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ever People Say I Am, That's What I'm Not

덤프버전 :

{{{#!wiki style="margin: 5px 10px -10px;" 파일:arctic monkeys_the car_logo.webp

알렉스 터너

제이미 쿡

닉 오말리

맷 헬더스

[ 구 멤버 ]
앤디 니콜슨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45%, #000 45%, #000 55%, transparent 55%); width: 9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50%;"
[ 디스코그래피 ]


Whatever People Say I Am, That's What I'm Not의 주요 수상
[ 펼치기 · 접기 ]

파일:MP22_Logo_RGB.png
머큐리 프라이즈 수상 앨범
'''[[틀:머큐리 프라이즈 수상(1992년~2010년)|{{{#050004,#fff Mercury Prize Winner
(1992~2010)}}}]]'''
[ 펼치기 · 접기 ]
19921993199419951996
파일:ab67616d0000b27339180b45808493a1f687c91d.jpg
파일:71rvL3y5KlL._SL1500_.jpg
파일:ab67616d0000b27317971d7cb1d2117270eaac0f.jpg
파일:portishead_dummy.jpg
파일:different class-1995.jpg
프라이멀 스크림스웨이드엠 피플포티스헤드펄프
ScreamadelicaSuedeElegant SlummingDummyDifferent Class
19971998199920002001
파일:square.webp
파일:R-16049134-1602653255-4234.jpg
파일:R-172889-1642274682-2780.jpg
파일:BDB-1592860757-870x870.jpg
파일:Stories From the City, Stories From the Sea.jpg
로니 사이즈 & 레프라젠트고메즈탤빈 씽배들리 드론 보이PJ 하비
New FormsBring It OnOKThe Hour of BewilderbeastStories from the City, Stories from the Sea
20022003200420052006
파일:51DylDXtxiL._UF894,1000_QL80_.jpg
파일:https___images.genius.com_ed61528b8b493cba4f7518ef3f535c9a.1000x1000x1.jpg
파일:프란츠1집.jpg
파일:61vG0cmsH2S._UF1000,1000_QL80_.jpg
파일:external/www.ypogeio.gr/183_1_arcticmonkeys-whateverpeoplesayiam.jpg
미스 다이너마이트디지 라스칼프란츠 퍼디난드안토니 앤 더 존슨스악틱 몽키즈
A Little DeeperBoy in da CornerFranz FerdinandI Am a Bird NowWhatever People Say I Am, That's What I'm Not
2007200820092010 -
파일:81u0Ql42u5L._UF1000,1000_QL80_.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The_Seldom_Seen_Kid.jpg
파일:speech-therapy-crop.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0px-Xx_album_cover.svg.png
-
클락손스엘보우스피치 데벨르디 엑스엑스-
Myths of the Near FutureThe Seldom Seen KidSpeech Therapyxx-
''

''

''''

''''












파일:external/www.theuncool.com/rs937.jpg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

{{{#000,#fff 371위
2012년}}}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b18904><tablebgcolor=#fff,#191919><width=90><#b18904>
파일:external/www.theuncool.com/rs937.jpg

2012년 371위
"연도3=display:none@"
@연도3@년 @순위3@위
}}}



파일:StuBru_logo.png
Studio Brussel 선정 500대 명반

{{{#000,#fff 2위
2014년}}}
>
파일:StuBru_logo.png
Studio Brussel 선정 500대 명반

{{{#000,#fff 2014년 2위 2015년 27위
10위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명반
168위






파일:롤링 스톤 로고.svg
롤링 스톤 선정 2000년대 최고의 앨범
41위





















파일:1001 Albums You Must Hear Before You Die.jpg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000,#fff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Whatever People Say I Am, That's What I'm Not
파일:external/www.ypogeio.gr/183_1_arcticmonkeys-whateverpeoplesayiam.jpg
발매일2006년 1월 23일
녹음 기간2005년 6월 ~ 9월
장르인디 록, 개러지 록 리바이벌
재생 시간40:56
곡 수13곡
프로듀서짐 에비스
스튜디오더 채플, 2 Fly
레이블도미노 레코드

1. 개요
2. 상세
3. 트랙
3.1. The View From the Afternoon - 3:38
3.3. Fake Tales of San Francisco - 2:57
3.4. Dancing Shoes - 2:21
3.5. You Probably Couldn't See for the Lights But You Were Looking Straight At Me - 2:10
3.6. Still Take You Home - 2:53
3.7. Riot Van - 2:14
3.8. Red Light Indicates Doors Are Secured - 2:23
3.9. Mardy Bum - 2:55
3.10. Perhaps Vampires Is a Bit Strong But... - 4:28
3.12. From the Ritz to the Rubble - 3:13
3.13. A Certain Romance - 5:31
4. 평가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악틱 몽키즈의 데뷔 앨범이자 출세작.


