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TP

최근 편집일시 :


편집지침에 따라 성격 유형의 일반적 심리 상태나 보편적 행동 양식을 해설・해석하는 서술에는 반드시 토론 관리 방침에서 정하는 8순위 이상의 근거가 출처로 첨부되어야 합니다.


16가지 성격 유형
구분
T
F
J
P
J
P
I
S
ISTJ
ISTP
ISFJ
ISFP
N
INTJ
INTP
INFJ
INFP
E
S
ESTJ
ESTP
ESFJ
ESFP
N
ENTJ
ENTP
ENFJ
ENFP

I (내향) | E (외향) S (감각) | N (직관)  T (사고) | F (감정)  J (판단) | P (인식)



1. 개요
1.1. 일반적인 특징
1.2. ISTP 부모
1.3. ISTP 자녀
1.4. 통계 및 여담
2. 타 유형과의 관계
2.1. TRUITY의 설명
2.2. 사회인격학
2.3. 연애 스타일
3. 능력 발휘 분야
4. 커뮤니티
5. ISTP 인물
5.1. 체육인
5.2. 연예인
5.3. 인터넷 방송인
5.4. 캐릭터
6. ISTP 정서문화를 가진 지역
7. 문서 작성 시 유의사항


1. 개요[편집]


선호 지표의 비교
E
외향 Extrovert
외부 · 표출
내향 Introvert
내면 · 생각

I
S
감각 Sensing
현실 · 실용 · 실천

직관 iNtuition
이상 · 이론 · 예측
N
T
사고 Thinking
논리 · 사실판단

감정 Feeling
인간관계 · 가치판단
F
J
판단 Judging
목적 · 계획 · 절차
인식 Perceiving
자율성 · 유동성

P


[ 4가지 선호 지표에 의한 설명 ]
* 내향형 (Introversion)
* 깊이 있는 대인관계를 유지하며 조용하고 신중하며 이해한 다음에 경험한다.
* 자기 내부에 주의를 집중함.
* 내부 활동과 집중력.
* 조용하고 신중함.
* 말보다는 글로 표현하는 편.
* 이해한 다음에 경험함.
* 서서히 알려지는 편.
* 감각형 (Sensing)
* 오감에 의존하여 실제의 경험을 중시하며 지금, 현재에 초점을 맞추고 정확, 철저히 일처리한다.
* 지금, 현재에 초점.
* 실제의 경험 중시.
* 정확하고 철저한 일처리.
* 사실적 사건묘사.
* 숲보다 나무를 보려는 경향.
* 가꾸고 추수함.
* 사고형 (Thinking)
* 진실과 사실에 주관심을 갖고 논리적이고 분석적이며 객관적으로 판단한다.
* 진실, 사실이 주관심사.
* 원리와 원칙을 중시함.[참고]
* 논리적, 분석적.
* 옳고 그름(참/거짓).
* 규범과 기준을 중시함.[참고]
* 지적 논평을 선호.
* 인식형 (Perceiving)
* 목적과 방향은 변화 가능하고 상황에 따라 일정이 달라지며 자율적이고 융통성이 있다.
* 상황에 맞추는 개방성이 있음.
* 이해로써 수용함.
* 유유자적한 과정.
* 융통과 적응.
* 목적과 방향은 변화할 수 있다는 개방성.
* 재량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포용성.
* 출처: 어세스타}}}


기능의 서열
순서
기능
설명
주 기능
Ti
내향 사고
엄밀한 논증사고 활동의 전개, 어떠한 현상이나 문제의 원인 등을 논리적으로 파고들어 분석하는 데에 가장 두각을 드러냄
부 기능
Se
외향 감각
현실적인 문제를 두고 남들(자신 포함)과 타협하는 데에 뛰어난 편임
3차 기능
Ni
내향 직관
머릿속 생각을 토대로 이론이나 예측이 필요한 상황에서 서투른 편임
열등 기능
Fe
외향 감정
보편적이고 평균적인 가치의 추구, 일반적이거나 상황에 적합한 행동 양식을 취하는 데에 큰 어려움을 겪음

[ 각 기능의 우위 결정 ]
}}}

Te · Ti | Se · Si | Ne · Ni | Fe · Fi

논리적인 실용주의자, 장인

과묵하며 절제된 호기심으로 인생을 관찰하고, 상황을 파악하는 민감성과 도구를 다루는 뛰어난 능력이 있다. 말수가 적으며,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인생을 관찰하는 유형이다. 감각형(S) 중에서는 직관(N) 성향이 가장 강한 편이다. 필요 이상으로 자신을 발휘하지 않으며, 일과 관계되지 않는 이상 어떤 상황이나 인간관계에 직접 뛰어들지 않는다. 가능한 에너지 소비를 하지 않으려 하며, 사실적 자료를 정리, 조직하기를 좋아하는 경향이 있으며 인과관계나 객관적 원리에 관심이 많다. 3차 기능인 Ni(내향 직관)으로 눈치가 빠르며, 조용히 자기 일만 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주변 상황파악도 다 하고 있다. 4차기능은 Fe(외향 감정)로 사회성이 부족한 편이다.[A]

