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 CONCACAF 골드컵

덤프버전 :




파일:Concacaf Gold Cup.png
2002 CONCACAF 골드컵
미국
2003 CONCACAF 골드컵
미국&멕시코
2005 CONCACAF 골드컵
미국

2003 CONCACAF 골드컵
2003 CONCACAF Gold Cup
Copa de Oro de la Concacaf 2003
파일:2003_CONCACAF_Gold_Cup_logo.svg.png
대회기간7월 12일 ~ 7월 27일
개최국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본선 진출팀12개팀
대회 결과
우승멕시코파일: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준우승브라질파일: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수상
골든볼파일:CONCACAF NL MEX.png 헤수스 아레야노
골든부트파일:CONCACAF NL CRC.png 왈테르 센테노
파일:CONCACAF NL USA.png 랜던 도노반
베스트골키퍼파일:CONCACAF NL MEX.png 오스왈도 산체스
페어플레이상파일:CONCACAF NL USA.png 미국
연표
이전 대회2002 CONCACAF 골드컵 (미국)
다음 대회2005 CONCACAF 골드컵 (미국)
1. 개요
2. 본선 진출국
3. 경기장
4. 조별리그
4.1. A조
4.2. B조
4.3. C조
4.4. D조
5. 토너먼트
5.1. 8강전
5.1.1. 제1경기: 미국 5-0 쿠바
5.1.2. 제2경기: 코스타리카 5-2 엘살바도르
5.1.3. 제3경기: 콜롬비아 0-2 브라질
5.1.4. 제4경기: 멕시코 5-0 자메이카
5.2. 준결승전
5.2.1. 제1경기: 미국 1-2 (aet.) 브라질
5.2.2. 제2경기: 멕시코 2-0 코스타리카
5.3. 3-4위전: 미국 3-2 코스타리카
5.4. 결승전: 멕시코 1-0 (aet.) 브라질
6. 대회 베스트 11
7. 최종 순위
8. 이모저모




1. 개요[편집]


2003년 7월 12일부터 7월 27일까지 미국멕시코에서 공동개최된 7번째 CONCACAF 골드컵이다.

10년만에 다시 미국이 아닌 곳에서 경기가 열린 대회다. 이후로 골드컵은 미국과 함께 다른 중남미 국가에서 분산개최되는 형식을 자주 차용해 개최하고 있다.

2. 본선 진출국[편집]


국가지역진출자격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북미개최국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북미개최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북미자동진출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중미2003년 UNCAF 네이션스컵 우승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중미2003년 UNCAF 네이션스컵 준우승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중미2003년 UNCAF 네이션스컵 3위
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 온두라스중미중미-카리브 플레이오프 1위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카리브해카리브 지역예선 A조 1위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카리브해카리브 지역예선 B조 1위
파일:external/www.worldmapfinder.com/Martinique.gif 마르티니크카리브해중미-카리브 플레이오프 2위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남미초청국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남미초청국

  • 공동 개최국인 미국과 멕시코, 그리고 대회 우승 경력이 있는 북미의 캐나다가 자동으로 본선에 진출한다.
  • 중미 지역에서는 2003년 열렸던 UNCAF 네이션스컵에서 3위 안에 들어간 3개국이 본선에 직행했다.
  • 카리브 지역에서는 별도의 골드컵 지역예선을 벌여 각 조 1위 2팀이 본선에 직행했다.
  • 이후 나머지 2장의 티켓은 중미지역의 2003 UNCAF 네이션스컵 4위팀과 카리브 지역예선 각 조 2위 2팀이 풀리그로 플레이오프를 벌여 2위까지 본선에 진출했고, 온두라스와 마르티니크가 그 주인공이 되었다.
  • 남미의 브라질, 콜롬비아는 초청국 자격으로 본선에 합류하였다.


3. 경기장[편집]


2003 CONCACAF 골드컵 경기장
국가도시경기장수용 인원
파일:멕시코 국기.svg멕시코시티에스타디오 아스테카105,000명
파일:미국 국기.svg폭스버러질레트 스타디움68,756명
마이애미마이애미 오렌지 볼72,319명

  • 에스타디오 아스테카는 멕시코의 대표적인 경기장으로, 1970년과 1986년 멕시코가 두 차례의 월드컵을 개최했을 때의 메인 스타디움이었다.
  • 폭스버러의 질레트 스타디움은 미식축구와 축구 경기장으로 동시에 사용 가능한 곳으로 뉴잉글랜드 패트리어츠뉴잉글랜드 레볼루션이 같이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 마이애미 오렌지 볼 경기장은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경기장으로 사용된 바 있으며, 현재는 철거되었고 그 자리에는 MLB 마이애미 말린스의 홈 구장인 말린스 파크가 들어섰다.


