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ulu

덤프버전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일본 서비스에 대한 내용은 Hulu(일본) 문서
Hulu(일본)번 문단을
Hulu(일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세계 주요 OTT 서비스
[ 펼치기 · 접기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
>
>
>
>
>
>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
>
>
>
>
>{{{#!wiki style="margin: 0px auto; max-width: 110px;" 파일:라프텔 로고.svg
{{{#!wiki style="margin: 0px auto; max-width: 115px;" 파일:카카오TV 로고.svg
{{{#!wiki style="margin: 0px auto; max-width: 130px;" 파일:쿠팡플레이 로고.svg
{{{#!wiki style="margin: 0px auto; max-width: 90px;" 파일:Samsung_TVPlus_Horizontal_Logo.png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wiki style="margin: 0px auto; max-width: 80px;" 파일:요우쿠 로고.svg
{{{#!wiki style="margin: 0px auto; max-width: 120px;" 파일:Le.com_로고.png
{{{#!wiki style="margin: 0px auto; max-width: 100px;" 파일:텐센트 비디오 로고.svg
{{{#!wiki style="margin: 0px auto; max-width: 120px;" 파일:망고TV 로고.svg
{{{#!wiki style="margin: 0px auto; max-width: 100px;" 파일:아이치이 로고.svg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wiki style="margin: 0px auto; max-width: 110px;" 파일:ABEMA 로고.svg
{{{#!wiki style="margin: 0px auto; max-width: 100px;" 파일:NHK+ 로고.svg
{{{#!wiki style="margin: 0px auto; max-width: 100px;" 파일:TVer 로고.svg
{{{#!wiki style="margin: 0px auto; max-width: 100px;" 파일:GYAO! 로고.svg
실시간 방송 서비스 {{{#!wiki style="margin:-5px -11px;"
{{{#!wiki style="margin: 0px auto; max-width: 40px;" 파일:wavve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px auto; max-width: 40px;" 파일:TVING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px auto; max-width: 40px;" 파일:Seezn 아이콘.png
{{{#!wiki style="margin: 0px auto; max-width: 40px;" 파일:U+ Mobile TV icon.png
{{{#!wiki style="margin: 0px auto; max-width: 40px;" 파일:KBS My K icon.png
{{{#!wiki style="margin: 0px auto; max-width: 40px;" 파일:SPOTVNOWicon.png
{{{#!wiki style="margin: 0px auto; max-width: 40px;" 파일:스마트 mTV logo.png
{{{#!wiki style="margin: 0px auto; max-width: 40px;" 파일:삼성tv플러스.png

파일:월트 디즈니 컴퍼니 로고.svg[[파일:월트 디즈니 컴퍼니 로고 화이트.svg
[ 펼치기 · 접기 ]


파일:Hulu 로고.svg
기업명Hulu, LLC.
국가
파일:미국 국기.svg

업종명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업
설립일2007년 10월 29일 (16주년)
대표자켈리 캠프벨 (사장)
모기업월트 디즈니 컴퍼니
구독 계정4,830만 (2023년 2분기)
본사캘리포니아 산타 모니카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 파일:핀터레스트 아이콘.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1. 개요
2. 역사
3. 서비스
4. 인트로
5. 파트너
5.1. 네트워크
5.2. 제작 및 배급
7. 기타



1. 개요[편집]


미국의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이름의 유래는 표준중국어 2개 단어 葫蘆(호리병박), 互錄(대화형 녹음)에서 나왔다.


2. 역사[편집]


넷플릭스의 급성장으로 위기를 느낀 월트 디즈니 컴퍼니, 뉴스 코퍼레이션(분할후 21세기 폭스로 승계), 컴캐스트, 타임 워너의 공동 투자로 만들어졌다. 초창기 지분은 각각 디즈니 30%, 폭스 30%, 컴캐스트 30%, 워너 10%였지만 디즈니가 폭스를 인수하고 타임 워너의 모회사 AT&T훌루를 디즈니에게 팔면서 디즈니와 컴캐스트만 대주주로 남아 있다가 2019년 5월 14일부로 디즈니와 컴캐스트와의 거래를 통해 디즈니는 2024년부터 100%의 지분을 가진다.기사 디즈니가 디즈니+를 발표하면서 디즈니+와 ESPN+, 그리고 훌루 이 셋을 한 데 묶어서 파는 패키지 상품도 준비할 거라고 전망했는데 100% 지분을 확보했으니 이제 남은 문제라곤 시간문제 뿐이다.