자신의 경계선 안으로 들어온 사람에게는 장난이 많고 따뜻한 면이 있으나, 그렇지 않은 사람에게는 무관심으로 일관한다. 무표정으로 보이는 경우가 많고 냉소적이고 차가운 이미지로 비춰진다.


1.1. 일반적인 특징[편집]


  • 감각형(S) 중에서는 직관형(N)에 가장 가까운 편이다. [AS] [1]
  • 일반적으로 조용한 편이나 필요에 따라 사교적이다. [AS]
  • 마음에 없는 얘기를 상대방 기분 때문에 하지는 않는다. [AS]
  • 주 기능은 Ti(내향 사고)로 분석적이고 논리적이다.[2] [AS]
  • 3차 기능은 Ni(내향 직관)으로 겉으로는 완만해 보이지만, 속으로는 완고한 편이다. [AS]
  • 틀에 박히고 통념적인 생활을 싫어한다.[3] [AS]
  • 타인의 일에 무관심한 편이다. 다만 그와 별개로 대인 관계는 의외로 원만하다. [AS]
  • 모든 MBTI 유형 중 가장 오지랖이 적은 유형이다.[4] [AS]
  • 맹목적이고 감정적인 것을 싫어하는 특성상, 무종교인 및 무신론자 비율이 높다. [AS]
  • 감정에 사로잡힐 때 이들은 다른 사람들로부터 멀어지려고 하거나, 혼자 핸드폰을 하는 등의 시도를 할 가능성이 더 높다.
  • 스스로를 소위 '극T'라고 소개할 수 있다. I치고는 인맥이 넓고, S치고 미래 지향적인 성향이 부족한 편은 아니며, P답게 계획이 틀어져도 스트레스를 받지는 않을 뿐 계획 자체는 잘 짜는 편이지만,[5] T 중에서도 감정적인 편에는 결코 속하지 않는다.
  • 느낌과 감정, 타인에 대한 마음을 표현하기 어려워한다. [AS]
  • 부기능은 Se(외향 감각)으로 정밀을 요하는 일을 잘 해낸다.[6] [AS]
  • 논리적인 사고 능력과 배려형 개인주의가 공감 능력 부족을 어느 정도 가려주는 면이 있어서 심리적으로 적당히만 건강하다면 어느 성격하고든 트러블이 별로 없을 수 있다. [AS]
  • 실용적인 활동에 능한 성향상 타인들과 어울려 다닐 수밖에 없는 유형이다.[7] [AS]
  • 사회적 폐단으로부터 자기 자신을 보호하는 데 능해 종종 주변의 부러움을 사기도 한다.
  • 혼자만의 시간이 필요하며 자유를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 파트너가 자신의 삶을 너무 많이 통제하려고 하면 거리를 둔다.
  • 시사적인 분석이나 문제에 열중한다. [AS]
  • 관심 분야가 아니면 쳐다보지도 않는다. [AS]
  • 말이 없고 내색을 않는다. [AS]
  • 노력을 절약하면서 일의 능률을 높인다. [AS]
  • 어울려 다니는 사람들 중 내적으로 편안한 사람들만 친구로 인정하고 나머지는 지인 수준으로 간주한다.[8]
  • 불건강한 경우 책임과 관계를 무시하고 특정 관심사나 취미에만 집착하는 경향을 보인다.

1.2. ISTP 부모[편집]


  • 통제를 많이 하지 않고 개방적이다.
  • 아이들의 감정적인 면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 아이들이 넓은 시야로 세상을 탐험하기를 원한다.
  • 아이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자신의 행동에 책임감을 갖게 하길 원한다.
  • 아이들의 사생활을 존중한다.


