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켓돌스튜디오 (r3판)

편집일시 :



파일:포켓돌스튜디오 로고 화이트.svg




[ 소속 아티스트 ]

[ 산하 레이블 ]
파일:펑키스튜디오 로고.png파일:M25로고.png파일:케이에이치컴퍼니 로고.png



포켓돌스튜디오
POCKETDOL STUDIO
파일:포켓돌스튜디오 로고 화이트.svg
정식 명칭주식회사 포켓돌스튜디오
영문 명칭PocketDol Studio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설립일2017년 7월 12일
업종명매니저업
임원진
회장
김광수[1]
대표이사
손용근 >

프로듀서 (A&R)
조이현[2]
모기업파일:external/mbk-ent.com/7ddd33a0a874a2a8a29bcfa0d85f080d.png파일:인터파크 로고.svg
전신파일:external/mbk-ent.com/7ddd33a0a874a2a8a29bcfa0d85f080d.png[3]
기업 규모중소기업
상장 여부비상장기업
소재지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 99-10

공식 채널
파일:포켓돌스튜디오 로고.svg 포켓돌스튜디오 공식 홈페이지
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 포켓돌스튜디오 공식 네이버 포스트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포켓돌스튜디오 공식 유튜브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포켓돌스튜디오 공식 트위터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포켓돌스튜디오 공식 네이버TV]]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OCKETDOL LABELS 공식 유튜브[4]

1. 개요
2. 상호 변천사
4. 지배 구조
5. 소속 아티스트
5.1. 가수
5.2. 프로듀서
6. 과거 소속
6.1. MBK 시절
6.2. 아티스트
6.3. 연습생
7. 산하 레이블
7.1.1. 소속 아티스트
7.2.1. 소속 PD
7.3.1. 소속 아티스트
8. 사옥
9. 제작 프로그램
10. 친밀한 방송국
10.1. MBC
10.1.1. MBC 플러스
10.2. KBS
10.3. CJ ENM
10.4. TV조선
11.1. MBK 시절
12.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연예 기획사.

2017년 MBK엔터테인먼트 자회사로 설립되었다. 현재는 MBK엔터테인먼트가 폐업하면서 기존 아티스트와 직원 인력이 그대로 이적하여 사실상 MBK엔터테인먼트에서 사명만 변경된 상태이다.


2. 상호 변천사[편집]


파일:82292D73-4297-4D15-A21C-48229C324BF0.jpg
파일:2B199DF1-656A-465C-A5C5-E4DD1D1002EE.gif
파일:A55C9CDD-110C-4790-A736-3747FF148562.jpg
파일:포켓돌스튜디오 로고.svg
GM기획
(1997 ~ 2007)
코어콘텐츠미디어
(2008 ~ 2013)
MBK엔터테인먼트
(2014 ~ 2022)
포켓돌스튜디오
(2017 ~ 현재)

3. 역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포켓돌스튜디오/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지배 구조[편집]


주주명지분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재환37.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규헌29.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리얼웍스14.6%
기타18.6%


5. 소속 아티스트[편집]



파일:포켓돌스튜디오 로고 화이트.svg




[ 소속 아티스트 ]

[ 산하 레이블 ]
파일:펑키스튜디오 로고.png파일:M25로고.png파일:케이에이치컴퍼니 로고.png




5.1. 가수[편집]


  • 송가인
  • BAE173
  • CLASS:y[5]
  • 에스페로
  • FANTASY BOYS


5.2. 프로듀서[편집]


  • 조이현[6]


6. 과거 소속[편집]



6.1. MBK 시절[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MBK엔터테인먼트/과거 소속 아티스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2. 아티스트[편집]