요금제에는 세 가지가 있는데 Hulu (광고 포함/월 $5.99)[1], Hulu (No ads/월 $11.99), 훌루 + LIVE TV (월 $54.99)[2]가 있다. 이외에도 광고와 함께 볼 수 있는 컨텐츠(HBO, SHOWTIME, CINEMAX, STARZ)[3]와 서비스가 존재한다. 미디어 대기업들이 모여 설립한 회사이기 때문에 넷플릭스보다 훨씬 많은 할리우드 영화와 자사 컨텐츠를 제공한다는 점이 강점이다.

넷플릭스처럼 훌루도 2011년부터 자체 프로그램을 제작했지만 뚜렷한 활약을 보이지 않다가, 2017년 드라마 ‘핸드메이즈 테일’이 상당히 좋은 평가를 받았다. 또한 같은 해에 제작된 마블 드라마인 런어웨이즈도 화제가 되었다.

2022년 5월부터 3개월 동안 신규 고객을 대상으로 월 1달러 요금제를 제공한다.#

디즈니+와 Hulu를 아예 통합하는 방안도 고려중이라고 한다.#

디즈니가 컴캐스트로부터 남은 지분을 매입하지 않고 컴캐스트에 자사의 지분을 되팔거나, 다른 회사에 팔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3. 서비스[편집]


현재는 미국일본에서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디즈니폭스 인수 이후 전 세계 진출 예정이다. 한국에서는 넷플릭스가 겪는 시행착오를 또 거쳐야 하기때문에 어찌될 지는 불명이다. 영상물등급위원회의 심의도 받아야 하고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재승인 심사도 받아야 한다.[4]

2020년 10월 21일, 훌루의 국내 상표권이 출원되었다.#

2020년 12월 11일에 열린 투자자의 날에서 디즈니는 해외 지역의 20세기 스튜디오, ABC, FX, 서치라이트 픽처스 등과 같은 디즈니+ 프랜차이즈 외 작품들의 공급은 hulu가 아닌 Star와 Star+[5]라는 별도의 서비스로 런칭한다고 밝혔다. 유럽과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의 지역에선 2021년 2월 23일에 런칭하며, 한국과 일본도 2021년 하반기에 런칭한다고 직접 언급했다.#

미국 내에서의 훌루와 다른 점이라면 디즈니 산하 스튜디오 프로그램이나 영화만 볼 수 있다는 것으로, 훌루 오리지널 작품이라고 해도 디즈니 계열사의 작품이 아니라면 디즈니+에선 볼 수 없다.

핸드메이즈 테일, 파고(MGM), 캐슬록(워너), 루킹 포 알래스카(파라마운트) 등 디즈니 계열사의 작품이 아닌 작품들의 경우 국내의 OTT들이 권리사와의 계약을 통해 직접 배급하고 있다. 주로 wavve에서 가져와 배급하는 편이며, 파라마운트 사 소유 작품들은 파라마운트와 계약한 TVING에서 가져와 배급한다.

꼬마버스 타요도 북미에서는 여기서 배급하며, 영어 더빙판의 판권도 가지고 있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디즈니+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인트로[편집]


인트로 영상


4.1. 일본[편집]


일본 같은 경우 프로야구 중계 컨텐츠도 제공 중. 독자적으로 드라마 등 제작도 한다. 일본 같은 경우 2014년에 닛폰 테레비에 매각했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Hulu(일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파트너[편집]



5.1. 네트워크[편집]




5.2. 제작 및 배급[편집]




6. 오리지널 콘텐츠 목록[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Hulu/오리지널 콘텐츠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기타[편집]


파일:`1.png
  • 한 이용자가 트위터에 영화 기생충이 더빙이 안 되어 있어 (음성이) "영어가 아니라 보기 싫다"는 내용의 트윗에 "자막을 보기 싫다면, 한국어를 배울 기회는 항상 열려있답니다"라고 남겼다.LA 타임즈 기사,트위터레딧에서 열띤 토론중이다.reddit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7 18:57:01에 나무위키 Hulu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대략 5분~10분에 한 번 꼴로 광고를 시청해야 하며, 애드블록을 켜면 재생이 안 되니 끄도록 하자.[2] 64.99달러 인상 예정[3] 단, 추가 비용을 내야 한다.[4] 하지만 OTT 서비스 관련해서 OTT 서비스 업체가 자율적으로 먼저 심의 후 등록하고 영등위 등에서 사후 심의를 하는 방식으로 제도를 개선할 움직임이 있어, 만약 이 제도에 대한 법이 통과되면 OTT 서비스의 컨텐츠 공급에 숨통이 트일 수도 있다.[5] 라틴 아메리카 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