1.3. ISTP 자녀[편집]


  • 학교의 많은 규칙과 요구 사항이 힘들 수 있다.
  • 수학과학 과목에 흥미가 있다.[9]
  • 추상적이고 형이상학적인 이론 정립이나 이해에 관심이 없다.
  • 개인 스포츠나 비디오 게임 같은 섬세함을 요구하는 종목에서 뛰어난 두각을 보인다.
  • 상황 적응력이 뛰어나다.[10]
  • 혼자서 잘 논다.
  • 수천 개의 조각 퍼즐 맞추기도 잘한다.
  • 긴 설명을 듣고도 대답은 아주 간단하게 한다.[11]
  • 간섭과 권위주의를 매우 싫어하므로 반항을 많이 한다.
  • 여아도 전형적인 여자아이 놀이를 싫어하는 편이다.
  • 과학 실험은 좋아하지만 이론적이거나 추상적인 문제에는 관심이 없다.
  • 개인적인 시간을 즐긴다.
  • 읽기나 언어 과목에 소질이 없다.[12]
  • 감정적인 호소나 감정을 기반으로 한 설명과는 맞지 않는다.
  • 하고 싶은 것만 하고 하기 싫은 것은 절대 안 한다.
  • 상대방 기분만 맞춰 주려고 마음에도 없는 소리를 하는 것을 싫어한다.[13][14]


1.4. 통계 및 여담[편집]


  • 테스트별 별칭은 다음과 같다.

논리적인 실용주의자
The Logical Pragmatist

거장 Virtuoso[15]

백과사전형

장인
공예가 The Craftsman
  • 다음은 테스트 참여도에 따른 인구 통계를 추론한 것이다. (평균 배분율은 100(%)을 16으로 나눈 6.25(%)임.)
대한민국
세계
16Personalities[16][17][18]
어세스타
한국인 (2012~2021)

TRUITY
3.11% (14위)
4.08% (10위)
5%
1.79%
(Turbulent)
1.32%
(Assertive)
9%
(남성)
2%
(여성)

  • 개인적인 성향 중 그들은 <비판적인, 냉철한, 방어적인, 독립적인, 자원이 넘치는[19]> 에서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TR]

  • 논리적이고 이성적인 동시에 행동력이 뛰어나고 터프하기에 Badass 캐릭터의 경우 ISTP인 경우가 많다.[20] 실제로 창작물에 등장하는 어지간한 Badass 캐릭터는 ESTP 아니면 ISTP이다.

  • 세계 기준 16유형 중 15위로 매우 적은 유형인 데 반해,[21] 성비는 남성 비율이 75%로 16유형 중 남성 비율이 가장 높은 유형이다. 출처




  • 평균 IQ(지능 지수)가 감각형(S) 중에서는 가장 높다.[22] 평균 학업 성취도는 11위다.

  • xSxP 중에 수학 성적(학업 성취도)이 안 좋은 사람들은 '학습 목표를 장기와 단기로 나누어 꾸준히 실천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된다.[23]


2. 타 유형과의 관계[편집]



2.1. TRUITY의 설명[편집]




2.2. 사회인격학[편집]


◎ 이 문단에서 유의할 점
* 이미 해당 이론 자체에 많은 논란이 있으며, 같은 성격 유형 내에서도 심리 기능의 위계는 천차만별이다. 이를 차치하더라도 어떠한 인간관계를 성격 유형만으로 점치는 행위는 관계에 대해 노력하지 않거나 시작도 하기 전에 포기하도록 만들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함.[24]
}}}

사회인격학의 쿼드라 그룹 모형으로는 Beta 그룹에 속한다. 해당 접근 방법에 의하면 MBTI식 기준으로 ENFJ, ESTP, INFJ인 사람과 집단을 형성했을 때 가장 큰 심리적 편안함을 느낀다.[주의사항] 사회인격학의 갈등 관계(Conflict, Conflicting Relations) 분석에서, 가장 상극인 MBTI 유형은 ENFP(MBTI식 지표)이다.[25]

2.3. 연애 스타일[편집]


출처

상황 파악 능력과 손재주가 좋은 ISTP 유형의 사람들은 타인과 관계를 맺는 것을 어려워하는 편입니다. 이들은 새로운 관계를 맺기 위해 노력하기보다는 오래된 인연을 아끼고 가꾸는 타입입니다. 좁고 깊은 인간관계를 유지해 가며 내 사람에게 잘하는 편입니다. ISTP는 혼자 시간을 보낼 자유를 중시하며, 취미나 관심사가 같은 연인을 선호합니다. 운동 등의 동적인 데이트를 즐기기보다는 함께 취미 생활을 즐길 수 있는 연애를 좋아합니다. ISTP는 애정 표현을 잘 못해서 무뚝뚝해 보일 수 있지만, 사실은 속이 깊고 마음이 따뜻한 사람들이 많습니다.



