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아 (r3판)

편집일시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프리아(동음이의어) 문서
프리아(동음이의어)번 문단을
프리아(동음이의어)#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타요가 프리아 대표직에서 사임한 사건에 대한 내용은 타요(인터넷 방송인)/논란 및 사건사고 문서
{{{#!html </div>의 10번 문단을
타요(인터넷 방송인)/논란 및 사건사고#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7월 말이나 8월 초에 공개되는 프리아의 정규 1집에 대한 내용은 프리아 정규 1집 문서
{{{#!html </div>의 프리아 정규 1집번 문단을
프리아 정규 1집#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프리아_로고_WH.png



[ 전 멤버 ]

[ 음반 목록 ]
파일:Happy Christmas 앨범.png
파일:프리아 This is vision 앨범 커버.jpg

{{{-4
싱글 1집
>
2022.12.23

{{{-4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000"정규 1집
2023.07.31

[ 관련 문서 ]


The 1st Digital Single Album
FRIA 1st X-mas

>
>
프리아>
Fria · フリア


그룹명프리아
[ 펼치기 · 접기 ]
Fria (영문)
フリア (일본어)
결성일2022년 11월 6일
(결성일로부터 573일, 1주년)
데뷔일2023년 1월 19일[1]
(데뷔일로부터 499일, 1주년)
데뷔 음반
싱글 1집
장르댄스
소속사파일:타요엔터테인먼트.png[2]
유통사주식회사 사운드리퍼블리카
팬덤미정
링크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
파일:틱톡 아이콘.svg

1. 개요
2. 멤버
2.1. 멤버 이야기
2.2. 멤버 간 케미
3. 특징
4. 그룹명 선정
6. 음악
7. 활동
7.1. 활동 영상
8. 여담
9.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2023년 1월 19일에 데뷔한 타요 엔터테인먼트 소속의 4인조 버츄얼 걸그룹[3]이다.

아프리카TV BJ 타요가 기획한 프로젝트를 통해서 결성되었으며 디지털 싱글 앨범 FRIA 1st X-mas[4]를 발매하며 정식으로 데뷔하였다.


2. 멤버[편집]


파일:프리아_로고_WH.png
[1] 디지털 싱글 1집의 발매일은 2022년 12월 23일이지만 이후 타요가 추가 멤버로 들어 온 블러비의 합류일자를 정식 데뷔일로 지정했다.[2] 타요가 설립한 가상의 엔터테인먼트.[3] 각 멤버들이 인터넷 방송 활동도 하기 때문에 버츄얼 유튜버, BJ로도 분류할 수 있다.[4] 2022년 12월 23일 발매






2.1. 멤버 이야기[편집]


  • 멤버들의 MBTI와 혈액형은 다음과 같다.





  • 나이로 분류하면 언니 라인인 베베리 - 바밍,[5] 동생 라인인 고여름 - 블러비[6] 로 나누어진다.


2.2. 멤버 간 케미[편집]



프리아 초창기부터 이어져 온 유서깊은 케미. 둘이 만나기만 하면 투닥거리며 다투거나 시끄럽게 놀곤 하는데, 보통 고여름이 먼저 장난을 걸고 베베리가 맞아주다가 받아치는 식이다. 초창기에는 고여름이 베베리에게 말을 은근슬쩍 놓으면서 일방적으로 놀려 먹는 톰과 제리 느낌이었으나, 현재는 점차 구도가 변해 역으로 베베리가 공격하는 빈도가 늘어났다. 이렇게 늘 티격태격하긴 하지만 친자매 못지 않게 가까운 관계로, 평상 시에는 베베리가 고여름을 챙기려는 모습이 종종 드러나는 편이다.

나이상으로는 막내와 맏이지만, 친구라고 봐도 무방 할 정도로 서로를 귀여워하고 편하게 대하는 관계다. 막내인 블러비가 오히려 베베리를 드워프 햄스터라고 부르기도 하는 등 편하게 놀리는 모습을 보여주곤 하는데, 베베리는 크게 개의치 않고 잘 받아주는 편. 초창기 고고베베의 관계와 비슷한 느낌이 들 수도 있지만, 베베리가 블러비에게는 좀 더 동생 대하듯이 귀여워하며 상대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더불어 둘 다 서브컬처를 좋아하는 팀 내 최대의 오타쿠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으며, 프리아 내에서 일식 노래를 가장 많이 부르는 인원이기도 하다.

팀 내 최연장자 멤버 둘의 조합. 다른 멤버들과 마찬가지로 바밍이 놀리는 경우가 대다수이긴 하나 베베리를 초창기부터 꾸준히 언니라고 부르는 등 다른 멤버들에 비해 의외로 잘 따르는 편이다. 베베리 역시 바밍을 동생으로서 이뻐하는 경우가 자주 보이곤 한다. 팀 내에서 메인 보컬급 실력자로 분류되는 둘인 만큼 메보즈로 묶이기도 한다. 실제로 노래방 컨텐츠에서 듀엣으로 함께 많은 곡을 부르며 훌륭한 조화를 보여주기도 했으며, 그런 만큼 불법듀엣으로도 꽤 엮이는 편이다.