4. 조별리그[편집]



4.1. A조[편집]


순위팀명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멕시코 국기.svg멕시코211010+14
2파일:브라질 국기.svg브라질21012203
3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온두라스201112-11

경기 결과
경기스코어
1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1 : 0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2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2 : 1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 온두라스
3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 온두라스0 : 0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4.2. B조[편집]


순위팀명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콜롬비아 국기.svg콜롬비아211021+14
2파일:자메이카 국기.svg자메이카210121+13
3파일:과테말라 국기.svg과테말라201113-21

경기 결과
경기스코어
1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0 : 1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2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0 : 2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
3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1 : 1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4.3. C조[편집]


순위팀명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미국 국기.svg미국220040+46
2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엘살바도르210112-13
3파일:external/www.worldmapfinder.com/Martinique.gif마르티니크200203-30

경기 결과
경기스코어
1파일:미국 국기.svg 미국2 : 0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
2파일:external/www.worldmapfinder.com/Martinique.gif 마르티니크0 : 2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3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1 : 0파일:external/www.worldmapfinder.com/Martinique.gif 마르티니크


4.4. D조[편집]


순위팀명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코스타리카210131+23
2파일:쿠바 국기.svg쿠바210123-13
3파일:캐나다 국기.svg캐나다210112-13

경기 결과
경기스코어
1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1 : 0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2파일:쿠바 국기.svg 쿠바2 : 0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3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3 : 0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5. 토너먼트[편집]



5.1. 8강전[편집]



5.1.1. 제1경기: 미국 5-0 쿠바[편집]


미국이 랜던 도노반의 포트트릭과 스티브 랄스턴의 골을 앞세워서 쿠바를 5:0로 대파했다.


5.1.2. 제2경기: 코스타리카 5-2 엘살바도르[편집]




5.1.3. 제3경기: 콜롬비아 0-2 브라질[편집]




5.1.4. 제4경기: 멕시코 5-0 자메이카[편집]




5.2. 준결승전[편집]



5.2.1. 제1경기: 미국 1-2 (aet.) 브라질[편집]




5.2.2. 제2경기: 멕시코 2-0 코스타리카[편집]




5.3. 3-4위전: 미국 3-2 코스타리카[편집]



5.4. 결승전: 멕시코 1-0 (aet.) 브라질[편집]


파일:2003_CONCACAF_Gold_Cup_logo.svg.png
2003 CONCACAF 골드컵 결승전 (2003.07.27.)
에스타디오 아즈테카 (멕시코시티)
주심: 마우리시오 나바로 (캐나다)
파일:멕시코 축구 국대(1995~2005).png1 : 0 AET파일: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멕시코브라질
97' 다니엘 오소르노 파일:골든골 아이콘.svg득점자-
관중 수: 85,000명

2003 CONCACAF 골드컵 우승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4번째 우승


6. 대회 베스트 11[편집]




7. 최종 순위[편집]


순위국가경기득실승점비고
1파일:멕시코 국기.svg멕시코541090+913우승
2파일:브라질 국기.svg브라질530264+29준우승
3파일:미국 국기.svg미국5401134+9123위
4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코스타리카5203108064위
5파일:콜롬비아 국기.svg콜롬비아311123-148강
6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엘살바도르310237-438강
7파일:자메이카 국기.svg자메이카310226-438강
8파일:쿠바 국기.svg쿠바310228-638강
9파일:캐나다 국기.svg캐나다210112-13조별리그
10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온두라스201112-11조별리그
11파일:과테말라 국기.svg과테말라201113-21조별리그
12파일:external/www.worldmapfinder.com/Martinique.gif마르티니크200203-30조별리그


8. 이모저모[편집]


  • 브라질 대표팀이 U-23 대표팀으로써 사실상 2진을 내보냈지만 결승까지 진출했다. 이 대회에서 미래의 브라질 국가대표 주축들이 대거 참가했는데 마이콩, 루시우, 카카, 호비뉴 등 스타들이 이 대회에서 유망주로써 출전했다. 또한 K리그 수원 삼성의 레전드 중 한 명인 나드손도 브라질 대표팀으로써 이 대회에서 데뷔했다.
  • 또다시 3자 승점 동률 사태가 조별리그에서 등장했다. 그리고 그 주인공은 과거 이런 상황을 다 한번씩 겪어본 팀들인 코스타리카와 캐나다, 그리고 쿠바였다. 3년전 대회에서 행운의 동전 던지기 승리로 일약 대회 우승까지 달성했던 캐나다는, 이번 대회에선 아깝게 골득실차로 밀려 1승 1패를 기록했음에도 조 최하위로 탈락하고 말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30 03:54:08에 나무위키 2003 CONCACAF 골드컵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