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구치 와카바

덤프버전 :

>
역대
[ 펼치기 · 접기 ]
22회2014 소치파일:미국 국기.svg 미국제레미 애봇, 제이슨 브라운
애슐리 와그너, 그레이시 골드
마리사 카스텔리 / 시몬 스나필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23회2018 평창파일:미국 국기.svg 미국네이선 첸, 아담 리폰
브래디 테넬, 미라이 나가수
알렉사 시메카 / 크리스 니어림
마이아 시부타니 / 알렉스 시부타니
24회2022 베이징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우노 쇼마, 카기야마 유마
히구치 와카바, 사카모토 카오리
미우라 리쿠 / 키하라 류이치
코마츠바라 미사토 / 티모시 콜레토
25회2026 밀라노·
코르티나담페초
파일:국기.svg ??
?
?
?
* 단체전은 2014 소치 동계올림픽부터 추가됨.

{{{-3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3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700; font-size: 1em;"금메달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단체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c0c0; font-size: 1em;"
은메달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단체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d7f32; font-size: 1em;"
동메달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단체전



히구치 와카바
樋口(ひぐち 新葉(わかば |Wakaba Higuchi
파일:히구치 와카바3.jpg
출생2001년 1월 2일 (23세)
도쿄
국적
파일:일본 국기.svg

학력니혼바시 여자고등학교
메이지대학 상학부
신체152cm
종목피겨 스케이팅
코치오카지마 코지
랭킹28위[1]
소속노에비아
가족부모님, 언니 히구치 사키(1993년생),
오빠 히구치 다이스케(1996년생)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선수 경력
2.1. 2014-15 시즌
2.2. 2015-16 시즌
2.3. 2016-17 시즌
2.4. 2017-18 시즌
2.5. 2018-19 시즌
2.6. 2019-20 시즌
2.7. 2020-21 시즌
2.8. 2021-22 시즌
2.9. 2022-23 시즌
2.10. 2023-24 시즌
3. 기술 및 평가
4. 기록
5. ISU 공인 최고 점수
6. 프로그램
7. 커리어
7.1. 대회 별 상세 점수
8. 기타



1. 개요[편집]


일본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며, 2018 세계선수권 은메달리스트이다.

2. 선수 경력[편집]



2.1. 2014-15 시즌[편집]


아시안 트로피 주니어 부문에서 우승하며 시즌을 시작했다.

2014 JGP 체코 대회에 출전하며 주니어 데뷔를 했다. 첫 출전한 주니어 그랑프리에서 2위를 기록했다. 뒤이어 2014 JGP 독일 대회에서는 2000년대에 태어난 선수로는 처음으로 우승했다. 따라서 2014-15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하였다. 파이널에 앞서 열린 2014 전일본 주니어선수권에서 안도 미키아사다 마오에 이어 최연소 우승(만 13세 10개월)을 달성하였고, 주니어 세계선수권 출전권을 얻었다.

2014-15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서는 동메달을 획득, 무라카미 카나코 이후 5년 만에 일본인 파이널 메달리스트가 되었다.

2014 전일본선수권에서는 3위를 차지하며 아사다 마오 이래 최연소(만 13세 11개월) 포디움 기록을 세우며 차세대 주자로 조명 받았다.

2015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는 쟁쟁한 러시아 선수들 사이에서 개인 최고기록을 세우며 동메달을 땄다. 이로써 지난 2년 동안 러시아가 여자 싱글 포디움을 휩쓸었는데[2] 2015년에는 히구치가 이를 저지하게 되었다.

2.2. 2015-16 시즌[편집]


주니어 그랑프리 4차 대회 2015 JGP 오스트리아에서 5위에 머물렀다. 따라서 이어진 7차 대회 2015 JGP 크로아티아에서는 2위에 올랐지만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진출에는 실패하였다. 이후 2015 전일본 주니어선수권에서 2연패를 달성함과 동시에 주니어 세계선수권 출전권을 얻었다.

2015 전일본선수권에서는 아사다 마오를 제치며 작년보다 한 단계 상승한 2위에 올랐다.