2. 상세[편집]


제법 긴 앨범명과 수록곡이 특징인 앨범으로서, 앨범명은 60년대를 강타하던 소설 원작의 영화 'Saturday Night and Sunday Morning'라는 작품의 대사에서 따온 것이라한다.[1] 담배를 물고있는 남자의 흑백사진이라는 상당히 심플한 커버 이미지또한 인상적으로, 모델은 친분이 있던 밴드의 프런트맨 이었던 '크리스 맥컬'이라는 남자다. 사회를 풍자하는 장황한 가사와 이를 랩하듯이 빠르게 읊어내는 보컬, 댄서러블하고 파워있는 그루브로 40분 남짓한 짧은 러닝타임으로 청자를 휘어잡는 앨범이다.

스트록스를 도화선으로 2000년대의 록씬을 대표하던 개러지 록 리바이벌의 당당한 주역으로 군림한 앨범으로서 각종 평단의 찬양과 더불어 자국서 플래티넘 인증을 받은 악틱 몽키스의 화려한 출발을 장식하는 작품이기도 하다. 여러모로 스트록스의 영향력을 지대하게 받은 앨범이지만, 이의 본거지였던 포스트 펑크 리바이벌 씬은 2000년대 후반을 기점으로 쇠퇴하기 시작하여 2집의 평가는 시원치 못했으며, 이들도 결국 3집 부터는 해당 장르에서 벗어나려는 시도를 보이기 시작한다. 여러모로 포스트 펑크 리바이벌의 대미를 장식하는 앨범이기도한 셈.

무엇보다 인터넷 매체, SNS를 활용한 앨범이라는 점에 의의가 깊다. 이전부터 인터넷을 통해 음원을 선공개하여 팬층을 끌어모으는 데 앞장섰던 밴드였고 이를 매개로 레코딩사와 계약에 성공하여 내놓은 앨범이기 때문. 특히 이를 눈여겨본 NME는 해체해버린 리버틴즈의 대체재를 발견하게 되고, 결국 악틱 몽키즈는 NME의 새로운 수호신(...)으로 등극하게 된다.


3. 트랙[편집]


"Still Take You Home"을 제외한[2] 전곡 작사 / 작곡 알렉스 터너

3.1. The View From the Afternoon - 3:38[편집]





3.2. I Bet You Look Good on the Dancefloor - 2:53[편집]





3.3. Fake Tales of San Francisco - 2:57[편집]





3.4. Dancing Shoes - 2:21[편집]





3.5. You Probably Couldn't See for the Lights But You Were Looking Straight At Me - 2:10[편집]





3.6. Still Take You Home - 2:53[편집]





3.7. Riot Van - 2:14[편집]





3.8. Red Light Indicates Doors Are Secured - 2:23[편집]





3.9. Mardy Bum - 2:55[편집]





3.10. Perhaps Vampires Is a Bit Strong But... - 4:28[편집]





3.11. When the Sun Goes Down - 3:20[편집]





3.12. From the Ritz to the Rubble - 3:13[편집]





3.13. A Certain Romance - 5:31[편집]





4. 평가[편집]


전문가 평점
매체평점
Metacritic82/100
AllMusic5/5
Entertainment WeeklyA-
The Guardian5/5
Los Angeles Times4/4
NME10/10
Pitchfork7.4/10
Q4/5
Rolling Stone4/5
SpinB+
The Village VoiceA-


5. 둘러보기[편집]


{{{#!wiki style="margin: 5px 10px -10px;" 파일:arctic monkeys_the car_logo.webp

알렉스 터너

제이미 쿡

닉 오말리

맷 헬더스

[ 구 멤버 ]
앤디 니콜슨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45%, #000 45%, #000 55%, transparent 55%); width: 9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50%;"
[ 디스코그래피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5 17:12:50에 나무위키 Whatever People Say I Am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해석 : 사람들이 내가 무엇이냐 뭐라한들, 그것은 내가 아니다[2] 알렉스 터너, 제이미 쿡 공동 작사 / 작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