3. 능력 발휘 분야[편집]


  • 엔지니어 직종 대부분
  • 시스템 분석가
  • 응급의학과 의사
  •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 소프트웨어 개발자
  • 공학자
  • 경제학자
  • 예산 분석가
  • 과학자[26]
  • 경찰관
  • 사설 탐정
  • 항공기 조종사
  • 항공 교통관제사
  • 철도 기관사
  • 사진작가


4. 커뮤니티[편집]




5. ISTP 인물[편집]



* 나무위키 기본방침 규정에 따라 '해당 인물 문서의 프로필 및 여담 참조.'와 같은 식으로 다른 문서의 내용이 있었다는 사유만으로 근거를 제시할 수 없습니다.


5.1. 체육인[편집]


  • 강소휘(배구선수)◆ 출처
  • 강원기(e-sports)[27]
  • 김아랑(쇼트트랙 선수)
  • 도재욱(e-sports) 출처
  • 류민석(e-sports)[28]
  • 서대길(e-sports) 출처
  • 송교창(농구선수) 출처
  • 이유빈(쇼트트랙 선수)[29]
  • 이정현(농구선수) 출처



5.2. 연예인[편집]


  • 가현(드림캐쳐)[30]
  • 곽시양 출처
  • 권진아 출처
  • 금조(나인뮤지스, 나인뮤지스A) 출처
  • 김가람(LE SSERAFIM)[31]
  • 김농밀 출처
  • 김성규(인피니트)◆ 출처출처[32]
  • 김채원(LE SSERAFIM)[33]
  • 나연(TWICE) 출처
  • 니시노 나나세
  • 니시무라 호노카 출처
  • 맥대디
  • 박규영[34]
  • 박명수 출처[35]
  • 박은태[36]
  • 배성재 출처
  • 배진영 출처출처[37]
  • 버논(세븐틴)
  • 셀린(시그니처)
  • 슈가(방탄소년단)[38]
  • 안유진(IVE) 출처
  • 연정(우주소녀)
  • 올리비아 혜(이달의 소녀) 출처
  • 유빈(원더걸스) 출처
  • 유지애(러블리즈)[39]
  • 윤여정 출처
  • 은하(VIVIZ) 출처
  • 이로한[40]
  • 임나영
  • 장규리(프로미스나인) 출처
  • 장성규 출처
  • 전도염(JUST B) 출처
  • 전우성(노을) 출처
  • 전종서[41]
  • 조이현
  • 주우재출처
  • 주은(DIA)[42]
  • 진호(펜타곤)[43]
  • 최소라[44]
  • 피넛 출처
  • 하석진출처
  • (Stray Kids) 출처
  • 한혜진 출처
  • 홍대광[45]
  • 홍진경 출처
  • 환웅(원어스)◆ 출처
  • 휴닝카이(투모로우바이투게더)[46]
  • Osshun Gum
  • Kid Wine
  • TOIL

5.3. 인터넷 방송인[편집]



5.4. 캐릭터[편집]


개인의 독자연구가 아닌, 작중에 명시되었거나 작가 측에서 공인한 경우만을 등재할 것.


6. ISTP 정서문화를 가진 지역[편집]


  • 몽골
  • 러시아, 중앙아시아 등 구 소련 연방국
  • 폴란드, 헝가리
  • 아프가니스탄
  • 칠레
  • 고양이
  • 퓨마, 표범, 재규어
  • 두더지
  • 늑대 [49]



7. 문서 작성 시 유의사항[편집]