2016 주니어 세계선수권 쇼트에서 3-3 콤비네이션 점프에서 넘어지는 큰 실수를 하여, 58.08점으로 5위에 그쳤다. 프리에서는 트리플 플립에 어텐션을 받고, 2개의 스핀 요소에서 레벨 3을 받은 것을 제외하고는 겉클린을 하여 125.65점으로 2위를 기록했다. 따라서 작년에 이어 2년 연속으로 동메달을 따냈다.

2.3. 2016-17 시즌[편집]


시니어 첫 경기로 챌린저 시리즈 롬바르디아 트로피에 출전하여 우승하였다. 재팬오픈에서는 개인 5위, 팀 1위를 기록했다.

2016 트로피 드 프랑스에 출전하며 시니어 그랑프리 데뷔를 했다. 시니어 첫 그랑프리에서 동메달을 따냈다. 이어진 2016 NHK 트로피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2016 전일본선수권에서는 2년 연속 미야하라 사토코에 이은 2위에 오르며 사대륙선수권과 세계선수권 출전권을 얻었다.

그러나 시즌 후반 부상과 슬럼프로 고전하면서 2017 사대륙선수권에서 9위, 2017 세계선수권에서 11위로 부진하였다. 특히 2017 세계선수권은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출전권이 걸려 있는 대회였는데, 함께 출전한 미하라 마이가 5위로 선전했으나 히구치가 11위를 하는 바람에 일본의 다음 시즌 올림픽과 세계선수권 여자 싱글 출전권은 2장으로 줄어들었다.

2017 월드 팀 트로피에서 쇼트 71.41점, 프리 145.30점, 총점 216.71점으로 개인 최고기록을 세우며 일본 팀의 우승에 기여하였다.[3]

2.4. 2017-18 시즌[편집]


시즌 첫 대회로 챌린저 시리즈 롬바르디아 트로피에서 올클린 경기를 펼쳐 쇼트 74.26점, 프리 143.37점, 총점 217.63점으로 쇼트와 총점에서 개인 최고기록을 세우며 알리나 자기토바에 이어 2위에 올랐다.

그랑프리 2017 로스텔레콤 컵2017 컵 오브 차이나에서 각각 3위와 2위에 오르며 자국에서 열리는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하였다. 처음으로 출전한 2017-18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쇼트는 73.26점으로 선전하였으나 프리에서 크게 부진하며 최종 6위를 기록하였다.

2017 전일본선수권에서 여러 잔실수 끝에 4위를 기록하며 올림픽에는 출전하지 못하게 되었지만, 올 시즌의 성과들로 인해 일본 연맹에서는 히구치에게 세계선수권 출전권을 부여했다. 세계선수권에 앞서, 올림픽 기간 동안 열린 인터내셔널 챌린지 컵에 출전하여 우승을 차지했다.

2018 세계선수권미야하라 사토코와 함께 출전하였다. 쇼트에선 트리플 러츠-트리플 토룹에서 넘어지고, 트리플 플립에 어텐션이 붙어서 65.89점으로 8위를 기록하였으나, 프리에선 실수 없이 클린하여 본인의 베스트에 거의 가까운 145.01점을 받아 프리 2위에 올라, 총점 210.90점으로 케이틀린 오스먼드에 이어 최종 은메달을 차지했다. 또한 히구치의 선전으로 인해 다음 시즌 일본 여자 싱글 세계선수권 출전권은 다시 3장으로 늘어났다.

2.5. 2018-19 시즌[편집]


이 시즌 부상으로 인해 성적이 부진했다. 챌린저 시리즈 어텀 클래식에서 5위를 하며 시즌을 시작했다.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6위, 로스텔레콤 컵은 부상으로 기권하였다. 2018 전일본선수권에서는 최종 5위를 하며 후반기의 챔피언십 대회들에는 출전하지 못하게 되었다. 이후 챌린지 컵 대회에서 동메달을 따며 시즌을 마무리했다.

2.6. 2019-20 시즌[편집]


부상의 여파와 실수로 인해 챌린저 시리즈 롬바르디아 트로피에서 8위를 기록했다. 2019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는 쇼트에서 71.76점으로 오랜만에 70점을 넘기며 개인 최고 기록을 세웠으나 프리에서 연달아 실수하며 최종 6위에 그쳤다. 2019 엔테르나시오노 드 프랑스에서도 6위를 했다.