  • UNI.T (2018. 05.18 ~ 2018. 10. 12)
  • UNB (2018. 04. 07 ~ 2019. 01. 27)
  • 비너스 (2019. 08. 06 ~ 2019)
  • 원더나인 (2019. 04.13 ~ 2020. 08. 15)
  • 홍자 (2019 ~ 2020. 11. 27)
  • 오유진 (2021 ~ 2022. 07. 13)
  • 다이아 (2015. 09. 14 ~ 2022. 09 17)
  • 남도현[7] (2020. 11. 19 ~ 2023. 06. 22)

6.3. 연습생[편집]


  • MBK BOYS[8]

  • 방과후 설렘/참가자[9][10]
    • 고은채[1학년] - 하이헷으로 이적
    • 김민솔[1학년] - 인터파크뮤직플러스로 이적
    • 김선유[1학년] - CLASS:y로 데뷔하며 엠이오로 이적
    • 보미세라[1학년] - 쏘스뮤직으로 이적
    • 박보은[1학년] - CLASS:y로 데뷔하며 엠이오로 이적
    • 정유주[1학년] - 하이헷으로 이적
    • 최수빈[1학년] - 하이헷으로 이적
    • 김리원[2학년] - CLASS:y로 데뷔하며 엠이오로 이적
    • 박유라[2학년] - ON1으로 이적
    • 이하담[2학년] - ON1으로 이적
    • 원지민[2학년] - CLASS:y로 데뷔하며 엠이오로 이적
    • 최사랑[2학년] - 미스틱스토리로 이적
    • 조예주[3학년] - 하이라인엔터테인먼트로 이적
    • 김수혜[3학년] - 143으로 이적 후 LIMELIGHT으로 데뷔
    • 이지우[3학년] - 모드하우스로 이적 후 tripleS로 데뷔
    • 서윤주[3학년] - 예스아이엠으로 이적 후 mimiirose로 데뷔
    • 김다솜[4학년] - 모드하우스로 이적했다가 퇴사
    • 김유연[4학년] - 모드하우스로 이적 후 tripleS로 데뷔
    • 명형서[4학년] - CLASS:y로 데뷔하며 엠이오로 이적
    • 윤채원[4학년] - CLASS:y로 데뷔하며 엠이오로 이적
    • 홍혜주[4학년] - CLASS:y로 데뷔하며 엠이오로 이적

  • 소년판타지 - 방과후 설렘 시즌2/참가자[11][12]



7. 산하 레이블[편집]


포켓돌 레이블즈
POCKETDOL LABELS
파일:포켓돌 레이블스.jpg
링크파일:유튜브 아이콘.svg[13]

7.1. 엠이오[편집]




7.1.1. 소속 아티스트[편집]



7.2. 펑키스튜디오[편집]




7.2.1. 소속 PD[편집]


  • 한동철 - 엠넷 국장 출신 PD로 당시 프로듀스 101엠넷 대표 오디션 프로그램 제작을 담당했다.[15]


7.3. 케이에이치컴퍼니[편집]




7.3.1. 소속 아티스트[편집]




8. 사옥[편집]



파일:A24F063A-BA5A-49FB-93E8-C24FE8A15F04.jpg

전신 MBK엔터테인먼트 시절 사옥. # 포켓돌스튜디오도 설립 초에는 주소지가 이곳으로 되어있었다. 과거 티아라 화영 트위터 사건이 발생하여 결국 이 사옥 앞에서 시위가 일어나기도 했고, 심지어 건물이 계란을 맞는 장면이 JTBC 연예특종에 방송되기도 했다.관련 기사

파일:54E937FE-1FEB-44DE-9FDB-5F8BB78809BE.jpg

역삼동 사옥. 2018년 기존 MBK 사옥에서 이곳으로 독립하였다.