◎ 출처 표기에 대한 설명 ◎
-1
[br]'''{{{+1 0) 공통 사항}}}'''
 * 원문을 직역했을 때 오히려 이해가 흐려지는 부분이 있으므로, 일부 진술을 이해 목적에 맞게 '''각색하거나 추론'''한 부분이 있음.
 * 예상 독자들로 하여금 문서 정독에 지루함을 느끼지 않게 한다는 차원에서 원본의 문장 구조를 변형하거나 순서를 재조합, 이에 따른 적합한 접속사의 추가 등이 수반되었음. 비슷한 내용은 가급적 ^^{{{[∑]}}}^^ 각주로 묶거나 다루지 않았음.[br]
'''{{{+1 1) 출처 표기용 각주}}}'''
 * [*16P [[https://www.16personalities.com/infp-personality|infp-personality]][br]© 2011-2021 NERIS Analytics Limited.[br] '''1.''' 영국(잉글랜드·웨일즈) 법에 따라 규율된 내용으로 수백 가지 선구적 연구를 통하여 해석되는 항목들임.[br] └ 심리 테스트의 기반이 된 [[Big5]]보다는 신뢰도가 낮으나 [[https://www.16personalities.com/articles/reliability-and-validity|16personalites의 관계성과 타당성]] 설명문에서 여러 통계적 수치를 제공하면서 신뢰도가 입증되었다고 밝힘.[br]'''2.''' [[나무위키:기본방침/토론 관리 방침#s-2.7.5|나무위키 토론 관리 방침 '신뢰성 판단' 조항 중 8순위 내용 중 하나인 '해당 분야에 대한 준전문가가 저술한 자료(해당 분야 경력자 등)']]에 준하는 내용.] '''[[16Personalities]]''' : 심리 테스트의 기반이 된 [[Big5]]보다는 신뢰도가 낮으나 [[https://www.16personalities.com/articles/reliability-and-validity|16personalites의 관계성과 타당성]] 설명문에서 일관성(응답자: 10,000명 이상) 부문 크론바흐 알파 계수가 0.75와 0.87 사이로 높게 나타남. 검사-재검사 관계성(응답자: 2,900명 이상)의 부문 상관 계수가 0.74와 0.83 사이로 높게 나타남. 척도별 독립성을 나타내는 판별 타당성(응답자: 10,000명 이상) 부문에서도 오차의 범위는 -0.29에서 0.37 사이로 나타남(참고로 오차 허용치는 0.70에서 0.80). 또한 재평가를 받은 사람은 약 6개월 정도 휴식을 취한 후에도 모든 척도에서 비슷한 점수를 받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밝힘.
 * [*TR [[https://www.truity.com/personality-type/INFP|The INFP Personality Type]][br]COPYRIGHT © 2020, TRUITY. ALL RIGHTS RESERVED.[br][[나무위키:기본방침/토론 관리 방침#s-2.7.5|나무위키 토론 관리 방침 '신뢰성 판단' 조항 중 8순위 내용 중 하나인 '해당 분야에 대한 준전문가가 저술한 자료(해당 분야 경력자 등)']]에 준하는 내용.[br]└ [[상담심리학]] 석사 학위를 가지고 있는 몰리 오웬스(Molly Owens)가 세운 기관. 양질의 성격 테스트를 더 저렴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립한 기관이라고 소개함(2012). [[마이어스-브릭스 유형 지표]], 홀랜드 코드, [[Big5]], 디스크, [[애니어그램]]에 기반한 평가 개발을 주도해 왔음.] '''[[TRUITY]]''': [[상담심리학]] 석사 학위를 가지고 있는 몰리 오웬스(Molly Owens)가 세운 기관. 양질의 성격 테스트를 더 저렴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립한 기관이라고 소개함(2012). [[마이어스-브릭스 유형 지표]], 홀랜드 코드, [[Big5]], 디스크, [[애니어그램]]에 기반한 평가 개발을 주도해 왔음.
 * [*AS [[https://www.career4u.net/tester/mbti_intro.asp#|어세스타]]] '''어세스타''': 한국의 기업으로 인간의 생각과 마음을 연구하는 심리평가 및 서비스 기관이라고 소개함. 자체 연구 인력을 통해 심리평가 도구를 개발하거나 해외의 검증된 도구를 국내화하고, 올바르게 사용하는 전문가를 양성하는 교육과 현장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적용프로그램을 체계화하여 운영하고 있음.
 * [*MKR [[https://www.mbti.co.kr/|한국 MBTI 연구소]]] '''한국 MBTI 연구소''': 1990년 6월 1일 심혜숙 박사와 김정택 박사에 의해서 설립됨. 설립 이후 MBTI에 관련된 꾸준한 교육, 저술, 연구 및 번역활동을 진행 중.
 * [*MM [[https://jinsengjellyfish.tistory.com/42|MBTI Form M]]] ''''MBTI Form M 책자''''의 사진이 첨부된 블로그
 * [*INT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xkX1YAgTk1ngy2RHReuBxcR-eRtoTq6_|MBTI 시즌 1 # 16가지 성격 유형]][br]나무위키 토론 관리 방침 '신뢰성 판단' 조항 중 8순위 내용 중 하나인 '해당 분야에 대한 준전문가가 저술한 자료(해당 분야 경력자 등)'에 준하는 내용.[br]└ '저술하다'의 정의는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글이나 책 __따위__를 쓰다'인데, 해당 영상은 대부분의 분석 내용이 영상 자막에 '''글로써''' 작성되어 있음. 또한, '자료'의 정의에 의거하면 영상 자료 역시 자료의 범주에 부합한다고 볼 여지가 충분함.] '''인터TV''' 내의 MBTI 시즌 1 영상 리스트: '심리 분석 전문가'를 자처하고 있으며, 'MBTI GCP 과정 수료', '심리분석사 1급', '심리상담사 1급' 등의 경력을 보유하고 있음. 또한, 심리 분석 상담 등을 진행중이므로 '준전문가' 이상의 지위에 부합함.[*증거 [[https://www.youtube.com/watch?v=naBN1mG-zkM|영상]]] INFP 영상 뿐 __아니라__ 각 심리 기능에 관한 비교 및 분석, 타 유형에 대한 분석 등의 자료 역시 '''일부 포함되어 있음'''.
 * [*SO [[http://www.socionics.com/rel/rel.htm|사회인격학 공식 페이지]] '소시오닉스(Socionics)'라고도 하며, 사람들 사이의 관계를 유전학적으로 타고난 심리 유형에 따라 결정지을 수 있다고 보는 실험적 이론임. 또한, 해당 출처는 각 성격 유형관의 관계를 분류해놓은 웹 페이지임. Relations between Psychological ("personality") Types, 해석하면 '성격 유형 간의 관계']
 * [*ETC] 기타 출처  상기한 출처 이외의 사이트에 기반한 출처에 첨부하였음.
 