2019 전일본선수권 쇼트에서는 연결 트리플 토룹에서 언더 판정을 받고, 플립에서 어텐션 판정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트리플 플립에서 어텐션 판정을 받은 것을 제외하고는 클린하며 최종 2위를 했다.

2020 사대륙선수권에서는 쇼트에서 트리플 플립에서 어텐션 판정을 받았다. 72.95점으로 개인 최고 기록을 경신하였다. 프리에서는 트리플 악셀을 시도하였으나 넘어졌고, 트리플 플립에서 어텐션을 받았다. 이 외에도 트리플 살코를 더블로 처리하고, 더블 악셀 오버턴 등 몇 개의 실수가 더 나왔지만 역시 개인 베스트인 134.51점을 기록했다. 총점 207.46점으로 본인의 사대륙선수권 최고 순위인 최종 4위에 올랐다.

2.7. 2020-21 시즌[편집]


재팬 오픈에 출전하여 개인 2위, 팀 2위를 기록했다. 이 대회 프리에서 트리플 악셀을 시도하여 스텝 아웃을 하였으나, 회전수는 인정받았다.

2020 NHK 트로피에 출전하여 처음으로 쇼트에서 트리플 악셀을 시도하여 회전수는 채웠으나 넘어졌다. 프리에서는 트리플 악셀과 연결 트리플 토룹에서 쿼터 판정을 받았고, 단독 트리플 살코와 트리플 러츠를 더블로 처리하여 기술점을 많이 잃었다. 최종 2위를 기록하며, 은메달을 차지했다.

2020 전일본선수권 쇼트에서는 트리플 악셀에서 다운 그레이드 판정을 받으며 넘어지고, 연결 트리플 토룹을 더블로 처리했다. 프리에서는 트리플 악셀과 트리플 살코에서 넘어지고, 트리플 플립은 더블링하면서 넘어졌고 동시에 다운 그레이드와 어텐션 판정까지 받아 최종 7위를 기록했다.

2.8. 2021-22 시즌[편집]



2.8.1. 그랑프리 시리즈~전일본선수권[편집]


이벤트성 대회인 재팬 오픈에 참가하여 팀 1위, 개인 1위를 기록했으며, 이 대회에서 트리플 악셀을 성공했다.

2021 스케이트 캐나다에 출전하여, 쇼트에서 트리플 러츠와 트리플 토룹에 모두 쿼터 판정을 받고 트리플 플립에 어텐션 판정을 받아 69.41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트리플 악셀을 성공[4]했지만, 후반 컴비네이션으로 예정되어 있던 트리플 러츠를 더블로 처리했다. 연결 트리플 토룹과 트리플 플립에서도 각각 쿼터와 롱엣지 판정을 받았다. 프리 점수 135.86점을 받았으며, 총점 205.27점으로 6위를 기록했다.

2021 CS 컵 오브 오스트리아에 출전하여, 처음으로 쇼트 프로그램에 트리플 악셀을 구성하여 성공적으로 랜딩하였고, 나머지 요소들도 클린하며 79.73점을 받아 개인 최고점을 경신했다. 프리에서는 트리플 악셀에서 언더 판정을 받아 넘어지고, 뒤이은 연결 트리플 토룹에서도 언더 판정을 받았다. 단독 트리플 러츠는 더블로 처리해 연결 점프를 붙이지 못했고, 후반부 트리플 룹에서도 쿼터 판정을 받아 넘어졌다. 트리플 플립에서도 롱엣지와 언더 판정을 받아 감점 2점을 포함한 프리 점수 109.70점을 받았다. 총점 189.43점으로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2021 엔테르나시오노 드 프랑스 쇼트 경기에서 트리플 악셀을 싱글로 처리하고 연결 트리플 토룹에 쿼터 판정을 받았다. 트리플 플립에서도 어텐션 판정을 받아 63.87점을 기록했다. 프리에서는 겉클린하였지만 트리플 악셀과 후반 트리플 토룹에 쿼터 판정을 받고, 마지막 트리플 플립에서 롱엣지 판정을 받았다. 프리 점수 141.94점을 받았으며 총점 204.91점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21 전일본선수권 쇼트에서는 더블 악셀을 포함한 구성을 클린하며 74.66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트리플 악셀에서 스텝 아웃을 하고, 연결 트리플 토룹에 언더 판정을 받았다. 트리플 플립에서도 쿼터 판정을 받아 147.12점을 받았다. 총점 221.78점으로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이번 결과로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2022 세계선수권 참가 자격도 획득했다.[5]