파일:95BE8CA3-6F3D-4717-AF6E-287B1B4E087F.jpg
파일:FF547FFC-C005-4D3E-9A59-26EB935CAE16.jpg

논현동 사옥. 2020년에 역삼동 사옥에서 이곳으로 이전하였으며 주소는 강남구 논현동 99-10이다. 등교전 망설임방과후 설렘에서 나오는 연습실이 이곳이다.[16]


9. 제작 프로그램[편집]


다이아 이후론 주로 방송사와 협업하여 서바이벌 프로그램을 제작해 신인 그룹을 론칭하고 있다.[17]

  • KBS2 아이돌 리부팅 프로젝트 - 더 유닛[18]
  • KBS2 트롯 전국체전[19]
  • MBC 언더나인틴[20]
  • TV조선 내일은 미스트롯[21]
  • MBC 등교전 망설임[22]
  • MBC 방과후 설렘 시리즈[23]


10. 친밀한 방송국[편집]



10.1. MBC[편집]


MBC와는 관계가 매우 좋아 보인다. 언더나인틴, 방과후 설렘, 소년판타지MBC와 협업하여 제작하였고 방과후 설렘 시리즈를 최초로 MBC 아이돌 서바이벌 프로그램 중에서 시리즈화 한걸보면 관계가 좋은걸로 보인다. 그리고 송가인MBC 인기 예능인 라디오 스타 , 전지적 참견 시점에 출연했다. 송가인뿐만 아니라 CLASS:y전지적 참견 시점에 나오고 리얼리티 방송을 편성해주는걸로 보아 MBC와의 관계는 좋은걸로 보인다. 다만 과거 GM기획 시절에는 2006년까지 SG워너비, 씨야MBC에 출연하지 못했다.


10.1.1. MBC 플러스[편집]


쇼챔피언에 116회(2014년 8월 16일)에 효민이 출연한 이후 한동안 MBK/포켓돌스튜디오 소속 가수들은 쇼챔피언에 출연이 없었다. 다만 프로듀스 101 시리즈로 최종 데뷔한 정채연남도현, 이한결최종 데뷔그룹으로 활동하고있을때 출연했으나 그 이후로는 출연이 없었다. 그리고 아이돌 리부팅 프로젝트 - 더 유닛의 데뷔조 역시 출연이 없었다. 하지만 모회사서바이벌 프로그램으로 데뷔한 원더나인만이 예외적으로 출연하였다.그리고 384회(2021년 2월 24일)에 송가인이 출연하면서 무려 6년 6개월만에 순수 MBK/포켓돌스튜디오 소속 아티스트가 쇼챔피언에 출연했고, 이후 포켓돌스튜디오 소속 가수들의 출연은 계속 이어지는 중이다. 이후 2022년에는 출연이 뜸하다가 432회(2022 5월 4일)에 송가인이 출연하면서 다시 순수 MBK/포켓돌스튜디오 소속 아티스트가 출연했다. 그 다음주인 433회(2022년 5월 11일)에서는 CLASS:y가 출연했다.[24] 다만 BAE173INTERSECTION: BLAZE로 활동할때 유일하게 쇼챔피언의 출연이 없었다. ODYSSEY : DaSH로 컴백한 BAE173쇼챔피언에 나오는 걸 보아 MBC 뿐만 아니라 MBC 계열사들과도 사이가 좋은 걸로 보인다.


10.2. KBS[편집]


KBS와의 관계도 매우 좋아보인다. 신인그룹인 CLASS:y매터돌 , 아이돌 인간극장에 출연시켜주었으며 아이돌 리부팅 프로젝트 - 더 유닛트롯 전국체전을 KBS를 통해 방영한걸로 보아 KBS와 긍정적인 관계인 것으로 보인다.


10.3. CJ ENM[편집]


김광수가 과거 CJ에서 근무한 이력이 있으며 CJ에서 포켓돌스튜디오의 전신인 코어콘텐츠미디어의 지분을 가지고 있었다. 지금은 남남이 되어서 다른 기획사랑 비슷하다. 다만 정채연과 MBK 소속 연습생인 남도현이한결엠넷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모두 데뷔에 성공한걸보면 관계가 나쁘지 않은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김광수 대표가 프로듀스 시리즈 조작 사태에 가담한 것으로 밝혀졌다. BAE173로드투엠카운트다운에서 2기 우승해 엠카운트다운에서 특별 무대를 하였고 , CLASS:y엠넷 예능 프로그램인 TMI NEWS SHOW에 패널로 출연했다.