만날 때마다 싸우는 조합으로, 둘이 투닥거릴 때의 대화를 들어보면 정말 심각하게 유치한 내용이 대부분이다. 때문에 둘이 만담을 나누면 '꼭 초딩들 대화하는 거 같다'는 인상을 주는 편. 상대가 누구건 고로시를 하거나 장난스럽게 농담치는 것을 좋아하는 고여름이지만, 유독 바밍에게는 제대로 걸지 못한 채로 카운터를 맞는 경우가 대다수다. 물론 바밍은 그런 고여름을 매우 귀여워하며, 그렇게 놀리는 과정에서 고여름을 고땅콩이라고 부르면서 별명을 지어주기도 했다.

블러비가 프리아 합류 이전부터 바밍의 팬이었던 만큼, 서로 투닥거리는 분위기보다는 오히려 나이 차이가 좀 있는 사이좋은 언니 동생의 느낌을 보이는 조합이다. 실제로 블러비가 추가 멤버 오디션에서 합격한 직후 바밍이 적극적으로 챙기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으며, 데뷔 이후로도 본인의 팬인 블러비에 대한 애정이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 블러비 또한 프리아가 된 후로도 여전히 바밍 덕질을 하는 모습을 보이며 팬심을 드러내고 있고, 둘의 성격이나 성향이 비슷한 것까지 고려해 보았을 때, 현재 프리아 내에서 의외로 가장 원만한 조합이라고 볼 수 있다.

가장 차분한 분위기의 블러비와 가장 활발한 분위기의 고여름으로 성격은 극과 극이지만 서로 상당한 케미를 보이는 조합이다. 기존의 막내였던 고여름이 새로 들어 온 막내인 블러비의 기강을 잡고자 하였으나 실패했고, 언니 동생보다는 사실상 동갑내기 친구 느낌의 관계가 되었다. 블러비에게 있어서는 프리아에서 나이 차이도 가장 적으면서 편하게 대할 수 있는 언니이기 때문인지 고여름을 적극적으로 고로시하며 즐기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3. 특징[편집]


프리아는 버츄얼 아이돌을 지향하고 있으며, 아프리카TV 내에서 결성 된 최초의 버츄얼 그룹이다. 트위치 화질 제한 사건이 발생한 직후 많은 버츄얼 스트리머들이 이적 해오는 상황을 지켜 본 타요가 '아프리카TV판 버츄얼 아이돌을 만들면 어떨까?'라는 발상에서부터 시작하여 우가돌 오디션을 기획하였고, 오디션에서 인원을 선발하여 현재의 프리아를 결성하게 되었다.

버츄얼 아이돌이라는 컨셉에 맞게 다양한 장르의 커버곡과 뮤직비디오를 제작하여 업로드하고 실제로 음반을 발매하는 등의 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내수보다는 외수에 더욱 치중하고 싶다고 타요가 언급한 바가 있듯 개인 방송 외의 컨텐츠에 대한 투자는 앞으로도 꾸준히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음악 활동을 하는 그룹인 만큼 전체적으로 가창력이 좋고 음색과 개성이 매우 다양하면서도 조화가 잘 이루어진다. 프리아의 프로듀서인 재리포터도 '곡마다 메인보컬이 달라질 것'이라고 언급 할 정도로 고른 실력과 개성들을 갖추고 있으며, 실제로 보컬 포지션이 따로 정해져 있지 않다. 보컬과는 별개로 메인댄서 포지션은 연습생 출신인 바밍이 맡고 있다.


4. 그룹명 선정[편집]


그룹명은 비공식 임시명으로 "우리가 아이돌(이하 우가돌)"로 불리고 있으며, 향후 시청자의 의견을 받아 내부 회의를 진행하여 최종 정식 명칭을 정할 것이라고 한다. 다만 약칭 우가돌의 '우가'가 외부적으로는 아프리카TV의 비하용어이자 인종차별적 용어[7]인 '우가우가'처럼 보일 수 있어 대외적으로 보이는 유튜브 채널의 경우 아프리카에서 따온 프로젝트 프리카라는 이름으로 명명했다.

우가돌 결성 후 팬카페를 통해서 상금을 걸고 그룹명을 추천받았으며, 그 중 로젝트 우이돌의 약칭, 프리아(Fria)가 낙점됐다.# '자유롭고, 사랑을 받으며, 사랑한다'를 뜻하는 Fri와 아이돌의 '아'를 아프리카의 'a'로 인용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프리아 문서의 r2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프리아 문서의 r2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5. 오디션[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프리아/오디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음악[편집]



6.1. 음반[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프리아/음반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2. 커버곡[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프리아/커버곡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활동[편집]



7.1. 활동 영상[편집]


날짜활동출연 멤버유튜브비고
2023년도
01. 27.바밍vs여름 VRC 두뇌 풀 가동[8]바밍, 고여름파일:유튜브 아이콘.svg[9] 파일:유튜브 아이콘.svg[10] 파일:유튜브 아이콘.svg[11]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
03. 23.프리아 대표 장례식 [12]전원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3. 26.너가 해 대표! [13]전원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6. 27.프리아배 마크 육상 선수권 대회 [14]전원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