2.8.2.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2022 세계선수권[편집]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단체전 쇼트 경기에 참가하여 모든 요소를 클린하며 74.73점을 받아 2위를 기록, 9포인트를 획득하며 일본 팀의 선전에 큰 기여를 했고, 일본은 동메달을 획득했다.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인전 쇼트 경기에서 트리플 악셀 점프를 성공했다. 이로써 이토 미도리아사다 마오에 이어 동계올림픽에서 트리플 악셀을 랜딩한 일본 여자 선수로 기록되었다. 그러나 3+3 컴비네이션 점프의 연결 트리플 토룹 점프에서 언더 판정을 받고, 트리플 플립에서 어텐션과 쿼터 판정을 받아 73.51점을 기록했다. 프리 경기에서는 트리플 러츠+트리플 토룹 컴비네이션 점프의 연결 트리플 토룹에서 언더 판정을 받으며 넘어졌고, 후반 같은 컴비네이션 점프에서는 연결 트리플 토룹에 쿼터 판정을 받았다. 후반 트리플 플립에도 롱엣지 판정을 받아, 감점 1점을 포함한 점수 140.93점을 받았다. 총점 214.44점으로 최종 5위를 기록했다.[6] 도핑 테스트에서 적발된 카밀라 발리예바를 비롯하여 지속적인 도핑 의심을 받고 있는 투트베리제 사단 선수들을 제외할 경우 최종 2위로, 만약 안나 셰르바코바, 알렉산드라 트루소바까지 도핑에 적발되어 메달이 박탈될 경우 은메달을 승계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2022 세계선수권에 출전하여, 쇼트 경기에서는 트리플 악셀을 시도하던 중 회전이 풀려 더블 처리 되었고 트리플 플립에서 롱엣지 판정을 받았으며, 한차례 스핀에서 레벨 3을 받아 67.03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트리플 살코와 트리플 룹 이외에 점프들을 제대로 성공하지 못해 감점 2점을 포함한 프리 점수 121.12점을 받았다. 총점 188.15점으로 11위에 그쳤다.

2.9. 2022-23 시즌[편집]


2022 CS 롬바르디아 트로피에 출전하여 9위를 기록하며 시즌을 시작했다.

그랑프리 대회 2022 스케이트 캐나다2022 NHK 트로피에 배정받았으나 부상 악화로 기권했고, 이번 시즌을 스킵한다는 공식 입장을 발표했다.

2.10. 2023-24 시즌[편집]


2023 그랑프리 드 프랑스에 출전하여 쇼트에서는 후속 트리플 토룹에 언더 판정을 받았으며, 마지막 플립 점프를 더블링하며 무효 처리되어 60.29점을 받았다. 프리 또한 후속 트리플 토룹을 언더 랜딩하고 러츠 점프를 더블링했다. 이외에도 레이백 스핀, 플라잉 카멜 스핀에 레벨 3을 받으며 프리 129.73점, 총합 190.02점으로 최종 5위를 기록했다.

2023 NHK 트로피에 출전하였다. 쇼트에서는 트리플 러츠에 언더 판정을 받고 넘어졌으며, 트리플 플립 또한 언더, 어텐션 판정을 받고 후속 토룹을 싱글링하여 무효 처리되었다. 비점프 요소에서도 레벨을 놓치는 등 부진하며 52.18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부상 이후 처음으로 트리플 악셀을 시도하였으나 언더 판정을 받고 넘어졌다. 이후 3개의 언더 판정, 2개의 쿼터 판정을 받았으며, 코레오 시퀀스 도중 넘어지는 실수로 프리 113.51점, 총점 165.69점을 받아 최종 9위를 기록했다.