10.4. TV조선[편집]


내일은 미스트롯 방영 이후 TV조선과 포켓돌스튜디오의 사이가 안좋아진것으로 보였지만 서혜진 PD가 TV조선을 퇴사하면서 소속 가수인 송가인이 다시 TV조선 예능으로 복귀한다고 기사가 나왔다[25] TV조선과 사이가 다시 좋아진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송가인의 전국투어 콘서트가 추석 연휴 TV조선을 통해 단독으로 공개된다.


11. 사건사고 및 비판[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포켓돌스튜디오/논란 및 비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1.1. MBK 시절[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MBK엔터테인먼트/논란 및 비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2. 여담[편집]


  • 설립 초반에는 MBK엔터테인먼트의 자회사로 독립적으로 운영되었지만 MBK엔터테인먼트폐업으로 기존 아티스트와 직원 인력이 그대로 포켓돌스튜디오로 이적하였다. 사실상 MBK엔터테인먼트에서 포켓돌스튜디오로 사명만 변경된 것으로 과거 코어콘텐츠미디어에서 MBK로 사명이 변경된 것과 같은 경우이다.# 물론 MBK 시절의 무수한 실책들로 인해 여론은 좋지 않다.

  • GM기획 → 코어콘텐츠미디어 → MBK엔터테인먼트 → 포켓돌스튜디오 사명을 무려 네번이나 바꿨다.

  • MBK엔터테인먼트 설립자 및 대표 김광수가 총괄프로듀서를 담당하고 있다.[26]

  • 파이브돌스, 다이아 출신 배우 조이현이 프로듀서로도 일하고 있다. 2019년 하반기에 공동대표로도 약 한 달간 올라와 있었으나 2020년에 본인이 대표가 아니라고 밝혔다. #

  • 소속 가수들의 앨범의 넘버링을 이상하게 정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정규앨범과 미니앨범을 한 번에 하는 건 기본이고[27], 미니앨범 리패키지로 봐야할 것[28]을 별도의 미니앨범으로 구분한다. 또한 CLASS:y의 수록곡들을 올타이틀로 설정해 많은 팬들에게 혼란을 주었다.

  • SG워너비, 엠씨더맥스, 홍진영, 더 씨야, 다비치, 티아라, 송가인 등 지금까지 배출한 연예인 라인업만 보더라도 대기업급으로 기가 막히고 노래도 잘 뽑는걸로 유명하지만 TS, 스타제국과 더불어 가장 악명 높은 기획사로 이름을 날리고 있다. 아티스트에 대한 관리 능력이 엄청나게 부실하고 소속사의 자질이 엉망이라는 평가가 많다.[29]

  • 한동철 PD를 포함한 엠넷출신 PD들을 영입하였다. 과거 김광수 회장의 인터뷰를 보아하니 방과후 설렘 시리즈 이후에도 오디션 프로그램을 통해 소속 아이돌을 론칭할 것으로 보인다.[30]

  • 더유닛, 언더나인틴, 내일은 미스트롯, 트롯 전국체전, 방과후 설렘 시리즈를 제작했다.[32]
    • 2019년 TV CHOSUN에서 방영된 내일은 미스트롯 관련 공연권과 매니지먼트권을 갖고 있다. 미스트롯 결승 진출자들은 포켓돌스튜디오와 계약을 체결하고 활동하게 된다. 다만 후속 시즌인 내일은 미스터트롯까지는 이어지지 못했다.
    • 방과후 설렘은 사실상 포켓돌스튜디오의 DIA 직속 후배그룹을 뽑는 오디션이며 방과후 설렘 방영 전 오디션에 최종 합격한 약 150명의 연습생들이 약 4개월간 포켓돌스튜디오 소속 연습생으로 매월 월말평가를 치렀고 최종 선발된 83명이 방송에 출연했다.
    • 방과후 설렘 시리즈의 데뷔그룹은 자회사 M25와 함깨[31] 관리하고 사실상 포켓돌스튜디오에서 단독으로 매니지먼트하는 아이돌 그룹은 BAE173이 유일하다