▼ '기타 출처'에 해당하는 출처 목록
  • [ETC1] (설명)
  • [ETC2] (설명)
  • [ETC3] (설명)
'''{{{+1 2) 편집 도구용 각주}}}''' * [*∑ 출처가 있는 서술은 아니나 모두 출처를 밝힌 하위 리스트의 공통점만 추출하였기에 토론 합의 사항에 부합함.] __출처를 밝힌__ 하위 리스트들의 '''공통적 특성을 종합'''하여 상위 리스트로 진술한 것. 하위 리스트 각 항목이 출처를 밝혔으므로 출처를 따로 표기하지 않을 수 있음. * [*⊃ 해당 서술의 하위 항목들은 전부 이 서술과 같은 출처를 가지고 있음.] 하위 리스트의 서술이 상위 리스트의 서술과 '''전부 같은 출처'''를 가지는 경우에만 하위 리스트의 출처를 표기하지 않고 상위 리스트에 이 각주를 함께 첨부함. 이때, [*∑] 각주가 첨부된 서술은 고려하지 않는다. * [*(번호)] '통계 자료' 또는 '참고용'으로 밝히는 출처. 이 경우엔 사실관계를 재확인하여 신뢰성이 낮을 경우 삭제할 수 있음.



◎ 지표 및 기능 관련 각주에 대한 설명 ◎
-1
[br] ''' 이 각주는 반드시 첨부할 필요는 없습니다!''' 어디까지나 자신이 어떠한 특성에 대한 '''부연 설명'''을 덧붙이고 싶을 때만 문장으로 따로 쓰지 말고 이 각주를 첨부하면 됩니다.
[br]'''{{{+1 1) 4가지 선호 지표}}}'''
 * [*I 내향형의 특징]: '''I유형'''이기 때문에 나타날 법한 특성
 * [*S 감각형의 특징]: '''S유형'''이기 때문에 나타날 법한 특성
 * [*T 사고형의 특징]: '''T유형'''이기 때문에 나타날 법한 특성
 * [*P 판단형의 특징]: '''P유형'''이기 때문에 나타날 법한 특성
'''{{{+1 2) 4가지 심리 기능}}}'''
 * [*1Si Si가 주기능이기 때문]: '''Si가 주기능'''이기 때문에 나타날 법한 특성
 * [*2Te Te가 부기능이기 때문]: '''Te가 부기능'''이기 때문에 나타날 법한 특성
 * [*3Fi Fi가 3차 기능이기 때문, 혹은 3차 기능에 불과하기 때문] : '''Fi가 3차 기능'''이기 때문에 나타날 법한 특성
 * [*4Ne Ne가 열등 기능이기 때문]: '''Ne가 열등 기능'''이기 때문에 나타날 법한 특성



◎ 편집에 있어서 유의해야 할 점 ◎
* 성격 유형에 관한 이슈 등에 관한 서술은 주관적 평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