3. 기술 및 평가[편집]


주니어 시절 러시아 선수들의 독식을 뚫고 메달권에 들었던 선수다. 그러나 시니어에 데뷔한 이후 슬럼프를 겪고 한계를 보여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는 출전하지 못했다. 하지만 2019-20 시즌부터 트리플 악셀 점프를 가져오며 부활의 신호탄을 쏘아올렸으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출전하게 되었다.

3A3Lz+3T
트리플 악셀을 구사할 수 있다.[7] 트리플 러츠-트리플 토룹 콤비네이션을 주특기로 삼았으며 쇼트와 프리 도합 세번을 뛰는 고난이도 점프 구성을 구사한다. ‘제트 걸’이라는 수식어대로 빠른 스피드를 자랑하며, 근육질의 체형을 바탕으로 한 훌륭한 점프 스케일이 특징이다. 이외에도 ISU 공인 대회에서 역사상 5번째로 트리플 러츠-트리플 룹 콤비네이션 점프를 성공한 바 있다.[8] 또한 표정 연기와 프로그램 소화력이 뛰어나 소위 ‘음악성이 좋은 선수’로 평가된다.

그러나 플립 점프의 엣지가 바르지 않아 어텐션이나 롱엣지 판정을 자주 받으며, 프로그램 후반부에 습관적으로 트리플 점프를 더블링하는 경향이 있다.

4. 기록[편집]


  • 쇼트 프로그램 점프를 트리플로만 구성하여 성공한 6번째 여자 선수(3A, 3Lz+3T, 3F)[9][10]
  • 동계올림픽에서 트리플 악셀을 성공한 5번째 여자 선수[11]
  • 이토 미도리아사다 마오에 이어 동계올림픽에서 트리플 악셀을 성공한 3번째 일본 여자 선수
  • 트리플 악셀을 성공한 17번째 여자 선수[12]
  • 트리플 러츠+트리플 룹 컴비네이션을 성공한 5번쩨 여자 선수[13]

5. ISU 공인 최고 점수[편집]




6. 프로그램[편집]


시즌쇼트(SP)프리(FS)갈라(EX)
2023-2024Never Tear Us Apart
by Bishop Briggs
콜드플레이 모음곡
• Fix You
• Paradise
Love on the Brain
by 매딜린 베일리
2022-2023그녀에게 OST
• Habble con ella
내가 사는 피부 OST
• Créditos - La Identidad Inaccesible
by Alberto Iglesias
-
2021-2022Your Song
by 엘리 굴딩
라이온 킹 OST
• Spirit
by 비욘세
• Grasslands Chant
by 한스 짐머, Lebo M
• Stampede
• Remember
by 한스 짐머
Primavera
by 루도비코 에이나우디
2020-2021Bird Set Free
by Sia
Poeta En El Viento
by 비센테 아미고
드림걸즈 OST
• And I Am Telling You I'm Not Going
by 제니퍼 허드슨
OMG
by SUSHIBOYS
2019-2020드림걸즈 OST
• And I Am Telling You I'm Not Going
by 제니퍼 허드슨
2018-2019Energia
by Sofi Tukker
• 바이올린 협주곡 ‘사계’
by 안토니오 비발디
• 사랑의 찬가
by 마르그리트 모노
마이클 잭슨 모음곡
2017-2018발레 돈키호테
• Gypsy Dance
by 루드비히 밍쿠스
007 스카이폴 OST
• Komodo Dragon
by 토마스 뉴먼
• Girl Trouble
by 존 배리
Skyfall
by Adele
Hallelujah
by 펜타토닉스
2016-2017라 칼리파 OST
by 엔니오 모리코네
세헤라자데
by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
백야행 OST
by 고노 신
2015-2016맘보 판타지
by Aldemaro Romero
마스크 오브 조로 OST
• Collecting The Ballots
• Elena And Esperanza
• Tornado In The Barracks
by 제임스 호너
헤어스프레이 OST
• You Can’t Stop Me Beat
by 마크 샤이먼
All About That Bass
by 메간 트레이너
2015-2016사랑스러운 차르다시
by 후루사와 이와오
피아노 협주곡
by 조지 거슈윈
Somewhere Only Me Know
by 릴리 앨런