  • 엠넷을 소유한 CJ E&M을 제외한 현존하는 연예 기획사들 중 가장 많은 오디션 프로그램을 제작했다.[33]

  • 역대 소속 아이돌 그룹인 티아라, 남녀공학, 파이브돌스, 스피드, 다이아, BAE173 및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을 통해 선발한 UNB, UNI.T, 원더나인, CLASS:y까지 신기하게도 전부 100% 한국인으로만 구성되어 있다.[34]


  • 다이아의 전속계약이 만료되어 현재 MBK시절 데뷔한 아티스트가 전부 소속사를 떠났다.

  • SG워너비를 잇는 보컬 그룹 론칭을 준비 중이다.#

  • 2023년 2월 사옥을 확장했다.[35] # 소속 아이돌이 팬사인회에서 회사 사옥 이전했냐는 질문에 그대로 기존 포켓돌스튜디오 연습실을 사용한다고 한 것을 보아 새로 확장한 사옥은 소년판타지 참가자들이 사용할 것으로 보인다.

.
[1] A B C D E F G H 사실상 실소유주. 전신 MBK 엔터테인먼트의 설립자이다. SG워너비, 홍진영, 다비치, 티아라 등 다수의 인기가수 제작자로 유명하다.#[2] A B C D E F 걸그룹 파이브돌스, 다이아 출신으로 BAE173, FANTASY BOYS의 프로듀싱과 CLASS:y의 매니지먼트&프로듀싱을 맡고있다.[3] A B C D E 기존 MBK 소속 아티스트와 직원 인력이 그대로 이적하였다.[4] A B C D E F 기존 MBK엔터테인먼트 공식 유튜브 계정에서 채널명이 변경되었다.[5] 자회사 엠이오 전담 매니지먼트.[6] 前 조승희. 파이브돌스, 다이아 출신 , 포켓돌스튜디오 산하의 연예 기획사M25의 대표이면서 프로듀서 역할을 맡고있다.[7] X1, BAE173 前 멤버[8] 2019년~2020년 MBK(포켓돌스튜디오)의 차기 보이그룹 연습생들로 구성된 데뷔조.# 2019년부터 남자 연습생들을 공개하기 시작했고 가칭이 원래는 엠비케이 보이즈(MBK BOYS)였으나 중간에 포켓돌즈(POCKETDOLZ)로 변경되었다. 현재 BAE173으로 데뷔하지 못한 연습생들은 모두 포켓돌스튜디오에서 퇴사한 것으로 알려졌다.[9] 포켓돌스튜디오에서 DIA 이후 런칭하는 차기 걸그룹 연습생 83명으로 구성되어있으며,1학년2학년3학년4학년 이 83명은 공개 오디션을 통해 지원자 8만7000명 중 선발된 인원이다. 연습생 83명 선발은 조이현직접 했다고 한다. 방과후 설렘 참가자들은 연습생들이 각각 다른 회사 소속으로 출전하는 보통의 아이돌 오디션 프로그램과 다르게 83명의 모든 참가자가 포켓돌스튜디오가 직접 선발한 연습생들이며 등교전 망설임 방영 전 포켓돌스튜디오에서 몇 달간 연습생 생활을 거친 후 프로그램에 참가했다.(다만 일부 참가자는 원 소속팀이나 원 소속사가 있었다.) 현재는 최종 데뷔조와 파이널에 진출한 연습생들을 제외한 나머지 연습생들은 서바이벌 탈락과 동시에 포켓돌스튜디오에서 퇴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퇴사한 한 연습생의 증언에 따르면 나이가 비교적 어린 저학년들은 탈락 이후에 대체로 새 기획사에 입사한 것으로 보인다.