8. 여담[편집]


  • 아프리카TV에서 법인으로 운영하는 그룹이라고 오해하는 경우가 있으나, 엄연히 타요 개인이 기획하고 운영 중인 그룹이다. 아프리카TV는 각종 장비 대여와 파트너 BJ 지원금을 지원해준 것이며, 모두 타요의 사비로 운영되고 있다. 타요는 이 기업세 이미지 때문에 상당히 스트레스를 받아왔다고 밝혔다. 정작 우가돌을 기획할 때부터 아프리카TV에게 약속받은 지원들은 제대로 받지도 못했다고 하며 그마저도 2022년 트위치 대한민국 영상 화질 제한 사건 이후로는 완전히 끊어졌다고 한다.[15] 다행히 2023년 4월 22일, 타요가 오리지널 아바타 제작비를 아프리카TV에게 지원받았으며 계약에 관한 부분에서도 긍정적인 대화가 오고 갔다고 밝혔다.

  • 2023년 7월 말이나 8월 초에 정규 1집이 발매 될 예정이다.

  • 멤버들의 아바타는 추후 전 멤버가 저작권 및 권한을 갖기 위해 오리지널 아바타로 교체 될 예정이다. 오리지널 아바타의 제작은 모두 프리아 내부 인력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타요는 늦어도 2023년 11월까지 멤버 전원의 아바타를 교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 2022년 12월 19일, 20일 양일에 걸쳐 전략적 팀 전투 이벤트 대회에 히어로 팀으로 참여하여 빌런 팀[16]과 맞붙어 승리했는데, 경기 내용도 팽팽했고 워낙 극적으로 우승한 탓에 멤버 전원이 눈물바다에 빠졌다. 대회 홍보 광고도 직접 촬영했는데, 여기서 여러 밈이 탄생하기도 했다.

  • 타요가 말하길 프리아 멤버들이 방송 활동으로 얻는 수익은 멤버들이 가져가게 하고 있다고 한다. 지금 하는 것들이 본인이 꼭 해보고 싶었던 일이었기에 당장 수익이 없더라도 상관없다고 밝혔다.

  • 프로듀싱 팀 Yummy Tone 소속 작곡가 재리포터가 전속 프로듀서를 맡고 있다. 프리아 결성 이후 종종 개인 방송을 진행하고 있으며, 프리아 합방에 직접 참여하기도 한다.

  • 초기에는 멤버 간의 합방이나 방송적인 교류는 있어도 외부 방송인과의 합방은 지양하는 편이었고 타요는 방송 경력이 대체로 적은 멤버들이 개인 방송을 진행하면서 방송 능력을 늘리는 것이 우선적이라고 언급하였다. 실제로 데뷔 후 약 6개월 간은 외부 합방이 거의 없었으나, 이후로는 타 방송인들과의 교류가 조금씩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 2023년 4월 1일, 만우절 이벤트로 멤버들끼리 아바타와 말투를 바꿔 개인방송을 진행했다. 목 건강 이슈로 장기 휴방을 하고 있던 고여름은 만우절 이벤트가 따로 없을 것이라 예상되었으나.. #

  • 비정기적으로 모든 멤버들과 타요가 디스코드에 모여 공개 회의를 진행하기도 한다. 물론 공개 회의인 만큼 중요한 안건을 다루지는 않으며 가벼운 분위기 속에서 진행되는 편.

  • 2023년 7월 2일 타요가 프리아 대표직에서 사임했다. 자세한 사항은 해당 문단 참고.


9. 관련 문서[편집]




[5] 20세기 출생자.[6] 21세기 출생자.[7] 특히, 글로벌 플랫폼 및 IT기업의 경우 인권 및 차별 문제에 상당히 민감한 편이라 '우가돌'을 그대로 밀고 나갔을 때에는 협업 시 문제가 생길 수 있다.[8] 인터넷에서 유명한 짤인 두뇌 풀 가동!을 모티브로 한 문제 맞추기 컨텐츠
카페기사
[9] 고여름 유튜브 편집본 [10] 바밍 유튜브 편집본 1화 [11] 바밍 유튜브 편집본 2화 [12] 타요 대표가 아내의 생일을 잊어버린 사건을 모티브로 해서 만든 컨텐츠 포스터 [13] 대표,매니저,아이돌,연습생,탈락자라는 직급을 나누어 진행한 마인크래프트 꼬리잡기 게임. 프리아를 뽑는 오디션에서 멤버별로 친했었던 사람들이 나와주었다.[14] 홍보 포스터(참가자 명단) [15] 지원 뿐만 아니라 아프리카TV에게 약속받았던 개인화 서비스, 개인 미션 기능 업데이트가 계속 해서 미뤄지자 타요가 플랫폼에 대해 직접적으로 강도높은 비판을 하기도 했다.[16] 킹냥이, 단즈, 란쵸, 망구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