7. 커리어[편집]


올림픽
동메달2022 베이징단체전
세계선수권
은메달2018 밀라노여자 싱글
월드 팀 트로피
금메달2017 도쿄단체전
주니어 세계선수권
동메달2015 탈린여자 싱글
동메달2016 데브레첸여자 싱글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동메달2014-15 바르셀로나여자 싱글

국제대회:시니어
대회11–1212–1313–1414–1515–1616–1717–1818–1919–2020–2121–2222–2323–24
올림픽5th
세계선수권11th2ndC11th
사대륙선수권9th4th
GP 파이널6th
GP 스케이트 아메리카6th
GP 스케이트 캐나다6th6thWD
GP 컵 오브 차이나2nd
GP 로스텔레콤 컵3rdWD
GP NHK 트로피4th2ndWD9th
GP 그랑프리 드 프랑스3rd6th3rd5th
CS 컵 오브 오스트리아1st
CS 어텀 클래식5th
CS 롬바르디아 트로피1st2nd8th9th
챌린지 컵1st3rd
국제대회:주니어, 노비스
주니어 세계선수권3rd3rd
JGP 파이널3rd
JGP 크로아티아2nd
JGP 오스트리아5th
JGP 독일1st
JGP 체코2nd
챌린지 컵1st N1st N
아시안 오픈 트로피2nd N1st N1st J
에그나 스프링 트로피1st N
국내대회
전일본선수권3rd2nd2nd4th5th2nd7th2nd
전일본 주니어선수권7th8th1st1st
전일본 노비스선수권3rd B2nd A1st A
동일본선수권1st J1st J1st
도쿄 지역예선1st B1st A1st A2nd J1st J4th
단체전
올림픽3rd T
2nd P
월드 팀 트로피1st T
3rd P
재팬 오픈1st T
5th P
2nd T
2nd P
1st T
1st P
GP=그랑프리, JGP=주니어 그랑프리,
CS=챌린저 시리즈, WD=기권, T=팀 결과,
P=개인 결과, N=노비스, J=주니어, A/B=레벨, C=취소

7.1. 대회 별 상세 점수[편집]


  • 시니어
2023–24 시즌
날짜대회쇼트프리합계
2023.11.03-052023 그랑프리 드 프랑스6
60.29
4
129.73
5
190.02
2022–23 시즌
2022.09.16-192022 CS 롬바르디아 트로피5
57.75
11
92.45
9
150.20
2021–22 시즌
날짜대회쇼트프리합계
2022.03.21-272022 세계선수권7
67.03
12
121.12
11
188.15
2022.02.15-17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인전5
73.51
6
140.93
5
214.44
2022.02.04-07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단체전2
74.73
3T/2P
2021.12.22-262021-22 전일본선수권2
74.66
2
147.12
2
221.78
2021.11.19-212021 엔테르나시오노 드 프랑스6
63.87
3
141.04
3
204.91
2011.11.11-142021 CS 컵 오브 오스트리아1
79.73
4
109.70
1
189.43
2021.10.29-312021 스케이트 캐나다5
69.41
5
135.86
6
205.27
2021.10.022021 재팬 오픈1
136.27
1T/1P
2020–21 시즌
날짜대회쇼트프리합계
2020.12.24-272020-21 전일본선수권13
61.53
8
133.51
7
195.04
2020.11.27-292020 NHK 트로피2
69.71
4
131.27
2
200.98
2020.11.06-082020 동일본선수권1
70.71
1
132.53
1
203.24
2020.10.032020 재팬 오픈2
123.01
1T/2P
2019–20 시즌
날짜대회쇼트프리합계
2020.02.04-092020 사대륙선수권5
72.95
5
134.51
4
207.46
2019.12.18-222019-20 전일본선수권4
68.10
2
138.51
2
206.61
2019.11.01-032019 엔테르나시오노 드 프랑스5
64.78
7
109.34
6
174.12
2019.10.18-202019 스케이트 아메리카3
71.76
6
109.56
6
181.32
2019.09.13-152019 CS 롬바르디아 트로피9
52.33
8
112.04
8
164.37
2018–19 시즌
날짜대회쇼트프리합계
2019.02.21-242019 챌린지 컵4
62.70
2
123.54
3
186.24
2018.01.20-242018-19 전일본선수권2
67.14
2
127.06
2
194.20
2018.10.26-282018 스케이트 캐나다2
66.51
7
114.78
6
181.29
2018.09.20-222018 CS 어텀 클래식 인터내셔널4
57.54
5
109.47
5
167.84
2017–18 시즌
날짜대회쇼트프리합계
2018.03.19-252018 세계선수권8
65.89
2
145.01
2
210.90
2018.02.22-252018 챌린지 컵1
69.25
1
134.69
1
203.94
2017.12.21-242017-18 전일본선수권4
68.93
5
138.03
4
206.96
2017.12.07-102017-18 그랑프리 파이널5
73.26
6
128.85
6
202.11
2017.11.03-052017 컵 오브 차이나2
70.53
2
141.99
2
212.52
2017.10.20-222017 로스텔레콤 컵3
69.60
3
137.57
3
207.17
2017.09.14-172017 CS 롬바르디아 트로피1
74.26
2
143.37
2
217.63
2016–17 시즌
날짜대회쇼트프리합계
2017.04.20-232017 월드 팀 트로피5
71.41
3
145.30
1T/3P
216.71
2017.03.29-04.022017 세계선수권9
65.87
12
122.18
11
188.05
2017.02.15-192017 사대륙선수권10
58.83
9
113.22
9
172.05
2016.12.22-252016-17 전일본선수권3
68.74
4
130.75
2
199.49
2016.11.25-272016 NHK 트로피5
62.58
4
122.81
4
185.39
2016.11.11-132016 트로피 드 프랑스5
65.02
3
129.46
3
194.48
2016.10.012016 재팬 오픈5
116.99
1T/5P
2016.09.08-112016 CS 롬바르디아 트로피1
66.66
3
112.20
1
178.86