[A] # [AS]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1] 그래서 자세히 보지 않으면 INTP와 혼동할 수 있다.[2] INTP와 같다.[3] 통념 자체에 대해서는 빠삭하지만 오히려 더 비판적이다. 자신이 그 희생양이 되더라도 합리적인 신념을 관철할 수 있다는 확신이 있어 참고 넘어가기도 하지만, 한번 인내심이 바닥나면 일체의 타협도 하지 않는다.[4] 열등 기능이 Fe(외향 감정)이기 때문이다. 반대로 정반대 유형인 ENFJ는 오지랖이 많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5] 자기 앞가림을 하려는 본능이 있어 계획을 짜게 된다.[6] 상위 기능인 Ti(내향 사고) 때문에, 정밀함은 빛을 발하게 된다.[7] 상술한 대로 대인 관계가 원만한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하다.[8] ENTP와 비슷하다.[9] 다만 과학의 경우 개인 특성에 따라 다를 수 있다.[10] 특히 임기응변.[11] 상황에 따라 다르나 단답형 대답만 이어진다면 이해를 못 했거나, 사회성이 부족한 것일 수 있다.[12] 대체로 이과 타입. 문학은 노력하면 잘하지만 효율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최단 시간 안에 적은 노력을 들이면서 끝내는 방법을 연구한다. 다만 언어학은 기본적으로 문과에 속하지만, 연구 방법론이 이과에 가깝기 때문에 소질이 있을 수 있다. (통사론, 조어론, 음성학, 음운론, 비교 언어학 등 대부분의 언어학 영역은 연구 방법론이나 결과 도출 과정에 있어서 이과적 특성이 강한 편이다.)[13] #[14] 3차 기능인 Ni(내향 직관)이 건강하게 발달된 경우, 상처를 주지 않기 위해 노코멘트를 시전하기도 한다.[15] 주로 음악 분야의 명연주자 등에서 사용하는 단어인데 장인 정신을 의미하는 뉘앙스로 해석 가능하다. 비르투오소를 참조할 것.[16]

순위
성격유형
합계
Turbulent
Assertive
1
INFP
13.39%
10.61%
2.78%
2
ENFP
12.60%
8.05%
4.55%
3
ESFJ
8.35%
4.36%
3.99%
4
ISFJ
7.66%
5.02%
2.64%
5
ISFP
6.61%
4.65%
1.96%
6
ESFP
6.36%
3.57%
2.79%
7
INTP
6.28%
3.96%
2.32%
8
INFJ
6.25%
4.60%
1.65%
평균
6.25%
9
ENFJ
6.09%
3.35%
2.74%
10
ENTP
5.04%
2.57%
2.47%
11
ESTJ
4.56%
1.79%
2.77%
12
ISTJ
4.28%
2.21%
2.07%
13
INTJ
3.75%
2.09%
1.66%
14
ISTP
3.11%
1.79%
1.32%
15
ESTP
2.94%
1.32%
1.62%
16
ENTJ
2.73%
1.26%
1.47%
16 Personalities 대한민국 통계 2021-05-14 기준, 응답자 표본 크기: 70,266