#[10] 방과후 설렘의 데뷔조인 CLASS:y 외에도 파이널 탈락 참가자들인 해당 연습생들이 계약 해지를 하지 않은 바 알려지면서 차후 그녀들로 구성된 걸그룹도 따로 런칭될 가능성이 높아졌었다. 산하 레이블인 펑키스튜디오 소속 걸그룹으로 데뷔할 수도 있는 것으로 보였다. 그리하지 못한다고 해도 타 기획사에서 데뷔조 유력 멤버로 바로 뽑아갈 가능성도 열려 있다. 단, 이미희는 원 소속사 및 돌아갈 팀이 있으므로 제외. 이후 김유연이 고독방에서 콘서트가 취소되었다고 밝히면서 이들 5명의 앞날마저 불투명해질 뻔했으나, 개인 인스타그램 계정이 개설되면서 퇴사했을 가능성이 생겼다. 이들 중 이영채는 인스타그램 게시물을 통해 "불가피한 일로 늦게 인사드리게 되었다"고 고백하기도 했다. 또한 이지우와 김유연은 tripleS의 멤버로 확정되며 포켓돌스튜디오 연습생 계약 해지를 확정지었다. 나머지 연습생들도 SNS 계정을 개설하여 포켓돌스튜디오와의 계약 해지를 알렸다.[11] 기존 소속 연습생을 소년판타지에 참가시킨 것이 아닌 프로그램 미팅 후 계약한 것으로 보인다. 이전 시즌과 다르게 본방송 전 따로 포켓돌에서 트레이닝 기간을 가지지 않았다.[12] 김범준을 제외한 나머지 연습생들은 FANTASY BOYS로 데뷔하는데 성공했다.[13] 기존 MBK엔터테인먼트 계정을 이어서 사용한다.[14] 소속사 대표[15] 한동철 PD 말고도 엠넷 출신 PD들이 소속되어 있다. #[16] 다음 시즌인 소년판타지의 경우 포켓돌 연습실이 아닌 서경대학교 연습실을 이용했다.[17] 과거 DIA 또한 TV 서바이벌 방송을 통해 멤버를 선발하려고 했으나 무산되었다.#[18] UNB, UNI.T 데뷔[19] 오유진 데뷔[20] 원더나인 데뷔[21] 송가인 데뷔[22] 방과후 설렘의 프리퀄.[23] CLASS:y, FANTASY BOYS 데뷔[24] 다만 이쪽도 모회사의 서바이벌 프로그램 출신이다[25] 기사 [26] 사실상 대표[27] 데뷔 앨범을 정규앨범으로 한 다이아의 다음 앨범이 두번째 미니앨범이라든지...[28] 티아라존트라볼타 워너비, Funky Town, MIRAGE등.[29] # 위 링크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팬들의 여론도 굉장히 좋지 않다. 회사 대표부터 소속 연예인을 도구로 생각하는 것으로 유명하기 때문.[30] 과거 다이아 또한 TV 서바이벌 방송을 통해 멤버를 선발하려고 했으나 무산되었다.#[31] 물론 엠이오가 포켓돌의 자회사이기때문에 김광수의 간섭을 많이 받긴 받는다. CLASS IS OVER,LIVES ACROSS를 2종으로 발매하지 않고 데뷔 앨범 초동 기간이 끝나자마자 바로 [32] 무려 모두 다이아가 활동했던 시기에 반영이 되었으며 이로인해 다이아는 오랜 공백기를 가지게 되었다.[33] 주로 공중파 방송사와 협업한다.[34] 다만 2023년, FANTASY BOYS에는 외국인 멤버들이 포함되었다.[35] 주소는 강남구 논현동 108-6으로 단독 사옥은 아닌 건물의 3층만 사용한다.