  • 주니어
2015–16 시즌
날짜대회레벨쇼트프리합계
2016.03.14-202016 주니어 세계선수권주니어5
58.08
2
125.65
3
183.73
2015.12.24-272015-16 전일본선수권시니어3
67.48
3
127.87
2
195.35
2015.11.21-232015-16 전일본 주니어선수권주니어1
66.83
1
122.40
1
189.23
2015.10.07-112015 JGP 크로아티아주니어1
60.77
2
114.29
2
175.06
2015.09.10-132015 JGP 오스트리아주니어8
46.55
4
110.24
5
156.79
2014–15 시즌
날짜대회레벨쇼트프리합계
2015.03.02-082015 주니어 세계선수권주니어3
61.27
2
124.30
3
185.27
2014.12.26-282014-15 전일본선수권시니어3
64.35
3
117.47
3
181.82
2014.12.11-142014-15 JGP 파이널주니어5
60.37
3
117.72
3
178.09
2014.11.17-182014-15 전일본 주니어선수권주니어1
63.98
1
123.97
1
187.95
2014.10.30-11.022014 동일본선수권주니어2
52.65
2
108.74
2
158.85
2014.10.10-132014 도쿄 지역예선주니어1
61.62
1
117.81
1
179.43
2014.10.01-042014 JGP 독일주니어1
58.99
1
117.15
1
176.14
2014.09.03-062014 JGP 체코주니어5
52.75
1
116.93
2
169.68
2014.08.07-102014 아시안 오픈 트로피주니어2
57.05
1
109.85
1
166.90
2013–14 시즌
날짜대회레벨쇼트프리합계
2014.03.06-092014 챌린지 컵노비스1
40.35
1
131.09
1
131.09
2013.11.22-242013-14 전일본 주니어선수권주니어19
42.37
6
100.44
8
142.81
2013.10.03-062013 도쿄 지역예선노비스(A)1
86.15
1
86.15
2013.08.08-112013 아시안 오픈 트로피노비스3
31.73
1
72.57
1
104.30
2012–13 시즌
날짜대회레벨쇼트프리합계
2013.03.06-092013 챌린지 컵노비스1
41.30
1
75.13
1
116.43
2012.11.17-182012-13 전일본 주니어선수권주니어6
51.20
9
91.88
7
143.08
2012.10.05-082012 도쿄 지역예선노비스(A)1
81.04
1
81.04
2012.08.07-122012 아시안 오픈 트로피노비스1
43.06
2
64.49
2
107.55
2011–12 시즌
날짜대회레벨쇼트프리합계
2012.04.13-152012 가데나 스프링스 트로피노비스1
45.56
1
63.51
1
109.07
2011.10.07-102011 도쿄 지역예선노비스(B)2
58.94
2
58.94