[17] 다만 16Personalities 통계는 중복 검사를 반영하지 않은 자료라 정확한 인구수 추정에는 큰 의미가 없다. 중복 검사를 반영하는 거의 모든 국가 통계에서 ISTJ, ISFJ, ESTJ가 가장 많은 인구수를 차지하며 애초에 특정 IN 유형이 8프로를 넘는 경우 자체가 일본을 제외하면 거의 없다. 이는 가장 많은 표본을 가진 미국 역시 마찬가지다. 나라마다 각 유형별 분포 차이가 있지만 아주 큰 차이는 아니다. 그러나 16Personalities 통계를 중복 검사를 반영한 여러 국가들의 통계와 비교해 보면 한국이 혼자 외계 행성이어야만 가능한 극심한 차이가 나오게 된다. 따라서 1위에 있는 INFP와 2위에 있는 ENFP는 그만큼 중복 검사를 많이 하는 유형으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전체적으로 NF 유형이 성격 검사에 관심이 많은 편이며, 세계적으로 매우 희귀한 유형에 속하는 INFJENFJ가 저 통계에서 각각 8위와 9위로 잡힌 것 역시 중복 검사의 영향으로 보는 것이 옳다. 다른 모든 나라에서는 거의 항상 인구수 1위부터 3위 사이에 위치하는 ISTJ, ESTJ가 한국에서만 5프로 이하라는 건 말이 되지 않는다. 애초에 MBTI별 인구수에는 세계적인 경향성이 있다. N이 S보다 적고, 근면성실하고 룰을 따르는 것에 민감하여 사회의 중추를 유지하게 되는 ISTJ, ISFJ, ESTJ 유형들이 인구의 다수를 차지한다. [18] 16Personalities 통계가 최신 통계이니 정확하고 국내 MBTI연구소 등 다른 통계는 10년 전 통계이니 부정확하다는 의견도 있는데, 상식적으로 후천적 영향 만큼 DNA 풀의 영향도 큰 성격이 10년 만에 대규모 세대 교체 되고, 그것도 인구 대교체 수준으로 폭이 크게 변화한다는 것도 말이 되지 않는다. 우리나라도 그렇고 외국도 그렇고 성격과 관련된 인구 분포 통계는 그 정도로 쉽게 요동치지 않는다. 따라서 이 통계는 유형별로 MBTI 검사를 받은 횟수의 총합 순위를 나타내는 수치로 해석하는 것이 적절하다. 인구수 추정에는 16Personalities 통계보다는 차라리 MBTI연구소 통계 자료가 훨씬 더 정확하다고 보는 것이 옳다. [19] '자원이 넘치는'이라 함은 영단어 resourceful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이는데, 구글 검색 등에서 resourceful meaning이라고 검색하거나 영영 사전 등을 찾아보면 실제 의미는 단순히 (물리적인) 자원이 넘친다는 뜻이 아니다. 케임브리지 대학 사전을 예를 들면 'Skilled at solving problems and making decisions on your own'이라고 설명하고 있는데 이는 쉽게 말해 똑똑한 내지는 문제 해결에 능한이라는 뜻이다. 어찌 보면 외적, 내적으로 가진 '자원'이 많아서 쉽고 똑똑하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자원이 넘치는'이라고 해도 아주 틀린 의미는 아니라고 할 수 있겠다.[TR] [20] 설문 조사 예시 12.[21] 한국에서도 2021년 기준으로 14위의 비율[22] IQ의 경우 I>>>E, N>>>>S, T>>F, P>J인 경향이 있다.[23] 강윤수. (2020). 고등학생들의 수학 학습양식과 MBTI 성격기질별 특징. 수학교육 논문집, 34(3), 299-324. SJ형 학생들은 마인드맵 등의 학습 전략, SP형 학생들은 장, 단기 학습 목표를 꾸준히 실천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NT형 학생들은 SRN(자기 성찰 노트)이나 수학 일지를 활용한 학습 전략, NF형 학생들은 논리적 근거를 제시하는 수학 학습 노트 쓰기 활동과 대수 학습에 더 많은 시간 투자가 필요하다.[24] 실제 인간관계는 성격만으로 결정되는 것도 아닐뿐더러 영향을 끼치는 변수가 셀 수 없이 많기 때문에 '이러한 이론도 있구나' 정도로만 받아들이기 바람.[주의사항] '사회학'과 'MBTI'는 J-P의 어떠한 차이를 구분하고 있다. 쿼드라 모형에서의 J와 P는 각각 판단(J)과 인식(P)을 의미한다. MBTI에서는 J-P가 J(외향적 판단)과 P(외향적 인식)을 의미한다. 난해함을 막기 위해 나무위키에서는 MBTI로 변환한 결과를 기재하였다.[25] #[26] 이론 정리보다는 현상 파악에 적합하다.[27] 2022 MAPLE LIVE TALK에서 밝혔다.[28] 과거에는 ISFP였으나 1월 1일 개인방송에서 MBTI 검사를 했는데 ISTP로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본인은 ISFP로 믿고 있는 편이다.[29] 에스크에서 본인이 직접 밝혔다[30] 200820 어벤걸스에서 밝혔다.[31] 파일:김가람 MBTI.jpg[32] MBTI 검사를 2014년2020년 2번 진행하였는데, 2014년 4가지쇼에서는 ISTP가 나왔고 2020년 자체 콘텐츠(20.04.20 업로드)에서는 ISTJ가 나왔으나 그 후 끼리끼리(20.05.17 방송)에서는 ISTP로 나온 걸 봐서는 ISTP와 ISTJ에 걸쳐진 듯 보인다.[33] 파일:김채원 MBTI.jpg[34] 210130 인스타스토리 '무엇이든 물어보세요'에서 언급'[35] ISTP 짤에 자주 등장한다[36] 뮤지컬 배우[37] ISFP와 걸쳐있는 것으로 보인다.
파일:whynot_baejinyoung.jpg
[38] MBTI 연구소에서 INTP에서 ISTP로 바뀌었다고 한다.[39] 2022.7.11 인스타그램 스토리에서 밝혔다.[40] 인스타그램 스토리에서 밝혔다.[41] 인스타그램 스토리에서 밝혔다.[42] 인스타그램 스토리에서 밝혔다.[43] 원래 ISTP이었으나, 군대에 다녀온 직후 한동안은 ISTJ였다. 하지만 지금은 다시 ISTP이 되었다고.[44] 인스타 프로필에 적혀있다.[45] 2021.12.25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에서 밝혔다.[46] 원래는 ENFP로 알려져 있으나 210612 팬사인회 당시 다시 검사한 후 ISTP가 나왔다고 밝혔다.[47] 스트리밍 중 언급.[48] 본래ENFP이다.[49] 세간에서 언급되는 고독한 늑대 한정. 실제 습성을 보면 ESTJ에 가깝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069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069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1759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07-13 18:17:54에 나무위키 ISTP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7 21:56:08에 나무위키 ISTP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