) 절도부로, 부로 승격되기 이전까지는 송주(宋州)였다. 1006년에 응천부가 되었고, 1014년에 남경(南京)이 이곳에 설치되었다.
    • 영릉현(寧陵縣)[10], 송성현(宋城縣), 곡숙현(穀熟縣), 하읍현(下邑縣), 우성현(虞城縣), 초구현(楚丘縣)


3.2.2. 습경부(襲慶府)[편집]


노군(魯郡). 태령군(泰寧軍) 절도부로 부로 승격되기 이전까지는 연주(兗州)였다. 1008년에 도독부로 승격되고 1118년에 습경부가 되었다.
    • 하현(瑕縣)[11], 봉부현(奉符縣)[12], 사수현(泗水縣), 공현(龔縣)[13], 선원현(仙源縣)[14], 내무현(萊蕪縣), 추현(鄒縣)[15]
    • 내무감(萊蕪敢)[16]


3.2.3. 서주(徐州)[편집]


대도독부(大都督府). 팽성군(彭城郡). 무령군(武寧軍) 절도주로 1078년에 경동서로로 이관되었다.
    • 팽성현(彭城縣), 패현(沛縣), 소현(蕭縣), 등현(滕縣), 풍현(豐縣)
    • 보풍감(寶豐監)[17], 이국감(利國監)[18]


3.2.4. 흥인부(興仁府)[편집]


제음군(濟陰郡). 창신군(彰信軍) 절도부로, 1102년 부로 승격될 때까지는 조주(曹州)였다. 1101년에 절도사가 파견되지 않고 흥인군(興仁軍)이라는 군액을 받았다가, 1102년에 흥인부로 승격되고 다시 절도사가 파견되었다. 1108년에는 독부(督府)로 승격되었다가, 1111년에독부가 폐지되었다.
    • 제음현(濟陰縣), 원정현(宛亭縣)[19], 승씨현(乘氏縣), 남화현(南華縣)


3.2.5. 동평부(東平府)[편집]


동평군(東平郡). 천평군(天平軍) 절도부로 본래 운주(鄆州)였다. 1042년에는 경동서로 안무사가 설치되었고, 1107년에 대도독부로 승격되었다. 1114년에 안무사가 응천부로 옮겨졌고, 1119년에 동평부가 되었다.
    • 수성현(須城縣), 양곡현(陽谷縣, 중도현(中都縣), 수장현(壽張縣), 동아현(東阿縣), 평음현(平陰縣)
    • 동평감(東平監)[20]


3.2.6. 제주(濟州)[편집]


제양군(濟陽郡). 방어주였다.
    • 거야현(鉅野縣), 임성현(任城縣), 금향현(金鄕縣), 운성현(鄆城縣)


3.2.7. 단주(單州)[편집]


탕군(碭郡). 960년에 단련주가 되었다.
    • 단부현(單父縣), 탕산현(碭山縣), 성무현(成武縣), 어대현(魚臺縣)


3.2.8. 복주(濮州)[편집]


복양군(濮陽郡). 단련주였다.
    • 견성현(鄄城縣), 뇌택현(雷澤縣), 임복현(臨濮縣), 범현(范縣)

3.2.9. 공주(拱州)[편집]


보경군(保慶軍) 절도주. 본래는 개봉부(開封府) 양읍현(襄邑縣)이었으나, 1105년 이곳에 공주를 설치하고 보경군이라는 군액을 받았으며 동보(東輔)가 되었다. 주로 승격되었을 때 개봉부 고성현(考城縣), 태강현(太康縣), 응천부의 영릉현(寧陵縣), 초구현(楚丘縣), 자성현(柘城縣)을 관할하였다가, 1110년에 공주를 폐지하고 다시 양읍현이 되었으며 개봉부 소속이 되었다. 1114년에는 다시 공주가 설치되었다가, 1120년에 다시 폐지되어 경동서로의 주가 되었고 양읍현, 태강현, 영릉현, 여귀현(餘歸縣)을 속현으로 두었다. 1125년에는 영릉현이 응천부, 태강현이 개봉부의 속현이 되었으며, 자성현을 속현으로 두었다.

    • 양읍현(襄邑縣), 자성현(柘城縣)


3.2.10. 광제군(廣濟軍)[편집]


963년에 발운모(發運務)가 설치되었고, 976년에 전운사(轉運司)가 설치되었다. 977년에 광제군이 되었고 조주(曹州), 전주(澶州), 복주(濮州), 제주(濟州)를 속주로 두었다가 다시 현을 설치하였다. 1071년에 군이 폐지되고 정도현(定陶縣)이 조주의 속현이 되었다가, 1086년에 다시 광제군이 설치되었다.
    • 정도현(定陶縣)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1 20:18:38에 나무위키 경동로(송)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후량 시기의 명칭은 안구현이었고, 후진 시기의 명칭은 교서현(膠西縣)이었으며, 971년에 다시 안구현으로 명칭이 돌아왔다.[2] 1087년에 판교진(板橋鎭)을 교서현으로 격상시켰고 현령이 임해군사(臨海軍使)를 겸하였다.[3] 1006년에 장구현에 청평군(淸平軍)을 설치했다가 1069년에 폐지되고 치소에 군사(軍使)를 두었다.[4] 960년에 홍수로 성이 무너져서 962년에 치소를 손적진(孫耿鎭)으로 옮겼다.[5] 모평현에 유산채(乳山砦)와 염가구채(閻家口砦)가 있었다.[6] 본래 수나라 시기에 도창현(都昌縣)이었다가 폐지되었고 962년에 다시 설치되었다.[7] 본래 당나라 시기에 영구현(營丘縣)이었다가 폐지되었고 건덕 연간에 안인현(安仁縣)을 설치했다가 다시 명칭이 창락현으로 바뀌었다.[8] 1004년에 제양현을 폐지하면서 치소를 이곳으로 옮겼다.[9] 1006년에 선화군(宣化軍)을 설치했다가 1070년에 다시 폐지시키고 치주의 속현으로 만들고 군사의 치소를 두었다.[10] 초구현(楚丘縣)과 함께 공주(拱州)에 소속되었다가 1110년에 다시 응천부의 속현이 되었다. 1114년에는 공주의 속현이 되었다가 1124년에 다시 응천부의 속현이 되었다.[11] 1110년 이전까지의 명칭은 하구현(瑕丘縣)이었다.[12] 1008년 이전까지의 명칭은 봉건현(乾封縣)이었다. 972년에는 대악진(岱嶽鎭)으로 치소가 옮겨졌다.[13] 1110년 이전까지의 명칭은 공구현(龔丘縣)이었다.[14] 1012년까지의 명칭은 곡부현(曲阜縣)이었다.[15] 1072년에는 진으로 격하되어 선원현에 편입되었으나 1084년에 복구되었다.[16] 제철을 맡았다.[17] 1083년에 설치되어 동전의 주조를 맡았다가 1085년에 폐지되었다.[18] 제철을 맡았다.[19] 1086년까지의 명칭은 원구현(冤句縣)이었다.[20] 1113년에 폐지되었다가 1120년에 다시 설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