8. 기타[편집]


  • 3살 때 처음으로 피겨 스케이팅을 시작했다.
  • 존경하는 선수는 김연아안도 미키다. 안도 미키는 아이스 쇼에서 처음 만났는데, 친절하게 고민 상담을 들어줘서 존경하게 되었다.
  • 특기는 2단 뛰기, 단거리 달리기, 줄넘기다.
  • 취미는 음악 듣기와 영화 감상이다.
  • 승부욕이 강하며 지기 싫어한다.
  • 2017-18 시즌 프리 프로그램 007 스카이폴은 안무가 셰린 본이 추천해 준 프로그램이다.
  • 가장 좋아하는 영화는 트와일라잇이다.
  • TWICE, 특히 지효의 팬인 듯하다. READY TO BE 도쿄 공연을 관람하고 인스타그램에 사진과 후기를 게시하기도 했다.
[1] 2023년 11월 6일 기준 ISU World Standings 2023/2024 Women[2] 2013 주니어 세계선수권 포디움은 옐레나 라디오노바 - 율리아 리프니츠카야 - 안나 포고릴라야 순이었고, 2014 주니어 세계선수권 포디움은 옐레나 라디오노바 - 세라피마 사하노비치 -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 순이었다.[3] 이 대회가 유독 점수가 너무 후한 경향이 있었다. 일단 자국 선수들인 미하라 마이와 히구치의 점수가 이전 대회들에 비해 10점 이상씩 폭등했고,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는 쇼트 80점, 프리 160점을 넘는 등 일반적으로 받을 수 있는 점수를 넘어서며 프리 및 총점 세계신기록을 경신했다.[4] 처음으로 공인 인정을 받았다.[5] 그동안 마음고생이 심했는지 경기가 끝난 후 많이 오열하는 모습을 보였다. 2016-17 시즌 2017 세계선수권에서 히구치가 11위를 하여 일본 여자 싱글 올림픽 출전권이 2장으로 줄었다. 또한 2017 전일본선수권에서 부진하여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 출전하지 못했다.[6] 원래 갈라쇼에 초청을 받지 못하였으나, 기존에 갈라쇼 초청을 받은 유영 선수가 불참하여, 그 자리를 대신해서 갈라쇼에 참석하였다.[7] 오랜 기간 동안 트리플 악셀 점프를 연습했으나 좀처럼 실전에서는 약한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2021-22시즌부터 점차 성공률이 나아지는 모습을 보였고, 올림픽 여자 싱글 부문에서 유일하게 트리플 악셀을 성공시켰다.[8] 다만 주력 기술로 삼지는 않았으며, 주니어 시절 2번의 성공 후 시도하지 않았다.[9] 2021 CS 컵 오브 오스트리아 쇼트 경기에서 성공.[10] 옐리자베타 툭타미셰바 - 키히라 리카 - 유영 - 알료나 코스토르나야 - 카밀라 발리예바 - 본인 순.[11] 이토 미도리 - 아사다 마오 - 미라이 나가수 - 카밀라 발리예바 - 본인 순.[12] 이토 미도리 - 토냐 하딩 - 류드밀라 넬리디나 / 나카노 유카리 - 아사다 마오 - 옐리자베타 툭타미셰바 - 키히라 리카 - 미라이 나가수 - 알리사 리우 - 알료나 코스토르나야 - 유영 - 아나스타샤 샤보토바 - 소피야 아카티예바 - 바바라 키셀 - 소피야 사모델키나 - 카밀라 발리예바 - 본인 순.[13] 이리나 슬루츠카야 - 안도 미키 - 아델리나 소트니코바 - 아오키 유나 - 본인 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7 14:55:12에 나무위키 히구치 와카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